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2155B1 - 친환경 동물 보호를 위한 이동통로를 갖는 배수로 - Google Patents

친환경 동물 보호를 위한 이동통로를 갖는 배수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2155B1
KR100772155B1 KR1020070080337A KR20070080337A KR100772155B1 KR 100772155 B1 KR100772155 B1 KR 100772155B1 KR 1020070080337 A KR1020070080337 A KR 1020070080337A KR 20070080337 A KR20070080337 A KR 20070080337A KR 100772155 B1 KR100772155 B1 KR 100772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drainage
anchor
support plate
water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0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남
Original Assignee
(주)우주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우주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70080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21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2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2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05Drainage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2201/00Devices, constructional details or methods of hydraulic engin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동물 보호를 위한 이동통로를 갖는 배수로에 관한 것으로, 야생동물이 상부 개방형 배수로를 안전하게 횡단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배수로에 빠진 동물의 탈출을 유도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동물 보호를 위한 이동통로를 갖는 배수로는, 바닥부와 이 바닥부 양측의 측벽에 의해 상부가 개방된 배수로 본체(10)와; 상기 배수로 본체의 양 측벽에 각각 지지되는 지지 앵글(20)과, 상기 지지 앵글 위에 안착되는 받침판(30)과, 상기 받침판 위에 올려지는 인조잔디 매트(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로 본체에 빠진 동물이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앵글의 전후방에는 경사형 탈출로(23,24)가 더 형성된다.
배수로, 동물, 이동, 통로

Description

친환경 동물 보호를 위한 이동통로를 갖는 배수로{WATERWAY HAVING MOVEMENT WAY}
본 발명은 친환경 동물 보호를 위한 이동통로를 갖는 배수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를 향해 개방된 배수로를 안전하게 횡단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 동물 보호를 위한 이동통로를 갖는 배수로에 관한 것이다.
도로의 신설 및 확장시에는 산을 절개하여 도로를 개설하는 경우에는 절개지 비탈면이 빗물에 의해 붕괴되는 막기 위해 절개지 사면에 배수로를 설치하여 지표수를 배출하게 된다.
농업용지를 개간한 후에는 이 개간된 농업용지 등에 농업용 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수로를 형성하고 있으며, 산업용 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용수로관을 구비하고 상기 용수를 사용하고 난 후 이를 배수시키거나 도로변 등의 배수를 위하여 배수로를 설치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산마루 측구 배수로 등은 상부가 개방된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배 수로에 물이 흐를 경우 야생동물이 상기 배수로를 따라 흐르는 물에 휩쓸려 내려갈 수 있으므로 야생동물의 통행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상기 배수로 빠진 야생동물을 밖으로 안내할 수 있는 안전구조물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는 근본적인 대책이 아니기 때문에 야생동물이 안전하게 상기 배수로를 횡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설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정에 맞춰 상기 배수로 상부에 상기 배수로를 횡단할 수 있는 횡단로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횡단로는 다리의 형태로서 상기 배수로에 얹혀진다.
종래 기술에 의한 횡단로에 의해 야생동물이 상기 배수로를 횡단할 수는 있겠지만, 상기 횡단로는 단일 판재로서 상기 배수로에 걸쳐진 상태이기 때문에 쉽게 파손될 수 있으며, 상기 횡단로의 일부분이 파손되더라도 횡단로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횡단로는 콘크리트 블록 형태이기 때문에 동물을 유도하지 못하여 실질적으로 동물을 위한 대피로로서의 효용성이 떨어진다.
그리고, 종래 횡단로는 상기 배수로의 횡단만을 유도하여 상기 배수로에 빠진 동물을 상기 배수로 밖으로 유도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산이나 들에 서식하는 동물이 산마루 측구 배수로나 농경지 주변의 배수로를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고 동물을 유도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친환경 동물 보호를 위한 이동통로를 갖는 배수로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동물이 배수로를 안전하게 횡단함은 물론 배수로에 빠진 동물이 배수로 밖으로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동물 보호를 위한 이동통로를 갖는 배수로는, 상부가 개방된 배수로 본체, 상기 배수로 본체를 횡단하도록 상기 배수로 본체에 걸쳐 지지되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 위에 결합되는 인조잔디 매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동물 보호를 위한 이동통로를 갖는 배수로에 의하면, 배수로 주변을 배회하는 동물을 인조잔디 매트로 유도하여 동물이 배수로 바닥을 따라 이동하지 않고 안전하게 배수로를 횡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자연 생태계를 보존할 수 있다.
그리고, 배수로 횡단 구조물이 인조잔디 매트와 받침판으로 구분되면서 이들이 앵커와 핀에 의한 끼움식으로 조립되어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조립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용이하고, 필요한 부분만 선택하여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배수로에 빠진 뱀 등의 동물이 탈출로를 통해 배수로 밖으로 탈출할 수 있으므로 동물 대피 시설로서 효용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동물 보호를 위한 이동통로를 갖는 배수로(100)는, 우수나 하수 등의 배수를 위한 상부 개방형 배수로 본체(10)와, 배수로 본체(10)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갖추어져 배수로 본체(10)를 횡단하도록 유도하는 횡단구조물로 구성된다.
배수로 본체(10)는 바닥부(11)와 한 쌍의 측벽(12)에 의해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서, 콘크리트 현장 타설되거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일 수 있다.
상기 횡단구조물은 지지 앵글(20), 받침판(30) 및 인조잔디 매트(40)로 구성된다.
지지 앵글(20)은 배수로 본체(10)의 측벽(12)의 마주하는 면에 각각 볼트(13)로 고정되는 수직부(21), 이 수직부(21)의 상단부에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수평의 받침부(22)로 이루어져 배수로 본체(10)의 측벽(12) 내면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이다.
받침판(30)은 사각판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하로 관통하는 다수의 앵커공(31)이 구비되며 지지 앵글(20)의 받침부(22)에 안착된다. 받침판(30)은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지 않고 인조잔디 매트(40)와 함께 고정되며, 그 고정구조는 인조잔디 매트(40)의 설명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받침판(30)은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조잔디 매트(40)는 평평한 판상이면서 저부에 받침판(30)의 앵커공(31)에 삽입되는 앵커(41)가 돌출 형성되어 이 앵커(41)를 통해 받침판(30) 위에 안착 고정된다. 인조잔디 매트(40)는 인조잔디가 식재되어 작은 곤충 등이 대피하거나 서식할 수도 있을 것이며, 동물들로 하여금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받침판(30)과 인조잔디 매트(40)는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조립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앵커(41)에 횡방향으로 관통된 핀공(42)을 형성하고, 이 핀공(42)에 핀(50)을 끼워 받침판(30)과 인조잔디 매트(40)를 조립한다. 여기서, 인조잔디 매트(40)의 좌우 양측 둘레부에 형성된 앵커(41)들은 지지 앵글(20)의 받침부(22)를 관통하여 핀(50)에 의해 조립됨으로써 받침판(30)과 인조잔디 매트(40)를 지지 앵글(20)에 고정할 수도 있다. 핀(50)은 관리자가 인위적으로 빼지 않는 이상 앵커(41)에서 빠지지 않도록 양측 단부가 벤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인조잔디 매트(40)를 밟고 동물이 안전하게 배수로 본체(10)를 횡단할 수 있다.
그리고, 배수로 본체(10)에 빠진 동물이 배수로 본체(10) 밖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도 4에서처럼, 지지 앵글(20)의 전후 양측 단부에는 각각 경사형 탈출 로(23,24)가 더 형성된다. 경사형 탈출로(23,24)는 표면이 평평하거나 요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동물 보호를 위한 이동통로를 갖는 배수로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 배수로(100)는 사면 형성된 산마루 측구용 배수로, 농경지용 배수로 등일 수 있으며, 사면이나 들을 배회하는 동물은 인조잔디 매트(40)를 통해 본 발명에 의한 횡단 구조물로 유도된다. 동물은 인조잔디 매트(40)를 밝고 배수로(100)를 안전하게 횡단할 수 있다.
인조잔디 매트(40)가 오염된 경우 핀(50)을 앵커(41)에서 빼낸 후 인조잔디 매트(40)를 받침판(30)에서 분리하고, 새로운 인조잔디 매트(40)로 교체한다.
한편, 배수로 본체(10)에 빠져 배수로 본체(10)를 따라 이동하는 동물은 탈출로(23,24)를 통해 올라와 인조잔디 매트(40)를 밟고 배수로 본체(10) 밖으로 탈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동물 보호를 위한 이동통로를 갖는 배수로의 설치 상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동물 보호를 위한 이동통로를 갖는 배수로의 일부 절결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동물 보호를 위한 이동통로를 갖는 배수로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동물 보호를 위한 이동통로를 갖는 배수로에 탈출로가 구비된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배수로 본체, 20 : 지지 앵글
23,24 : 탈출로, 30 : 받침판
40 : 인조잔디 매트,

Claims (2)

  1. 바닥부와 이 바닥부 양측의 측벽에 의해 상부가 개방된 배수로 본체(10)와;
    상기 배수로 본체의 측벽의 마주하는 면에 각각 볼트로 고정되는 수직부(21), 이 수직부의 상단부에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며 다수의 앵커공이 구비된 수평의 받침부(22)로 이루어져 상기 배수로 본체의 측벽 내면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 앵글(20)과;
    사각판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하로 관통하는 다수의 앵커공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 앵글의 받침부에 안착되는 받침판(30)과;
    평평한 판상이면서 저부에 상기 지지 앵글과 받침판의 앵커공에 삽입되는 앵커가 돌출 형성되어 이 앵커를 통해 상기 지지 앵글과 받침판 위에 안착 고정되는 인조잔디 매트(40)와;
    상기 지지 앵글과 받침판의 앵커공을 관통한 상기 앵커에 횡방향으로 천공된 핀공에 끼워져 상기 인조잔디 매트와 받침판을 상기 지지 앵글에 고정하는 다수의 핀(5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동물 보호를 위한 이동통로를 갖는 배수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앵글의 전후 양측 단부에는 각각 경사형 탈출로(23,24)가 더 형성되어 상기 배수로 본체에 빠진 동물의 탈출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동물 보호를 위한 이동통로를 갖는 배수로.
KR1020070080337A 2007-08-09 2007-08-09 친환경 동물 보호를 위한 이동통로를 갖는 배수로 KR100772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337A KR100772155B1 (ko) 2007-08-09 2007-08-09 친환경 동물 보호를 위한 이동통로를 갖는 배수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337A KR100772155B1 (ko) 2007-08-09 2007-08-09 친환경 동물 보호를 위한 이동통로를 갖는 배수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2155B1 true KR100772155B1 (ko) 2007-11-01

Family

ID=39060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0337A KR100772155B1 (ko) 2007-08-09 2007-08-09 친환경 동물 보호를 위한 이동통로를 갖는 배수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21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1472A2 (ko) * 2008-08-22 2010-02-25 Shin Hae 그레이팅 안전 덮개
KR101914238B1 (ko) * 2018-03-06 2018-12-28 주식회사 동서기술 배수로 커버용 그레이팅 구조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175B1 (ko) 2005-09-16 2005-12-16 (주)삼원기술단 환경 친화적인 도로의 배수시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175B1 (ko) 2005-09-16 2005-12-16 (주)삼원기술단 환경 친화적인 도로의 배수시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1472A2 (ko) * 2008-08-22 2010-02-25 Shin Hae 그레이팅 안전 덮개
WO2010021472A3 (ko) * 2008-08-22 2010-07-01 Shin Hae 그레이팅 안전 덮개
KR101914238B1 (ko) * 2018-03-06 2018-12-28 주식회사 동서기술 배수로 커버용 그레이팅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8368B1 (ko) 로드킬 가드 펜스
KR20220064847A (ko) 무지개그린 수맥원리 배관 시스템
US2017023403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stalling A Livestock Fence Across A Waterway
KR100772155B1 (ko) 친환경 동물 보호를 위한 이동통로를 갖는 배수로
KR100786734B1 (ko) 신도시용 환경 보도블록
KR100578541B1 (ko) 산사면 사이 도로에 설치되는 동물이동대
KR100656801B1 (ko) 동물의 이동통로가 되는 동물이동 전용 암거관
KR100773488B1 (ko) 신도시 공원의 생태계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보행자 도로
KR20100046648A (ko) 친환경 강재 교량형 동물이동통로
KR20090088610A (ko) 높이조절용 환경 친화형 빗물받이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08872Y1 (ko) 조립식 개거 수로관
KR101342986B1 (ko) 홍수범람 대응 연장 월류 격벽을 갖는 수로
KR20140048170A (ko) 양서류를 비롯하여 모든 동물들이 수로에 빠지거나 갖혔을 때에 탈출이 용이하도록 도와 주는 친환경 생태통로를 구성하는 친환경 공법
KR102051860B1 (ko) 보도용 배수 트렌치
JP2004218269A (ja) スロープ付き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101087570B1 (ko) 생태통로유도벽
KR20110109375A (ko) 터널 형태의 동물이동통로
KR200395563Y1 (ko) 배수로의 생태통로
Jackson Proposed design and considerations for use of amphibian and reptile tunnels in New England
KR20110087794A (ko) 친환경 생태보호 기능을 갖는 수로관
JP2008038578A (ja) ボウフラ発生防止具
KR200418467Y1 (ko) 양서.파충류용 유도수로
KR20090014932A (ko) 배수관용 배수 유도장치
KR100637604B1 (ko) 절토부의 동물 탈출 유도 시설 및 그 시공방법
KR100510884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취입보 설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