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2986B1 - 홍수범람 대응 연장 월류 격벽을 갖는 수로 - Google Patents

홍수범람 대응 연장 월류 격벽을 갖는 수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2986B1
KR101342986B1 KR1020120106231A KR20120106231A KR101342986B1 KR 101342986 B1 KR101342986 B1 KR 101342986B1 KR 1020120106231 A KR1020120106231 A KR 1020120106231A KR 20120106231 A KR20120106231 A KR 20120106231A KR 101342986 B1 KR101342986 B1 KR 101342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flow
discharge water
drainage
partition
exte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중대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신강하이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신강하이텍(주)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06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29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2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2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Abstract

본 발명은 우천시 배수로를 통해 유하하는 유량을 조절하여 강우유출수의 갑작스런 범람을 방지하고, 강우유출수의 유속을 조절하여 강우유출수가 배출되는 하류 지역에서 토사가 하천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조절 월류벽을 갖으며 용수 공급시 수위를 상승시켜 관개의 용이성을 도모하고 수로의 생태기능성을 강화할 수 있는 홍수범람 대응 연장 월류 격벽을 갖는 수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양측 벽체와 바닥면으로 배수통로를 갖는 배수로와 상기 양측 벽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안쪽 면에 형성되는 격막끼움홈과 상기 배수통로를 횡단하여 상기 격막끼움홈에 결합되고, 상기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로 벽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배출수 조절격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범람 대응 연장 월류 격벽을 갖는 수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홍수범람 대응 연장 월류 격벽을 갖는 수로 {Waterway with extended weir for sediment trap and elevated water level}
본 발명은 홍수범람 대응 연장 월류 격벽을 갖는 수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두 가지 기능으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첫째는 수로를 활용할 경우 강우시 발생하는 강우유출과 토사유출(이하 유사로 명시) 발생 시 강우유출수는 안전하게 배수하면서도 유사를 포집하여 배수로의 수질을 개선할 수 있으며, 둘째는 수로를 용수로로 활용할 경우 용수로의 통수용량을 확보하면서도 수위를 상승시켜 용수로의 생태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홍수범람 대응 연장 월류 격벽을 갖는 수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상에서 강우유출수의 효과적인 처리는 길바닥과 둑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잘 조성된 식생배수로는 강우유출수의 유속을 느리게 하고 제어하며, 그리고 비점오염물질을 여과함으로써 침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더불어 견고한 배수로에서는 토양의 침식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경사지 밭이 많이 분포하는 고랭지 지역의 농경지에서는 다른 경향을 보인다.
국내의 대표적 고랭지 지역인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의 고랭지 지역 일대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지역에서 강우유출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로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강우시 농경지에서의 강우유출수는 어떠한 여과장치 없이 바로 콘크리트 배수로로 유입된다. 경사가 크고 조도계수가 낮은 콘크리트 수로로 유입한 강우유출수의 유속은 빠를 수밖에 없으며, 유출수와 함께 유입한 유사는 배수로에서 침전이나 여과되지 못하고 하류로 유하하게 된다. 특히 급경사 배수로에서는 하류의 홍수범람과 함께 토사의 유입으로 농지가 유사로 매몰될 수 있다.
또한 강우유출수에 의해 유실되는 토양이 하천으로 유입될 경우 하천의 심각한 탁수문제 발생과 수질오염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강우유출수에 의해 토사가 유실된 농경지 등을 복구하기 위해서는 복구용 토사를 원격지로부터 운반하여야 하므로 신속한 복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시간적, 경제적 손실을 초래한다.
또한 완만하게 경사진 논농업지역에서는 관개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콘크리트 용수로가 거미줄처럼 많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콘크리트 용수로의 경사는 평지와 달리 일반적으로 상당한 경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로의 수심이 매우 낮다. 그러므로 농민들은 수로의 중간에 돌과 비닐로 격막을 설치하고 용수로의 수위를 높인 후에야 논에 물을 댈 수 있다.
또한 일부 농민들은 논에 물을 쉽게 대기 위하여 고의적으로 용수로를 훼손하며 낮은 수위로 인한 물대기 문제를 해결하기도 한다.
또한 용수로의 수위가 낮아 어류의 서식기능과 같은 생태수로로서의 기능을 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농촌관광이나 농촌체험 등의 그린투어리즘을 통하여 농촌지역의 소득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통수기능 중심의 용수로를 생태기능이 보완된 생태용수로로 개선하여 농촌의 어메니티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강우시 탁수(濁水)와 유사(流砂)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배수로에서 유속과 유사를 감소시키고 농경지로부터 유실되는 토양을 포집할 수 있는 시설의 설치가 요구된다. 또한 용수로의 생태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위조절기능을 가진 수로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배수로의 유속과 유사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배수로에 단순한 일자형 월류 격벽을 설치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배수로에 일자형 월류 격벽을 설치하는 경우 통수 단면적이 줄어들어 유량이 증가하는 경우 해당 구간에서 유출수가 시설을 범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현재의 단순한 일자형 월류 격벽은 용수로로 활용할 경우 수위상승기능이 미약하여 생태수로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강우시 집중호우로 농지에서 배수로로 유입되는 유출수가 범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홍수범람 대응 연장 월류 격벽을 갖는 수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수로의 통수단면적을 유지하면서도 유수의 범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홍수범람 대응 연장 월류 격벽을 갖는 수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수로의 수위를 상승시켜 농업용수 관개에 필요한 수위를 확보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 홍수범람 대응 연장 월류 격벽을 갖는 수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강우유출수와 함께 유입하는 유사를 배수로의 바닥측에 여러 단계로 포집하여 유사가 하천으로 유입되는 것을 줄이고, 포집된 유사를 회수하게 하는 기능이 있는 홍수범람 대응 연장 월류 격벽을 갖는 수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포집된 유사를 간편하게 회수하여 원래 위치의 유실된 부분을 복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있는 홍수범람 대응 연장 월류 격벽을 갖는 수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양서류 등의 동물이 배수로를 벗어나지 못하고 폐사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있는 홍수범람 대응 연장 월류 격벽을 갖는 수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수로 설치에 사용할 경우 수로의 수위를 상승시켜 경제적이고 합리적으로 수로를 보호하며 관개의 용이성을 도모할 수 있는 홍수범람 대응 연장 월류 격벽을 갖는 수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수로 설치에 사용할 경우 수로의 수위를 상승시켜 어류의 서식공간과 이동통로을 확보하는 등 기존의 용수공급기능으로 제한되어 있는 용수로에 생태수로의 기능을 보완할 수 있는 홍수범람 대응 연장 월류 격벽을 갖는 수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벽체와 바닥면으로 배출수가 흐르는 배수통로를 갖는 배수로와; 상기 배수통로를 횡단하여 구획되는 배출수 월류 격벽을 포함하는 홍수범람 대응 연장 월류 격벽을 갖는 수로로서, 상기 배출수 월류 격벽은, 상기 배수통로를 횡단하는 칸막이부와; 상기 칸막이부의 끝단에서 상기 벽체 쪽으로 연장되는 측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배출수 월류 격벽의 길이가 연장되고, 상기 측면부의 안쪽으로 배출수가 연장된 길이의 통수단면적을 확보하도록 하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수가 상기 칸막이부와 상기 측면부를 월류하여 건너편 넘어 배수로를 따라 흐르도록 하여 배출수의 통수단면적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범람 대응 연장 월류 격벽을 갖는 수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측면부는 상기 칸막이부의 양끝단에서 상기 양측 벽체 쪽으로 연장되는 양측면부이고, 상기 양측면부는 상기 칸막이부와 연결되는 양측에서 상기 양측 벽체와 연결되는 타측까지 상기 양측면부가 양쪽으로 갈라지면서 간격 폭이 점점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범람 대응 연장 월류 격벽을 갖는 수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양측면부의 갈라지는 안쪽으로 배출수의 일정 길이의 통수단면적을 확보하도록 하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배수통로를 따라 흐르는 배출수가 상기 배출수 월류 격벽의 양측면부를 따라 흐르면서 월류하여 건너편 넘어 배수로를 따라 흐르도록 하여 배출수의 통수단면적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범람 대응 연장 월류 격벽을 갖는 수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배수로는 상기 양측 벽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안쪽 면에 형성되는 격막 끼움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격막 끼움홈에 결합되는 배출수 월류 격벽이 분리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수 월류 격벽은 상기 배수통로를 가로지르는 칸막이부와; 상기 칸막이부의 양측으로 벌어지도록 연장되는 양측면부와; 상기 양측면부의 양측 끝단부에 절곡되어 상기 격막 끼움홈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범람 대응 연장 월류 격벽을 갖는 수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배수로는 상기 양측 벽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안쪽 면에 형성되는 격막 끼움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격막 끼움홈에 결합되는 배출수 월류 격벽이 분리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배수로에 설치되는 배출수 월류 격벽이, 상기 배수통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과 수평으로 가로지는 칸막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칸막이부의 양측끝단부에 절곡되어 상기 격막 끼움홈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범람 대응 연장 월류 격벽을 갖는 수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강우시 집중호우에 따른 배수로를 유하하는 강우유출수의 갑작스런 범람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농업용수로 유인에 필요한 수위를 확보할 수 있다. 특히 격벽이 설치된 이후에도 통수단면적을 유지하여 유수의 범람을 방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로를 따라 유하하는 강우유출수에 혼재되어 있는 유실토사를 수위조절수단에 의해 유실 토사가 하천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포집된 유실 토사는 회수한 다음, 원래의 위치로 운반하여 유실된 부분을 복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우유출수에 혼재하고 있는 유실 토사를 배수로의 바닥측에 여러 단계로 포집하여 유실 토사가 하천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포집된 유실 토사를 회수하여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 놓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우유출수의 유입이 중단된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강우유출수는 완전히 배수되도록 하는 배수조절 월류벽을 갖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로와 용수로에 어류가 서식할 수 있는 생태수로기능을 추가하여 수로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농촌의 녹색관광(그린투어리즘)의 활성화에 기여하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집된 유실 토사를 간편하게 회수하여 원래 위치의 유실된 부분을 복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생동물 등이 배수로를 벗어나지 못하고 집단으로 폐사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홍수범람 대응 연장 월류 격벽을 갖는 수로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홍수범람 대응 연장 월류 격벽을 갖는 수로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의 사용 상태 단면도,
도 6은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홍수범람 대응 연장 월류 격벽을 갖는 수로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홍수범람 대응 연장 월류 격벽을 갖는 수로의 제3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제1 실시 예>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홍수범람 대응 연장 월류 격벽을 갖는 수로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통로(13)를 갖는 배수로(10)와; 상기 배수통로(13)를 횡단하여 구획하는 배출수 월류 격벽(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수로(10)는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설치하거나 공장에서 제조한 수로블록을 사용하여 현장에서 지중에 매설하는 것에 의해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배수로(10)는 양측 벽체(11)(11')와 바닥면(1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배수로(10)는 상기 양측 벽체(11)(11')와 바닥면(12)의 형성으로 내부에는 배출수가 흐르는 배수통로(13)가 마련된다.
상기 배출수 월류 격벽(110)은 상기 배수통로(13)를 가로지르는 칸막이부(111)와, 상기 칸막이부(111)의 양끝단에서 벌어지도록 연장되는 양측면부(112)와, 상기 양측면부(112)의 양측끝단이 상기 양측 벽체(11)(11')와 일체로 연결되고, 벌어진 상기 양측면부(112)의 안쪽에 배출수의 통수단면적을 유지하도록 하는 일정 길이의 공간부(110a)가 확보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배출수 월류 격벽(110)은 즉, 상기 양측 벽체(11)(11')와 연결되는 상기 양측면부(112)의 양측끝단부가 상기 양측 벽체(11)(11')를 사이에서 갈라지도록 연장 형성되고, 상기 양측면부(112)의 길이방향 연장되는 타측은 상기 배수통로(13)를 흐르는 배출수를 차단하도록 밀폐되는 칸막이(111)가 형성되어 배수로(10)을 따라 흐르는 배출수가 일정 시간 경과 후 칸막이(111)를 월류하도록 하면서 칸막이(111)를 넘어 월류되는 배출수의 수위를 연장하면서 상기 배수로(10)를 따라 흐르는 배출수의 수위를 낮추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수 월류 격벽(110)은 상기 양측 벽체(11)(11')보다 바닥면(12)에 낮은 높이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수 월류 격벽(110)은 나무판자나 플라스틱류 또는 금속판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2 실시 예>
도 6은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홍수범람 대응 연장 월류 격벽을 갖는 수로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홍수범람 대응 연장 월류 격벽을 갖는 수로는 상기 배수로(10)의 양측 벽체(1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안쪽 면에 형성되는 격막 끼움홈(14)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격막 끼움홈(14)에 결합되는 배출수 월류 격벽(120)이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격막 끼움홈(14)은 양측 벽체(11)(11')의 하단에서 상단에 이르는 범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수 월류 격벽(120)은 상기 배수통로(13)를 가로지르는 칸막이부(121)와; 상기 칸막이부(121)의 양측으로 벌어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양측면부(1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양측면부(122)의 양측 가장자리는 끝단부에는 상기 격막 끼움홈(14)에 끼워지며, 그 하단은 상기 바닥판(12)의 상면에 접하게 되는 결합부(123)가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배출수 월류 격벽(120)은 상기 격막 끼움홈(14)에서 삽입 및 탈거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수 월류 격벽(120)은 그 양측 가장자리가 양측 벽체(11)(11')에 헐겁게 끼워져 그 사이에 강우유출수가 빠져나갈 수 있는 틈새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용수로의 수위상승을 목표로 할 경우에는 격벽과 수로사이를 밀폐하여 물이 새어 나가지 않게 해야 한다.
또한 상기 배출수 월류 격벽(120)의 하단은 배수로(10)의 바닥판(12) 상면에 접촉되는 상태로 설치되나, 그 사이로 강우유출수가 빠져나갈 수 있는 상태로 설치되도 무방하다.
상기 배출수 월류 격벽(120)은 나무판자나 플라스틱류 또는 금속판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3 실시 예>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홍수범람 대응 연장 월류 격벽을 갖는 수로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의 평면도이다.
도면부호 중 11, 11'은 배수로(10)의 양측 벽체이고, 12는 배수로(10)의 바닥면이며, 13은 배 배수통로, 14는 양측 벽체(11)(11')에 형성된 격막 끼움홈이고, 130은 배출수 월류 격벽이다.
상기 배수로(10)는 상기 양측 벽체(1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안쪽 면에 형성되는 격막 끼움홈(14)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격막 끼움홈(14)에 결합되는 배출수 월류 격벽(130)이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배수로(10)에 설치되는 배출수 월류 격벽(130)은, 상기 배수통로(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과 수평으로 가로지는 칸막이부(131)로 이루어지며, 상기 칸막이부(131)의 양측끝단부에 상기 격막 끼움홈(14)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132)가 형성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홍수범람 대응 연장 월류 격벽을 갖는 수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배수로(10)에 유입된 강우유출수가 배수통로(13)를 따라 유하하는 데, 강우시 집중호우가 발생하는 경우 강우유출수가 상기 배출수 월류 격벽(110)을 넘어 월류하면서 범람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수 월류 격벽(110)의 길이가 더 연장된 경우에는 범람하는 강우유출수의 수위보다 벽을 높이는 효과로 범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로(10)에 유입된 강우유출수가 배수로(10)를 따라 유하하는 동안 강우유출수에 유실 토사(유사, S)가 혼재하는 상태인데, 강우유출수 중에 혼재하는 유실 토사(유사, S)가 상기 배출수 월류 격벽(110)에 걸려 포집되어 유실 토사(유사, S)를 회수할 수도 있다.
이때, 배출수 월류 격벽(110)에 포집된 유실 토사(유사, S)는 강우유출수에 젖어 있는 상태이며, 이후, 강우가 그치면 그 수분은 배출수 월류 격벽(110)의 양측 가장자리와 배출수 월류 격벽(110) 사이에 형성된 틈새와 배출수 월류 격벽(110)의 하단과 배수로(10)의 바닥판(12) 상면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통해 빠져나게 되고, 배출수 월류 격벽(110)에는 유실 토사(유사, S)만 포집된 상태로 된다.
상기 배출수 월류 격벽(110)에 포집된 유실 토사(유사, S)의 회수는 작업자가 삽 등의 연장을 이용하여 퍼내거나 장비를 이용하여 회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 및 , 제3 실시 예에 따른 홍수범람 대응 연장 월류 격벽을 갖는 수로는 배출수 월류 격벽(120, 130)을 통해서는 강우량에 따른 배출수의 적정 수위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강우유출수를 하류로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실 토사가 상기 배출수 월류 격벽에 포집되는 곳에서는 강우유출수는 배출수 월류 격벽과 배수로의 양측 벽체와 바닥면 사이의 틈새를 통해 빠져나가 하류측으로 유하하게 된다. 따라서 배수로의 최하류단에서는 강우유출수만 하천으로 유입되고 유실 토사(S)가 하천으로 유입되지 않게 할 수 있다.
포집된 토사를 작업자가 삽 등의 연장을 이용하여 퍼내는 경우에는 배출수 월류 격벽을 탈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할 수도 있으며, 포집된 유실 토사(S)를 장비로 퍼내는 경우에는 배출수 월류 격벽을 탈거한 상태에서 작업할 수도 있다. 이때 회수된 유실 토사(S)는 토사가 유실된 농경지 등 경사지의 원래의 위치로 운반하여 유실된 부분을 복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유실 토사의 포집과 하천 범람방지 작용 외에도 배수로에 설치되는 배출수 월류 격벽을 통해 개구리와 같은 수중생물 등이 배수로에 갇히지 않고 이동할 수 있는 이동수단을 제공하야 수중샘물이 배수로를 벗어나지 못하여 집단으로 폐사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끝으로, 본 발명에 의한 홍수범람 대응 연장 월류 격벽을 갖는 수로는 강우량에 따른 배출량를 상기 배출수 월류 격벽의 길이 폭을 이용하여 조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배수로 ` 11, 11' : 양측 벽체
12, : 바닥면 13 : 배수통로
14 : 격막 끼움홈 110, 120, 130 : 배출수 월류 격벽
111, 121, 131 : 칸막이부 112, 122 : 양측면부
123, 132 : 결합부

Claims (5)

  1. 벽체와 바닥면(12)으로 배출수가 흐르는 배수통로(13)를 갖는 배수로(10)와; 상기 배수통로(13)를 횡단하여 구획되는 배출수 월류 격벽(110)을 포함하는 홍수범람 대응 연장 월류 격벽을 갖는 수로로서,
    상기 배출수 월류 격벽(110)은,
    상기 배수통로(13)를 횡단하는 칸막이부(111)와;
    상기 칸막이부(111)의 끝단에서 상기 벽체 쪽으로 연장되는 측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배출수 월류 격벽의 길이가 연장되고,
    상기 측면부의 안쪽으로 배출수가 연장된 길이의 통수단면적을 확보하도록 하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수가 상기 칸막이부(111)와 상기 측면부를 월류하여 건너편 넘어 배수로(10)를 따라 흐르도록 하여 배출수의 통수단면적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범람 대응 연장 월류 격벽을 갖는 수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상기 칸막이부(111)의 양끝단에서 상기 양측 벽체(11)(11') 쪽으로 연장되는 양측면부(112)이고,
    상기 양측면부(112)는 상기 칸막이부(111)와 연결되는 양측에서 상기 양측 벽체(11)(11')와 연결되는 타측까지 상기 양측면부(112)가 양쪽으로 갈라지면서 간격 폭이 점점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범람 대응 연장 월류 격벽을 갖는 수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면부(112)의 갈라지는 안쪽으로 배출수의 일정 길이의 통수단면적을 확보하도록 하는 공간부(110a)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배수통로(13)를 따라 흐르는 배출수가 상기 배출수 월류 격벽(110)의 양측면부(112)를 따라 흐르면서 월류하여 건너편 넘어 배수로(10)를 따라 흐르도록 하여 배출수의 통수단면적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범람 대응 연장 월류 격벽을 갖는 수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10)는 상기 양측 벽체(1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안쪽 면에 형성되는 격막 끼움홈(14)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격막 끼움홈(14)에 결합되는 배출수 월류 격벽(120)이 분리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수 월류 격벽(120)은
    상기 배수통로(13)를 가로지르는 칸막이부(121)와;
    상기 칸막이부(121)의 양측으로 벌어지도록 연장되는 양측면부(122)와;
    상기 양측면부(122)의 양측끝단부에 절곡되어 상기 격막끼움홈(14)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123)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범람 대응 연장 월류 격벽을 갖는 수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10)는 상기 양측 벽체(1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안쪽 면에 형성되는 격막 끼움홈(14)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격막 끼움홈(14)에 결합되는 배출수 월류 격벽(130)이 분리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배수로(10)에 설치되는 배출수 월류 격벽(130)이,
    상기 배수통로(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과 수평으로 가로지는 칸막이부(131)로 이루어지며,
    상기 칸막이부(131)의 양측끝단부에 절곡되어 상기 격막 끼움홈(14)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1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범람 대응 연장 월류 격벽을 갖는 수로.
KR1020120106231A 2012-09-25 2012-09-25 홍수범람 대응 연장 월류 격벽을 갖는 수로 KR101342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231A KR101342986B1 (ko) 2012-09-25 2012-09-25 홍수범람 대응 연장 월류 격벽을 갖는 수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231A KR101342986B1 (ko) 2012-09-25 2012-09-25 홍수범람 대응 연장 월류 격벽을 갖는 수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2986B1 true KR101342986B1 (ko) 2013-12-18

Family

ID=49988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231A KR101342986B1 (ko) 2012-09-25 2012-09-25 홍수범람 대응 연장 월류 격벽을 갖는 수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29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39627A (zh) * 2020-06-12 2020-09-08 西安理工大学 一种基于自动识别技术的径流控制效果快速评估方法
CN113585197A (zh) * 2021-07-28 2021-11-02 长三角(义乌)生态环境研究中心 生态截留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874B1 (ko) 2008-12-22 2009-10-20 광주광역시 남구 수로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874B1 (ko) 2008-12-22 2009-10-20 광주광역시 남구 수로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39627A (zh) * 2020-06-12 2020-09-08 西安理工大学 一种基于自动识别技术的径流控制效果快速评估方法
CN113585197A (zh) * 2021-07-28 2021-11-02 长三角(义乌)生态环境研究中心 生态截留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24146B (zh) 高速公路边坡排水结构
US20050042030A1 (en) Drainage and irrigation approach and structure as well as its implementation
CN104963325A (zh) 农田排水沟丝网整体生态护坡及构建方法
KR101342986B1 (ko) 홍수범람 대응 연장 월류 격벽을 갖는 수로
KR20090014529A (ko) 배수관에서 배수 유도장치
KR101331596B1 (ko) 초기 강우 정화 침투 수로관
KR20080101132A (ko) 녹지대용 빗물 저류 화단
KR101111185B1 (ko) 경계겸용 초기 강우 정화 블록
KR20140004867A (ko) 산 비탈면 및 절토 면의 배수로에 적용되는 집수정 구조
US2745768A (en) Erosion and flood control and land reclamation
KR20150118727A (ko) 생태환경 보전 사방댐
JP3671373B2 (ja) 地下灌漑システム
KR101084290B1 (ko) 경사지 토사의 포집 및 하천 유입 저감 방법
KR200224137Y1 (ko) 이물질제거용 배수장치
KR101060991B1 (ko) 우수 범람 방지를 위한 배수로
CN208649829U (zh) 一种平地植草沟
KR101741014B1 (ko) 배수로에서 배수 촉진장치
KR200418467Y1 (ko) 양서.파충류용 유도수로
RU2393293C1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а осушительной системы с узкозагонной вспашкой дренируемых почв
KR100772155B1 (ko) 친환경 동물 보호를 위한 이동통로를 갖는 배수로
JP2021098944A (ja) 水害時2次排水方法
KR101064916B1 (ko) 우수 범람 방지 및 지하수 고갈 방지를 위한 배수로
KR102377744B1 (ko) 저영향개발 침투도랑을 조합한 식물재배화분
KR20090014932A (ko) 배수관용 배수 유도장치
RU2527033C1 (ru) Способ осушения торфяных болот при строительстве взлетно-посадочных полос аэродром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