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390Y1 - 수로관용 생태보호구 - Google Patents

수로관용 생태보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390Y1
KR200441390Y1 KR2020070006740U KR20070006740U KR200441390Y1 KR 200441390 Y1 KR200441390 Y1 KR 200441390Y1 KR 2020070006740 U KR2020070006740 U KR 2020070006740U KR 20070006740 U KR20070006740 U KR 20070006740U KR 200441390 Y1 KR200441390 Y1 KR 2004413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cape
horizontal member
waterway
waterway pip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67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에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에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에코텍
Priority to KR20200700067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3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3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3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로관에 설치하는 생태계 보호구에 관한 것으로 수로관의 양측벽 상면에 가로방향으로 좌우로 난간을 갖고 설치되는 수평 부재와; 이 수평부재의 저부 양쪽으로 형성된 걸림턱 중 한쪽의 걸림턱과 당접되는 상태로 "
Figure 112008034023778-utm00016
"자형 결합홈에 의해 수평부재의 저면으로 결합 고정되는 탈출부재와; 이 탈출부재의 양측으로 형성한 다단식 경사 탈출로와; 그 중앙과 하단에 각각 어소구을 구비하고 저면 양측으로 돌설된 끼움돌기는 수로관의 바닥면 일측으로 요설한 끼움홈에 끼움되어 수로관의 일측벽 내면으로 긴밀하게 밀착되어 설치되는 상기의 탈출부재와 수평부재는 수로관의 이음부위는 물론 기타 수로관의 중간부위에도 임의로 고정핀과 고강도의 무수축 몰탈로 충진시켜 현장에서 직접 간단한 작업으로 설치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생태계 보호구를 제공한다
생태계 보호구, 수평부재, 탈출부재, 충진공, 고정핀, 충진홈, 안내홈, 결합홈, 끼움돌기, 끼움홈, 걸림턱, 난간

Description

수로관용 생태보호구{Ecology care apparatus for waterway}
도 1은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도 1의 A-A선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도 1의 B-B선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탈출부재가 수평부재에 조립 구성되는 요부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w, w' - 수로관 100 - 생태계 보호구
10, 10' - 난간 12, 12' - 양측벽
12a, 12a' - 상면 A - 수평부재
B - 탈출부재 14, 14' - 걸림턱
16, 16' - 다단식 경사 탈출로 18, 18' - 끼움돌기
20, 20' - 어소구 22 - "
Figure 112008034023778-utm00002
" 자형 결합홈
24, 32, 32' - 충진공 24', 34, 34' - 충진홈
26, 26' - 고강도 무수축 몰탈 28, 28' - 안내홈
30 - 이음부위 p, p' - 고정핀 36 - 바닥면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을 수로관에 서식하는 상당수의 생태 동물들을 보호하기 위한 생태계 보호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수로관으로 흐르는 농수(農水)의 유수방향에 구애됨이 없이 다단식 경사로가 좌우로 형성된 탈출부재를 상기 수로관의 양측벽 상면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부재의 일측 저부로 고정핀과 고강도의 무수축 몰탈로 충진 결합시켜 수로관의 일측벽 내면으로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수평부재의 양단부는 수로관의 양측벽 이음부위의 상면으로 안착고정시켜 역시 고정핀과 고강도의 무수축 몰탈로 충진시켜 현장에서 직접 조립시공하는 수로관용 생태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수로관용 생태계 보호구는 많은 종류의 것들이 등록되어 있고, 그 중에는 실제로 시공현장에서 조립하여 시공하고 있는 제품들도 상당수에 이루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생태계 보호구들은 그 어느 것이나 수로관에서 서식하는 모든 생태계의 동물들이 용이하게 수로관으로부터 탈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수로관으로 흐르는 농수(農水)가 만수(滿水)일 경우에도 양서류나 파충류와 같은 생태동물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생태게 보호구들의 구조는 대부분이 그 어느 것이나 수평부재와 탈출부재를 수로관에 설치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있기는 하지만 그 종류가 다양하여 일일이 이에 대한 장단점을 모두 설명할 수는 없지만 더욱 분명한 것은 필히 수로관의 양측벽 상면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수평부재와 수로관 내의 바닥에서 생태 동물들이 안전하게 상기 수평부재를 통하여 육지로 탈출할 수 있도록 수로관의 양측 내벽면에 일체로 상기 수평부재와 연결되는 다단식으로 경사진 탈출 부재를 구성하는 수단과, 또 상기 탈출부재를 막대형(□각목)으로 형성하여 그 일단은 수평부재의 측면으로 형성한 걸림홈에 걸리게 하고 다른 일단은 수로관 바닥에 닿게 하여 양측 벽면에 당접된 상태로 설치하는 구성의 것들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수평부재의 경우는 수로관의 양측벽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보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그 저면에 걸림턱이 걸리는 상태로 설치되지만 수로관으로 농수(農水)가 만수(滿水)상태로 흐를 경우 수로관의 상부로 수평부재가 간혹 부상(浮上)할 수 있기 때문에 수평부재는 물론 탈출부재의 존립성(存立性)도 안전히 유지하기가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이들을 시공하는데도 많은 시간과 인건비는 물론 유지보수에 따른 경제성도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특히 기존의 생태계 보호구는 서식하는 양서류나 파충류의 종류가 많을 경우에는 탈출부재를 수평부재의 양쪽으로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또한 수로관으로 흐르는 농수의 유수방향에 따라 탈출부재를 선택적으로 설치해 주어야 하는 위치 선정에 구애받지 않도록 상기 수평부재의 좌우 난간으로 탈출부재의 일단이 걸릴 수 있는 괘지 수단을 가지는 형태로 수평부재와 탈출부재를 성형제작시켜 주어야 하였기 때문에 제작단가도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구나 수로관을 통해 만수 상태로 흐르는 농수의 압력이 미미한 상태이더라도 상술한 바와 같은 수평부재가 수로관의 양측벽 상면에 고정되지 않고 그대로 걸쳐진 상태에서는 부상현상(浮上現狀)은 물론 수로관으로 흐르는 농수의 압력으로 양측벽이 외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수로관의 균열 및 이음부위로 나타나는 간극현상(間隙現狀)을 초래함으로 해서 수로관을 전체적으로 보수해주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하여 왔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본 고안의 수로관용 생태계 보호구는 수로관의 양측벽 상면에 가로방향으로 얹혀지는 수평부재와 이 수평부재의 저부 일측으로 좌우가 다단식 경사 탈출로로 형성된 탈출부재를 고정핀과 고강도의 무수축 몰탈로 고정하되, 이 탈출부재의 중앙과 하단에 각각 원형 및 "
Figure 112008034023778-utm00017
" 형상의 어소구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탈출부재의 저면 양측은 수로관의 바닥면 일측으로 요설된 끼움홈에 끼움 고정될 수 있는 끼움돌기를 돌설하고 상기 탈출부재를 통해 탈출하는 파충류나 양서류 등이 수평부재로 용이하게 진입하여 육지로 탈출할 수 있도록 이와 일치하는 수평부재의 좌우 난간부에 안내홈을 요설하여 탈출부재의 "
Figure 112008034023778-utm00018
"자형 결합홈에 의해 수평부재의 저부로 탈출부재가 결합 구성되는 생태계 보호구를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주목적이 있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구성의 생태계 보호구는 탈출부재의 "
Figure 112008034023778-utm00019
"자형 결합홈의 충진홈과 일치하는 수평부재의 충진공을 통해 고정핀을 삽착하고 고강도의 무수축 몰탈로 충진 고정시켜 줌과 동시에 수로관과 수로관의 양측벽 이음부위의 상면으로 요설된 충진홈과 일치하는 수평부재의 양단부로 천공된 충진공을 통해 고정핀을 삽착하고 고강도의 무수축 몰탈로 충진 고정시켜 수로관의 양측벽 상면에 가로 방향으로 얹혀진 수평부재가 만수상태로 흐르는 농수에 의해 부상하면서 수로관을 이탈하는 일이 없도록 견고히 연결 고정되게 한 구성의 생태계 보호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통상의 수로관 내에서 서식하는 파충류나 양서류 등의 동물들이 용이하게 육지로 탈출할 수 있는 생태계 보호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좌우로 난간을 가지고 수로관의 양측벽 상면에 가로 방향으로 얹혀지는 수평부재의 저부로 걸림턱의 일단은 일측벽 상면의 내측으로 걸리게 하고, 타단은 좌우가 다단식 경사탈출로로 형성된 탈출부재를 저면으로 결합시켜 탈출부재의 "
Figure 112008034023778-utm00020
"자형 결합홈으로 뚫린 충진홈과 일치하는 수평부재의 바닥으로 뚫린 충진공으로 고정핀을 삽착하고 고강도의 무수축 몰탈로 충진시켜 탈출부재를 수평부재의 타단 저면으로 구성하고, 또한 수로관과 수로관의 양측벽 이음부위의 상면으로 요설된 충진홈과 일치하는 수평부재의 충진공으로 고정핀을 삽착하고 여기에도 고강도의 무수축 몰탈로 충진하여 수평부재를 설치하여 주게 되면, 상기의 탈출부재는 양측벽 중 일측벽 내면으로 긴밀하게 밀착되고 저면 양측으로 돌출된 탈출부재의 끼움돌기는 수로관의 바닥면 일측으로 요설된 끼움홈으로 끼움됨에 따라 수로관에서 탈출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 상태를 더욱 견고히 하게 되고, 또 탈출부재의 중앙과 하방으로 형성된 어소구에 의한 어군의 생태와 서식 및 산란은 물론 탈출로를 통한 동물들이 용이하게 수평부재로 진입하여 육지로 탈출할 수 있도록 탈출로가 위치하는 수평부재의 좌우난간으로 안내홈을 요설하여 구성된 생태계 보호구를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을 수로관(w)(w')에 조립하여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 요부를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의한 본 고안의 생태보호구(100)는 좌우로 난간(10)(10')을 가지고 수로관(w)(w')의 양측벽(12)(12') 상면(12a)(12a')에 가로 방향으로 얹혀지는 수평부재(A)와, 상기 수평부재(A)의 저부에 양측으로 걸림턱(14)(14')을 형성하되, 일측의 걸림턱(14)은 일측벽(12)의 상면(12a) 내측으로 걸리게 하고, 타측의 걸림턱(14')에는 좌우가 다단식 경사 탈출로(16)(16')로 형성되고, 저면 양측과 하방 및 중앙에 끼움돌기(18)(18')와 어소구(20)(20')가 마련된 탈출부재(B)와 상기 탈출부재(B)의 "
Figure 112008034023778-utm00021
"자형 결합홈(22)을 수평부재(A)의 저부로 결합하여 상기 결합홈(22)의 상면 중앙으로 요설된 충진홈(24')과 일치하는 수평부재(A)의 충진공(24)을 통해 고정핀(p)을 삽착하고, 여기에 고강도의 무수축 몰탈(28)을 충진하여 탈출부재(B)가 수로관(w)(w')의 일측벽(12') 내면으로 긴밀하게 밀착되는 상태로 결합 구성된다.
한편, 상기 수평부재(A)의 좌우 난간(10)(10')에는 이의 저부로 결합된 탈출부재(B)의 탈출로(16)(16')와 같은 폭의 안내홈(28)(28')이 요설되며, 또한 수로관(w)과 수로관(w')의 양측벽(12)(12') 이음부위(30)의 상면(12a)(12a')에는 상기 수평부재(A)의 양측부로 천공된 충진공(32)(32')과일치하는 충진홈(34)(34')이 요설 됨에 따라 위와 같이 고정핀(p')을 충진공(32)(32')을 통해 삽착하고, 여기에도 고강도의 무수축 몰탈(26')로 충진하되, 수로관(w)(w')의 바닥면(36)에는 상기 탈출부재(B)의 저면 양측으로 돌출된 끼움돌기(18)(18')가 끼움 고정되어 지는 끼움홈(18a)(18a')을 요설한 구조로 미설명부호 38은 수로관(w)(w')을 설치할 때 깔아주는 기초석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먼저 본 고안의 설치상태나 이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통상의 수로관(w)(w')은 성형을 할 때 이음부위(30)의 바닥면(36)에는 탈출부재(B)의 저면 양측으로 돌설된 끼움돌기(18)(18')가 끼움되는 끼움홈(18a)(18a')과 또 양측벽(12)(12') 상면(12a)(12a')에 수평부재(A)를 고정핀(p')과 고강도의 무수축 몰탈(26')로 충진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충진홈(32)(32')을 요설한 상태로 성형 제작된다.
한편, 상기 수로관(w)(w')의 양측벽(12)(12'), 상면(12a)(12a')에 가로 방향으로 얹혀지는 수평부재(A)는 좌우로 난간(10)(10')을 갖고 그 저부에 양단으로 형성된 걸림턱(14)(14') 중 일단의 걸림턱(14)은 수로관(w)(w')의 일측벽(12)의 상면(12a) 내측으로 걸리게 하고 타단의 걸림턱(14')에는 좌우가 다단식 탈출로(16)(16')로 형성되고 그 상부로 형성된 "
Figure 112008034023778-utm00022
"자형의 결합홈(22)이 상기 수평부재(A)의 걸림턱(14')과 접하는 상태로 수평부재(A)의 저면으로 결합 됨에 따라 탈출부재(B)가 수로관(w)(w')의 일측벽(12) 내면으로 긴밀하게 밀착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탈출부재(B)는 서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저면 양측으로 돌출된 끼움돌기(18)(18')가 수로관(w)(w')의 바닥면(36)으로 요설된 이음부위(30)의 끼움홈(18a)(18a')에 끼움 됨은 물론이고, 이와 더불어 상기 탈출부재(B)의 중앙과 하방으로 형성된 어소구(20)(20')에 의해 수로관(w)(w')으로 농수가 흐를 때는 어군의 생태와 서식 및 산란 등을 유도하기 위한 기능도 부여하고 있다.
그리고 수평부재(A)의 저부로 형성된 "
Figure 112008034023778-utm00023
"자형의 결합홈(22)에 의해 결합 된 탈출부재(B)의 탈출로(16)(16')는 이와 같은 폭의 안내홈(28)(28')이 수평부재(A)의 좌우 난간(10)(10')으로 요설되어 있어서 탈출로(16)(16')을 타고 올라온 양서류나 파충류 등의 동물들이 용이하게 수평부재(A)를 통해 육지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이렇게 수평부재(A)의 저부로 결합된 탈출부재(B)의 "
Figure 112008034023778-utm00024
"자형 결합홈(22)에는 그 상면 중앙으로 요설된 충진홈(24')과 일치하는 수평부재(A)의 충진공(24)을 통해 먼저 고정핀(p)을 삽착시킨 다음 그 주위를 고강도의 무수축 몰탈(26)로 충진 응고시켜 고정된 상태로 탈출부재(B)의 저면 양측이 바닥면(36)의 끼움홈(18a)(18a')으로 끼움되어 지는 끼움돌기(18)(18')에 의해 설치되어짐에 따라 수로관(w)(w')으로 만수상태의 농수가 흐르더라도 탈출 부재(B)나 수평부재(A) 및 수로관(w)(w')의 이음부위(30)가 들뜨거나 벌어지지 아니하여 장기적으로 시공상태를 그대로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시켜 주게 된다.
이와 같은 안전성을 더욱 확고히 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는 수로관(w)(w')의 양측벽(12)(12'), 상면(12a)(12a')에 이음부위(30)를 기준으로 그 양쪽으로 충진홈(34)(34')과 일치하는 수평부재(A)의 양측부로 뚫린 충진공(32)(32')을 통해 고정핀(p')을 삽착하고, 그 주위를 고강도의 무수축 몰탈(26')으로 충진시켜 수로관(w)(w')의 이음부위(30)를 고정하고 있어서 만수상태의 농수가 흐를 때의 양측벽(12)(12')의 내면에서 바깥쪽으로 가해지는 압력은 물론 반대로 바깥쪽에서 내면으로 가해지는 충격에도 수로관(w)(w')을 안전하게 견고히 보지(保持)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수평부재(A)와 탈출부재(B)의 설치는 반드시 수로관(w)(w')의 각 이음부위(30)에만 한정하여 설치하는 것이 아니고 필요에 따라 이음부위(30)가 아닌 수로관(w)(w')의 어느 한 중간에도 임의로 설치가 용이하도록 탈출부재(B)의 저면으로 돌출된 끼움돌기(18)(18')가 정확히 끼움 고정될 수 있는 위치로 끼움홈(18a)(18a')을 수로관(w)(w')의 바닥면(36)으로 요설하여 줌도 가능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로관용 생태계 보호구를 제공함에 있어서, 수로관의 상면에 가로 방향으로 얹혀지는 수평부재와 이 수평부재의 저부 일측으로 결합되어 수로관의 양측벽 중 일측벽의 내면으로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탈출부재와 이 탈출부재의 좌우로 형성된 다단식 탈출로와 그 중앙과 하방으로 어소구가 마련되고 저면 양측의 끼움돌기를 수로관의 바닥면으로 요설한 끼움홈에 끼움되게 한 구성에 의해 시공현장에서 용이하게 간단한 조립 작업으로 짧은 시간 내에 수로관용 생태계 보호구를 설치하는 경제적인 효과와 수로관의 각 이음부위를 탈출부재와 수평부재로 고정시켜 줌으로써 장기간에 걸쳐 이음부위가 벌어질 수 있는 경우를 안전하게 방지하여 수로관의 설치 상태나 생태계의 보호 및 유지를 오래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수로관의 양측 벽의 내외 면으로 가해지는 그 어떤 압력이나 충격에도 수로관의 변형을 초래하지 아니하여 수로관과 생태계의 보호 및 유지 보수작업에 별로 어려움이 없기 때문에 수로관 내에서 서식하는 어군은 물론, 파충류나 양서류와 같은 많은 종류의 동물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더욱이 기존의 탈출부재에서는 존재하고 있지 아니한 어소구를 탈출부재의 중앙과 하방에 형성하여 상기와 같은 동물들의 생태계뿐만 아니라 어군의 서식과 산란효과도 부여할 수 있고, 또한 농수가 어느 방향으로 흐르더라도 이에 구애됨이 없이 탈출부재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이점을 제공하고 있다.
삭제
삭제

Claims (3)

  1. 수로관용 생태계 보호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좌우로 난간을 가지고 수로관의 양측벽 상면에 가로 방향으로 얹혀지는 수평부재와; 이 수평부재의 저부 양측으로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 중 일측의 걸림턱으로 끼움 결합되는 "
    Figure 112008034023778-utm00025
    "자형의 결합홈을 가지고 좌우로 형성된 경사진 다단식 탈출로와 저면 양측으로 끼움돌기가 돌설되고 중앙과 하방에 각각 어소구를 구비하는 상태로 상면은 상기 수평부재의 일측으로 결합되고 저면은 수로관의 바닥면 일측으로 요설한 끼움홈에 끼움돌기가 끼움되면서 수로관의 일측벽 내면으로 긴밀하게 밀착 설치되는 탈출부재로 이루어진 구성을 특징으로 한 수로관용 생태계 보호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부재의 "
    Figure 112008034023778-utm00026
    "자형 결합홈에는 상면 중앙으로 요설된 충진홈과 일치하는 수평부재의 충진공을 통해 고정핀을 삽착하고 그 주위를 고강도의 무수축 몰탈로 충진시켜 수평부재에 탈출부재가 더욱 견고히 결합 고정되어진 구성을 특징으로 한 수로관용 생태계 보호구.
  3. 삭제
KR2020070006740U 2007-04-24 2007-04-24 수로관용 생태보호구 KR2004413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740U KR200441390Y1 (ko) 2007-04-24 2007-04-24 수로관용 생태보호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740U KR200441390Y1 (ko) 2007-04-24 2007-04-24 수로관용 생태보호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390Y1 true KR200441390Y1 (ko) 2008-08-13

Family

ID=41640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6740U KR200441390Y1 (ko) 2007-04-24 2007-04-24 수로관용 생태보호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39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808B1 (ko) 2010-09-17 2011-06-29 주식회사 은성콘크리트 탈출로를 구비한 수로관
KR101424009B1 (ko) * 2012-06-19 2014-07-31 이성재 생태 이동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808B1 (ko) 2010-09-17 2011-06-29 주식회사 은성콘크리트 탈출로를 구비한 수로관
KR101424009B1 (ko) * 2012-06-19 2014-07-31 이성재 생태 이동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56350T3 (es) Valla de contención de animales y procedimiento de montaje
KR200441390Y1 (ko) 수로관용 생태보호구
KR200418039Y1 (ko) 거푸집 판넬의 연결조립부재
KR100870969B1 (ko) 비탈면 탈출 용배수로관
KR101373106B1 (ko) 야생동물 생태통로
KR101348219B1 (ko) 내진핀이 매설된 조립식 암거
JP4519673B2 (ja) 動物用箱罠
KR100981411B1 (ko) 수로관용 생태계 보호장치
KR100703609B1 (ko) 수생동물의 서식을 위한 하천제방의 옹벽
KR100651646B1 (ko) 배수로용 그레이팅
JP6368011B2 (ja) パイプ式ブレース材
KR101065261B1 (ko) 수로구조물과 그의 시공방법
KR200403155Y1 (ko) 도로용 비탈면 배수로 설치구조
KR200262024Y1 (ko) 침수방지 부력 구조를 갖는 가두리 양식장용 발판
KR200392584Y1 (ko) 다단식 환경 수로관
KR102141120B1 (ko) 해양시설용 발판 연결구
KR200263745Y1 (ko) 가두리양식장용 통로 파이프 연결구
KR200420332Y1 (ko) 낙석방지망 설치용 조립식 옹벽블록
KR100897685B1 (ko) 소형동물의 이동을 제한 유도하는 자연친화형 소형 휀스
KR200390488Y1 (ko) 배수로관
KR102162700B1 (ko)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
KR102038411B1 (ko) 사방용 블럭 조립체
KR100981414B1 (ko) 친환경 수로관
KR100467285B1 (ko) 하천저면의 생태보호시설
KR20090003423U (ko) 암거집 다발배수관용 연결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