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562B1 - 보조수원을 이용한 수자원 연계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보조수원을 이용한 수자원 연계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562B1
KR101874562B1 KR1020170001268A KR20170001268A KR101874562B1 KR 101874562 B1 KR101874562 B1 KR 101874562B1 KR 1020170001268 A KR1020170001268 A KR 1020170001268A KR 20170001268 A KR20170001268 A KR 20170001268A KR 101874562 B1 KR101874562 B1 KR 101874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uxiliary
source
well
water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1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동근
김원태
김연수
남해욱
김현우
한기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to KR1020170001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562B1/ko
Priority to PCT/KR2018/000180 priority patent/WO201812841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2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supply for industrial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4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surface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2Public or like main pip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4Domestic or like local pip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우물(100); 상기 복수의 우물(100)에 대하여 정화수를 공급하도록 형성된 중앙정화조(200); 상기 우물(100)의 물 부족량을 보충하기 위하여, 상기 우물(100) 또는 중앙정화조(200)에 대하여 물을 공급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보조수원(300); 상기 보조수원(300)으로부터 상기 우물(100)에 대하여 보충수를 공급하는 보충수로(410)와, 상기 보조수원(300)으로부터 상기 중앙정화조(200)에 대하여 오염수를 공급하는 오염수로(420)와, 상기 중앙정화조(200)로부터 상기 우물(100)에 대하여 정화수를 공급하는 정화수로(430)를 포함하는 수로(400);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수원(300)의 수질이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보충수로(410)를 통해 상기 보조수원(300)으로부터 상기 우물(100)에 대하여 보충수를 공급하고, 상기 보조수원(300)의 수질이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오염수로(420)를 통해 상기 보조수원(300)으로부터 상기 중앙정화조(200)에 대하여 오염수를 공급하고, 상기 중앙정화조(200)에서 오염수를 정화한 후, 상기 정화수로(430)를 통해 상기 중앙정화조(200)로부터 상기 우물(100)에 대하여 정화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수원을 이용한 수자원 연계시스템을 제시함으로써, 물부족 국가에 대하여 적은 비용에 의해 현실적으로 효과적인 적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보조수원을 이용한 수자원 연계시스템{LINKAGE SYSTEM FOR WATER RESOURCES}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보조수원을 이용한 수자원 연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하천수는 풍부하지만 오염으로 인하여 식수, 농업용수 등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상황인 동남아 등의 국가들은 물부족 국가로 분류된다.
이들 국가의 물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하천수를 정수하거나, 바닷물을 담수처리하여 식수, 용수를 확보해야 하는데, 이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므로, 소득이 낮은 국가에서 실용화되기가 어렵다.
따라서 물부족 국가에 대하여 적은 비용에 의해 현실적으로 적용 가능한 수자원 확보시스템이 절실한 실정이나, 이에 관한 적절한 해결책이 제시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물부족 국가에 대하여 적은 비용에 의해 현실적으로 적용 가능한 수자원 연계시스템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우물(100); 상기 복수의 우물(100)에 대하여 정화수를 공급하도록 형성된 중앙정화조(200); 상기 우물(100)의 물 부족량을 보충하기 위하여, 상기 우물(100) 또는 중앙정화조(200)에 대하여 물을 공급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보조수원(300); 상기 보조수원(300)으로부터 상기 우물(100)에 대하여 보충수를 공급하는 보충수로(410)와, 상기 보조수원(300)으로부터 상기 중앙정화조(200)에 대하여 오염수를 공급하는 오염수로(420)와, 상기 중앙정화조(200)로부터 상기 우물(100)에 대하여 정화수를 공급하는 정화수로(430)를 포함하는 수로(400);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수원(300)의 수질이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보충수로(410)를 통해 상기 보조수원(300)으로부터 상기 우물(100)에 대하여 보충수를 공급하고, 상기 보조수원(300)의 수질이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오염수로(420)를 통해 상기 보조수원(300)으로부터 상기 중앙정화조(200)에 대하여 오염수를 공급하고, 상기 중앙정화조(200)에서 오염수를 정화한 후, 상기 정화수로(430)를 통해 상기 중앙정화조(200)로부터 상기 우물(100)에 대하여 정화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수원을 이용한 수자원 연계시스템을 제시한다.
상기 보조수원(300)은 우수, 호수, 강변여과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충수로(410)에는 보충수문(411)이 설치되고, 상기 오염수로(420)에는 오염수문(421)이 설치되고, 상기 보조수원(300)의 수질이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보충수문(411)을 개방하고, 상기 오염수문(421)을 폐쇄하여, 상기 보충수로(410)를 통해 상기 보조수원(300)으로부터 상기 우물(100)에 대하여 보충수를 공급하고, 상기 보조수원(300)의 수질이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보충수문(411)을 폐쇄하고, 상기 오염수문(421)을 개방하여, 상기 오염수로(420)를 통해 상기 보조수원(300)으로부터 상기 중앙정화조(200)에 대하여 오염수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로(400) 중 대수층이 발달하지 않은 영역에 송수관(440)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수관(440)은, 관형 본체(441); 상기 본체(441)의 중앙부에 설치된 망(442); 상기 망(442)에 의해 상기 본체(441)의 유출부 측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본체(441)의 유입부에 충전된 대입자 여재(443); 상기 망(442)에 의해 상기 본체(441)의 유입부 측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본체(441)의 유출부에 충전된 소입자 여재(44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로(400) 중 대수층이 발달한 영역에, 상기 수로(400)를 통해서만 지하수가 이동하고, 상기 수로(400) 외측으로 지하수가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수로(400)의 주위에 지하댐(450)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하댐(450)은 복수가 상기 수로(400)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을 따라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수원(300)에는, 오염수의 유입 또는 유출을 차단하기 위한 오염수 차단수단(600)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염수 차단수단(600)은, 상기 보조수원(300)에 대한 오염수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상기 보조수원(300)에 설치된 차단막(610); 상기 차단막(610)에 의해 차단된 오염수가 흘러나가도록 형성된 바이패스 유로(6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염수 차단수단(600)은, 상기 보조수원(300)에 유입된 물이 임시로 저류되도록, 상기 보조수원(300)의 일부영역에 설치된 임시저류부(630); 상기 임시저류부(630)에 설치된 수질측정부; 상기 수질측정부에 의해 수질이 기준을 만족하지 못한다고 측정된 경우, 상기 임시저류부(630)에 임시로 저류된 물이 흘러나가도록 상기 임시저류부(630)에 연결된 바이패스 유로(6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염수 차단수단(600)은, 상기 보조수원(300)의 내부에 저류된 물의 수질이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상기 보조수원(300)으로부터 상기 보충수로(410)를 통해 상기 우물(100)에 대하여 물을 공급하도록 설치된 공급펌프(64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보조수원을 이용한 수자원 연계시스템의 시공방법으로서, 지질을 조사하여, 상기 복수의 보조수원(300) 및 수로(400)로 활용이 가능한 대수층을 파악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보조수원(300)으로 활용이 가능한 지점들을 확정하고, 그 지점들의 중앙부에 상기 중앙정화조(200)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우물(100), 중앙정화조(200), 보조수원(300)을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수로(400)를 형성하되, 상기 수로(400) 중 대수층이 발달하지 않은 영역에 송수관(440)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수원을 이용한 수자원 연계시스템의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물부족 국가에 대하여 적은 비용에 의해 현실적으로 적용 가능한 수자원 연계시스템을 제시한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연계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송수관의 단면도.
도 3은 지하댐의 평면도.
도 4는 지하댐의 단면도.
도 5는 오염수 차단수단의 제1 실시예의 구성도.
도 6은 오염수 차단수단의 제2 실시예의 구성도.
도 7은 오염수 차단수단의 제3 실시예의 구성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자원 연계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복수의 우물(100); 복수의 우물(100)에 대하여 정화수를 공급하도록 형성된 중앙정화조(200); 우물(100)의 물 부족량을 보충하기 위하여, 우물(100) 또는 중앙정화조(200)에 대하여 물을 공급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보조수원(300); 보조수원(300)으로부터 우물(100)에 대하여 보충수를 공급하는 보충수로(410)와, 보조수원(300)으로부터 중앙정화조(200)에 대하여 오염수를 공급하는 오염수로(420)와, 중앙정화조(200)로부터 우물(100)에 대하여 정화수를 공급하는 정화수로(430)를 포함하는 수로(400);를 구성을 취한다.
여기서 우물(100)이란, 지하수를 취수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수원(水源)을 의미한다.
중앙정화조(200)란, 오염수를 물리적(침전 등), 생화학적 방법(약품, 미생물의 투여 등)에 의해 정화하도록 형성된 구조물을 의미한다.
보조수원(300)이란, 우수(저류조), 호수, 강변여과수(저류조)와 같이 우물에 비해 수질이 좋지 못하지만 정화, 브랜딩 등에 의해 보조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수원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자원 연계시스템은 위와 같은 구성을 전제로 하여, 보조수원(300)의 수질이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또는 보조수원(300)에서의 수질 측정값은 기준에 미달하지만 수로(400)를 통해 정화되면서 우물(100)에 도달하면 그 수질이 기준을 만족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보충수로(410)를 통해 보조수원(300)으로부터 우물(100)에 대하여 보충수를 공급한다.
즉, 마을에서는 기본적으로 양호한 수질의 우물(100)에 의해 식수, 각종용수를 확보하되, 보조수원(300)으로부터 부족한 만큼의 수량을 보충하도록 한 것이다.
보조수원(300)의 수질이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보조수원(300)의 물이 수로(400)를 통해 정화되면서 우물(100)에 도달하더라도 그 수질이 기준에 미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오염수로(420)를 통해 보조수원(300)으로부터 중앙정화조(200)에 대하여 오염수를 공급하고, 중앙정화조(200)에서 오염수를 정화한 후, 정화수로(430)를 통해 중앙정화조(200)로부터 우물(100)에 대하여 정화수를 공급한다.
즉, 마을에서는 기본적으로 양호한 수질의 우물(100)에 의해 식수, 각종용수를 확보하되, 보조수원(300)의 수질이 양호한 경우에는 그 보조수원(300)으로부터 직접 부족한 만큼의 수량을 보충하도록 하고, 보조수원(300)의 수질이 양호하지 않은 경우에는 보조수원(300)의 물을 일단 중앙정화조(200)에서 정화한 후 우물(100)에 대하여 정화수를 공급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중앙정화조(200)의 정화 부담을 최소화하여, 소규모의 중앙정화조(200)를 설치하더라도 넓은 지역에 대한 양질의 물의 공급이 가능해지므로, 적은 비용에 의해 현실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보충수로(410)에는 보충수문(411)이 설치되고, 오염수로(420)에는 오염수문(421)이 설치되는 경우, 위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즉, 보조수원(300)의 수질이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보충수문(411)을 개방하고, 오염수문(421)을 폐쇄하여, 보충수로(410)를 통해 보조수원(300)으로부터 우물(100)에 대하여 보충수를 공급할 수 있다.
보조수원(300)의 수질이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보충수문(411)을 폐쇄하고, 오염수문(421)을 개방하여, 오염수로(420)를 통해 보조수원(300)으로부터 중앙정화조(200)에 대하여 오염수를 공급하고, 중앙정화조(200)에서 정화된 물이 정화수로(430)를 통해 우물(100)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은 상당히 넓은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적용되는 것이므로, 우물(100), 중앙정화조(200), 보조수원(300)을 상호 연결하는 수로(400)를 반드시 인공적인 고가의 송수관의 매설에 의해 형성할 필요는 없고, 자연적으로 형성된 물길(지하 대수층)을 활용하는 것이 경제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다만, 수로(400) 중 대수층이 발달하지 않은 영역의 경우(자연적인 물길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송수관(440)을 설치함으로써, 시스템이 목표로 하는 물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송수관(440)은, 관형 본체(441); 본체(441)의 중앙부에 설치된 망(442); 망(442)에 의해 본체(441)의 유출부 측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본체(441)의 유입부에 충전된 대입자 여재(443); 망(442)에 의해 본체(441)의 유입부 측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본체(441)의 유출부에 충전된 소입자 여재(444);를 포함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물의 이송 과정 중 자연스럽게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대입자 여재(443)로는 안트라사이트 등의 여재를 적용할 수 있고, 소입자 여재(444)로는 모래 등을 적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여과 구조는 비용이 적으면서도 물의 이송 중 효과적인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구조는 물의 공급방향이 반대로 변경되는 경우, 여재들이 자연스럽게 역세된다는 장점도 있다.
수로(400) 중 대수층이 발달한 영역이라 하더라도, 물길이 여러 방향으로 형성되어 목표하는 방향으로 물의 이송이 집중되지 않는 경우에는, 수로(400)를 통해서만 지하수가 이동하고, 수로(400) 외측으로 지하수가 이동하지 않도록, 수로(400)의 주위에 지하댐(45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4).
이 지하댐(450)은 수로(400)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을 따라 복수를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지반의 굴착 후 시멘트 몰탈을 주입하는 방식 등에 의해 형성하면 된다.
복수의 보조수원(300) 중 일부의 보조수원(300)의 물이 오염되는 경우, 전체 시스템의 물이 오염될 수 있으므로, 보조수원(300)에는 오염수의 유입 또는 유출을 차단하기 위한 오염수 차단수단(60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염수 차단수단(600)은, 보조수원(300)에 대한 오염수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보조수원(300)에 설치된 차단막(610); 차단막(610)에 의해 차단된 오염수가 흘러나가도록 보조수로(420)에 연결된 바이패스 유로(620);를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도 5).
이는 오염된 우수, 강변여과수 등이 보조수원(300)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이미 오염된 보조수원(300)으로부터 오염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조수원(300)의 내부를 전체적으로 차단막(610)에 의해 차단함으로써 오염수의 유출입을 방지하고, 차단막(610)에 의해 차단된 물은 보조수로(420)에 연결된 바이패스 유로(620)를 통해 흘러나가도록 한다.
또한, 오염수 차단수단(600)은, 보조수원(300)에 유입된 물이 임시로 저류되도록, 보조수원(300)의 일부영역에 설치된 임시저류부(630); 임시저류부(630)에 설치된 수질측정부; 수질측정부에 의해 수질이 기준을 만족하지 못한다고 측정된 경우, 임시저류부(630)에 임시로 저류된 물이 흘러나가도록 임시저류부(630)에 연결된 바이패스 유로(620);를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도 6).
이는 일정한 방향(수로)에서 보조수원(300)에 물을 유입되는 경우에 관한 것으로서(예컨대 우수받이에서 우수저류조(보조수원)로 물이 유입되는 경우), 보조수원(300)(우수저류조) 내의 임시저류부(630)에 임시로 저류된 물의 수질을 측정하고, 기준을 만족하는 물만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오염수 차단수단(600)은, 보조수원(300)의 내부에 저류된 물의 수질이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보조수원(300)으로부터 보충수로(410)를 통해 우물(100)에 대하여 물을 공급하도록 설치된 공급펌프(640);를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도 7).
이는 보조수원(300)의 내부에 저류된 물이 기본적으로 오염수로(420)를 통해 중앙정화조(200)로 공급되도록 하되, 저류된 물의 수질이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공급펌프(640)에 의해 보충수로(410)를 통해 우물(100)로 물이 공급되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수자원 연계시스템의 시공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자원 연계시스템은 자연적으로 대수층이 형성되어 있는 지역을 전제로 하는 것이므로, 일단 지질을 조사하여, 복수의 보조수원(300) 및 수로(400)로 활용이 가능한 대수층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물(100)은 기본적으로 기존의 우물을 활용하되, 위 지질조사 도중 새로운 우물로 활용할만한 지역이 발견된 경우, 새로운 우물을 시공한다.
복수의 보조수원(300)으로 활용이 가능한 지점들을 확정하고, 그 지점들의 중앙부에 중앙정화조(200)를 형성한다.
복수의 보조수원(300)은 우수저류조, 호수, 강변여과수 저류조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는데, 중앙정화조(200)와 물길이 상호 연결될 수 있는 대수층 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정화조(200)는 복수의 우물(100) 및 복수의 보조수원(300)과 상호 물길(수로)이 연결되어야 하므로, 복수의 보조수원(300)과 모두 가까운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수층에 의해 복수의 우물(100) 및 복수의 보조수원(300)과 물의 이송이 가능한 지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물(100), 중앙정화조(200), 보조수원(300)을 상호 연결하도록 수로(400)를 형성하되, 수로(400) 중 대수층이 발달하지 않은 영역은 송수관(440)을 설치하여 물길이 상호 연결되도록 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우물 200 : 중앙정화조
300 : 보조수원 400 : 수로
410 : 보충수로 411 : 보충수문
420 : 오염수로 421 : 오염수문
430 : 정화수로 440 : 송수관
441 : 본체 442 : 망
443 : 대입자 여재 444 : 소입자 여재
450 : 지하댐 600 : 오염수 차단수단
610 : 차단막 620 : 바이패스 유로
630 : 임시저류부 640 : 공급펌프

Claims (12)

  1. 복수의 우물(100);
    상기 복수의 우물(100)에 대하여 정화수를 공급하도록 형성된 중앙정화조(200);
    상기 우물(100)의 물 부족량을 보충하기 위하여, 상기 우물(100) 또는 중앙정화조(200)에 대하여 물을 공급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보조수원(300);
    상기 보조수원(300)으로부터 상기 우물(100)에 대하여 보충수를 공급하는 보충수로(410)와, 상기 보조수원(300)으로부터 상기 중앙정화조(200)에 대하여 오염수를 공급하는 오염수로(420)와, 상기 중앙정화조(200)로부터 상기 우물(100)에 대하여 정화수를 공급하는 정화수로(430)를 포함하는 수로(400);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수원(300)의 수질이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보충수로(410)를 통해 상기 보조수원(300)으로부터 상기 우물(100)에 대하여 보충수를 공급하고,
    상기 보조수원(300)의 수질이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오염수로(420)를 통해 상기 보조수원(300)으로부터 상기 중앙정화조(200)에 대하여 오염수를 공급하고, 상기 중앙정화조(200)에서 오염수를 정화한 후, 상기 정화수로(430)를 통해 상기 중앙정화조(200)로부터 상기 우물(100)에 대하여 정화수를 공급하고,
    상기 보조수원(300)에는, 오염수의 유입 또는 유출을 차단하기 위한 오염수 차단수단(600)이 구비되고,
    상기 오염수 차단수단(600)은,
    상기 보조수원(300)에 대한 오염수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상기 보조수원(300)에 설치된 차단막(610);
    상기 차단막(610)에 의해 차단된 오염수가 흘러나가도록 형성된 바이패스 유로(6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수원을 이용한 수자원 연계시스템.
  2. 복수의 우물(100);
    상기 복수의 우물(100)에 대하여 정화수를 공급하도록 형성된 중앙정화조(200);
    상기 우물(100)의 물 부족량을 보충하기 위하여, 상기 우물(100) 또는 중앙정화조(200)에 대하여 물을 공급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보조수원(300);
    상기 보조수원(300)으로부터 상기 우물(100)에 대하여 보충수를 공급하는 보충수로(410)와, 상기 보조수원(300)으로부터 상기 중앙정화조(200)에 대하여 오염수를 공급하는 오염수로(420)와, 상기 중앙정화조(200)로부터 상기 우물(100)에 대하여 정화수를 공급하는 정화수로(430)를 포함하는 수로(400);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수원(300)의 수질이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보충수로(410)를 통해 상기 보조수원(300)으로부터 상기 우물(100)에 대하여 보충수를 공급하고,
    상기 보조수원(300)의 수질이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오염수로(420)를 통해 상기 보조수원(300)으로부터 상기 중앙정화조(200)에 대하여 오염수를 공급하고, 상기 중앙정화조(200)에서 오염수를 정화한 후, 상기 정화수로(430)를 통해 상기 중앙정화조(200)로부터 상기 우물(100)에 대하여 정화수를 공급하고,
    상기 보조수원(300)에는, 오염수의 유입 또는 유출을 차단하기 위한 오염수 차단수단(600)이 구비되고,
    상기 오염수 차단수단(600)은,
    상기 보조수원(300)에 유입된 물이 임시로 저류되도록, 상기 보조수원(300)의 일부영역에 설치된 임시저류부(630);
    상기 임시저류부(630)에 설치된 수질측정부;
    상기 수질측정부에 의해 수질이 기준을 만족하지 못한다고 측정된 경우, 상기 임시저류부(630)에 임시로 저류된 물이 흘러나가도록 상기 임시저류부(630)에 연결된 바이패스 유로(6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수원을 이용한 수자원 연계시스템.
  3. 복수의 우물(100);
    상기 복수의 우물(100)에 대하여 정화수를 공급하도록 형성된 중앙정화조(200);
    상기 우물(100)의 물 부족량을 보충하기 위하여, 상기 우물(100) 또는 중앙정화조(200)에 대하여 물을 공급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보조수원(300);
    상기 보조수원(300)으로부터 상기 우물(100)에 대하여 보충수를 공급하는 보충수로(410)와, 상기 보조수원(300)으로부터 상기 중앙정화조(200)에 대하여 오염수를 공급하는 오염수로(420)와, 상기 중앙정화조(200)로부터 상기 우물(100)에 대하여 정화수를 공급하는 정화수로(430)를 포함하는 수로(400);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수원(300)의 수질이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보충수로(410)를 통해 상기 보조수원(300)으로부터 상기 우물(100)에 대하여 보충수를 공급하고,
    상기 보조수원(300)의 수질이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오염수로(420)를 통해 상기 보조수원(300)으로부터 상기 중앙정화조(200)에 대하여 오염수를 공급하고, 상기 중앙정화조(200)에서 오염수를 정화한 후, 상기 정화수로(430)를 통해 상기 중앙정화조(200)로부터 상기 우물(100)에 대하여 정화수를 공급하고,
    상기 보조수원(300)에는, 오염수의 유입 또는 유출을 차단하기 위한 오염수 차단수단(600)이 구비되고,
    상기 오염수 차단수단(600)은,
    상기 보조수원(300)의 내부에 저류된 물의 수질이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상기 보조수원(300)으로부터 상기 보충수로(410)를 통해 상기 우물(100)에 대하여 물을 공급하도록 설치된 공급펌프(6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수원을 이용한 수자원 연계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수원(300)은 우수, 호수, 강변여과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수원을 이용한 수자원 연계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수로(410)에는 보충수문(411)이 설치되고,
    상기 오염수로(420)에는 오염수문(421)이 설치되고,
    상기 보조수원(300)의 수질이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보충수문(411)을 개방하고, 상기 오염수문(421)을 폐쇄하여, 상기 보충수로(410)를 통해 상기 보조수원(300)으로부터 상기 우물(100)에 대하여 보충수를 공급하고,
    상기 보조수원(300)의 수질이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보충수문(411)을 폐쇄하고, 상기 오염수문(421)을 개방하여, 상기 오염수로(420)를 통해 상기 보조수원(300)으로부터 상기 중앙정화조(200)에 대하여 오염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수원을 이용한 수자원 연계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400) 중 대수층이 발달하지 않은 영역에 송수관(44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수원을 이용한 수자원 연계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관(440)은,
    관형 본체(441);
    상기 본체(441)의 중앙부에 설치된 망(442);
    상기 망(442)에 의해 상기 본체(441)의 유출부 측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본체(441)의 유입부에 충전된 대입자 여재(443);
    상기 망(442)에 의해 상기 본체(441)의 유입부 측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본체(441)의 유출부에 충전된 소입자 여재(4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수원을 이용한 수자원 연계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400) 중 대수층이 발달한 영역에, 상기 수로(400)를 통해서만 지하수가 이동하고, 상기 수로(400) 외측으로 지하수가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수로(400)의 주위에 지하댐(45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수원을 이용한 수자원 연계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댐(450)은 복수가 상기 수로(400)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을 따라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수원을 이용한 수자원 연계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보조수원을 이용한 수자원 연계시스템의 시공방법으로서,
    지질을 조사하여, 상기 복수의 보조수원(300) 및 수로(400)로 활용이 가능한 대수층을 파악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보조수원(300)으로 활용이 가능한 지점들을 확정하고, 그 지점들의 중앙부에 상기 중앙정화조(200)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우물(100), 중앙정화조(200), 보조수원(300)을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수로(400)를 형성하되, 상기 수로(400) 중 대수층이 발달하지 않은 영역에 송수관(440)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수원을 이용한 수자원 연계시스템의 시공방법.
KR1020170001268A 2017-01-04 2017-01-04 보조수원을 이용한 수자원 연계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74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268A KR101874562B1 (ko) 2017-01-04 2017-01-04 보조수원을 이용한 수자원 연계시스템 및 그 방법
PCT/KR2018/000180 WO2018128416A1 (ko) 2017-01-04 2018-01-04 보조수원을 이용한 수자원 연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268A KR101874562B1 (ko) 2017-01-04 2017-01-04 보조수원을 이용한 수자원 연계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4562B1 true KR101874562B1 (ko) 2018-07-04

Family

ID=62789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1268A KR101874562B1 (ko) 2017-01-04 2017-01-04 보조수원을 이용한 수자원 연계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74562B1 (ko)
WO (1) WO201812841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9031A (ko) 2021-04-30 2022-11-0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하수도 연계를 통한 도시 수자원 사이버 물리 시스템의 모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70729A (zh) * 2020-02-17 2020-06-12 海南新南方工程设计有限公司 一种农村安全供水净化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1465A (ja) * 2000-07-03 2002-01-23 Shimizu Corp 汚染地下水の集水システム
JP2008149214A (ja) * 2006-12-14 2008-07-03 Japan System Kk 水の浄化方法および浄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049B1 (ko) * 2002-08-02 2004-09-07 코스모스산업 주식회사 우수토실 제어 시스템
KR20120057461A (ko) * 2010-11-26 2012-06-05 주식회사 호성 관정을 통한 지하수 인공 함양 방법 및 그 방법에 적용되는 지하수 인공 함양 장치
KR20150050043A (ko) * 2013-10-31 2015-05-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총인 및 조류를 제거를 위한 녹조방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녹조방제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1465A (ja) * 2000-07-03 2002-01-23 Shimizu Corp 汚染地下水の集水システム
JP2008149214A (ja) * 2006-12-14 2008-07-03 Japan System Kk 水の浄化方法および浄化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9031A (ko) 2021-04-30 2022-11-0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하수도 연계를 통한 도시 수자원 사이버 물리 시스템의 모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28416A1 (ko) 2018-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2749B1 (ko) 개방형 우수처리 장치
KR101349613B1 (ko) Lid 기법적용 선진모래여과장치
KR101560279B1 (ko) 용수저장탱크 및 이를 이용한 용수제공방법
KR101622222B1 (ko) 가뭄과 수해대비와 싱크홀 예방을 위한 빗물이용장치
JP2009257005A (ja) 高架道路の雨水利用システム
Jódar-Abellán et al. Artificial groundwater recharge. Review of the current knowledge of the technique
KR101874562B1 (ko) 보조수원을 이용한 수자원 연계시스템 및 그 방법
US10865547B1 (en) Distributed integrated water management system
KR100958295B1 (ko) 우수활용이 가능한 초기우수 비점오염처리 시스템
KR101089756B1 (ko) 초기우수 비점오염처리 시스템
JP2013253444A (ja) 多層式下水道管
JP2005090212A (ja) 河床砂礫の間に水槽を設置する取水装置
KR20120021802A (ko) 토양의 치환을 통한 지하수 함양 구조 및 그 방법
KR20150049738A (ko) 유수지의 수질관리 시스템 및 수질관리 운용방법
CN105920915A (zh) 一种低影响开发雨水系统的设计方法
CN105800810A (zh) 一种良好水质雨水的低影响治理方法
KR20200035535A (ko) 수변공간을 활용한 오염부하 저감 및 차단시스템
US20210131078A1 (en) Integrated utility distribution system
KR101874561B1 (ko) 수자원 연계시스템
CN105804199A (zh) 一种一般水质雨水的低影响治理方法
CN207794239U (zh) 一种利用海绵型雨水管补给深部地下水的装置
JP2915389B1 (ja) 濾過式貯水槽装置
JP2001115507A (ja) 地下貯水システム
JP2015045168A (ja) 利水および治水システム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KR101560280B1 (ko) 용수공급관 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용수공급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