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6918B1 - 수로관용 가변형 탈출유도장치 - Google Patents

수로관용 가변형 탈출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6918B1
KR101766918B1 KR1020160048721A KR20160048721A KR101766918B1 KR 101766918 B1 KR101766918 B1 KR 101766918B1 KR 1020160048721 A KR1020160048721 A KR 1020160048721A KR 20160048721 A KR20160048721 A KR 20160048721A KR 101766918 B1 KR101766918 B1 KR 101766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passage member
plate
rotation part
transvers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8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낙헌
김용덕
Original Assignee
케이씨테크주식회사
김낙헌
김용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씨테크주식회사, 김낙헌, 김용덕 filed Critical 케이씨테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8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69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6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6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로관용 가변형 탈출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로관의 일측 벽체 상단과 타측 벽체 상단을 가로지르도록 앵커볼트에 의해 양측 상단이 양측 벽체 상단에 설치고정되어 수로관을 횡단할 수 있게 하는 판상의 횡단부재와; 상기 횡단부재의 전, 후단 중 어느 하나에 회동가능하도록 판상의 상판이 결합되며, 이 상판 하부 양측면에는 다수 개의 제1조절공이 서로 이격형성되고, 판상으로 이루어진 하판의 상부 양측면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제1조절공과 일치되도록 제2조절공이 이격형성된 판상의 통로부재와; 상기 제1조절공과 제2조절공으로 관통삽입되는 제1고정볼트와; 상기 제1조절공 또는 제2조절공으로 관통된 제1고정볼트에 체결되는 제1고정너트와; 상기 횡단부재에 통로부재를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통로부재의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용 가변형 탈출유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수로관이 시설된 관로에서도 생태통로가 요구되는 장소라면 수로관 중 어느 곳에서라도 설치가 용이하여 개구리, 오소리, 족제비 및 너구리 등의 동물이 낙하되었을 때 탈출통로 또는 이동통로가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게 함으로써, 생태가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수로관용 가변형 탈출유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로관용 가변형 탈출유도장치{VARIABLE ESCAPE GUIDE APPARATUS FOR ENVIRONMENTAL WATERWAY BLOCK}
본 발명은 바닥면 양측으로 벽체가 기립형성된 상부 개방형의 홈구조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길이 연장형성된 수로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수로관으로 개구리, 오소리, 족제비 및 너구리 등의 동물이 낙하되었을 때 받침단을 따라 동물들이 수로관 외부로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고, 벽체 상단에서 바닥면에 이르기까지 다단의 단차를 사선방향으로 형성하여 동물이 수로관으로 낙하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최소화시키며, 수로관이 시공된 후에라도 탈출경로 또는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받침단이 어느 수로관이라도 용이하게 조립안착되도록 하는 생태보호형 수로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로관은 물을 어느 지점에서 다른 지점까지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로써, 용수로 및 배수로에 사용되어지며, 용수로는 주로 농업용수, 상수도용수, 공업용수 등을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며, 배수로는 농지 및 주택에서 발생되는 용수를 배수하기 위한 것이다.
농지의 개량 및 기계화된 영농을 위해서 논은 새롭게 구획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논에 물을 공급하거나 배수하기 위한 수로관은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으로써 인위적으로 구축이 된 결과로 개구리 등 수륙 양서 동물들의 급격한 감소를 불러 일으키게 되었다.
상기 수로관은 주로 공장 등에서 설계에 따라 콘크리트 재료로 제조된 구조물을 조립하여 지면에 매립설치되며, 야외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고, 구조상 폭이 넓고 깊이가 깊기 때문에 수로관 주변을 이동하거나 서식하고 있는 너구리 및 오소리, 개구리 등의 소동물이 수로관으로 낙하되었을 때에는 탈출할 수 있는 통로가 없어 소동물이 익사하거나 수로관에 고립되어 사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수로관은 수량(水量)의 안정적 공급이나 용수(用水)의 원활한 흐름만을 고려하여 양측벽과 바닥면이 경사지거나 굴곡지지 않고 홈이나 돌출부가 없이 밋밋한 상태로 매끈하게 성형 제작되었기 때문에 수로관안으로 떨어지는 개구리나 도롱뇽 및 뱀 등과 같은 동물 등은 물론 식물 등의 생태계가 서식할 수 있는 지상과의 연결통로나 서식홈 및 구멍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아니하여 동물들이 고사(枯死)하고, 먹이사슬의 단절(斷絶)로 생태계가 파괴되는 현상을 초래할 뿐 아니라, 특히 이러한 현상으로 말미암아 생태계와 자연이 함께 조화를 이룰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관계의 수립을 지속적으로 보존하기가 어려웠다.
특히, 상기 수로관으로 낙하되어 바닥면에 충돌하는 그 충격에 의하여 다리가 부러지는 등의 상처를 입게 되어 생태보존에 악형향을 끼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 등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2016년 3월 30일자에 특허출원 제10-2016-0038722호(발명의 명칭 : 생태보호형 수로관)을 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 특허출원 등은 수로관 제작 시 생태보호를 위한 구조 및 설비가 구비된 상태이므로, 수로관 설치 시 설계단계에서 적절한 생태통로를 형성할 수 있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생태보호형 수로관이 아닌 일반적인 수로관이 시설된 곳에서 생태통로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기 설치된 수로관을 생태보호형 수로관으로 대체하는 작업을 별도로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일반적인 수로관이 시설된 관로에서도 생태통로가 요구되는 장소라면 어느 곳에서라도 수로관에 생태통로를 설치하여 수로관으로 개구리, 오소리, 족제비 및 너구리 등의 동물이 낙하되었을 때 탈출통로 또는 이동통로를 제공하여 생태가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가진다.
그리고, 수로관을 흐르는 용수가 일정 수위 또는 유속에 의하여 탈출통로 또는 이동통로가 회동하여 부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수의 흐름에 순응하여 용수의 흐름이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하는 수로관용 가변형 탈출유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수로관(100)의 일측 벽체(104a) 상단과 타측 벽체(104b) 상단을 가로지르도록 앵커볼트(106)에 의해 양측 상단이 양측 벽체(104a)(104b) 상단에 설치고정되어 수로관(100)을 횡단할 수 있게 하는 판상의 횡단부재(110)와; 상기 횡단부재(110)의 전, 후단 중 어느 하나에 회동가능하도록 판상의 상판(132)이 결합되며, 이 상판(132) 하부 양측면에는 다수 개의 제1조절공(134)이 서로 이격형성되고, 판상으로 이루어진 하판(136)의 상부 양측면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제1조절공(134)과 일치되도록 제2조절공(138)이 이격형성된 판상의 통로부재(130)와; 상기 제1조절공(134)과 제2조절공(138)으로 관통삽입되는 제1고정볼트(140)와; 상기 제1조절공(134) 또는 제2조절공(138)으로 관통된 제1고정볼트(140)에 체결되는 제1고정너트(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횡단부재(110)에 통로부재(130)를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통로부재(130)의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용 가변형 탈출유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통로부재(130)의 결합수단은, 상기 횡단부재(110)의 전, 후단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횡방향으로 제1회전공(112)이 형성된 제1회전부(114)와; 상기 제1회전부(114)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인접배치되도록 통로부재(130)의 상판(132) 상단에 형성되며, 제1회전공(112)과 대응되도록 횡방향으로 제2회전공(142)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회전부(144)와; 상기 제1회전부(114)에 인접배치되는 제2회전부(144) 사이에 배치되며, 일단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통로부재(130)의 상판(132) 저면에 밀착배치되고, 타단은 횡단부재(110)의 저면에 밀착배치되도록 부분절곡한 후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탄성부재(146)와; 상기 제2회전부(144)와 탄성부재(146)와 제1회전부(114)를 관통하거나, 제1회전부(114)와 탄성부재(146)와 제2회전부(144)를 관통하며, 일단에는 제1회전공(112) 또는 제2회전공(142)보다 큰 외경의 머리부(148a)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나사부(148b)가 형성된 회전축(148)과; 상기 제1회전부(114) 또는 제2회전부(144)를 관통한 회전축(148)의 나사부(148b)에 체결되는 제2고정너트(1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횡단부재(110)의 상면과 통로부재(130)의 상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논슬립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횡단부재(110)의 상부와 통로부재(130)의 상부에는 낙하방지용 난간부재(152)가 기립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횡단부재(110)의 상부에 형성된 난간부재(152)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통로차단부재(154)를 탈부착수단으로 설치하여 통로부재(130)로 올라온 동물이 횡단부재(110)의 양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통과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탈부착수단은, 상기 횡단부재(110)의 양측에 형성된 난간부재(152) 양단에 형성된 수직홈 형태의 결합요홈부(156)를 형성하여, 이 결합요홈부에 통로차단부재(154)의 양측 프레임(154a)이 삽입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수로관이 시설된 관로에서도 생태통로가 요구되는 장소라면 수로관 중 어느 곳에서라도 설치가 용이하여 수로관 설치 시 예측하지 못하였거나, 생태통로가 구비되지 않았던 기존의 수로관으로 개구리, 오소리, 족제비 및 너구리 등의 동물이 낙하되었을 때 탈출통로 또는 이동통로가 용이하게 제공되도록 하여 생태가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수로관의 깊이, 용수의 유속에 따라 통로부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로관의 바닥면으로부터 동물이 오르는 경사각을 비교적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특히, 용수의 유량이 많아 유속이 빨라질 경우 용수의 흐름에 순응하여 통로부재가 회동 또는 부상할 수 있게 함으로써, 용수의 흐름이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빠른 유속에 의해 통로부재와 횡단부재의 연결부분에 과부하가 작용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오랜 사용을 이루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용 가변형 탈출유도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용 가변형 탈출유도장치가 기존의 수로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절결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용 가변형 탈출유도장치가 수로관에 설치된 후 용수의 양이 적거나 흐름이 일반적일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용 가변형 탈출유도장치가 수로관에 설치된 후 용수의 양이 많거나 유속이 빨라질 때 통로부재가 회동 또는 부상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용 가변형 탈출유도장치는 판상의 횡단부재(110)와 판상의 통로부재(130)로 구성되며, 횡단부재(110)는 수로관(100)의 양측 벽체(104a)(104b) 상단을 가로지르도록 설치고정되고, 통로부재(130)는 횡단부재(110)에 결합되어 수로관(100)의 바닥면(102)까지 연장되는 구성이다.
즉, 상기 횡단부재(110)의 양단은 수로관(100)의 벽체 상단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볼트(106)로 고정설치됨으로써, 수로관(100)에 의해서 단절된 생태계가 연결되는 생태통로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횡단부재(110)의 전단 또는 후단에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부재(130)를 설치하는바, 상기 통로부재(130)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관(100)을 흐르는 용수의 흐름방향에서 후방에 설치되어 용수의 흐름에 따라 통로부재(130)가 회동 또는 부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통로부재(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32)과 하판(136)으로 분리하고, 상기 하판(136)이 상판(132)을 따라 슬라이딩된 후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로부재(1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상판(132)의 하부 양측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제1조절공(134)이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이때, 상기 제1조절공(134)은 등간격으로 이격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하판(136)의 상부 양측면에도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제2조절공(138)을 형성하되, 상기 제2조절공(138)은 하판(136)이 승하강하면서 길이를 조절함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제1조절공(134)과, 그리고, 이 제1조절공(134)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또 다른 제1조절공(134)과 일치되게 하여야 하므로, 상기한 다수 개의 제1조절공(134)은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겠다.
여기서, 상기 하판(136)에 형성된 일측 제2조절공(138)과 타측 제2조절공(138)의 길이는 상판(132)에 형성된 일측 제1조절공(134)과 타측 제1조절공(134)의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조절공(134)의 외측면으로 제2조절공(138)이 포개어질 수 있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조절공(134)과 제2조절공(138)이 포개어진 상태로 일치되면, 제2조절공(138)과 제1조절공(134)으로 제1고정볼트(140)를 삽입관통시키고, 반대편으로 관통돌출되는 제1고정볼트(140)에는 제1고정너트를 체결하여 하판(136)이 상판(132)에 결합되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하판(136)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제2조절공(138)이 형성되도록 하여 이 두 개의 제2조절공(138)이 모두 제1조절공(134)과 일치되도록 한 후 제1고정볼트(140)와 제1고정너트로 체결함으로써, 상판(132)에 결합된 하판(136)이 결합부위를 중심으로 회전하거나 회동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용 가변형 탈출유도장치는, 상기한 통로부재(130)가 횡단부재(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수로관(100)을 흐르는 용수의 양 또는 유속에 의해 회동 또는 부상하도록 하는 통로부재(130)의 결합수단을 제공한다.
상기한 통로부재(130)의 결합수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부재(110)의 전, 후단 중 어느 하나에는 제1회전공(112)이 횡방향으로 형성된 제1회전부(114)를 형성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부(114)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인접배치되도록 통로부재(130)의 상판(132) 상단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회전부(144)를 형성하되, 이 제2회전부(144)에는 제1회전공(112)과 대응되도록 횡방향으로 제2회전공(142)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에서는 횡단부재(110)에는 두 개의 제1회전부(114)가 형성되고, 통로부재(130)의 상판(132)에는 적어도 세 개의 제2회전부(144)만 도시되었으나, 이러한 방법 및 구조는 상황에 따라 횡단부재(110)에 적어도 두개 이상의 제1회전부(114)를 형성시키고, 이와 대응되도록 통로부재(130)의 상판(132)에는 하나 이상의 제2회전부(144)만을 형성하여 이들이 적절히 조합되어 회동 또는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상기 제1회전부(114)와 제2회전부(144)의 개수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채택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횡단부재(110)와 통로부재(130)의 상판(132) 상단에 형성된 제1회전부(114)와 제2회전부(14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것이므로, 일종의 요철결합과 유사한 구조 또는 배치로 이들을 근접배치시킨 후, 일측으로부터 회전축(148)을 삽입관통시켜 그 끝단을 제2고정너트(150)로 체결고정시킴으로써, 결합구조가 완성된다.
상기한 회전축(148)은 일단에 제1회전공(112) 또는 제2회전공(142)의 내경보다 큰 외경의 머리부(148a)가 형성되어 잇으며, 타단에는 나사부(148b)가 형성되어 상기한 바와 같이 제2고정너트(150)가 체결될 수 있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제1회전부(114)와 제2회전부(144) 사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46)를 삽입시켜, 상기 회전축(148)이 탄성부재(146)의 중심공을 관통한 후 제1회전부(114)나 제2회전부(144)로 관통삽입되게 한다.
즉, 상기 회전축(148)은 제1회전부(114)를 관통한 후 탄성부재(146)의 중심을 관통한 후 제2회전부(144)를 관통하거나, 제2회전부(144)를 관통한 후 탄성부재(146)의 중심을 관통한 후 제1회전부(114)를 관통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146)는 일단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되어 통로부재(130)의 저면으로 밀착배치되게 하며, 타단은 횡단부재(110)의 하단으로 밀착배치되도록 부분 절곡한 후 연장형성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146)는 통로부재(130)를 상향으로 항상 들어올리려 힘으로 탄력지지하고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146)의 탄성복원력의 수치는 수로관(100)을 흐르는 용수의 양 또는 유속 또는 통로부재(130)의 무게에 따라 설정되도록 하여 용수의 양이 증가하거나 유속이 빨라지면,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보다 수월하게 통로부재(130)가 회동 또는 부상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상기 수로관(100)을 흐르는 용수의 양이 적거나 유속이 느릴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부재(130)가 수로관(100)의 바닥면(102)에 닿아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관(100)을 흐르는 용수의 양이 많거나 유속이 빠를 경우에는 수로관(100)을 흐르는 용수에 의하여 통로부재(130)가 회전축(148)을 중심으로 회동하거나 부상하게 됨으로써, 용수의 흐름에 순응하여 용수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바와 같이 용수의 양이 많거나 유속이 빠를 경우 상기한 통로부재(130)가 회동하지 않고, 도 2와 도 3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면, 자칫, 수로관(100)을 흐르는 용수의 힘이 통로부재(130) 및 횡단부재(110)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결국, 앵커볼트(106)에까지 영향을 줄 수 있어 수로관(100)에 설치고정된 본 발명 수로관용 가변형 탈출유도장치의 결합력이 약화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횡단부재(110)의 상면과 통로부재(130)의 상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논슬립면으로 형성하여, 동물들이 수로관(100)을 탈출할 때,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횡단부재(110)의 상부와 통로부재(130)의 상부에는 낙하방지용 난간부재(152)를 기립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부재(130)가 결합되는 횡단부재(110)의 전단 또는 후단에는 난간부재(152)가 설치되지 않도록 하고, 통로부재(130)에도 수로관(100)의 벽체와 인접한 부분은 난간부재(152)를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크기가 큰 동물들도 통로부재(130)를 이용하여 오를 수 있도록 하되 난간부재(152)측으로는 통로부재(130)를 오르는 동물들이 낙하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횡단부재(110)의 상부에 형성된 난간부재(152)에는, 난간부재(152)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차단부재(154)를 설치하여 통로부재(130)로 올라온 동물이 횡단부재(110)의 양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통과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수로관(102)의 양측 중 어느 한 방향에는 도로가 있을 경우, 수로관(102)에서 통로부재(130)을 통해 횡단부재(110)으로 올라온 동물이 도로가 있는 방향으로 통행하게 될 경우, 자칫, 도로에 진입하여 자동차와 충돌함으로써, 대인, 대물에 대한 2차적 피해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도로에 진입한 동물은 생명이 위험하거나 치명적인 부상을 입게 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통로부재(130)으로 올라온 동물이 위험지역으로 이동 또는 통행하는 것을 방지하여 동물과 자동차 사람의 2차적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수로관(102)에 인접한 도로나 위험지역의 방향에 따라 횡단부재(110)의 양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의 차단이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변형되어야 할 필요성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상황에 따라 얼마든지 동물의 통행방향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횡단부재(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난간부재(152)에 탈부착수단을 부가하여 통로차단부재(154)를 가변적으로 설치 또는 설치해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상기 탈부착수단은, 상기 횡단부재(110)의 양측에 형성된 난간부재(152) 양단에 수직으로 홈 형태의 결합요홈부(156)을 형성하고, 이 결합요홈부(156)에 통로차단부재(154)의 양측 프레임(154a)이 삽입되게 한 것이다.
상기 통로차단부재(15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54a) 내측에 철망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다수 개의 프레임(154a) 내측에 다수 개의 내측 프레임을 부가구성할 수도 있고, 판상의 판재를 프레임(154a) 내측에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방법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형가능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채택변경할 수 있다.
뿐만 아이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탈부착수단을 결합요홈부(156)에 통로차단부재(154)의 프레임(154a)가 하향삽입됨으로써, 고정되는 구조를 일예로 제시하였으나, 이 또한, 다양한 방법으로 채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로차단부재(154)를 횡단부재(110)의 양단 중 어느 하나의 난간부재(152)에 형성된 결합요홈부(156)에 결합시키면, 통로차단부재(154)가 설치된 방향으로의 통행을 차단할 수 있게 되어 수로관(102)을 탈출한 동물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수로관 102 : 바닥면
104a : 일측 벽체 104b : 타측 벽체
106 : 앵커볼트 110 : 횡단부재
112 : 제1회전공 114 : 제1회전부
130 : 통로부재 132 : 상판
134 : 제1조절공 136 : 하판
138 : 제2조절공 140 : 제1고정볼트
142 : 제2회전공 144 : 제2회전부
146 : 탄성부재 148 : 회전축
150 : 제2고정너트 152 : 난간부재
154 : 통로차단부재 156 : 결합요홈부

Claims (6)

  1. 수로관(100)의 일측 벽체(104a) 상단과 타측 벽체(104b) 상단을 가로지르도록 앵커볼트(106)에 의해 양측 상단이 양측 벽체(104a)(104b) 상단에 설치고정되어 수로관(100)을 횡단할 수 있게 하는 판상의 횡단부재(110)를 포함하는 수로관용 가변형 탈출유도장치에 있어서,
    상기 횡단부재(110)의 전, 후단 중 어느 하나에 회동가능하도록 판상의 상판(132)이 결합되며, 이 상판(132) 하부 양측면에는 다수 개의 제1조절공(134)이 서로 이격형성되고, 판상으로 이루어진 하판(136)의 상부 양측면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제1조절공(134)과 일치되도록 제2조절공(138)이 이격형성된 판상의 통로부재(130)와;
    상기 제1조절공(134)과 제2조절공(138)으로 관통삽입되는 제1고정볼트(140)와;
    상기 제1조절공(134) 또는 제2조절공(138)으로 관통된 제1고정볼트(140)에 체결되는 제1고정너트와;
    상기 횡단부재(110)에 통로부재(130)를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통로부재(130)의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통로부재(130)의 결합수단은,
    상기 횡단부재(110)의 전, 후단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횡방향으로 제1회전공(112)이 형성된 제1회전부(114)와;
    상기 제1회전부(114)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인접배치되도록 통로부재(130)의 상판(132) 상단에 형성되며, 제1회전공(112)과 대응되도록 횡방향으로 제2회전공(142)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회전부(144)와;
    상기 제1회전부(114)에 인접배치되는 제2회전부(144) 사이에 배치되며, 일단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통로부재(130)의 상판(132) 저면에 밀착배치되고, 타단은 횡단부재(110)의 저면에 밀착배치되도록 부분절곡한 후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탄성부재(146)와;
    상기 제2회전부(144)와 탄성부재(146)와 제1회전부(114)를 관통하거나, 제1회전부(114)와 탄성부재(146)와 제2회전부(144)를 관통하며, 일단에는 제1회전공(112) 또는 제2회전공(142)보다 큰 외경의 머리부(148a)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나사부(148b)가 형성된 회전축(148)과;
    상기 제1회전부(114) 또는 제2회전부(144)를 관통한 회전축(148)의 나사부(148b)에 체결되는 제2고정너트(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용 가변형 탈출유도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부재(110)의 상면과 통로부재(130)의 상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논슬립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용 가변형 탈출유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부재(110)의 상부 양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부와 통로부재(130)의 상부 양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부에는 낙하방지용 난간부재(152)가 기립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용 가변형 탈출유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부재(110)의 상부에 형성된 난간부재(152)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통로차단부재(154)를 탈부착수단으로 설치하여 통로부재(130)로 올라온 동물이 횡단부재(110)의 양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통과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용 가변형 탈출유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수단은,
    상기 횡단부재(110)의 양측에 형성된 난간부재(152) 양단에 형성된 수직홈 형태의 결합요홈부(156)를 형성하여, 이 결합요홈부(156)에 통로차단부재(154)의 양측 프레임(154a)이 삽입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용 가변형 탈출유도장치.
KR1020160048721A 2016-04-21 2016-04-21 수로관용 가변형 탈출유도장치 KR101766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721A KR101766918B1 (ko) 2016-04-21 2016-04-21 수로관용 가변형 탈출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721A KR101766918B1 (ko) 2016-04-21 2016-04-21 수로관용 가변형 탈출유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6918B1 true KR101766918B1 (ko) 2017-08-25

Family

ID=59761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721A KR101766918B1 (ko) 2016-04-21 2016-04-21 수로관용 가변형 탈출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69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604A (ko) * 2018-09-07 2020-03-17 국립생태원 양서류 및 파충류의 수로 탈출 실험장치
KR102492556B1 (ko) * 2022-10-31 2023-01-27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탈부착이 용이한 생태수로 조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생태수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9631A (ja) * 2001-10-19 2003-05-08 Richell Corp 段差解消用スロープ
KR100677185B1 (ko) * 2006-01-25 2007-02-02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친환경 수로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9631A (ja) * 2001-10-19 2003-05-08 Richell Corp 段差解消用スロープ
KR100677185B1 (ko) * 2006-01-25 2007-02-02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친환경 수로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604A (ko) * 2018-09-07 2020-03-17 국립생태원 양서류 및 파충류의 수로 탈출 실험장치
KR102177254B1 (ko) * 2018-09-07 2020-11-10 국립생태원 양서류 및 파충류의 수로 탈출 실험장치
KR102492556B1 (ko) * 2022-10-31 2023-01-27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탈부착이 용이한 생태수로 조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생태수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10289A1 (en) Animal Proof Hooded Enclosure Systems for Power Substations and Methods of Maintaining an Animal Proof Domain
KR101766918B1 (ko) 수로관용 가변형 탈출유도장치
US20150021532A1 (en) Barrier fence assembly
US978401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stalling a livestock fence across a waterway
US2805046A (en) Collapsible guard fence
US20170241093A1 (en) Small stream fish ladder
KR200275255Y1 (ko) 동물침입방지책
US5947640A (en) Portable water conveyance assembly
US20210084887A1 (en) Animal-Proof Hooded Barrier, Related Enclosure Systems and Method of Maintaining an Animal-Proof Domain
CN105887779B (zh) 一种硬质化护坡弯曲渠道的生物逃生通道
KR101112426B1 (ko) 친환경 생태보호 기능을 갖는 수로관
KR101747423B1 (ko) 자립식 토석류 방지 구조물
KR101044808B1 (ko) 탈출로를 구비한 수로관
KR100772155B1 (ko) 친환경 동물 보호를 위한 이동통로를 갖는 배수로
US20110133144A1 (en) Portable cattle guard and method therefor
KR200395563Y1 (ko) 배수로의 생태통로
KR20110109375A (ko) 터널 형태의 동물이동통로
Longhurst Fences for controlling deer damage
CA2872406C (en) Beaver control device for use with a culvert pipe
KR100897685B1 (ko) 소형동물의 이동을 제한 유도하는 자연친화형 소형 휀스
KR20040053067A (ko)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
KR200392584Y1 (ko) 다단식 환경 수로관
EP2657403B1 (de) Stützteil für eine Stufe eines Fußweges im Außenbereich
KR200361750Y1 (ko)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
KR200238751Y1 (ko) 자연생태계를 고려한 수로용 콘크리트 제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