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6801B1 - 동물의 이동통로가 되는 동물이동 전용 암거관 - Google Patents

동물의 이동통로가 되는 동물이동 전용 암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6801B1
KR100656801B1 KR1020060089296A KR20060089296A KR100656801B1 KR 100656801 B1 KR100656801 B1 KR 100656801B1 KR 1020060089296 A KR1020060089296 A KR 1020060089296A KR 20060089296 A KR20060089296 A KR 20060089296A KR 100656801 B1 KR100656801 B1 KR 100656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rage
animal
storage unit
animals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9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089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68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6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6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의 이동통로가 되는 동물이동 전용 암거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의 하부에 매설되어 동물의 이동통로가 되는 동물이동 전용 암거관에 있어서, 도로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도로의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가 빈 통로가 형성되며, 내부 양측면에 돌출형성된 측면돌출콘크리트(101a)가 형성되고, 측면돌출콘크리트(101a)의 끝단은 볼트홀(101a")이 형성된 돌출단(101a')이 일체로 형성되며, 내측하부는 돌출대(102)를 경계로 상부바닥(103)과 하부바닥(104)으로 구분되어 있되, 돌출대(102)는 상부에 고정홈(102a)이 구비되고 측면에는 다수의 볼트홀(102a')이 구비되어 있는 본체(101)와, 본체(101)의 측면돌출콘크리트(101a)의 돌출단(101a')에 끼움되어 볼트(a)로 고정되도록 끼움홈(111a)이 구비된 수평부(111)와, 수평부(111)와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된 수직부(112)로 구성된 측면이동대(11)와, 본체(101)의 돌출대(102)에 형성된 고정홈(102a)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단에 고정단(121a) 및 홈부(121b)가 형성되며, 양측면을 관통하는 이동홀(121c)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121)가 구비되고, 지지부(121)의 상부에는 식재부(122)가 형성되며, 식재부(122)의 일측에는 일측물저장부(123)가 형성되고, 식재부(122)의 타측에는 일측물저장부(123) 보다 작은 폭의 타측물저장부(12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되, 식재부(122)와 타측물저장부(124) 및 일측물저장부(123)의 경계벽(125)에는 물의 이동통로가 되는 물공급홀(125a)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타측물저장부(124) 및 일측물저장부(123)는 양끝단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형 성되어 우수가 저장되는 생태블럭(12)과, 본체(101)의 양 끝단에 체결되는 전면커버(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 측면이동대, 생태블럭

Description

동물의 이동통로가 되는 동물이동 전용 암거관{An underdrain pipe using passage of animal}
도1은 본 발명의 동물이동 전용 암거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도.
도2는 본 발명의 동물이동 전용 암거관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생태블럭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동물이동 전용 암거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5는 도1의 A의 확대상세도.
도6은 도5의 A-A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7은 도6의 B의 확대상세도.
도8은 도5의 B-B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생태블럭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동물이동전용 암거관 11 : 측면이동대
12 : 생태블럭 13 : 전면커버
101 : 본체 101a : 측면돌출콘크리트
101a' : 돌출단 102 : 돌출대
101a",102a',105,111a',131 : 볼트홀
102a: 고정홈 103 : 상부바닥
104 : 하부바닥 111 : 수평부
111a: 끼움홈 112 : 수직부
121 : 지지부 121a: 고정단
121b : 홈부 121c: 이동홀
121d: 고정홀 122 : 식재부
123 : 일측물저장부 124 : 타측물저장부
125 : 경계벽 125a : 물공급홀
a: 볼트
본 발명은 동물의 이동통로가 되는 동물이동 전용 암거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형동물과 대형동물의 이동경로를 분리하여 천적관계에 있는 동물간의 포식 및 피식상태를 막을 수 있으며, 동물 및 화초에 필요한 물을 원활히 공급할 수 있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건설시 도로가 시공되는 위치의 땅을 가로질러 절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양서류, 곤충, 짐승들은 도로의 노면층을 가로질러 이동해야 하 는데, 이런 와중에 짐승들은 차에 치여 다치거나 죽는 일이 발생되었다.
또, 양서류나 지렁이와 같은 작은 동물과 곤충들은 차에 치여 죽거나 이동 중 수분 부족으로 죽게 되는 일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다양한 생태통로가 안출되었는데, 도로 상부에 가교를 설치한 '친환경적인 생태연결통로'(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10258호)가 안출되었다.
또, 도로 하부를 통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한 '동물 이동통로용 바닥판'(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1099호)가 안출되기도 하였다.
위와 같은 생태통로시설들은 모두 곤충이나 작은 짐승 들이 도로의 상부나 하부에 설치된 통로를 이용해 도로를 가로질러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런데, 위와 같은 장치들은 구조가 복잡하고, 규모가 커 설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설치 간격이 매우 길 수 밖에 없었다.
즉, 쥐나 토끼 이상의 크기를 갖는 짐승들은 생태통로를 찾아 쉽게 이동할 수 있는 반면, 땅강아지, 매미유충과 같은 지중소동물과, 양서류나 곤충, 작은 포유류 등과 같은 소동물은 도로를 가로질러 이동하는 게 원할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동해안의 7번국도나 서해안의 해안 도로는 도로가 내륙과 해안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어 내륙과 해안사이를 이동하는 소동물의 이동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결국, 도로를 사이에 두고 생태계가 하나로 연결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또, 긴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생태통로를 통해 소수의 소동물이 이동할 수 있으나 이동할 수 있는 소동물의 수가 적은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배수로에 빠져 갖힌 양서류나 파충류, 소형 포유류 등 각종 동물이 배수로로부터 손쉽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배수로 양측의 생태공간을 단절시키지 않고 동물이 자유롭게 왕복할 수 있는 배수로용 생태통로를 제공하는 동물의 이동통로가 되는 동물이동 전용 암거관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로의 하부에 매설되어 동물의 이동통로가 되는 동물이동 전용 암거관에 있어서, 도로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도로의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가 빈 통로가 형성되며, 내부 양측면에 돌출형성된 측면돌출콘크리트가 형성되고, 측면돌출콘크리트의 끝단은 볼트홀이 형성된 돌출단이 일체로 형성되며, 내측하부는 돌출대를 경계로 상부바닥과 하부바닥으로 구분되어 있되, 돌출대는 상부에 고정홈이 구비되고 측면에는 다수의 볼트홀이 구비되어 있는 본체와;
본체의 측면돌출콘크리트의 돌출단에 끼움되어 볼트로 고정되도록 끼움홈이 구비된 수평부와, 수평부와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된 수직부로 구성된 측면이동대와;
본체의 돌출대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단에 고정단 및 홈부가 형성되며, 양측면을 관통하는 이동홀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가 구비되 고, 지지부의 상부에는 식재부가 형성되며, 식재부의 일측에는 일측물저장부가 형성되고, 식재부의 타측에는 일측물저장부 보다 작은 폭의 타측물저장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되, 식재부와 타측물저장부 및 일측물저장부의 경계벽에는 물의 이동통로가 되는 물공급홀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타측물저장부 및 일측물저장부는 양끝단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우수가 저장되는 생태블럭과, 본체의 양 끝단에 체결되는 전면커버를 포함하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이동통로가 되는 동물이동 전용 암거관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일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첨부된 도면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동물이동 전용 암거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동물이동 전용 암거관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생태블럭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동물이동 전용 암거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5는 도1의 A의 확대상세도이고, 도6은 도5의 A-A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7은 도6의 B의 확대상세도이고, 도8은 도5의 B-B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며, 도9는 본 발명의 생태블럭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로(1)의 하부에 매설되게 되며, 본 발명의 동물의 이동통로가 되는 동물이동 전용 암거관(10)은 본체(101)와측면이동대(11) 및 생태블럭(12)을 그 주요 구성요소로 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본체(101)는 도로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도로의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가 빈 통로가 형성되며, 내부 양측면에 돌출형성된 측면돌출콘크리트(101a)가 형성되고, 측면돌출콘크리트(101a)의 끝단은 볼트홀(101a")이 형성된 돌출단(101a')이 일체로 형성되며, 내측하부는 돌출대(102)를 경계로 상부바닥(103)과 하부바닥(104)으로 구분되어 있되, 돌출대(102)는 상부에 고정홈(102a)이 구비되고 측면에는 다수의 볼트홀(102a')이 구비되어 있는 구조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측면이동대(11)는 본체(101)의 측면돌출콘크리트(101a)의 돌출단(101a')에 끼움되어 볼트(a)로 고정되도록 끼움홈(111a)이 구비된 수평부(111)와, 수평부(111)와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된 수직부(112)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생태블럭(12)은 본체(101)의 돌출대(102)에 형성된 고정홈(102a)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단에 고정단(121a) 및 홈부(121b)가 형성되며, 양측면을 관통하는 이동홀(121c)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121)가 구비되고, 지지부(121)의 상부에는 식재부(122)가 형성되며, 식재부(122)의 일측에는 일측물저장부(123)가 형성되고, 식재부(122)의 타측에는 일측물저장부(123) 보다 작은 폭의 타측물저장부(12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되, 식재부(122)와 타측물저장부(124) 및 일측물저장부(123)의 경계벽(125)에는 물의 이동통로가 되는 물공급홀(125a)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타측물저장부(124) 및 일측물저장부(123)는 양끝단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우수가 저장되는 구조이며, 본체(101)의 양 끝단에는 본체(101)의 볼트홀(105)과 전면커버(13)의 볼트홀(131)에 공히 볼트(a)를 이용하여 상기 전면커버(13)를 본체(101)의 양끝단에 체결함으로써 상부바닥(103)과 하부바닥(104)의 상부에 토설된 자갈과 토사의 흘러내림을 막게 된다.
본 발명의 본체(101)의 상부바닥(103)과 하부바닥(104)에 자갈(200)과 토사(100)를 포설하고 초본식물을 심어 일반적인 생태환경과 유사하게 형성됨으로써, 동물이 주저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동물이동 전용 암거관(10)으로 왕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생태블럭(12)의 식재부(122)에는 자갈과 토사를 포설한 후 초본식물보다 큰 화초를 심어 대형동물과 소형동물의 통행로의 경계가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생태블럭(12)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끝단부가 본체(101)의 외부로 돌출되게 하여 우수가 유입되도록 하였으며, 타측물저장부(124) 및 일측물저장부(123)의 끝단으로 유입된 우수는 타측물저장부(124) 및 일측물저장부(123)의 단면이 중심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되어 있어 우수를 저장하게 되며, 이때 저장된 우수는 소형동물 또는 대형동물에게 물공급역할을 하게 되며, 또한 경계벽(125)에 형성된 물공급홀(125a)을 통하여 식재부(122)에 식재된 화초에 물을 공급할 수 도 있게 된다.
한편, 생태블럭(12)의 지지부(121)에는 다수의 이동홀(121c)이 형성되어 있어, 양서류나 파충류, 소형 포유류 등이 손쉽게 왕복할 수 있도록 하여, 소형동물과 대형동물의 포식과 피식을 막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동물의 이동통로가 되는 동물이동 전용 암거관(10)은 크게 3종류의 통로가 있게 되는데, 땅강아지, 매미유충과 같은 지중소동물과 곤충들은 본 체(101)의 내측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소동물 또는 대형동물의 접근이 어려운 측면돌출콘크리트(101a)를 통하여 이동하게 되며, 양서류나 토끼등의 소동물들은 폭이 좁은 상부바닥(103) 쪽으로 이동하며, 사슴이나 몸집이 큰 대형동물은 상부바닥보다 폭이 넓은 하부바닥(104)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생태블럭(12)과 측면이동대(11)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나 또는 에프알피 같은 비부식용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곤충류등의 이동통로와 소동물의 이동통로 및 대형동물의 이동통로를 각각 별개로 형성시켜 피식 및 포식상태를 방지하며, 또한 우수를 이용하여 동물들과 화초에 물공급을 원할히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도로의 하부에 매설되어 동물의 이동통로가 되는 동물이동 전용 암거관에 있어서,
    도로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도로의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가 빈 통로가 형성되며, 내부 양측면에 돌출형성된 측면돌출콘크리트(101a)가 형성되고, 측면돌출콘크리트(101a)의 끝단은 볼트홀(101a")이 형성된 돌출단(101a')이 일체로 형성되며, 내측하부는 돌출대(102)를 경계로 상부바닥(103)과 하부바닥(104)으로 구분되어 있되, 돌출대(102)는 상부에 고정홈(102a)이 구비되고 측면에는 다수의 볼트홀(102a')이 구비되어 있는 본체(101)와;
    본체(101)의 측면돌출콘크리트(101a)의 돌출단(101a')에 끼움되어 볼트(a)로 고정되도록 끼움홈(111a)이 구비된 수평부(111)와, 수평부(111)와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된 수직부(112)로 구성된 측면이동대(11)와;
    본체(101)의 돌출대(102)에 형성된 고정홈(102a)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단에 고정단(121a) 및 홈부(121b)가 형성되며, 양측면을 관통하는 이동홀(121c)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121)가 구비되고, 지지부(121)의 상부에는 식재부(122)가 형성되며, 식재부(122)의 일측에는 일측물저장부(123)가 형성되고, 식재부(122)의 타측에는 일측물저장부(123) 보다 작은 폭의 타측물저장부(12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되, 식재부(122)와 타측물저장부(124) 및 일측물저장부(123)의 경계벽(125)에는 물의 이동통로가 되는 물공급홀(125a)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타측물저장 부(124) 및 일측물저장부(123)는 양끝단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우수가 저장되는 생태블럭(12)과 본체(101)의 양 끝단에 체결되는 전면커버(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이동통로가 되는 동물이동 전용 암거관.
KR1020060089296A 2006-09-14 2006-09-14 동물의 이동통로가 되는 동물이동 전용 암거관 KR100656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296A KR100656801B1 (ko) 2006-09-14 2006-09-14 동물의 이동통로가 되는 동물이동 전용 암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296A KR100656801B1 (ko) 2006-09-14 2006-09-14 동물의 이동통로가 되는 동물이동 전용 암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6801B1 true KR100656801B1 (ko) 2006-12-14

Family

ID=37733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9296A KR100656801B1 (ko) 2006-09-14 2006-09-14 동물의 이동통로가 되는 동물이동 전용 암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680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283B1 (ko) 2011-06-03 2011-10-27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도로의 지중을 관통하고 중소형동물과 대형동물의 이동공간을 별도로 구비한 동물 이동구조물
KR101470408B1 (ko) * 2013-07-04 2014-12-08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점오염저감시설을 이용한 친자연적 생태통로
KR101637807B1 (ko) * 2015-01-16 2016-07-0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생태통로
KR20180002224U (ko) 2017-01-12 2018-07-20 심상구 생태통로용 pc박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3628A (ja) * 1992-09-14 1994-04-05 Shimizu Corp 溝、洞道等のケーブル敷設路の補強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3628A (ja) * 1992-09-14 1994-04-05 Shimizu Corp 溝、洞道等のケーブル敷設路の補強構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283B1 (ko) 2011-06-03 2011-10-27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도로의 지중을 관통하고 중소형동물과 대형동물의 이동공간을 별도로 구비한 동물 이동구조물
KR101470408B1 (ko) * 2013-07-04 2014-12-08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점오염저감시설을 이용한 친자연적 생태통로
KR101637807B1 (ko) * 2015-01-16 2016-07-0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생태통로
KR20180002224U (ko) 2017-01-12 2018-07-20 심상구 생태통로용 pc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6801B1 (ko) 동물의 이동통로가 되는 동물이동 전용 암거관
KR101781334B1 (ko) L형 측구를 활용한 다기능 배수관
US20100290842A1 (en) Ecological restoration block
KR100657845B1 (ko) 하천사면에 설치되는 친환경적인 생태이동통로 설치구조
KR100618560B1 (ko) 생태계 보호를 위한 친환경 하천 바닥 블록설치구조
KR100786734B1 (ko) 신도시용 환경 보도블록
KR100623431B1 (ko) 친환경 녹지공간의 생태계 보호용 보도
KR100578541B1 (ko) 산사면 사이 도로에 설치되는 동물이동대
KR100636895B1 (ko) 신도시 공원의 조립식 생태계 보도
KR200411792Y1 (ko) 수로관
KR20110109375A (ko) 터널 형태의 동물이동통로
KR101058340B1 (ko) 생태통로
US11761152B2 (en) Soil form system supporting hardscape thereover
KR100773488B1 (ko) 신도시 공원의 생태계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보행자 도로
KR200426017Y1 (ko) 생태보호 및 식생 용·배수로용 블록
KR100772155B1 (ko) 친환경 동물 보호를 위한 이동통로를 갖는 배수로
KR101087570B1 (ko) 생태통로유도벽
KR200395563Y1 (ko) 배수로의 생태통로
KR200420371Y1 (ko) 환경친화적 소동물용 생태통로
KR101124639B1 (ko) 식생블록
KR101086096B1 (ko) 간이형 생태수로
Jackson Proposed design and considerations for use of amphibian and reptile tunnels in New England
KR100589328B1 (ko) 도로의 녹화용 옹벽 구조물
KR200417457Y1 (ko) 지중 소동물용 생태통로
KR20120005874U (ko) 생태경계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