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890B1 - 페트병을 이용한 소형 동물 탈출판 - Google Patents

페트병을 이용한 소형 동물 탈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890B1
KR102199890B1 KR1020190043624A KR20190043624A KR102199890B1 KR 102199890 B1 KR102199890 B1 KR 102199890B1 KR 1020190043624 A KR1020190043624 A KR 1020190043624A KR 20190043624 A KR20190043624 A KR 20190043624A KR 102199890 B1 KR102199890 B1 KR 102199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et bottle
drainage
small animal
esc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1413A (ko
Inventor
김종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플러스
Priority to KR1020190043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890B1/ko
Publication of KR20200121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로에 빠진 소형 동물이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물에 뜰 수 있는 구조로 된 페트병을 이용한 소형 동물 탈출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페트병을 이용한 소형 동물 탈출판은, 상부가 개방되고 양측으로 측벽이 형성된 배수로를 가로질러 배수로의 양 측벽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판; 지지판의 양 측면 중 배수로의 물이 흘러나가는 측면에 설치되는 힌지; 및 지지판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특정된 일측 영역에 연결된 상단부와 배수로 물의 부력에 의해 뜬 상태를 유지하는 하단부를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판상의 경사진 탈출로를 형성하는 상승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승판의 하단부에는 내부에 공기가 채워진 페트병의 전부 또는 일부 영역을 상측에서 감싸 수용하는 페트병하우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페트병을 이용한 소형 동물 탈출판{Escape plate for small animals recycling PET bottles}
본 발명은 페트병을 이용한 소형 동물 탈출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로에 빠진 소형 동물이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물에 뜰 수 있는 구조로 된 페트병을 이용한 소형 동물 탈출판에 관한 것이다.
산림공사, 농지공사, 도로공사 등과 같은 토목공사의 경우, 물의 배수와 용수 공급을 위해 산악배수로(도 1a 참조), 농수로(도 1b 참조), 노면배수로(도 1c 참조)와 같은 배수로가 설치되며, 이와 같은 배수로는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타설로 시공되거나 다수의 콘크리트 플륨관을 연결하여 시공된다.
그런데, 자연적인 배수로의 경우에는, 그 양측 경계벽의 경사가 완만하고 높이가 비교적 낮은 부분이 많기 때문에, 배수로에 빠진 양서류, 파충류 등 각종 소형 동물들이 배수로로부터 탈출하기 용이하다. 하지만, 토목공사에 의해 인위적으로 설치되는 배수로의 경우에는 배수로의 양측 경계벽이 비교적 높고 그 경사가 수직에 가깝고 벽면도 반질반질하여, 배수로에 소형 동물들이 한번 빠질 경우에는 그 배수로로부터 탈출하지 못하고 배수로 안에서 죽거나 하류까지 떠내려가 생을 마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유발된다(도 2 참조).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3152호(종래 기술)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배수로에서 동물 탈출을 위한 부력 탈출판 구조가 제안되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는 농수로에서 생태통로를 설치하고, 이때 부력을 가진 경사로가 물 높이에 따라 높낮이가 달라지면서 물 위에 떠 내려오던 양서류, 파충류가 상승판을 타고 올라가 농수로를 탈출할 수 있다.
그런데, 여기서 사용되는 상승판의 재질로 가장 많이 사용되던 것이 방부목인데, 방부목 판재의 경우 장시간 물속에 잠겨 있으면 부력이 떨어져 농수로에 물이 흐르더라도 상승판은 농수로 바닥에 가라앉아 있게 된다. 따라서, 상승판의 경사가 심해 양서류나 파충류 등의 탈출로의 기능을 하지 못하였다. 또한 상승판으로 사용하는 목재에 방부처리를 하였지만 흐르는 물속에 오랜 시간 있으면서 방부약효가 사라져서 쉽게 파손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폴리에틸렌 소재로 상승판을 제작하였으나 그 자체만으로는 부력이 약하여 만족스러운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였다.
공개특허공보 10-2011-0103152호 (2011.09.20.)
본 발명은 배수로에 빠진 소형 동물이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상승판이 좋은 부력을 유지하면서도 폐페트병을 재활용하여 제조가 용이한 페트병을 이용한 소형 동물 탈출판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배수로에서 탈출한 소형 동물들이 도로로 이동하게 되어 로드킬 당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페트병을 이용한 소형 동물 탈출판을 제공함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페트병을 이용한 소형 동물 탈출판은, 상부가 개방되고 양측으로 측벽이 형성된 배수로를 가로질러 배수로의 양 측벽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양 측면 중 배수로의 물이 흘러나가는 측면에 설치되는 힌지; 및 상기 지지판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특정된 일측 영역에 연결된 상단부와 배수로 물의 부력에 의해 뜬 상태를 유지하는 하단부를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판상의 경사진 탈출로를 형성하는 상승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승판의 하단부에는 내부에 공기가 채워진 페트병의 전부 또는 일부 영역을 상측에서 감싸 수용하는 페트병하우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페트병을 이용한 소형 동물 탈출판에 있어서, 상기 상승판은 폴리에틸렌을 사출성형하여 제작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페트병을 이용한 소형 동물 탈출판에 있어서, 상기 페트병하우징의 일측에는 페트병 뚜껑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페트병은 상기 페트병 뚜껑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페트병을 이용한 소형 동물 탈출판에 있어서, 상기 페트병하우징은 상기 페트병의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커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페트병을 이용한 소형 동물 탈출판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상단 중앙부에는 소형 동물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판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형 동물 탈출판의 상승판이 배수로 물에 잠겨 있는 상태에서도 일정한 형태를 오랜 기간동안 지속할 수 있고, 폐페트병을 재활용하여 매우 좋은 부력을 유지함으로써 물의 흐름에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콘크리트 농수로에 빠진 양서류, 파충류, 소형동물들의 탈출이 용이하도록 상승판의 경사도를 낮출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용효과로 인하여, 지금은 들판에 한 마리도 볼 수 없는 개구리들이 살아나는 등 생태계가 살아나게 되고, 이로 인해 천적이 없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모기, 이화명충 등 해충의 수효를 줄일 수 있다.
도 1a, 도 1b, 도 1c는 각각 산악배수로, 농수로, 노면배수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배수로에 갖힌 개구리와 도마뱀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소형 동물 탈출판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우상측에 바라본 본 발명에 의한 상승판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우하측에서 바라본 본 발명에 의한 상승판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상승판의 페트병하우징과 결합된 페트병을 도시한 측면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소형 동물 탈출판의 제1 실시예의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소형 동물 탈출판의 제2 실시예의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형 동물 탈출판(5)은 지지판(10), 힌지(12) 및 상승판(1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양측으로 측벽(1a,1b)이 형성된 배수로(1)에 설치된다.
지지판(10)은 배수로(1)를 가로질러 배수로의 양 측벽(1a,1b) 상단에 고정 설치된다.
힌지(12)는 지지판(10)의 양 측면 중 배수로(1)의 물이 흘러나가는 측면에 설치되어 배수로의 물의 양에 따라 상승판(14)이 회동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여기서 힌지(12)는 지지판(10)의 양 측면 중 배수로(1)의 물(2)이 흘러나가는 측면에 설치되는 이유는 흐르는 물에 의해 상승판(14)의 아랫 부분이 가압되어 상승판(14)을 상측으로 밀어올려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반대 방향으로 설치되면, 흐르는 물에 의해 상승판의 윗 부분이 가압되어 상승판(14)이 아래로 가라앉게 된다).
상승판(14)은 경사진 탈출로를 형성하여 배수로의 양 측벽(1a,1b) 상단에 걸쳐진 지지판(10)에 연결된다. 이때, 상승판(14)의 상단부는 지지판(12)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특정된 일측 영역에만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는 배수로의 양 측벽(1a,1b) 중 특정된 측벽 쪽으로 소형 동물의 이동을 유도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승판(14)의 하단부는 배수로 물(2)의 부력에 의해 뜬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승판(14)은 경사진 탈출로를 형성한다.
또한, 상승판(14)은 전체적으로 폴리에틸링 재질로 사출 성형되어 제작되어 판상의 형상을 가지며, 소형 동물이 이동하는 상측면에는 돌기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5A,5B,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상승판(14)의 하단부에는 내부에 공기가 채워진 페트병(16)의 전부 또는 일부 영역을 상측에서 감싸 수용하는 페트병하우징(14)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페트병하우징(14)의 일측에는 페트병 뚜껑이 피스 또는 볼트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또한, 공기만 채워진 페트병이 페트병 뚜껑에 나사결합에 의해 용이하게 밀봉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에서는 페트병하우징(14)이 페트병의 절반쯤을 상측에서 감싸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페트병하우징(14)이 페트병의 전체를 감싸고, 페트병하우징의 일부는 페트병의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커버(도시되지 않음)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상승판(14)의 하단부는 내부에 공기가 채워진 페트병(16)에 의해 전체적으로 부피가 늘어나 부력이 월등히 증가하게 된다.
또한, 요구되는 부력의 크기에 따라 페트병의 크기 또는 수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소형 동물 탈출판(5)의 제1 실시예의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소형 동물 탈출판(5)의 제2 실시예의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소형 동물 탈출판(5)의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에 비하여 지지판(10)의 상단 중앙부에 소형 동물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판(20)이 더 설치되고, 다른 구성요소는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 상승판(14)의 상단부는 지지판(12)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특정된 일측 영역에만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는 배수로의 양 측벽(1a,1b) 중 특정된 측벽 쪽으로 소형 동물의 이동을 유도하는 효과를 갖는다. 더불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배수로의 양 측벽(1a,1b) 중 도로가 위치한 측벽(1b) 쪽으로 소형 동물이 이동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여, 배수로에서 탈출한 소형 동물이 로드킬 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배수로 1a,1b : 측벽
2 : 배수로 물 5 : 소형 동물 탈출판
10 : 지지판 12 : 힌지
14 : 상승판 14a: 페트병 하우징
14b : 페트병 뚜껑 16 : 페트병
20 : 차단판

Claims (5)

  1. 상부가 개방되고 양측으로 측벽이 형성된 배수로를 가로질러 배수로의 양 측벽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양 측면 중 배수로의 물이 흘러나가는 측면에 설치되는 힌지; 및
    상기 지지판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특정된 일측 영역에 연결된 상단부와 배수로 물의 부력에 의해 뜬 상태를 유지하는 하단부를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판상의 경사진 탈출로를 형성하는 상승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승판의 하단부에는 내부에 공기가 채워진 페트병의 전부 또는 일부 영역을 상측에서 감싸 수용하는 페트병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페트병하우징의 일측에는 페트병 뚜껑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페트병은 상기 페트병 뚜껑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트병을 이용한 소형 동물 탈출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판은
    폴리에틸렌을 사출성형하여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페트병을 이용한 소형 동물 탈출판.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트병하우징은 상기 페트병의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커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페트병을 이용한 소형 동물 탈출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상단 중앙부에는 소형 동물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판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페트병을 이용한 소형 동물 탈출판.
KR1020190043624A 2019-04-15 2019-04-15 페트병을 이용한 소형 동물 탈출판 KR102199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624A KR102199890B1 (ko) 2019-04-15 2019-04-15 페트병을 이용한 소형 동물 탈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624A KR102199890B1 (ko) 2019-04-15 2019-04-15 페트병을 이용한 소형 동물 탈출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413A KR20200121413A (ko) 2020-10-26
KR102199890B1 true KR102199890B1 (ko) 2021-01-12

Family

ID=73006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624A KR102199890B1 (ko) 2019-04-15 2019-04-15 페트병을 이용한 소형 동물 탈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8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63584B (zh) * 2021-06-24 2022-07-29 湖南新禹规划设计有限公司 一种预制式沟槽无障碍生物通道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063B1 (ko) * 2009-12-04 2011-11-10 신우산업개발 주식회사 각도 가변형 이동로가 구비된 생태보호 수로관
KR101088789B1 (ko) 2010-03-12 2011-12-01 (주)지비텍이엔씨 배수로에서 동물 탈출을 위한 부력경사로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18425B1 (ko) * 2015-05-28 2017-04-12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로 탈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413A (ko) 2020-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1334B1 (ko) L형 측구를 활용한 다기능 배수관
KR102199890B1 (ko) 페트병을 이용한 소형 동물 탈출판
KR100822057B1 (ko) 담수형 가로수 보호 덮개
KR101555944B1 (ko) 제방용 생태통로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제방
KR101695979B1 (ko) 수면생물 포획용 통발
KR101373106B1 (ko) 야생동물 생태통로
KR101989601B1 (ko) 담수기능을 갖는 도로경계블록
KR100914046B1 (ko) 담수용 생태 수로관
KR20200046218A (ko) 배수로에 설치되는 소형 동물 탈출판
KR101112426B1 (ko) 친환경 생태보호 기능을 갖는 수로관
JPH06299530A (ja) 水路用ブロック
KR200426017Y1 (ko) 생태보호 및 식생 용·배수로용 블록
KR20060113615A (ko) 조립식 자동보 수문
KR200277591Y1 (ko) 하천의 수중보용 어도장치
KR100655420B1 (ko) 수로를 가진 식생블럭
KR20120133050A (ko) 수초가 식재된 친환경 블록식 이중 구조의 어도장치
KR101297419B1 (ko) 어류 및 육상동물의 은신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친환경 생태 블록
KR101281422B1 (ko) 개방형 수로
KR20110109375A (ko) 터널 형태의 동물이동통로
KR200316360Y1 (ko) 생태계 보호를 위한 하천의 수중보 구조물
KR20150091547A (ko) 지하이동통로 유지관리 점검구를 구비한 어도 시설물
KR101573034B1 (ko) 수위계측 센서에 의한 보 직하수위 측정을 이용한 부력식 가동보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하천 저류수위조절 방법
KR100713014B1 (ko) 수위에 따라 자동조절되는 하천용 수문
KR200215908Y1 (ko) 생태계 보호 및 어소 겸용 수로
KR200361583Y1 (ko)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