KR101560279B1 - 용수저장탱크 및 이를 이용한 용수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용수저장탱크 및 이를 이용한 용수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0279B1
KR101560279B1 KR1020130138246A KR20130138246A KR101560279B1 KR 101560279 B1 KR101560279 B1 KR 101560279B1 KR 1020130138246 A KR1020130138246 A KR 1020130138246A KR 20130138246 A KR20130138246 A KR 20130138246A KR 101560279 B1 KR101560279 B1 KR 101560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pace
fresh water
storage tank
floating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8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5807A (ko
Inventor
김윤중
곽동근
김원태
김정주
남해욱
윤희철
김현배
최계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to KR1020130138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0279B1/ko
Publication of KR20150055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5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0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0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 및 담수를 혼합하여 저장하는 용수저장탱크에 있어서, 상부에 우수가 이동하는 우수유로(200)가 형성된 본체(100) 및 상기 우수유로(200) 상에 형성되며, 상기 우수유로(200)에서 이동하는 우수 중 초기 우수만이 침전되고 지속 우수는 바이패스되도록, 상기 우수유로(200)에 비해 하부로 침전된 공간으로 형성된 초기우수침전조(300)를 포함하는 용수저장탱크 및 이를 이용한 용수제공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용수저장탱크 및 이를 이용한 용수제공방법{DOUSING WATER TANK AND METHOD FOR PROVIDING WAT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용수저장탱크 및 이를 이용한 용수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 및 담수가 혼합된 혼합수를 저장하는 용수저장탱크 및 이를 이용한 용수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다른 국가에 비해 대부분의 수원을 하천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러한 하천의 환경, 수량 및 수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빗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빗물을 효율적이고 직접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모든 물문제의 근본적인 출발점이다.
하천의 빗물 관리에는 빗물을 저류하는 것과 빗물을 토양으로 침투시키는 것이 모두 포함되며, 이러한 빗물 관리를 통해 기존의 물 공급 체계와 하수도에 의해 왜곡된 자연스러운 물 순환을 회복시켜 홍수와 물 부족에 동시에 대처하면서 친 환경적인 생활여견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존의 수원 확보 및 방재 시설물은 선으로 이루어진 하천 유로의 흐름을 관리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의 하천에 사용되던 한개의 저류시스템은 다른 시스템 또는 기능과 연계되지 못한 채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즉, 하천에 설치되는 댐은 홍수해방지가 주 목적이고, 빗물펌프장 같은 저류시설은 홍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대용량으로 설치되어있으나 년간 하루 또는 이틀 정도의 운영만 필요하고 나머지는 그 필요성을 찾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와 같이 비점오염원 처리시설 또는 홍수방재용 시설들이 한가지의 목적만을 위해 설치되었던 것에 따른 사회, 경제적인 비용의 손실을 방지하고, 한개의 시설로도 여러개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빗물관리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당 기술분야에서 계속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하천에 홍수방지를 위하여 설치하던 댐과 같은 대규모의 시설은 하천의 하류지역에서는 그 시설의 혜택을 볼 수 있지만, 댐이 설치된 부근의 상류에서는 시설의 헤택을 보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상류역의 건천화, 상류에서의 국지적 홍수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깨끗한 수질을 갖는 상류역에서의 빗물을 기존의 홍수방재시설 등을 통해 집수하게 되면 상류에서보다 오염된 상태의 빗물이 집수되는 문제가 있다. 더구나, 하나의 시설로 홍수방지를 하기 위해서 필요 이상의 큰 용량으로 설계되어 대규모 공사가 이루어지게 되고 이러한 대규모 공사는 막대한 규모의 재원이 투입되고 사회분쟁의 한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도서지역에서는 담수 이용을 위해서 지하수 또는 해수담수를 이용하며 용수가 부족한 경우에는 내륙에서 이를 수송하여 오고 있다. 즉, 도서지역은 경제적으로 용수를 공급하는 방법이 제한적이다.
이에 따라 과잉 지하수 개발에 따른 지하 공동화 및 해수유입 현상이 발생되고, 고비용?저에너지의 친환경기술과는 거리가 먼 방법으로 용수를 공급하고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염물질이 포함된 초기 우수가 저장되는 것을 방지하고, 용수로 사용이 가능한 지속 우수만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용수저장탱크 및 이를 이용한 용수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장된 지속 우수에 포함된 침사물이 침전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하는 용수저장탱크 및 이를 이용한 용수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침사물이 제거된 우수와 담수화된 해수가 혼합된 혼합수를 저장할 수 있는 용수저장탱크 및 이를 이용한 용수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보다 비중이 낮은 재질로 형성된 부유캡에 의해 담수유입구가 자동적으로 개폐되는 용수저장탱크 및 이를 이용한 용수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우수 및 담수를 혼합하여 저장하는 용수저장탱크에 있어서, 상부에 우수가 이동하는 우수유로(200)가 형성된 본체(100); 및 상기 우수유로(200) 상에 형성되며, 상기 우수유로(200)에서 이동하는 우수 중 초기 우수만이 침전되고 지속 우수는 바이패스되도록, 상기 우수유로(200)에 비해 하부로 침전된 공간으로 형성된 초기우수침전조(300);를 포함하는 용수저장탱크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우수유로(200) 상으로 유입된 우수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우수유로(200)의 둘레에 형성된 이탈방지벽(4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저장탱크일 수 있다.
또한, 우수가 상기 본체(100)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우수유로(200) 상에서 이동하는 우수의 흐름방향에서, 상기 초기우수침전조(300) 다음에, 상기 우수유로(200) 상에 형성되는 우수유입구(1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저장탱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수유로(200)는 우수의 흐름방향을 따라 내리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저장탱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내부공간을 제1 공간(121) 및 제2 공간(122)으로 구획하며, 상기 제1 공간(121)에 저장된 우수가 상기 제2 공간(122)으로 이동하는 월류통로(123)가 형성된 격벽(1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저장탱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월류통로(123)는 상기 본체(100) 하부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저장탱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공간(121)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공간(121)에 저장된 우수에 포함된 침사물이 상기 본체(100) 외부로 배출되는 침사물배출구(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저장탱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수유입구(110)는, 하부에 상기 제1 공간(121)이 위치하는 상기 우수유로(200)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저장탱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공간(122)에 형성되며, 상기 제2 공간(122)으로 담수가 유입되는 담수유입구(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저장탱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공간(122)에 형성되며, 상기 제2 공간(122)에 저장된 우수 및 담수가 혼합된 혼합수가 상기 본체(100) 외부로 배출되는 혼합수배출구(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저장탱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수배출구(150)는 상기 담수유입구(140) 보다 하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저장탱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수의 수위가 상기 담수유입구(140)의 위치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담수유입구(140)를 개방하고, 상기 혼합수의 수위가 상기 담수유입구(140)의 위치에 근접한 경우에는 상기 담수유입구(140)를 폐쇄하는 부유캡(160); 및 상기 부유캡(160)을 수납함과 아울러, 수납된 상기 부유캡(160)의 이동 경로를 제한하는 부유캡가이드(162);를 포함하며, 상기 부유캡(160)은 물보다 비중이 낮은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저장탱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캡(160)과 상기 부유캡가이드(162)를 연결하는 연결선(16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저장탱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캡가이드(162)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부유캡가이드(162) 내부의 담수가 상기 부유캡가이드(162) 외부로 배출되는 담수배출홀(16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저장탱크일 수 있다.
또한, 가옥 지붕(500)의 경사면을 따라 흐르는 우수가 상기 우수유로(2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이탈방지벽(400)의 일측이 상기 지붕(500)의 단부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저장탱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초기 우수는 상기 침전조(300)에 침전되고 지속 우수는 바이패스 되는 단계; 상기 우수유입구(110)를 통해 지속 우수가 상기 제1 공간(121)으로 유입되는 단계; 상기 제1 공간(121)에 저장된 우수가 월류통로(123)를 통해 상기 제2 공간(122)으로 이동되는 단계; 상기 제2 공간(121)에서 우수와 담수가 혼합되는 단계; 및 상기 혼합수배출구(150)를 통해 혼합수가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수제공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2 공간(121)에서 우수와 담수가 혼합되는 단계는, 상기 혼합수의 수위가 상기 담수유입구(140)의 위치보다 낮은 경우에 상기 담수유입구(140)가 개방되는 단계; 상기 담수유입구(140)를 통해 담수를 유입되는 단계; 및 상기 혼합수의 수위가 상기 담수유입구(140)의 위치에 근접한 경우에 상기 담수유입구(140)가 상기 부유캡(160)에 의해 폐쇄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제공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수저장탱크는 오염물질이 포함된 초기 우수가 저장되는 것을 방지하고, 용수로 사용이 가능한 지속 우수만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수저장탱크는 저장된 지속 우수에 포함된 침사물이 침전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수저장탱크는 침사물이 제거된 우수와 담수화된 해수가 혼합된 혼합수를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수저장탱크는 물보다 비중이 낮은 재질로 형성된 부유캡에 의해 담수유입구가 자동적으로 개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수저장탱크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수저장탱크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수저장탱크를 이용한 용수관 망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수저장탱크를 이용한 용수관 망의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캡가이드(162)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용수저장탱크 및 이를 이용한 용수제공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종래의 우수를 저장하는 용수저장탱크는 초기 우수와 지속 우수를 구분하지 않고, 모든 우수를 저장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초기 우수에는 우수의 흐름면에 존재하는 다량의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흐르게 되므로 용수로 사용되기에 적합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초기 우수과 지속 우수를 구분하지 않고 용수저장탱크에 우수를 저장하여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종래의 우수를 저장하는 용수저장탱크는 우수만을 저장하여 용수로 제공하므로 갈수기에는 저장할 수 있는 우수가 없어 용수저장탱크가 사용되는 시기가 길지 못하고, 관리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들을 개선한 용수저장탱크 및 이를 이용한 용수제공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수저장탱크는, 상부에 우수가 이동하는 우수유로(200)가 형성된 본체(100), 우수유로(200) 상에 형성되며, 우수유로(200)에서 이동하는 우수 중 초기 우수만이 침전되고 지속 우수는 바이패스되도록, 우수유로(200)에 비해 하부로 침전된 공간으로 형성된 초기우수침전조(300), 우수가 본체(100) 내부로 유입되도록, 우수유로(200) 상에서 이동하는 우수의 흐름방향에서, 초기우수침전조(300) 다음에, 우수유로(200) 상에 형성되는 우수유입구(110)를 포함한다(도 1).
이를 이용한 우수의 저장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수유로(200) 상으로 유입된 초기 우수는 초기우수침전조(300)에 머무르고, 지속 우수는 바이패스하여 우수유입구(110)를 통해 본체(100) 내부로 유입된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다량의 오염물질이 포함된 초기 우수는 초기우수침전조(300)에 머무르게 되고, 상대적으로 깨끗한 지속 우수만이 본체(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되어, 깨끗한 용수를 저장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수저장탱크는, 우수유로(200) 상으로 유입된 우수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우수유로(200)의 둘레에 형성된 이탈방지벽(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1).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일단 우수유로(200)로 유입된 우수의 이탈률을 낮춤으로써, 더 많은 양의 우수를 저장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수저장탱크는, 우수유입구(110)로의 우수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우수유로(200)는 우수의 흐름방향을 따라 내리막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리막은 우수유로(200)를 중심으로 점진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수저장탱크는, 본체(100)의 내부공간을 제1 공간(121) 및 제2 공간(122)으로 구획하는 격벽(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1).
격벽(120)에는 제1 공간(121)에 저장된 우수가 제2 공간(122)으로 이동하는 월류통로(123)가 형성될 수 있다. 월류통로(123)는 본체(100) 하부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제1 공간(121)에 저장된 지속 우수가 제2 공간(122)으로 월류하기 위한 시간이 요구되므로, 제1 공간(121)에 저장되어 있는 동안 지속 우수에 포함된 침사물이 제1 공간(121) 바닥면으로 침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공간(122)으로 월류되는 지속 우수는 침사물이 제거된 지속 우수이므로 깨끗한 용수를 저장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 경우, 바닥면으로 침전된 침사물이 본체(100) 외부로 배출되도록 침사물배출구(130)가 제1 공간(121)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
지속 우수가 제1 공간(121)으로 유입되기 위하여 우수유입구(110)는 하부에 제1 공간(121)이 위치하는 우수유로(200) 상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수저장탱크는, 제2 공간(122)에 형성되며 제2 공간(122)으로 담수가 유입되는 담수유입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1).
결과적으로 제2 공간(122)에는 지속 우수와 담수가 혼합하여 저장되게 된다. 또한, 갈수기에는 우수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담수만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용수저장탱크에 우수뿐만이 아닌 담수도 저장함으로써, 용수저장탱크가 상시 사용상태에 있을 수 있어 사용상의 효율이 높은 효과가 있다.
또한, 상시 사용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용수저장탱크의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추가된다.
도서지역의 경우 담수 저장량이 많지 않으므로, 담수유입구(140)로 유입되는 담수는 담수화 처리가 수행된 해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수저장탱크보다 높은 위치에 담수화 처리를 위한 담수화시설을 설치하여(도 3), 자연유하 방식으로 담수화된 해수를 용수저장탱크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수저장탱크는, 제2 공간(122)에 형성되며, 제2 공간(122)에 저장된 우수 및 담수가 혼합된 혼합수가 본체(100) 외부로 배출되는 혼합수배출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1).
혼합수배출구(150)는 단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 일부는 가정으로 용수가 공급되는 용수관과 연결되고, 나머지는 다른 용수저장탱크와 연결되는 용수관과 연결될 수 있다(도 3).
다른 용수저장탱크와 연결되는 용수관은 다른 용수저장탱크의 담수유입구(14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다른 용수저장탱크의 담수유입구(140)는 담수뿐만 아니라 용수저장탱크에서 배출된 혼합수가 유입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수저장탱크는, 제2 공간(122)에 저장된 혼합수의 수위가 상기 담수유입구(140)의 위치보다 낮은 경우에는 담수유입구(140)를 개방하고, 혼합수의 수위가 담수유입구(140)의 위치에 근접한 경우에는 담수유입구(140)를 폐쇄하는 부유캡(160), 부유캡(160)을 수납함과 아울러, 수납된 상기 부유캡(160)의 이동 경로를 제한하는 부유캡가이드(162) 및 부유캡(160)과 부유캡가이드(162)를 연결하는 연결선(161)를 포함할 수 있다(도 1, 5).
이를 위해 부유캡(160)은 물보다 비중이 낮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보다 비중이 낮은 부유캡(160)은 제2 공간(122)에 저장된 혼합수의 수위에 따라 부유캡가이드(162) 내부에서 상하로 유동하게 되고, 혼합수의 수위가 담수유입구(140)까지 근접하는 경우 부유캡(160)이 담수유입구(140)를 폐쇄하여 제2 공간(122)으로의 담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부유캡가이드(162)는 원통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부유캡(160)의 형상에 상응하여 부유캡가이드(162)의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용수저장탱크로 유입되는 담수의 수량을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별도의 전력 소모가 요구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용수저장탱크의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수저장탱크는, 부유캡가이드(162)에 관통 형성되며, 부유캡가이드(162) 내부의 담수가 부유캡가이드(162) 외부로 배출되는 담수배출홀(163)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5).
부유캡가이드(162)의 하부에는 부유캡(160)이 위치하고 있어 유입되는 담수의 흐름이 좋지 못하므로, 부유캡가이드(162) 내부로 유입된 담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담수배출홀(163)을 부유캡가이드(162) 표면에 형성하여 담수의 흐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수저장탱크는, 가옥 지붕(500)의 경사면을 따라 흐르는 우수가 우수유로(2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이탈방지벽(400)의 일측이 지붕(500)의 단부와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우수유로(200)로 직접 강하하는 우수뿐만 아니라 지붕으로 강하하여 흐르는 빗물까지 우수유로(200)로 유입시킴으로써 용수저장탱크에 저장되는 우수의 양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본체
110 : 우수유입구
120 : 격벽
130 : 침사물배출구
140 : 담수유입구
150 : 혼합수배출구
160 : 부유캡
200 : 우수유로
300 : 초기우수침전조
400 : 이탈방지벽
500 : 지붕

Claims (17)

  1. 우수 및 담수를 혼합하여 저장하는 용수저장탱크에 있어서,
    상부에 우수가 이동하는 우수유로(200)가 형성된 본체(100); 및
    상기 우수유로(200) 상에 형성되며, 상기 우수유로(200)에서 이동하는 우수 중 초기 우수만이 침전되고 지속 우수는 바이패스되도록, 상기 우수유로(200)에 비해 하부로 침전된 공간으로 형성된 초기우수침전조(300);를 포함하며,
    상기 우수유로(200)의 상부는 개방되며,
    상기 우수유로(200) 상으로 유입된 우수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우수유로(200)의 둘레에는 이탈방지벽(400)이 형성되며,
    가옥 지붕(500)의 경사면을 따라 흐르는 우수가 상기 우수유로(2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이탈방지벽(400)의 일측이 상기 지붕(500)의 단부와 연결되며,
    우수가 상기 본체(100)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우수유로(200) 상에서 이동하는 우수의 흐름방향에서, 상기 초기우수침전조(300) 다음에, 상기 우수유로(200) 상에 형성되는 우수유입구(1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우수유로(200)는 우수의 흐름방향을 따라 내리막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100)의 내부공간을 제1 공간(121) 및 제2 공간(122)으로 구획하며, 상기 제1 공간(121)에 저장된 우수가 상기 제2 공간(122)으로 이동하는 월류통로(123)가 형성된 격벽(1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월류통로(123)는 상기 본체(100) 하부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우수유입구(110)는 하부에 상기 제1 공간(121)이 위치하는 상기 우수유로(200)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2 공간(122)에 형성되며, 상기 제2 공간(122)으로 담수가 유입되는 담수유입구(1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공간(122)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2 공간(122)에 저장된 우수 및 담수가 혼합된 혼합수가 상기 본체(100) 외부로 배출되는 혼합수배출구(1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혼합수배출구(150)는 상기 담수유입구(140) 보다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혼합수의 수위가 상기 담수유입구(140)의 위치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담수유입구(140)를 개방하고, 상기 혼합수의 수위가 상기 담수유입구(140)의 위치에 근접한 경우에는 상기 담수유입구(140)를 폐쇄하는 부유캡(160); 및
    상기 부유캡(160)을 수납함과 아울러, 수납된 상기 부유캡(160)의 이동 경로를 제한하는 부유캡가이드(162);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유캡(160)은 물보다 비중이 낮은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부유캡가이드(162)에 관통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부유캡가이드(162) 내부의 담수가 상기 부유캡가이드(162) 외부로 배출되는 담수배출홀(163)이 형성되며,
    상기 담수배출홀(163)은 상기 부유캡가이드(162)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공간(121)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공간(121)에 저장된 우수에 포함된 침사물이 상기 본체(100) 외부로 배출되는 침사물배출구(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저장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캡(160)과 상기 부유캡가이드(162)를 연결하는 연결선(16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저장탱크.
  3. 제1항의 용수저장탱크를 이용한 용수제공방법에 있어서,
    초기 우수는 상기 침전조(300)에 침전되고 지속 우수는 바이패스 되는 단계;
    상기 우수유입구(110)를 통해 지속 우수가 상기 제1 공간(121)으로 유입되는 단계;
    상기 제1 공간(121)에 저장된 우수가 월류통로(123)를 통해 상기 제2 공간(122)으로 이동되는 단계;
    상기 제2 공간(121)에서 우수와 담수가 혼합되는 단계; 및
    상기 혼합수배출구(150)를 통해 혼합수가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수제공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간(121)에서 우수와 담수가 혼합되는 단계는,
    상기 혼합수의 수위가 상기 담수유입구(140)의 위치보다 낮은 경우에 상기 담수유입구(140)가 개방되는 단계;
    상기 담수유입구(140)를 통해 담수를 유입되는 단계; 및
    상기 혼합수의 수위가 상기 담수유입구(140)의 위치에 근접한 경우에 상기 담수유입구(140)가 상기 부유캡(160)에 의해 폐쇄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제공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30138246A 2013-11-14 2013-11-14 용수저장탱크 및 이를 이용한 용수제공방법 KR101560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246A KR101560279B1 (ko) 2013-11-14 2013-11-14 용수저장탱크 및 이를 이용한 용수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246A KR101560279B1 (ko) 2013-11-14 2013-11-14 용수저장탱크 및 이를 이용한 용수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807A KR20150055807A (ko) 2015-05-22
KR101560279B1 true KR101560279B1 (ko) 2015-10-15

Family

ID=53391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8246A KR101560279B1 (ko) 2013-11-14 2013-11-14 용수저장탱크 및 이를 이용한 용수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02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20373B (zh) * 2017-10-30 2021-06-08 武汉圣禹排水系统有限公司 一种各个片区截污管中的污水汇入调蓄设施的方法
CN107859138B (zh) * 2017-10-30 2021-06-08 武汉圣禹排水系统有限公司 一种雨水管路和污水管路中的污水汇入调蓄设施的方法
CN107806163B (zh) * 2017-10-30 2021-06-08 武汉圣禹排水系统有限公司 一种降雨时控制排水系统中的污水汇入污水干管的方法
CN107761905B (zh) * 2017-10-30 2021-06-08 武汉圣禹排水系统有限公司 一种各个片区中的污水汇入污水干管和调蓄设施的方法
CN107816112B (zh) * 2017-10-30 2021-06-08 武汉圣禹排水系统有限公司 一种截污管中的污水汇入污水干管和调蓄设施的方法
CN110093968B (zh) * 2019-05-15 2021-05-14 重庆大学 一种初期雨水智能分流系统
CN110905068B (zh) * 2019-12-09 2020-10-16 湖北中八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生态廊道的道路污水排放处理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0822B2 (ja) * 1993-04-30 2001-03-26 オークマ株式会社 リニアモータ
JP2005083184A (ja) * 2003-09-08 2005-03-31 Kazunari Kubota 雨水貯留槽
KR101230015B1 (ko) * 2012-07-13 2013-02-05 주식회사 삼원 에코웰 빗물을 재활용하는 야외 화장실용 급수 시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0822B2 (ja) * 1993-04-30 2001-03-26 オークマ株式会社 リニアモータ
JP2005083184A (ja) * 2003-09-08 2005-03-31 Kazunari Kubota 雨水貯留槽
KR101230015B1 (ko) * 2012-07-13 2013-02-05 주식회사 삼원 에코웰 빗물을 재활용하는 야외 화장실용 급수 시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807A (ko) 2015-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0279B1 (ko) 용수저장탱크 및 이를 이용한 용수제공방법
Van Lier et al. Anaerobic sewage treatment using UASB reactors: engineering and operational aspects
CN107587580B (zh) 一种带液动下开式堰门和泵排的排水系统及排水控制方法
KR101039196B1 (ko) 저류조를 이용한 초기우수 보관 처리 시스템
KR101349613B1 (ko) Lid 기법적용 선진모래여과장치
KR20160117384A (ko) 빗물 저류조를 활용한 연못 순환 시스템
KR101224277B1 (ko) 저류조를 이용한 오수 및 계곡수 분리용 초기우수 보관 처리 시스템
KR20080004647A (ko) 저류 시스템 및 저류 장치
CN107761900A (zh) 一种带有双翻板闸门的分流井、包括该分流井的排水系统及排水控制方法
HRP20050734A2 (en) Saltwater intrusion prevention system
KR20110043355A (ko)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여과장치
KR101163520B1 (ko) 초기우수 분리장치
CN201249056Y (zh) 一种蓄毒沉淀池
KR20160107382A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US11535526B2 (en) Multi-level outlet weir for enhanced volumetric separation for stormwater treatment
JP6132141B2 (ja) 下水・雨水切換型貯留施設
KR101560280B1 (ko) 용수공급관 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용수공급방법
KR100779545B1 (ko)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
KR101185579B1 (ko) 초기우수배제형 빗물 저류장치
CN208578071U (zh) 一种带有雨污水入流的地下综合管廊结构
CN103437281A (zh) 桥面径流收集处理与应急系统
KR101874562B1 (ko) 보조수원을 이용한 수자원 연계시스템 및 그 방법
CN203383144U (zh) 桥面径流收集处理与应急系统
CN104878823B (zh) 一种合流管道初期雨水截流蓄排系统及蓄排方法
KR101267377B1 (ko) 자연담수 홍수방지 저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