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7461A - 관정을 통한 지하수 인공 함양 방법 및 그 방법에 적용되는 지하수 인공 함양 장치 - Google Patents

관정을 통한 지하수 인공 함양 방법 및 그 방법에 적용되는 지하수 인공 함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7461A
KR20120057461A KR1020100119197A KR20100119197A KR20120057461A KR 20120057461 A KR20120057461 A KR 20120057461A KR 1020100119197 A KR1020100119197 A KR 1020100119197A KR 20100119197 A KR20100119197 A KR 20100119197A KR 20120057461 A KR20120057461 A KR 20120057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water
well
replenishment
wat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9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성
(주) 지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성, (주) 지엠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성
Priority to KR1020100119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7461A/ko
Publication of KR20120057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74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5Keeping wells in good condition, e.g. by cleaning, repairing, regenerating; Maintaining or enlarging the capacity of wells or water-bearing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3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with artificial enrichment, e.g. by adding water from a pond or a river
    • E03B3/34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with artificial enrichment, e.g. by adding water from a pond or a river of under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7/00Survey of boreholes or wells
    • E21B47/04Measuring depth or liquid level
    • E21B47/047Liquid leve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05D9/12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Pipeline Systems (AREA)

Abstract

관정을 통한 지하수 인공 함양 방법 및 그 방법에 적용되는 지하수 인공 함양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관정을 통한 지하수 인공 함양 방법에 적용되는 지하수 인공 함양 장치는 지하수를 이용하는 시설에 지하수를 공급하기 위한 이용 관정에 보충수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원(水源) 인근에 형성되는 지하수 보충 관정; 상기 지하수 보충 관정에서 상기 이용 관정으로 보충수를 공급하기 위한 지하수 보충 관; 및 상기 지하수 보충 관을 따라 보충수가 상기 지하수 보충 관정에서 상기 이용 관정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지하수 보충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이용 관정의 수위가 일정 수위 미만으로 낮아지면, 상기 이용 관정의 수위가 상기 일정 수위 이상이 되도록, 상기 지하수 보충 펌프가 작동되어, 상기 지하수 보충 관을 따라 상기 지하수 보충 관정에서 상기 이용 관정으로 보충수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되는 관정을 통한 지하수 인공 함양 방법 및 그 방법에 적용되는 지하수 인공 함양 장치에 의하면, 지하수 인공 함양 장치가 수원(水源) 인근에 형성되는 지하수 보충 관정; 지하수 보충 관; 및 지하수 보충 펌프;를 포함함에 따라, 지하수를 이용하는 시설로 이용 관정 내의 지하수가 공급되어, 이용 관정의 수위가 일정 수위 미만으로 낮아지는 경우, 지하수 보충 펌프가 작동되어, 지하수 보충 관을 따라 지하수 보충 관정에서 이용 관정으로 보충수가 신속하게 공급되고, 그에 따라 이용 관정의 지하수가 신속하게 보충되어, 이용 관정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으로 다시 신속하게 함양될 수 있고, 이용 관정으로의 보충수 공급으로 인해 지하수 보충 관정 내의 감소된 수량은 수원으로부터 지하수 형태로 신속히 보충되어, 이용 관정으로 재차 지하수 함양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그러한 지하수 보충을 위한 구조가 컴팩트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관정을 통한 지하수 인공 함양 방법 및 그 방법에 적용되는 지하수 인공 함양 장치{Groundwater artificiality recharge method through tube well, and groundwater artificiality recharge apparatus applied the method}
본 발명은 관정을 통한 지하수 인공 함양 방법 및 그 방법에 적용되는 지하수 인공 함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설 하우스 등 지하수를 이용하는 시설에서는 그 시설 부근에 이용 관정을 뚫어, 그 이용 관정을 통해 많은 양의 지하수를 뽑아내서 이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시설에서 이용할 지하수를 지중에서 지속적으로 뽑아내는 경우, 지중의 지하수 수위가 낮아지게 되어, 더이상 지하수를 이용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그 이용 관정 내의 지하수 수위가 다시 높아질 수 있도록, 그 이용 관정이 형성된 지중에 인공적으로 물을 공급해 주어야 한다.
종래에는, 그 이용 관정이 형성된 지중에 인공적으로 물을 공급해 주기 위해, 그 이용 관정이 형성된 지표면의 일정 범위 내의 토양에 물을 공급하여 물이 스며들도록 하는 방식에 의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방식에 의하면, 그 이용 관정이 형성된 지중에 물이 원활히 스며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시설 하우스 등 지하수를 이용하는 시설의 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당히 넓은 면적에 물을 공급하여, 그 넓은 면적의 지표면을 통해 공급된 물이 스며들도록 하여야 하므로, 상당히 넓은 면적의 토지가 필요하게 되고, 그 토지의 표면을 통해 물이 흡수될 때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하수 수위가 낮아진 이용 관정으로 지하수를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으면서도, 그러한 지하수 보충을 위한 구조가 컴팩트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는 관정을 통한 지하수 인공 함양 방법 및 그 방법에 적용되는 지하수 인공 함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관정을 통한 지하수 인공 함양 방법은 수원(水源) 인근에 지하수 보충 관정을 형성하는 단계; 및 지하수를 이용하는 시설에 지하수를 공급하기 위한 이용 관정의 수위가 일정 수위 미만으로 낮아지면, 상기 이용 관정의 수위가 상기 일정 수위 이상이 되도록, 상기 지하수 보충 관정에서 상기 이용 관정으로 보충수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관정을 통한 지하수 인공 함양 방법에 적용되는 지하수 인공 함양 장치는 지하수를 이용하는 시설에 지하수를 공급하기 위한 이용 관정에 보충수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원(水源) 인근에 형성되는 지하수 보충 관정; 상기 지하수 보충 관정에서 상기 이용 관정으로 보충수를 공급하기 위한 지하수 보충 관; 및 상기 지하수 보충 관을 따라 보충수가 상기 지하수 보충 관정에서 상기 이용 관정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지하수 보충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이용 관정의 수위가 일정 수위 미만으로 낮아지면, 상기 이용 관정의 수위가 상기 일정 수위 이상이 되도록, 상기 지하수 보충 펌프가 작동되어, 상기 지하수 보충 관을 따라 상기 지하수 보충 관정에서 상기 이용 관정으로 보충수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관정을 통한 지하수 인공 함양 방법 및 그 방법에 적용되는 지하수 인공 함양 장치에 의하면, 지하수 인공 함양 장치가 수원(水源) 인근에 형성되는 지하수 보충 관정; 지하수 보충 관; 및 지하수 보충 펌프;를 포함함에 따라, 지하수를 이용하는 시설로 이용 관정 내의 지하수가 공급되어, 이용 관정의 수위가 일정 수위 미만으로 낮아지는 경우, 지하수 보충 펌프가 작동되어, 지하수 보충 관을 따라 지하수 보충 관정에서 이용 관정으로 보충수가 신속하게 공급되고, 그에 따라 이용 관정의 지하수가 신속하게 보충되어, 이용 관정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으로 다시 신속하게 함양될 수 있고, 이용 관정으로의 보충수 공급으로 인해 지하수 보충 관정 내의 감소된 수량은 수원으로부터 지하수 형태로 신속히 보충되어, 이용 관정으로 재차 지하수 함양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그러한 지하수 보충을 위한 구조가 컴팩트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관정을 통한 지하수 인공 함양 방법 및 그 방법에 적용되는 지하수 인공 함양 장치를 보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관정을 통한 지하수 인공 함양 방법 및 그 방법에 적용되는 지하수 인공 함양 장치를 보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관정을 통한 지하수 인공 함양 방법 및 그 방법에 적용되는 지하수 인공 함양 장치를 보이는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관정을 통한 지하수 인공 함양 방법 및 그 방법에 적용되는 지하수 인공 함양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관정을 통한 지하수 인공 함양 방법 및 그 방법에 적용되는 지하수 인공 함양 장치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정을 통한 지하수 인공 함양 장치(100)는 지하수 보충 관정(110)과, 지하수 보충 관(120)과, 지하수 보충 펌프(130)를 포함하여, 시설 하우스 등 지하수를 이용하는 시설(11)에 지하수를 공급하기 위한 이용 관정(15)에 보충수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 번호 10은 대지 부분이고, 도면 번호 20은 저수지, 강, 하천 등 수량이 풍부한 수원(水源)이다.
상기 대지 부분(10) 중 상기 수원(20) 인근 지역에는 상기 수원(20)의 풍부한 수량에 의해, 상기 대지 부분(10)의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하수가 풍부하게 되고, 그러한 풍부한 지하수 중 일부가 유출되더라도, 상기 대지 부분(10)의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그 유출된 지하수가 상기 수원(20)으로부터 보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하수 보충 관정(110)은 상기 수원(20) 인근에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지하수 보충 관정(110)을 통해 상기 수원(20) 인근의 풍부한 지하수가 이용될 수 있고, 상기 지하수 보충 관정(110)을 통해 그러한 풍부한 지하수 중 일부가 유출되더라도, 상기 수원(20)으로부터 상기 지하수 보충 관정(110)으로 신속하게 지하수가 보충될 수 있다.
상기 지하수 보충 관(120)은 상기 지하수 보충 관정(110)에서 상기 이용 관정(15)으로 보충수를 공급하기 위한 관이다.
상기 지하수 보충 펌프(13)는 상기 지하수 보충 관(120)을 따라 보충수가 상기 지하수 보충 관정(110)에서 상기 이용 관정(15)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펌프이다. 상기 지하수 보충 펌프(13)의 작동 여부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지하수 인공 함양 장치(100)를 이용한 관정을 통한 지하수 인공 함양 방법은 상기 수원(20) 인근에 상기 지하수 보충 관정(110)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지하수를 이용하는 시설(11)에 지하수를 공급하기 위한 상기 이용 관정(15)의 수위가 일정 수위 미만으로 낮아지면, 상기 이용 관정(15)의 수위가 상기 일정 수위 이상이 되도록, 상기 지하수 보충 관정(110)에서 상기 이용 관정(15)으로 보충수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지하수 인공 함양 장치(100)가 수원(水源) 인근에 형성되는 상기 지하수 보충 관정(110); 상기 지하수 보충 관(120); 및 상기 지하수 보충 펌프(130);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지하수를 이용하는 시설(11)로 상기 이용 관정(15) 내의 지하수가 공급되어, 상기 이용 관정(15)의 수위가 일정 수위 미만으로 낮아지는 경우, 상기 지하수 보충 펌프(130)가 작동되어, 상기 지하수 보충 관(120)을 따라 상기 지하수 보충 관정(110)에서 상기 이용 관정(15)으로 보충수가 신속하게 공급되고, 그에 따라 상기 이용 관정(15)의 지하수가 신속하게 보충되어, 상기 이용 관정(15)의 수위가 상기 일정 수위 이상으로 다시 신속하게 함양될 수 있고, 상기 이용 관정(15)으로의 보충수 공급으로 인해 상기 지하수 보충 관정(110) 내의 감소된 수량은 상기 수원(20)으로부터 지하수 형태로 신속히 보충되어, 상기 이용 관정(15)으로 재차 지하수 함양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그러한 지하수 보충을 위한 구조가 컴팩트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관정을 통한 지하수 인공 함양 방법 및 그 방법에 적용되는 지하수 인공 함양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관정을 통한 지하수 인공 함양 방법 및 그 방법에 적용되는 지하수 인공 함양 장치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이용 관정(15)에 상기 이용 관정(15) 내의 지하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이용 관정 수위 감지 센서(240)가 설치되고, 상기 이용 관정 수위 감지 센서(240)에서 감지되는 상기 이용 관정(15) 내의 지하수의 수위에 따라 지하수 보충 펌프(230)의 작동이 제어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이용 관정(15) 내의 지하수의 수위가 상기 이용 관정 수위 감지 센서(240)에 의해 감지됨으로써, 상기 이용 관정(15) 내의 지하수의 수위가 일정 수위 미만으로 낮아지는 경우, 상기 이용 관정 수위 감지 센서(240)가 그러한 수위 저하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상기 지하수 보충 펌프(230)가 자동적으로 작동되어, 지하수 보충 관정(210)에서 상기 이용 관정(15)으로 자동적으로 지하수가 함양될 수 있으므로, 상기 이용 관정(15)으로의 지하수 함양이 자동적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관정을 통한 지하수 인공 함양 방법 및 그 방법에 적용되는 지하수 인공 함양 장치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지하수 인공 함양 장치(300)가 지하수 보충 관정(310), 지하수 보충 관(320) 및 지하수 보충 펌프(330)와 함께, 이용 관정(15)에 설치되어 상기 이용 관정(15) 내의 지하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이용 관정 수위 감지 센서(340), 상기 지하수 보충 관정(310)에 설치되어, 상기 지하수 보충 관정(310) 내의 보충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지하수 보충 관정 수위 감지 센서(370), 수원(20)에서 상기 이용 관정(15)으로 보충수를 공급하기 위한 수원 연결 관(350) 및 상기 수원 연결 관(350)을 따라 보충수가 상기 수원(20)에서 상기 이용 관정(15)으로 직접 공급되도록 하는 수원 연결 펌프(36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지하수를 이용하는 시설(11)에 지하수를 공급하여 상기 이용 관정(15) 내의 지하수의 수위가 일정 수위 미만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상기 이용 관정 수위 감지 센서(340)에 의해 감지되고, 상기 지하수 보충 관정 수위 감지 센서(370)에서 감지되는 상기 지하수 보충 관정(310) 내의 보충수의 수위도 일정 수위 미만으로 낮아진 상태인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지하수 보충 펌프(330)는 작동 정지되고, 상기 수원 연결 펌프(360)가 작동되어, 상기 수원 연결 관(350)을 따라 상기 수원(20)에서 상기 이용 관정(15)으로 보충수가 직접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이용 관정(15)의 수위가 상기 일정 수위 이상이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용 관정(15)으로 지하수 함양을 하여 상기 지하수 보충 관정(310) 내의 수위가 낮아진 상태이고 그 수위가 낮아진 상태가 회복되기 전인 경우, 상기 지하수 보충 관정(310)에는 지속적으로 보충수가 지하수 형태로 함양되도록 하면서, 상기 수원(20)에서 상기 이용 관정(15)으로 직접 보충수를 신속하게 함양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관정을 통한 지하수 인공 함양 방법 및 그 방법에 적용되는 지하수 인공 함양 장치에 의하면, 지하수 수위가 낮아진 이용 관정으로 지하수를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으면서도, 그러한 지하수 보충을 위한 구조가 컴팩트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Claims (4)

  1. 수원(水源) 인근에 지하수 보충 관정을 형성하는 단계; 및
    지하수를 이용하는 시설에 지하수를 공급하기 위한 이용 관정의 수위가 일정 수위 미만으로 낮아지면, 상기 이용 관정의 수위가 상기 일정 수위 이상이 되도록, 상기 지하수 보충 관정에서 상기 이용 관정으로 보충수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정을 통한 지하수 인공 함양 방법.
  2. 지하수를 이용하는 시설에 지하수를 공급하기 위한 이용 관정에 보충수를 공급하기 위한 지하수 인공 함양 장치에 있어서,
    수원(水源) 인근에 형성되는 지하수 보충 관정;
    상기 지하수 보충 관정에서 상기 이용 관정으로 보충수를 공급하기 위한 지하수 보충 관; 및
    상기 지하수 보충 관을 따라 보충수가 상기 지하수 보충 관정에서 상기 이용 관정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지하수 보충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이용 관정의 수위가 일정 수위 미만으로 낮아지면, 상기 이용 관정의 수위가 상기 일정 수위 이상이 되도록, 상기 지하수 보충 펌프가 작동되어, 상기 지하수 보충 관을 따라 상기 지하수 보충 관정에서 상기 이용 관정으로 보충수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인공 함양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관정에는 상기 이용 관정 내의 지하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이용 관정 수위 감지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이용 관정 수위 감지 센서에서 감지되는 상기 이용 관정 내의 지하수의 수위에 따라 상기 지하수 보충 펌프의 작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인공 함양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수 인공 함양 장치는
    상기 지하수 보충 관정에 설치되어, 상기 지하수 보충 관정 내의 보충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지하수 보충 관정 수위 감지 센서;
    상기 수원에서 상기 이용 관정으로 보충수를 공급하기 위한 수원 연결 관; 및
    상기 수원 연결 관을 따라 보충수가 상기 수원에서 상기 이용 관정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수원 연결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이용 관정 수위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이용 관정 내의 지하수의 수위가 일정 수위 미만으로 감지되고, 상기 지하수 보충 관정 수위 감지 센서에서 감지되는 상기 지하수 보충 관정 내의 보충수의 수위도 일정 수위 미만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이용 관정의 수위가 상기 일정 수위 이상이 되도록, 상기 지하수 보충 펌프는 작동 정지되고, 상기 수원 연결 펌프가 작동되어, 상기 수원 연결 관을 따라 상기 수원에서 상기 이용 관정으로 보충수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인공 함양 장치.
KR1020100119197A 2010-11-26 2010-11-26 관정을 통한 지하수 인공 함양 방법 및 그 방법에 적용되는 지하수 인공 함양 장치 KR201200574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197A KR20120057461A (ko) 2010-11-26 2010-11-26 관정을 통한 지하수 인공 함양 방법 및 그 방법에 적용되는 지하수 인공 함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197A KR20120057461A (ko) 2010-11-26 2010-11-26 관정을 통한 지하수 인공 함양 방법 및 그 방법에 적용되는 지하수 인공 함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461A true KR20120057461A (ko) 2012-06-05

Family

ID=46609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9197A KR20120057461A (ko) 2010-11-26 2010-11-26 관정을 통한 지하수 인공 함양 방법 및 그 방법에 적용되는 지하수 인공 함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7461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8416A1 (ko) * 2017-01-04 2018-07-12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보조수원을 이용한 수자원 연계시스템
CN109469081A (zh) * 2018-12-11 2019-03-15 中冶沈勘秦皇岛工程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自动化回灌系统
CN109932500A (zh) * 2019-04-12 2019-06-25 中国地质科学院水文地质环境地质研究所 一种相邻区域内多级地下水位控制的调控系统及方法
CN111139894A (zh) * 2020-01-08 2020-05-12 杨佃君 连通式季节性河流河道灌溉水补充井
KR20210053616A (ko) * 2019-11-04 2021-05-12 지오텍컨설탄트 주식회사 농수로의 인공 함양 시스템
KR102415233B1 (ko) 2021-10-15 2022-06-30 주식회사 아이자랩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뭄 대응 인공 함양 통합 제어 시스템
KR20220098550A (ko) 2021-01-04 2022-07-1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함양 최적화 방법
US11732573B2 (en) 2021-01-04 2023-08-22 Dong-A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For Industry-Academy Cooperation Method for optimizing a design of artificial recharge
KR20240000908A (ko) 2022-06-24 2024-01-03 주식회사 아이자랩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뭄 대응 인공 함양 통합 제어 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8416A1 (ko) * 2017-01-04 2018-07-12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보조수원을 이용한 수자원 연계시스템
CN109469081A (zh) * 2018-12-11 2019-03-15 中冶沈勘秦皇岛工程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自动化回灌系统
CN109469081B (zh) * 2018-12-11 2024-02-20 中冶沈勘秦皇岛工程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自动化回灌系统
CN109932500A (zh) * 2019-04-12 2019-06-25 中国地质科学院水文地质环境地质研究所 一种相邻区域内多级地下水位控制的调控系统及方法
CN109932500B (zh) * 2019-04-12 2023-12-29 中国地质科学院水文地质环境地质研究所 一种相邻区域内多级地下水位控制的调控系统及方法
KR20210053616A (ko) * 2019-11-04 2021-05-12 지오텍컨설탄트 주식회사 농수로의 인공 함양 시스템
CN111139894A (zh) * 2020-01-08 2020-05-12 杨佃君 连通式季节性河流河道灌溉水补充井
KR20220098550A (ko) 2021-01-04 2022-07-1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함양 최적화 방법
US11732573B2 (en) 2021-01-04 2023-08-22 Dong-A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For Industry-Academy Cooperation Method for optimizing a design of artificial recharge
KR102415233B1 (ko) 2021-10-15 2022-06-30 주식회사 아이자랩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뭄 대응 인공 함양 통합 제어 시스템
KR20240000908A (ko) 2022-06-24 2024-01-03 주식회사 아이자랩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뭄 대응 인공 함양 통합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57461A (ko) 관정을 통한 지하수 인공 함양 방법 및 그 방법에 적용되는 지하수 인공 함양 장치
Sáinz-García et al. Assessment of feasible strategies for seasonal underground hydrogen storage in a saline aquifer
US105332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nd deformation, and method for optimal design of well in system for controlling land deformation
Gabrovšek et al. ‘Looping caves’ versus ‘water table caves’: The role of base-level changes and recharge variations in cave development
KR101609639B1 (ko) 하이브리드 급수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1817560B1 (ko) 지하수 인공함양 실험 시스템
JP6801937B2 (ja) 気体注入システムおよび二酸化炭素地中貯留方法
CN210091526U (zh) 一种海水入侵的室内模拟装置
KR101706280B1 (ko) 지반변형 억제 시스템에서의 관정의 최적화 설계 방법
CN115163388A (zh) 一种以废弃矿井作为抽水储能容器的抽水蓄能系统
KR102179626B1 (ko) 스마트 팜용 개방형과 밀폐형 융합 지열 시스템 및 이 시공 방법
KR101793360B1 (ko) 지반변형 억제 시스템 및 억제 방법
KR101752813B1 (ko) 지하수의 수위 유지 장치
JP6857566B2 (ja) 地盤の浄化方法
US20020180215A1 (en) Method of producing electricity through injection of water into a well
KR20170093024A (ko) 지하수 역주입 방식의 쉴드 터널 굴진 장치 및 방법
CA2933205C (en) Salt cavern washing with desalination and recycling of water
CN104915463A (zh) 一种地下水库调蓄库容的计算方法
CN104268344A (zh) 一种地下水库调蓄库容计算方法
CN103837324A (zh) 一种渗流规律研究的方法及实验装置
CN211121826U (zh) 一种可定位的垃圾填埋场防渗层破损检漏探测系统
Michael et al. Simulation of the cumulative impacts of CO2 geological storage and petroleum production on aquifer pressures in the offshore Gippsland Basin
CN104500129B (zh) 适用于大采高工作面瓦斯抽放的综合抽采方法
CN207080232U (zh) 土压盾构膨润土保压设备
Rogoz Computer simulation of the process of flooding up a group of m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