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3431B1 - 친환경 녹지공간의 생태계 보호용 보도 - Google Patents

친환경 녹지공간의 생태계 보호용 보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3431B1
KR100623431B1 KR1020060036309A KR20060036309A KR100623431B1 KR 100623431 B1 KR100623431 B1 KR 100623431B1 KR 1020060036309 A KR1020060036309 A KR 1020060036309A KR 20060036309 A KR20060036309 A KR 20060036309A KR 100623431 B1 KR100623431 B1 KR 100623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space
ecological
ecosystem
sidewalk
walk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6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도묵
Original Assignee
(주)경동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동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경동기술공사
Priority to KR1020060036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34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3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3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녹지공간의 생태계 보호용 보도에 관한 것으로, 공원 등의 녹지공간에 지렁이, 달팽이 등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생태계 이동통로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녹지공간의 생태계 보호용 보도는, 녹지공간의 지면과의 사이에 생태계 이동통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생태이동용 보도와; 상기 녹지공간에 매설되며 하나 이상의 앵커볼트가 매립된 기초블록과; 상기 생태이동용 보도의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기초블록의 앵커볼트가 관통되는 앵커공이 형성되어, 상기 기초블록 상면에 얹혀지면서 상기 앵커공을 관통한 앵커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통해 고정되는 고정판을 포함하여 상기 녹지공간에 생태계 이동통로를 형성한다.
녹지, 생태계, 보도, 보행자

Description

친환경 녹지공간의 생태계 보호용 보도{A GREEN ZONE FOOTPATH}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녹지공간의 생태계 보호용 보도의 시공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녹지공간의 생태계 보호용 보도에 적용된 생태이동용 보도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생태계 이동통로, 10 : 생태이동용 보도
20 : 기초블록, 21 : 앵커볼트
30 : 고정판, 31 : 앵커공
32 : 너트, 40 : 포스트
본 발명은 친환경 녹지공간의 생태계 보호용 보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원 등의 녹지공간에 지렁이, 달팽이 등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여 녹지공간에 서식하는 곤충류 등의 생태계를 보존함과 아울러 녹지공간 을 친환경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 녹지공간의 생태계 보호용 보도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는 급속한 도시화로 인해 도심속 녹지공간이 점점 사라지고 그 자리에는 고층건물들이 건설되는데, 대부분의 건축주들이 구조물에 대한 기능적인 면을 강조하여 사용면적을 최대화하는 것에만 초점을 맞추었으나, 생활수준이 향상과 도시의 외형적인 비대화로 인해 도심속 녹지공간이 점점 줄어들고 현대인들의 바쁜 사회생활로 인해 인정이 점점 각박해져 메마른 인간관계와 지친 심신을 풀어주기위한 휴식처로 자연녹지공간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기대에 부응하기 위하여 고층빌딩에서 별다른 용도 없이 방치하고 있는 옥상을 정원으로 조경하여 녹지공간으로 사용하고, 도심지에 공원 등과 같은 녹지공간을 조성하고 있다.
상기 녹지공간의 조성방법은 노면을 고르게 정리한 후 그 위에 배수성을 갖도록 일정크기를 갖는 자갈을 일정높이로 포설하고 그 위에 흙을 깔고 난 후 정원수를 미리 정한 위치에 심은 후, 그 위에 흙과 거름을 다시 덮고, 잔디 등을 식재하며, 아울러, 상기 조경된 정원 사이로 보행 및 휴식을 할 수 있는 보행로 및 휴식공간을 시공한다.
종래 녹지공간의 보행로는 녹지공간의 지면에 평평한 보도블록들이 설치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녹지공간의 보행로에 의하면, 녹지공간에는 지렁이, 달팽이 등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보행로가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에 지렁 이, 달팽이 등은 보행로를 횡단할 수밖에 없으므로 보행로를 통행하는 보행자의 발에 밟혀 죽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그런데, 녹지공간에 서식하는 지렁이, 달팽이 등은 녹지공간에 퇴비를 제공하는 등 친환경적 생물이기 때문에 이러한 생물들의 번식이 왕성할수록 녹지공간의 녹화가 유지될 수 있다. 즉, 친환경적 생물의 보행로 횡단시 보행자에 의해 죽게 되어 친환경적 생물이 녹지공간에서 서식하지 못하게 되므로 녹지공간의 녹화를 유지하는 것이 어렵고 생태계가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녹지공간의 녹화를 활발하게 도와주는 지렁이, 달팽이 등의 친환경적 생물이 보행자의 통행으로부터 안전하게 서식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적 녹지공간의 생태계 보호용 보도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친환경적 녹지공간의 생태계 보호용 보도는, 녹지공간에 마련되는 보행로에 형성되며 상기 녹지공간의 지면과의 사이에 생태계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보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녹지공간의 생태 계 보호용 보도(100)는, 잔디 등이 식재된 녹지공간(G)의 지면에 생태계 이동통로(1)를 확보함과 더불어 보행자가 잔디를 밟지 않고 통행할 수 있도록 하는 생태이동용 보도(10)와, 생태이동용 보도(10)를 녹지공간(G)의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기초블록(20)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
생태이동용 보도(10)는 곡선형(녹지공간(G)의 지면과의 사이에 생태계 이동홀(1)을 형성할 수 있는 모든 형상이 가능하며, 구조적 측면에서 볼 때 아치형이 바람직함)으로 형성되어 지면과의 사이에 생태계 이동홀(1)을 형성함으로써 녹지공간(G)에서 서식하는 지렁이, 달팽이 등이 보행자에 의해 밟히지 않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보행자의 통행시 보행자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붕괴되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갖는 철재 등이 사용 가능하다. 생태이동용 보도(10)는 생태계 이동홀(1)을 형성하는 것이 주목적인 바, 그 구조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기초블록(20)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블록으로서 생태이동용 보도(10)의 폭보다 넓은 폭의 장방형 구조가 가능하고, 녹지공간(G)에 매립된다.
생태이동용 보도(10)와 기초블록(20)의 결합구조는 예컨대, 기초블록(20)에는 하나 이상(도면에는 4개로 도시됨)의 앵커볼트(21)들이 세워지도록 매설되고, 생태이동용 보도(10)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기초블록(20)와 유사한 형상이면서 앵커공(31)이 형성된 고정판(30)이 형성되어, 고정판(30)의 앵커공(31)에 앵커볼트(21)가 각각 관통되도록 고정판(30)이 기초블록(20)에 안착된 상태에서 앵커볼트(21)에 너트(32)가 체결됨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고정판(30)은 콘크리트 블록일 수 있으며,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 내부에 생태이동용 보도(10)의 양단 일부분을 인서트한 상태에서 타설함으로써 생태이동용 보도(10)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생태이동용 보도(10)는 녹지공간(G)의 지면(1)에 시공되는 기존 보행자 블록(200)과 연계되어 보행로를 형성하여, 보행자가 녹지공간(G)을 보행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지렁이, 달팽이 등이 생태계 이동홀(1)을 통해 이동하여 보행자에 의해 밟히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생태이동용 보도(10)는 예컨대 성인 보폭보다 작은 길이이기 때문에 보행자가 밟지 않고 보행로를 통행할 수 있지만, 보행자의 답력 등에 의해 생태이동용 보도(10)가 하부로 처질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생태이동용 보도(10)의 저부를 지지하는 포스트(40)가 더 채용될 수 있다.
포스트(40)는 생태이동용 보도(10)의 저부와 대응되는 녹지공간(G)의 지면에 매설되며 하나 이상의 수직봉(41)이 입설된 기초블록(42), 수직봉(41)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대(43), 수직봉(41)이 관통된 상태로 지지대(43)의 상면에 안착되면서 수직봉(41)에 체결되는 너트(44)를 통해 고정되어 생태이동용 보도(10)를 저부에서 지지하는 지지판(4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대(43)와 지지판(45)은 자체 탄성력을 갖는 천연고무, 합성수지 등을 재질로 하여 탄성 변형에 의해 생태이동용 보도(10)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녹지공간의 생태계 보호용 보도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공원 등의 녹지공간을 조성할 때 설계에 따라 보행로를 시공하며, 이때, 보 행로의 임의 지역에 기초블록(20)을 매설하고, 고정판(30)의 앵커공(31)에 앵커볼트(21)를 끼우고, 이 앵커볼트(21)에 너트(32)를 체결하여 생태이동용 보도(10)를 기초블록(20)에 고정함으로써 본 발명 친환경 녹지공간의 생태계 보호용 보도(100)를 시공한다.
포스트(40)를 적용할 경우 포스트(40)의 기초블록(42)을 녹지공간(G)에 매설하고, 수직봉(41)에 지지대(43)와 지지판(45)을 순차적으로 끼워 결합한 후 너트(44)를 수직봉(41)에 체결하여 포스트(40)를 시공한다.
이와 같이 시공된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녹지공간의 생태계 보호용 보도에 의하면, 보행자는 보행자 블록(200)과 생태이동용 보도(10)에 의해 이루어진 통로를 통해 녹지공간을 이동하게 된다. 보행자의 통행시 생태이동용 보도(10)는 포스트(40)의 지지를 받아 붕괴 또는 변형되지 않고 곡선형을 유지한다. 즉, 생태이동용 보도(10)는 보행자에게는 통로를 제공하고 생태계 이동홀(10)의 천장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녹지공간에서 서식하는 지렁이, 달팽이 등은 생태이동용 보도(10) 아래측의 생태계 이동통로(1)를 통해 녹지공간(G)을 이동하게 되며, 이때, 보행자는 생태계 이동홀(1)을 통과하지 않고 생태이동용 보도(10)를 걷기 때문에 지렁이, 달팽이 등은 보행자에 의해 밟히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친환경 녹지공간의 생태계 보호용 보도에 의하면, 녹지공간에 보행자의 통행과 상관없는 생태계 이동통로를 제공하여 녹지공간에 서식하는 지렁이, 달팽이 등이 보행자에 의해 죽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서식할 수 있으므로 녹지공간을 친환경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생태계를 보존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2)

  1. 녹지공간의 지면과의 사이에 생태계 이동통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생태이동용 보도와;
    상기 녹지공간에 매설되며 하나 이상의 앵커볼트가 매립된 기초블록과;
    상기 생태이동용 보도의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기초블록의 앵커볼트가 관통되는 앵커공이 형성되어, 상기 기초블록 상면에 얹혀지면서 상기 앵커공을 관통한 앵커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통해 고정되는 고정판을 포함하여 상기 녹지공간에 생태계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녹지공간의 생태계 보호용 보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태이동용 보도의 저부와 대응되는 상기 녹지공간에 매설되며 하나 이상의 수직봉이 입설된 기초블록, 상기 기초블록의 수직봉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 결합되는 지지대, 상기 수직봉이 관통된 상태로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안착되면서 상기 수직봉에 체결되는 너트를 통해 고정되어 상기 생태이동용 보도를 저부에서 지지하는 지지판으로 이루어진 포스트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녹지공간의 생태계 보호용 보도.
KR1020060036309A 2006-04-21 2006-04-21 친환경 녹지공간의 생태계 보호용 보도 KR100623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309A KR100623431B1 (ko) 2006-04-21 2006-04-21 친환경 녹지공간의 생태계 보호용 보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309A KR100623431B1 (ko) 2006-04-21 2006-04-21 친환경 녹지공간의 생태계 보호용 보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3431B1 true KR100623431B1 (ko) 2006-09-20

Family

ID=37631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6309A KR100623431B1 (ko) 2006-04-21 2006-04-21 친환경 녹지공간의 생태계 보호용 보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343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827B1 (ko) 2006-09-14 2006-12-01 주식회사 보경이엔지건축사사무소 잔디보호를 이룰 수 있는 건축단지용 보도시설물
KR100773488B1 (ko) 2007-08-08 2007-11-05 (주)우주엔지니어링 신도시 공원의 생태계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보행자 도로
KR100993620B1 (ko) * 2010-06-07 2010-11-11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신도시 공원의 조립식 생태계 보도
KR101637807B1 (ko) * 2015-01-16 2016-07-0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생태통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0186Y1 (ko) * 1984-03-29 1986-03-05 이용우 잔듸 보호 호울덮개
JPH08269906A (ja) * 1995-03-30 1996-10-15 Shigeru Kashiwagi 植物保護ブロツク
KR100505063B1 (ko) 2005-04-14 2005-08-03 주식회사 건축사 사무소 도시건축 건축 단지 조경 구간에 시공되는 조경 블록 설치구조
KR100538107B1 (ko) 2005-09-13 2005-12-21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건축 단지 조경 구간에 설치되는 조경 블록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0186Y1 (ko) * 1984-03-29 1986-03-05 이용우 잔듸 보호 호울덮개
JPH08269906A (ja) * 1995-03-30 1996-10-15 Shigeru Kashiwagi 植物保護ブロツク
KR100505063B1 (ko) 2005-04-14 2005-08-03 주식회사 건축사 사무소 도시건축 건축 단지 조경 구간에 시공되는 조경 블록 설치구조
KR100538107B1 (ko) 2005-09-13 2005-12-21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건축 단지 조경 구간에 설치되는 조경 블록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827B1 (ko) 2006-09-14 2006-12-01 주식회사 보경이엔지건축사사무소 잔디보호를 이룰 수 있는 건축단지용 보도시설물
KR100773488B1 (ko) 2007-08-08 2007-11-05 (주)우주엔지니어링 신도시 공원의 생태계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보행자 도로
KR100993620B1 (ko) * 2010-06-07 2010-11-11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신도시 공원의 조립식 생태계 보도
KR101637807B1 (ko) * 2015-01-16 2016-07-0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생태통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0037B2 (en) Surfaces using structural modules
KR100623431B1 (ko) 친환경 녹지공간의 생태계 보호용 보도
KR100795084B1 (ko) 주주용 베이스
KR100786734B1 (ko) 신도시용 환경 보도블록
KR100636895B1 (ko) 신도시 공원의 조립식 생태계 보도
KR100773488B1 (ko) 신도시 공원의 생태계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보행자 도로
KR100544053B1 (ko) 건축단지 내 잔디 구간의 블록 구조
KR100656801B1 (ko) 동물의 이동통로가 되는 동물이동 전용 암거관
KR101582865B1 (ko) 지반 토사 유실방지를 위한 다기능 식생프레임 구조체
JPH09327239A (ja) 樹木根保護装置
KR101044808B1 (ko) 탈출로를 구비한 수로관
KR100772155B1 (ko) 친환경 동물 보호를 위한 이동통로를 갖는 배수로
CN107829347B (zh) 用于城市天然草皮的人行道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089653B1 (ko) 가로수 보호용 보도블록의 시공방법
KR200254952Y1 (ko) 수목의 수분 공급 장치
KR20110109375A (ko) 터널 형태의 동물이동통로
KR101087570B1 (ko) 생태통로유도벽
KR20090006403U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음벽/옹벽 기초 구조물
KR200245391Y1 (ko) 빗물받이가 구비된 옹벽축조용 조경블록
KR20090005754A (ko) 공간 잔디 블럭
KR101625652B1 (ko) 산책로 지반구조 및 그 시공방법
CZ202090A3 (cs) Prvek pochozí venkovní dlažby
CZ33999U1 (cs) Prvek, zejména pochozí venkovní dlažby
KR200248399Y1 (ko) 슬릿구
CN109695191B (zh) 园林用防攀爬路缘构筑结构及其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