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7185B1 - 친환경 수로관 - Google Patents

친환경 수로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7185B1
KR100677185B1 KR1020060007932A KR20060007932A KR100677185B1 KR 100677185 B1 KR100677185 B1 KR 100677185B1 KR 1020060007932 A KR1020060007932 A KR 1020060007932A KR 20060007932 A KR20060007932 A KR 20060007932A KR 100677185 B1 KR100677185 B1 KR 100677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member
waterway
escape
water pipe
ec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7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007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71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수로관에 관한 것으로서, 깊이(높이)와 폭을 갖는 통로가 벽부와 바닥부에 의해 형성된 수로관과, 상기 수로관에서 동물이 탈출할 수 있도록 벽부에 경사진 탈출로가 형성된 친환경 수로관에 있어서, 상기 탈출로 옆의 수로관에는 동물을 탈출로로 유도하는 차단부재가 수로관의 폭에 대응하게 설치되되, 상기 차단부재는 탈출로와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수로관에 존재하는 파충류나 양서류 등의 동물이 그 이동방향에 관계없이 인접한 탈출로로 탈출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생태계파괴를 최소화하는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친환경, 수로, 수로관, 배수로, 파충류, 양서류, 동물, 탈출

Description

친환경 수로관{drainage pipe for animal}
도 1은 종래에 적용된 친환경 수로관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다른 예에 따른 친환경 수로관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수로관을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수로관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수로관을 도시한 측단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수로관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H : 수로관의 깊이(높이)
W : 수로관의 폭
t : 차단부재의 설치높이
1000 : 수로관 1100 : 벽부
1200 : 홈부 1210 : 탈출구
1300 : 탈출로 1400 : 바닥부
2000 : 차단부재 2100 : 프레임
2110 : 장공 2200 : 난간부
2300 : 고정나사 2400 : 부싱
본 발명은 친환경 수로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이 유입 또는 배수되는 배수로의 수로관에서 파충류 및 양서류 등의 동물이 수로관으로부터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 수로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이 유입 또는 배수되는 배수로에는 양서류 혹은 파충류 등의 동물이 탈출할 수 있도록 탈출구가 형성된 친환경 수로관가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설치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친환경 수로관의 일예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2467호의 생태계 보호용 수로관이 제안되었고, 이를 첨부도면 도 1에 도시하였다.
첨부도면 도 1은 종래에 적용된 친환경 수로관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태계 보호용 수로관은 용수로, 경지정리, 밭기반 정비사업의 용,배수로 각종 재질의 수로관에 한쪽 또는 양쪽의 경계벽(2) 내측에 홈통(3)을 설치하고, 이 홈통(3)에 일정 폭의 미끄럼방지로 무늬, 주름을 갖는 탈출로(4)를 비스듬하게 설치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생태계 보호용 수로관은 개구리, 뱀 등의 동물이 수로관에 빠질 경우, 탈출로(4)를 통해 탈출할 수 있으므로 생태계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생태계 보호용 수로관은, 수로관에 빠진 동물들이 홈통(3)을 찾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동물들이 탈출로(4)를 통해 탈출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탈출로(4)를 통해서 탈출한 동물이 A구역에서 B구역으로 건너 이동할 경우 수로관이 존재함으로써 A구역에서 B구역으로의 이동이 불가능하였다.
또, 수로관에서 동물이 휴식을 취하고자 할 경우, 수로관의 내부에 그늘이 형성되지 못하므로 인해 동물이 보다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없었다.
한편,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개선된 친환경 수로관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16485호에 개시되었고, 이를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6에 걸쳐 도시하였다.
첨부도면 도 2는 종래의 다른 예에 따른 친환경 수로관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있어서, 부호 10은 지면에 묻혀 물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수로관으로서, 깊이(높이)가 H로 이루어지고 폭이 W로 이루어진 통로가 벽부(11)와 바닥부(12)에 의해 콘크리트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수로관(10)의 벽부(11)에는 양서류 등의 동물들이 상기 수로관(10)으로부터 탈출할 수 있는 탈출구(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탈출구(13)의 단부에는 상기 수로관(10)에 빠진 양서류 등의 동물들이 상기 탈출구(13)를 지나치지 않도록 상기 탈출구(13)로 양서류 등의 동물을 유도하는 탈출유도수단(20)이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탈출유도수단(20)은, 상기 수로관(10)에 빠진 양서류 등의 동물이 상기 탈출구(13)를 지나침이 없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수로관(10)을 흐르는 물이 원활하게 흐르도록 고무 등의 재질로 상기 수로관(10)의 높이방향으로 절결되어서 형성된 커튼부재(21)와, 상기 커튼부재(21)가 상기 수로관(10)에 설치되도록 상기 커튼부재(21)의 상단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수로관(10)의 상단에 폭방향으로 걸려진 지지부재(22)와, 상기 지지부재(22)가 상기 수로관(10)에 유동됨이 없이 고정되도록 상기 지지부재(22)의 양단부를 수용하여 상기 벽부(11)의 상면에 고착된 한쌍의 고정부재(23)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고정부재(23)는 상기 지지부재(22)를 상기 벽부(11)의 상면에 고착 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22)를 수용하는 수용부(231)와, 상기 수용부(231)로부터 연장되어 절곡되어서 상기 벽부(11)의 상면에 면접촉되는 고정부(232)와, 상기 고정부(232)가 상기 벽부(11)에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부(232)를 통과하여 상기 벽부(11)에 억지 삽입되는 앙카부(233)로 이루어진다.
한편, 부호 30은 상기 탈출유도수단(20)에 의해 탈출구(13)를 통과한 양서류 등의 동물들이 상기 수로관(10)으로부터 탈출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 탈출로로서, 오물등이 적치될 경우 오물등이 빗물에 의해 자연적으로 쓸려내려가도록 상단부의 폭이 최대의 폭(T)으로 이루어지고 하단부의 폭이 최소의 폭(t)으로 이루어져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점 통로의 폭이 좁아지게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탈출로(30)는, 오물등이 빗물의 유속에 의해 쓸려내려가 상기 탈출구(13)를 통과한 양서류 등의 동물들이 오물등에 의해서 장애받음이 없이 보다 용이하게 통과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점 통로의 폭이 좁아지게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탈출로(30)의 상단부에는, 상기 탈출로(30)를 통과한 양서류 등의 동물이 물기가 없는 건조한 장소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제1레스트에리어(40, rest area)가 형성되어 있다.
즉, 부호 40은 상기 탈출로(30)를 통과한 양서류 등의 동물이 물기가 없는 곳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상기 탈출로(30)와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물이 고임이 없도록 다수의 배수구(41)가 형성된 제1레스트에리어이다.
또, 상기 배수구(41)에는 양서류 등의 동물의 발이 빠짐이 없도록 흙이 충진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1레스트에리어(40)와 상기 탈출로(30)의 경계부에는 상기 제1레스트에리어(40)에 존재하는 흙등이 상기 탈출로(30)로 유입됨이 없도록 단턱부(42)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레스트에리어(40)에 접하는 상기 수로관(10)에는, 상기 제1레스트에리어(40)에서 휴식을 취한 양서류 등의 동물이 상기 수로관(10)을 건너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통로(50)가 구비되어 있다.
또, 상기 이동통로(50)의 양측에는 양서류 등의 동물이 상기 수로관(10)을 건너 이동할 경우 상기 수로관(10)으로 낙하됨이 없도록 평탄부(51)가 돌출되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로(50)와 상기 수로관(10)에는, 상기 이동통로(50)가 상기 수로관(10)에 설치될 경우 용이하고도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결속부재(60)가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결속부재(60)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돌기(61)와 하부돌기(62)와 지지부(63)가 일체로 형성되어서, 상기 이동통로(50)의 하면에 드릴로 구멍을 형성시키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수로관(10)의 벽부(11)의 상면에 드릴로 구멍을 형성시킨 후 상기 상부돌기(61)를 상기 이동통로(50)의 구멍에 삽입시키고 상기 하부돌기(62)를 상기 벽부(11)의 구멍에 삽입시키면 상기 이동통로(50)가 상기 수로관(10)에 견고하고도 용이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또, 상기 이동통로(50)에 대응되는 상기 수로관(10)의 바닥부(12)에는, 상기 수로관(10)에 존재하는 양서류 등의 동물들이 상기 이동통로(50)에 의해 형성되는 그늘에 의해서 콘크리트와 같은 인공물에 접함이 없이 흙과 같은 자연에 접하여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흙 등의 자연물이 수납되는 제2레스트에리어(70)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2레스트에리어(70)는 상기 수로관(10)의 바닥부(12)에 웅덩이 형태의 홈을 형성시켜서 흙 등과 같은 자연물을 수납시킴으로써 양서류 등의 동물이 콘트리트와 같은 인공물에 접함이 없이 자연물에 접하여 보다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다른 예에 의한 친환경 수로관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상기 이동통로(50)를 상기 수로관(10)에 설치할 경우 상기 이동통로(50)의 하면에 드릴로 구멍을 형성시키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수로관(10)의 벽부(11)의 상면에 드릴로 구멍을 형성시킨 후 상기 결속부재(60)의 상기 상부돌기(61)를 상기 이동통로(50)의 구멍에 삽입시키고 상기 결속부재(60)의 상기 하부돌기(62)를 상기 벽부(11)의 구멍에 삽입시키면 상기 이동통로(50)가 상기 수로관(10)에 설치됨으로써 누구나가 용이하고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 상기 이동통로(50)의 하부에는, 흙 등과 같은 자연물이 수납되는 상기 제2레스트에리어(70)가 형성됨으로써 양서류 등의 동물이 상기 이동통로(50)에 의 해 형성되는 그늘 아래에서 흙 등과 같은 자연물에 접하여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로관(10)을 탈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탈출구(13)의 단부에 상기 탈출유도수단(20)이 설치되어서 양서류 등의 동물을 상기 탈출구(13)를 보다 용이하게 유도하여 동물들이 상기 탈출구(13)를 찾지못하는 어려움을 방지함으로써 편리성을 보다 배가시킬 수 있다.
또, 상기 탈출로(30)는 오물등이 적치될 경우 오물등이 빗물에 의해 자연적으로 쓸려내려가도록 상단부의 폭이 최대의 폭(T)으로 이루어지고 하단부의 폭이 최소의 폭(t)으로 이루어져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점 통로의 폭이 좁아지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탈출구(13)를 통과한 양서류 등의 동물들이 오물등에 의해서 장애받음이 없이 보다 용이하게 상기 탈출로(30)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출로(30)의 단부에는 배수구(41)가 형성된 상기 제1레스트에리어(4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탈출로(30)를 통과한 양서류 등의 동물이 물기가 없는 상기 제1레스트에리어(40)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되어 양서류 등의 동물을 보다 편안하게 휴식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제1레스트에리어(40)에 접하는 상기 수로관(10)에는 상기 수로관(10)을 건너 이동할 수 있는 상기 이동통로(50)가 구비되어 양서류 등의 동물은 원하는 장소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다른 예에 따른 친환경 수로관에는 수로를 가로막 는 커튼부재가 일정한 무게를 갖는 고무재질로서 탈출로의 일단에 수직하게 늘어진 채로 설치되기 때문에, 탈출로측에서 이동 중이던 파충류나 양서류 등의 동물은 앞에 가로 막혀진 커튼부재에 의해 더 이상의 진행이 어려움을 인지하여 탈출로측으로 우회하여 이동할 수 있지만, 전술한 경우의 반대방향으로 역행 중이던 동물은 오히려 커튼부재가 탈출로를 막고 있는 경우가 되므로 인해 탈출로를 가까이 두고서도 왔던 수로를 되돌아가서 전술한 바와 같이 멀리 있는 다른 탈출로를 통해 탈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친환경 수로관에는 일정한 무게를 갖는 고무재질의 커튼부재가 수로의 상면에서 하면까지 수로의 전 높이와 폭에 걸쳐 축늘어진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흐르는 물과 같이 이동된 이물질 즉 나뭇잎이나 토사 등이 커튼부재의 상,하부에 지속적으로 침전되어 쌓이게 됨으로써 원활한 물의 흐름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침적된 이물질이 썩어 악취가 발생되고, 특히 우기나 홍수시에는 침적된 이물질에 의해 물이 자주 넘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로관의 수로를 가로막는 차단부재를 수로보다 낮게 경사지게 설치하고 조절가능하게 함으로써 수로의 어느 방향에서 이동 중이던 파충류나 양서류 등의 동물이 수로관을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 수로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의 흐름을 저해하지 않고 물과 같이 흘러 이동된 이물질이 차단부재에 침적되지 않고 계속 흐를 수 있도록 한 친환경 수로관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이 다른 목적은, 경사진 차단부재를 통해 수로관상에 형성된 그늘에서 동물이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 수로관을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친환경 수로관은, 깊이(높이)와 폭을 갖는 통로가 벽부와 바닥부에 의해 형성된 수로관과, 상기 수로관에서 동물이 탈출할 수 있도록 벽부에 경사진 탈출로가 형성된 친환경 수로관에 있어서, 상기 탈출로 옆의 수로관에는 동물을 탈출로로 유도하는 차단부재가 수로관의 폭에 대응하게 설치되되, 상기 차단부재는 탈출로와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단부재의 상단부에는 수로관의 바닥부와 평행한 난간부가 탈출로의 입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부재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격자상으로 형성되고, 수로관의 높이보다 낮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는 수로관의 바닥부와 1㎝ 이하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부재는 그 양측단의 프레임을 관통하는 고정나사를 통해서 수로관의 벽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되, 상기 프레임에는 관통된 고정나사가 슬라이딩 되는 장공이 천공되어 차단부재의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수로관을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수로관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수로관을 도시한 측단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수로관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친환경 수로관(100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벽부(1100)와 바닥부(1400)에 의해 깊이(높이)(H)와 폭(W)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벽부(1100)의 일측에는 벽부(1100)로부터 연장되어 외향 돌출된 홈부(1200)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1200)에는 탈출로(1300)가 형성된다.
상기 탈출로(1300)는 홈부(1200)의 일단 상부에서 홈부(1200)의 바닥부(본 바닥부는 수로관의 바닥부와 동일하다)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탈출로(1300)와 홈부(1200)의 타단부 사이에는 동물이 홈부(1200)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된 탈출구(1210)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수로관(1000)에는 동물의 탈출로(1300)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차단부재(2000)가 구성된다.
상기 차단부재(2000)는 직사각형 형태의 연질플라스틱 재질로서 물이 그 면 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격자 즉 메쉬형태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차단부재(2000)는 상기 탈출로(1300) 옆의 수로관(1000)에 수로관(1000)의 폭(W)에 대응한 폭으로서 설치되어 동물을 탈출로(1300)측으로 유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수로관(1000)에 설치된 차단부재(20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출로(1300)와 반대방향으로 대략 45도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는, 상기 차단부재(2000)의 양방향에서 이동해 오던 동물을 탈출로(1300)로 자연스럽게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도 10의 "A→B" 방향으로 이동 중인 동물은 자연스럽게 수로관 홈부(1200)의 탈출구(1210)로 유도하고, "B→A" 방향으로 이동 중인 동물은 완만한 차단부재(2000)를 타고 후술하는 난간부(2200)를 통해 탈출로(1300)로 직접 유도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경사진 차단부재(2000)를 통해 수로관(1000)의 수로가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효과도 누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된 차단부재(2000) 하부의 바닥부(1400)에는 그늘이 형성되어, 수로관(1000)에 존재하는 동물이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차단부재(2000)는 그 양단부에 금속재질의 프레임(2100)이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2100)의 상,하부에는 프레임(21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천공된 장공(21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부재(2000)의 장공(2110)에는 고정나사(2300)가 관통되고, 이 고정나사(2300)는 수로관(1000)의 벽부(1100) 내측면에 나사 결합된다.
즉, 상기 수로관(1000)의 벽부(1100) 내측면에는 드릴로서 구멍을 형성한 후,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의 부싱(2400)을 구멍에 억지끼움시켜 결합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수로관(1000)의 벽부(1100)에 고정된 부싱(2400)에 고정나사(2300)를 나사 결합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결합된 고정나사(2300)를 소정량 풀어낸 후, 차단부재(200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차단부재(2000)의 설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조절 후에는 고정나사(2300)를 다시 부싱(2400)에 체결하면 수로관(1000)상에 차단부재(2000)가 다시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 차단부재(2000)는 그 상단부에 수로관(1000)의 바닥부(1400)와 평행한 난간부(2200)가 탈출로(1300)의 입구방향 즉 탈출구(1210) 방향으로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차단부재(2000)의 난간부(2200)를 통해서 도 10의 "B→A" 방향으로 이동 중인 동물이 안전하게 탈출로(1300)로 넘어가 탈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수로관(1000)에 설치된 차단부재(2000)는 그 높이(h)가 수로관(1000)의 높이(H)보다 낮게 설치되어, 물 위에 떠 이동되는 나뭇잎 등의 이물질이 차단부재(2000)에 걸리지 않고 그대로 흘러 떠내려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부재(2000)는 수로관(1000)의 바닥부(1400)와 1㎝ 이하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전술한 장공(2110)에 의해서 장공(2110)의 길이만큼 상,하로 이동되면서 바닥부(1400)와의 이격거리를 조절하게 됨으로써 차단부재(2000)에 의한 토사의 침적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차단부재(2000)의 설치높이(h)를 수로관(1000)의 최소 수로 높이(H)가 대략 45㎝ 인 점을 감안하여 15㎝ 로 설치한 것을 그 일례로 설명하나, 이는 수로관(1000)의 수로 높이(H)를 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친환경 수로관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최소 45㎝ 의 높이(H)를 갖는 수로관(1000)에 차단부재(2000)를 설치할 경우에는 차단부재(2000)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대응한 수로관(1000)의 벽부(1100) 내측에 드릴로서 구멍을 형성한다.
이후, 벽부(1100)에 형성된 구멍에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부싱(2400)을 억지끼움으로 삽입시켜 결합한다.
이후, 연질플라스틱재의 차단부재(2000)를 수로관(1000) 내부로 가져가 벽부(1100)에 삽입 고정된 부싱(2400)에 차단부재(2000)의 프레임(2100)에 천공된 각각의 장공(2110)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고정나사(2300)를 장공(2110)을 통해 부싱(2400)에 체결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된 차단부재(2000)는 45도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그 높이는 수로의 바닥부(1400)로부터 15㎝ 가 되며, 그 하단부는 수로관(1000)의 바닥부(1400)와 대략 1㎝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차단부재(2000)와 수로 바닥부(1400)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해 수로를 흐르는 물이 그 흐름에 방해받지 않고 흐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설치된 차단부재(2000) 하부의 바닥부(1400)에는 그늘이 형성되어, 수로관(1000)에 존재하는 동물들이 그늘 아래서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되어, 수로관(1000)에서 동물의 말라 죽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치된 차단부재(2000)에 의해서 수로관(1000)에 존재하는 파충류나 양서류 등의 동물들이 탈출구(1210)나 탈출로(1300)를 보다 용이하게 찾아 탈출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10을 참조하여 보면, 차단부재(2000)를 기준으로 "A→B" 방향으로 이동 중인 동물은 차단부재(2000)와 일단의 벽부(1100)로 인해 장애받아 수로가 막혀 있음을 인지하고 장애물이 없는 탈출구(1210)측으로 우회하여 탈출로(1300)를 통해 수로관(1000) 밖으로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0의 "B→A" 방향으로 이동 중인 동물은 완만하게 경사진 차단부재(2000)를 타고 계속 이동하여 차단부재(2000) 상단부의 난간부(2200)에 도달하게 되고 난간부(2200)를 따라 안전하게 인접한 탈출로(1300)를 통해 수로관(1000) 밖으로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수로관(1000)의 물이 불어나 수로관(1000)의 수위가 차단부재(2000)를 넘는 경우에는, 차단부재(2000)와 수로관(1000)의 높이 차로 인해서 물의 넘침이 방지되면서 물 표면에 떠서 이동되는 나뭇잎이나 물풀 등의 이물질은 차단부재 (2000)를 지나 계속 흘러가게 되므로 이물질의 침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차단부재(2000)는 수로관(1000)의 바닥부(1400)와 평상시에는 1㎝ 이하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물의 흐름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동물의 통행을 방해하고, 물이 불어나 유속이 빨라질 경우에는 토사가 쓸려 내려옴을 감안하여 고정나사(2300)를 풀러 차단부재(2000)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바닥부(1400)와의 이격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쓸려 내려오는 토사의 침적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친환경 수로관에 의하면, 수로관의 수로에 대응한 폭으로서 수로관보다 낮은 높이로, 수로관의 바닥부와는 이격되게 설치된 차단부재에 의해, 수로관에 존재하는 파충류나 양서류 등의 동물이 그 이동방향에 관계없이 인접한 탈출로로 탈출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생태계파괴를 최소화하는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그리고, 물의 흐름을 저해하지 않고 물과 같이 흘러 이동되는 이물질의 침적을 미연에 차단하여 이물질의 부패 및 악취발생을 방지하여 친환경적이다.
또한, 수로관에 차단부재에 의한 그늘이 형성되어 그 그늘 아래서 동물들이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친환경적이다.

Claims (5)

  1. 깊이(높이)와 폭을 갖는 통로가 벽부와 바닥부에 의해 형성된 수로관과, 상기 수로관에서 동물이 탈출할 수 있도록 벽부에 경사진 탈출로가 형성된 친환경 수로관에 있어서,
    상기 탈출로 옆의 수로관에는 동물을 탈출로로 유도하는 차단부재가 수로관의 폭에 대응하게 설치되되, 상기 차단부재는 탈출로와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수로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의 상단부에는 수로관의 바닥부와 평행한 난간부가 탈출로의 입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수로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격자상으로 형성되고, 수로관의 높이보다 낮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수로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수로관의 바닥부와 1㎝ 이하로 이격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수로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그 양측단의 프레임을 관통하는 고정나사를 통해서 수로관의 벽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되, 상기 프레임에는 관통된 고정나사가 슬라이딩되는 장공이 천공되어 차단부재의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수로관.
KR1020060007932A 2006-01-25 2006-01-25 친환경 수로관 KR100677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7932A KR100677185B1 (ko) 2006-01-25 2006-01-25 친환경 수로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7932A KR100677185B1 (ko) 2006-01-25 2006-01-25 친환경 수로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7185B1 true KR100677185B1 (ko) 2007-02-02

Family

ID=38105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7932A KR100677185B1 (ko) 2006-01-25 2006-01-25 친환경 수로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718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414B1 (ko) 2008-03-07 2010-09-10 임태승 친환경 수로관
KR100981411B1 (ko) 2008-03-07 2010-09-10 임태승 수로관용 생태계 보호장치
KR100981417B1 (ko) 2008-03-07 2010-09-10 임태승 친환경 수로관
KR101078041B1 (ko) * 2009-03-28 2011-10-31 신우산업개발 주식회사 각도 가변형 이동로가 구비된 생태보호 수로관
KR101766918B1 (ko) * 2016-04-21 2017-08-25 케이씨테크주식회사 수로관용 가변형 탈출유도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414B1 (ko) 2008-03-07 2010-09-10 임태승 친환경 수로관
KR100981411B1 (ko) 2008-03-07 2010-09-10 임태승 수로관용 생태계 보호장치
KR100981417B1 (ko) 2008-03-07 2010-09-10 임태승 친환경 수로관
KR101078041B1 (ko) * 2009-03-28 2011-10-31 신우산업개발 주식회사 각도 가변형 이동로가 구비된 생태보호 수로관
KR101766918B1 (ko) * 2016-04-21 2017-08-25 케이씨테크주식회사 수로관용 가변형 탈출유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7185B1 (ko) 친환경 수로관
US4815888A (en) Swimming pool drain
KR100846420B1 (ko)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
KR100983466B1 (ko)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
US6393632B1 (en) End cap coping for a swimming pool
WO2014136095A1 (en) Lamellar roof
US7748170B1 (en) Bulkhead floor drain
KR101046036B1 (ko) 안전어도
US5275721A (en) Swimming pool super-skimmer
KR100516485B1 (ko) 친환경 수로관
US8657344B2 (en) Adjustable assembly for a drain inlet
JP6220638B2 (ja) 橋梁路面及び床版上の雨水を排水する排水装置
KR102015523B1 (ko) 친환경 식생형 배수로 장치
KR200316297Y1 (ko) 친환경 수로관
KR100564921B1 (ko) 하수도관 맨홀
KR20130092841A (ko) 교면 배수구조를 갖는 배수로
US20190138034A1 (en) Water leveling and filtering system
US11761191B2 (en) Outdoor drain filter with flood protection
KR200497638Y1 (ko) 소형동물 탈출장치가 구비된 사각 집수정
JP4249692B2 (ja) 水路構造体
KR100878507B1 (ko)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KR100747155B1 (ko) 보행자 통로확보를 위한 공동주택용 옹벽 전면배수덮개
KR101741014B1 (ko) 배수로에서 배수 촉진장치
KR101271047B1 (ko) 선박용 배수로 덮개
KR100707722B1 (ko) 하천연안의 이물질 차단 및 배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