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164B1 - 부력식 어도 - Google Patents

부력식 어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164B1
KR102590164B1 KR1020210078896A KR20210078896A KR102590164B1 KR 102590164 B1 KR102590164 B1 KR 102590164B1 KR 1020210078896 A KR1020210078896 A KR 1020210078896A KR 20210078896 A KR20210078896 A KR 20210078896A KR 102590164 B1 KR102590164 B1 KR 102590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fish
water
fishway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8870A (ko
Inventor
손정현
Original Assignee
손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정현 filed Critical 손정현
Priority to KR1020210078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164B1/ko
Publication of KR20220168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1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02B8/085Devices allowing fish migration, e.g. fish tra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본 발명은 부력식 어도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하천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댐이나 보 등의 시설물에서 물고기가 댐이나 보를 지나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무동력으로 동작하는 부력체를 이용하여 수위조절에 따라 어류의 이동을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는 부력식 어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각형상의 몸체(10)로 이루어지고 물이 채워지는 어도탱크(102)와; 상기 어도탱크(102)의 내측부에 설치되고 물의 부력에 의해 상하로 승강동작하고 하단부에는 다수의 부력안내수단(106)을 구비하는 부력수단(108)과; 상기 어도탱크(102)의 일측 하단부에 물을 하류로 방류하여 어류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밸브(110)를 포함하되, 상기 어도탱크(102)의 내측부 네 모서리부에는 상기 부력수단(108)의 상하이동시 안내하기 위한 다수의 안내레일(104)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부력식 어도는 댐이나 보에 설치되어 물의 수위에 따라 물을 방류하고 어류의 이동을 자유롭게 제공하는 효과가 있고, 물이 채워지고 높낮이를 달리함으로써 설치된 부력체가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관리가 편리하고 설비의 고장이 적어서 유지 보수비가 적게 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의 동력없이 방류되는 물을 이용하여 부력이 가능한 어도를 제공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고, 어류의 이동을 자유롭게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부력식 어도{BUOYANCY FORCE TYPE FISH WAY}
본 발명은 부력식 어도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하천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댐이나 보 등의 시설물에서 물고기가 댐이나 보를 지나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무동력으로 동작하는 부력체를 이용하여 수위조절에 따라 어류의 이동을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는 부력식 어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에서는 물을 저장하여 농업용수 또는 공업용수로 이용하거나 발전 등에 이용하기 위해 하천을 가로질러서 댐을 시공하거나 보 등의 콘크리트 시설물을 설치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댐이나 보 등은 홍수나 가뭄시 수위를 조절하기 위해 물을 방류하는 수문이나 가동보 등이 구비된다.
댐이나 보 등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용하여 하천을 가로막게 되므로, 하천의 하류와 상류가 단절시키는 단점이 있다.
하천의 상류와 하류의 물의 흐름이 단절되면 물을 따라 이동하는 많은 물고기들이 상류 및 하류로 오르내리지 못하고 이로 인하여 수중환경 상태의 파괴를 불러 일으키게 된다. 즉, 하천에서 서식하는 각종 어류들의 서식 환경이 변화하게 됨으로써 생태계가 파괴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물고기들이 이동할 수 있도록 댐이나 보의 설치시 하나 이상의 어도를 설치하여 물고기들이 상류와 하류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으나 종래의 어도는 물의 낙차가 크고 수압이 크게 작용하여 물고기가 낙차나 수압을 이겨내지 못하는 경우에는 이동이 불가능하여 차단이 되었고 경사형 어도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설치 높이가 제한되어 어도의 설치가 길게 연장되어 거리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기존의 어도는 다단으로 높이가 변하는 어도 블럭을 설치하거나 경사 정도가 낮은 경사형 어도를 설치하거나 어도의 경사를 가변시키거나 댐이나 보 등에 별도의 통로를 매설하여 사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어 왔으나 물고기들이 수압이나 낙차의 차이를 극복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이동이 제한되어 수중 생태계가 파괴되는 문제점이 계속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9389호(2011. 09. 2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4196호(2013. 07. 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하천에 설치되는 댐이나 보에 물고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부력체를 설치하여 수위조절에 따른 부력체의 작용에 의해 어류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는 부력식 어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댐이나 보의 수위에 따라 수위를 조절하고 물을 하류로 방류하면서 어류의 이동을 자유롭게 보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부력식 어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 및 그 기술적 과제는 앞서 기재한 기술적 과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사각형상의 몸체(10)로 이루어지고 물이 채워지는 어도탱크(102)와; 상기 어도탱크(102)의 내측부에 설치되고 물의 부력에 의해 상하로 승강동작하고 하단부에는 다수의 부력안내수단(106)을 구비하는 부력수단(108)과; 상기 어도탱크(102)의 일측 하단부에 물을 하류로 방류하여 어류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밸브(110)를 포함하되, 상기 어도탱크(102)의 내측부 네 모서리부에는 상기 부력수단(108)의 상하이동시 안내하기 위한 다수의 안내레일(104)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력수단(108)은,
사각형 박스 형태의 어도박스(20)와; 상기 어도박스(20)의 상단 모서리부 및 변부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부력체(28)를 구비하고, 상기 어도박스(20)는 안내레일(104)을 따라 상하로 직선이동하도록 승강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력안내수단(106)은,
어도박스(20)의 하단부 네 모서리부에 각각의 안내구(24)가 구비되고, 상기 안내구(24)는 볼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의 안내레일(104)에 삽입 설치되어 상하로 승강하면서 안내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부력식 어도는 댐이나 보에 설치되어 물의 수위에 따라 물을 방류하고 어류의 이동을 자유롭게 제공하는 효과가 있고, 물이 채워지고 높낮이를 달리함으로써 설치된 부력체가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관리가 편리하고 설비의 고장이 적어서 유지 보수비가 적게 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의 동력없이 방류되는 물을 이용하여 부력이 가능한 어도를 제공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고, 어류의 이동을 자유롭게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부력식 어도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부력식 어도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부력식 어도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동작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의 무동력 부력시 어도의 구조로서 수문도어를 설치한 상태의 도면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두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간의 상호작용하는 권리범위 내에 있다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부력식 어도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부력식 어도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부력식 어도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부력식 어도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동작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의 무동력 부력시 어도의 구조로서 수문도어를 설치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부력식 어도(100)를 설명하여 보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식 어도(100)는 어도탱크(102)와, 안내레일(104)과, 부력안내수단(106)과, 부력수단(108)과, 밸브(110)를 포함한다.
상기 부력식 어도(100)는 댐이나 보의 일측 벽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무동력 부력시 어도(100)는 상기 부력수단(108)을 구비하고 물이 채워져서 일정 수위(300)가 저장되는 어도탱크(102)를 구비한다.
상기 어도탱크(102)의 내측부에는 부력안내수단(106)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부력안내수단(106)의 내측부에는 안내레일(10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부력 안내수단(106)을 따라 상하로 승강 동작하도록 부력수단(10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부력수단(108)은 상기 댐이나 보의 물이 일정수위(300)에 도달하게 됨으로서 물을 방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방류된 물이 어도탱크(102)로 유입됨에 따라 상승작용을 한다.
이때, 상기 부력수단(108)이 어도탱크(102)에 물이 채워짐과 동시에 수위가 상승하여 부력에 의해 상승되고, 어도탱크(102)의 물이 방류되어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자유낙하하여 하강 동작된다.
상기 댐이나 보(20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200)의 일측면부에 어도탱크(102)가 설치되며, 상기 어도탱크(102)의 일면 하단부에는 밸브(1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밸브(110)는 어도탱크(102)에 물이 채워지는 경우, 어류의 이동을 원할하게 유도하기 위해 물을 방류하기 위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보(200)의 하단부에는 소통로(200)가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통로(200)는 상기 어도탱크(102)의 일측면과 연동되어 물이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소통로(200)를 통과하는 물은 소량만이 통과하고 어류가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200) 내에 갇혀있던 어류들은은 상기 보(200)의 수위가 높아짐에따라 상기 어도탱크(102)로 물이 유입됨과 동시에 물과 함께 자연스럽게 이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치어를 포함한 어류들은 어도탱크(102) 내부에 설치된 어도박스(20)로 이동하게 되며 후술되는 밸브(110)의 개폐에 따라 물이 하류로 방류되는 경우, 함께 하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어도탱크(102)는 사각형상 및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부력식 어도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보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200)의 일측 전면부에 사각형상의 어도탱크(10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어도탱크(102)의 일측 전부에는 밸브(1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밸브(110)는 보(200)의 수위를 넘어서 흐르는 물이 상기 어도탱크(102)에 흘러들어서 만수위를 이루는 경우 또는 어류를 하류로 방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물의 배출양과 어류를 방류하기 위한 조절기능을 한다.
상기 어도탱크(102)는 사각 박스형태의 저장몸체(1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저장몸체(10)의 내측부에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저장몸체(10)는 상기 어도탱크(102)의 형상에 따라 대응하여 형성되고, 사각형상 또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도탱크(102)의 내측부에는 부력수단(108)을 수직상방으로 일정하게 승강 동작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 개의 안내레일((10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내레일(104)은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기 어도탱크(102)의 내측 네 모서리부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다수의 안내레일(104)은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레일몸체(14)로 이루어지고, 상기 레일몸체(14)는 단면이 요철(凹凸)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레일공(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부에는 슬릿형태의 개구부(1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레일(104)의 레일공(16)에는 전술한 부력안내수단(106)이 결합되어 상하로 승강동작되도록 안내된다.
상기 부력안내수단(106)은 사각 박스형태의 어도박스(20) 하부 네모서리부에 연결되는 다수의 안내로프(22)와, 상기 안내로프(22)에 연결되는 안내구(24)를 포함한다.
상기 어도박스(20)는 원통형상으로도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상기 안내로프(22)는 플렉시블한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 및 실리콘 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구(24)는 볼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레일공(16)에 결합되며 상기 레일공(16)을 따라 상하로 승강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공(16)의 크기보다 작은직경을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레일공(16)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안내로프(22)는 상기 레일몸체(14)의 개구부(18)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안내로프(22)는 상기 안내구(24)를 끌어올리거나 끌어내리면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길거나 짧지 않고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형상의 상기 안내구(24)는 부력수단(108)에 의해 상방 및 하방으로 당겨지면서 상승하게 되는바, 상기 부력수단(108)은 사각 박스형태로 이루어지는 어도박스(20)와, 상기 어도박스(20)의 상부 네모서리부에 연결 설치되는 플렉시블한 부력로프(26)와, 상기 부력로프(26)의 상부 끝단에 연결 고정되는 부력체(28) 및 그물망형태의 메쉬망(30)을 포함한다.
상기 메쉬망(30)은 치어들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고, 메쉬망 아래로는 치어가 들어가도록 형성되고, 큰 물고기들은 메쉬망 위로 들어가도록 형성된다.
상기 메쉬망(30)은 5cm - 20cm 크기의 그물망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도박스(20)는 사각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고 물의 부력에 의해 수면위로 쉽게 떠오를 수 있도록 카본재질 또는 FRP 재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어도박스(20)의 상부 모서리부와 변부에는 다수의 부력로프(26)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부력로프(26)의 상부 끝단에는 다수의 부력체(28)가 연결 고정되어 있다.
상기 부력체(28)는 물의 부력에 의해 수면위로 뜰 수 있도록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방형 또는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력로프(26)는 합성수지재, 천, 고무재, 실리콘 등 하게 사용될 수 있고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도박스(20)는 사각 박스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어도박스(20)의 상단으로 물이 차게 되면 물의 부력에 의해 떠오르도록 천재질로 이루어진 메쉬망(30)이 삽입 고정된다.
상기 메쉬망(30)은 어도박스(20)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물의 흐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움직이고 유동할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하고, 상기 메쉬망(30)은 다수의 그물눈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2X2 또는 3X3 또는 5X5로 형성되는 메쉬구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쉬망(30)은 치어들 외에 크기가 큰 어류들을 수면위로 올려줌과 동시에 하류로 방류시킬 수 있도록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어도박스(20)는 메쉬망(30)을 통과한 치어들로 어도박스(20) 내에 자류하도록 함과 동시에 수위가 줄어들면서 하강이 이루어진 후, 어도박스(20) 내에 잔류한 치어들이 밸브(110)의 개폐동작에 의해 오픈시 하류로 방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동작 상태로서, 먼저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보(200)의 좌측부에 만수위 된 상태의 물이 넘쳐 흐르면서 어도탱크(102)로 흘러서 유입이 이루어지면, 상기 어도탱크(102)의 하단 바닥부에 안착되어 있는 부력수단(108)의 어도박스(20)에 물이 차게 된다.
상기 어도박스(20)에 물이 차고 넘치면서 어도박스(20)의 외부로 물이 흘러들어가면서 어도박스(20)의 하부로 스며들면서 상기 어도탱크(102)를 채우면서 상기 부력수단(108)의 어도박스(20)를 화살표 방향과 같이 수면위로 띄우게 된다.
이때, 상기 밸브(110)는 닫혀진 상태로 유지하여 어도박스(20)를 수면위로 상승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어도탱크(102)에 에 물이 채워지면서 어도박스(20)의 상부에 연결 설치된 부력체(28)가 부력에 의해 수면위로 뜨면서 상승하고 상기 어도박스(20)를 상방으로 끌어 올린다.
상기와 같이 부력수단(108)의 어도박스((20)가 상승할 때, 상기 안내구(24)는 어도박스(20)와 같이 상승하고, 상기 레일공(16)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어도박스(2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된 메쉬망(30)도 함께 상승한다.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와 같이 보(200)의 수위를 넘어서 어도탱크(200)로 물과 함께 어류가 이동하면, 상기 밸브(110)를 개폐하여 어도탱크(200) 내부의 물을 하류로 방출한다.
한편, 상기 부력수단(108)의 어도박스(20)가 하강하며 상기 어도박스(20)가 어도탱크(102)의 몸체(10) 바닥으로 가라 앉으면 치어들과 어류들이 밸브(110)의 관로를 통과하여 하류로 이동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어도탱크(102)의 우측 하단부에는 수문도어(11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문도어(112)와 전기,전자적으로 연결 설치되어 개폐되도록 설치되는 상부 감지센서(114) 및 하부 감지센서(116)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 감지센서(114)는 상기 어도박스(20)가 상승하였을 때 감지하여 수문도어(112)를 열고, 상기 하부 감지센서(116)는 상기 어도박스(20)가 하강하였을 때 하강하였음을 감지하여 상기 수문도어(112)를 닫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상부 감지센서(114) 및 하부 감지센서(116)는 레일공(16)의 상단 내측부 및 하단 내측부에 각각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어도박스(20)가 부력에 의해 상승함에 따라 승강동작하는 안내구(24)와 접촉되어 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안내구(24)가 레일공(16)을 따라 상승하면 상단부에 위치한 상부 감지센서(114)와 접촉하여 수문도어(112)가 열리고 상기 안내구(24)가 레일공(16)을 따라 하강하면 하단부에 위치한 하부 감지센서(116)와 접촉하여 수문도어(112)가 닫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설치된 수문도어(112)의 연계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수문도어(112)는 상기 어도탱크(102)와 연동되어 개폐되도록 설치되는 바, 상기 보(200)를 넘은 물이 어도탱크(102)에 차게 되면서 상기 어도탱크(102)의 내측에 설치된 어도박스(20)가 부력의 작용에 의해 부력수단(108)이 상승하면서 어도박스(20)를 상승시키고 상기 어도박스(20)가 상승하는 것을 감지센서(114)가 감지하고 상기 어도박스(20)가 완전하게 상승한 후, 어류들이 어도탱크(102)로 이동하면 상기 감지센서(114)에 전기,전자적으로 연결 설치된 상기 수문도어(112)가 서서히 개폐되면서 물을 하류로 방류함으로써 어류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후, 수문도어(112)가 완전히 개폐되고 상기 어도박스(20)가 하강하여 바닥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감지센서(114)가 다시 감지하여 상기 수문도어(112)를 닫고 어도탱크(102)에는 물이 차게 됨으로써 다시 어도박스(20)가 부력에 의해 상승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 가능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10 : 저장몸체 12 : 저장공간
14 : 레일몸체 16 : 레일공
18 : 개구부 20 : 어도박스
22 : 안내로프 24 : 안내구
26 : 부력로프 28 : 부력체
30 : 메쉬망
100: 부력식 어도 102 : 어도탱크
104 : 안내레일 106 : 부력안내수단
108 : 부력수단 110 : 밸브
112 : 수문도어 114 : 상부 감지센서
116 : 하부 감지센서
200 : 보 202 : 소통로

Claims (3)

  1. 사각형상의 몸체(10)로 이루어지고 물이 채워지는 어도탱크(102)와;
    상기 어도탱크(102)의 내측부에 설치되고 물의 부력에 의해 상하로 승강동작하고 하단부에는 다수의 부력안내수단(106)을 구비하는 부력수단(108)과;
    상기 어도탱크(102)의 일측 하단부에 물을 하류로 방류하여 어류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밸브(110)를 포함하되,
    상기 어도탱크(102)의 내측부 네 모서리부에는 상기 부력수단(108)의 상하이동시 안내하기 위한 다수의 안내레일(104)을 더 구비하고,
    상기 부력수단(108)은,
    사각형 박스 형태의 어도박스(20)와;
    상기 어도박스(20)의 상단 모서리부 및 변부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부력체(28)를 구비하고,
    상기 어도박스(20)는 안내레일(104)을 따라 상하로 직선이동하도록 승강작용하고,
    상기 부력안내수단(106)은,
    어도박스(20)의 하단부 네 모서리부에 각각의 안내구(24)가 구비되고, 상기 안내구(24)는 볼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의 안내레일(104)에 삽입 설치되어 상하로 승강하면서 안내하도록 설치되며,
    수문도어(112)와 전기,전자적으로 연결 설치되어 개폐되도록 설치되는 상부 감지센서(114) 및 하부 감지센서(116)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감지센서(114)는 상기 어도박스(20)가 상승하였을 때 감지하여 수문도어(112)를 열고, 상기 하부 감지센서(116)는 상기 어도박스(20)가 하강하였을 때 하강하였음을 감지하여 상기 수문도어(112)를 닫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식 어도.
  2. 삭제
  3. 삭제
KR1020210078896A 2021-06-17 2021-06-17 부력식 어도 KR102590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896A KR102590164B1 (ko) 2021-06-17 2021-06-17 부력식 어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896A KR102590164B1 (ko) 2021-06-17 2021-06-17 부력식 어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870A KR20220168870A (ko) 2022-12-26
KR102590164B1 true KR102590164B1 (ko) 2023-10-16

Family

ID=84547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896A KR102590164B1 (ko) 2021-06-17 2021-06-17 부력식 어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01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773B1 (ko) * 2023-03-06 2023-09-12 (주)동진이엔시 부력식 어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092B1 (ko) * 2007-02-06 2009-12-24 배성용 하천용댐의 어류이동시스템 건설공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0968B2 (ja) * 1995-05-19 2004-12-15 財団法人ダム水源地環境整備センター 昇降式魚道装置
KR101228335B1 (ko) * 2010-11-08 2013-01-31 유철 퇴적물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수중보
KR101069389B1 (ko) 2011-01-19 2011-10-04 일성보산업(주) 도크식 어도
KR101284196B1 (ko) 2011-09-14 2013-07-09 기인서 보의 상류 측 수중에 위치하여 수위 변동시에도 어류의 이동이 연중 가능한 어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092B1 (ko) * 2007-02-06 2009-12-24 배성용 하천용댐의 어류이동시스템 건설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870A (ko) 202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4196B1 (ko) 보의 상류 측 수중에 위치하여 수위 변동시에도 어류의 이동이 연중 가능한 어도
KR102590164B1 (ko) 부력식 어도
KR101405016B1 (ko) 부력식 가동보 구조물
KR100932660B1 (ko) 하천 사면에 형성된 친환경적인 생태 이동 통로
KR100763802B1 (ko) 승강식 다층 자동보 수문
KR101555944B1 (ko) 제방용 생태통로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제방
KR101028841B1 (ko) 홍수조절지 부력식 수문
KR101199119B1 (ko) 하천수를 이용하여 승강 작동되게 한 수중보
CN112535132A (zh) 一种深水养殖网箱
KR20170062658A (ko) 도르래를 이용한 홍수 방지장치
KR20140099027A (ko) 다목적 높이가변형 차단구조물
KR102134558B1 (ko) 저층수 배출기능을 갖는 친환경 가동보
KR20110111343A (ko) 댐에 설치하여 수위 변동시에도 연중 역할이 가능한 어도 장치
KR101161856B1 (ko) 이중수문
KR100607455B1 (ko) 하천수의 원활한 이용을 위한 수중보
US4242009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nd selectively discharging saline water
KR20060088979A (ko) 무동력 자동수문을 이용한 어도장치
KR102652319B1 (ko) 조립식 어도
KR20060113615A (ko) 조립식 자동보 수문
KR102577773B1 (ko) 부력식 어도
KR20140036804A (ko) 부력을 이용한 악취 역류 방지 장치
KR101573034B1 (ko) 수위계측 센서에 의한 보 직하수위 측정을 이용한 부력식 가동보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하천 저류수위조절 방법
KR101565081B1 (ko) 가동보 수문
KR102487013B1 (ko) 무전력 지하차도 진입방지 장치
KR101553332B1 (ko) 자연생태형 어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