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3784B1 - 동물이동통로로 사용되는 배수로 및 이를 구비하는 펜스 - Google Patents

동물이동통로로 사용되는 배수로 및 이를 구비하는 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3784B1
KR101053784B1 KR1020090047327A KR20090047327A KR101053784B1 KR 101053784 B1 KR101053784 B1 KR 101053784B1 KR 1020090047327 A KR1020090047327 A KR 1020090047327A KR 20090047327 A KR20090047327 A KR 20090047327A KR 101053784 B1 KR101053784 B1 KR 101053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side wall
fence
pillar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7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8741A (ko
Inventor
임상규
Original Assignee
㈜송림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림원 filed Critical ㈜송림원
Priority to KR1020090047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3784B1/ko
Publication of KR20100128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8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서류, 파충류와 같은 작은 동물의 이동 통로로 사용될 수 있는 배수로 및 이를 구비하며 아울러 야생 동물의 이동을 유도하는 울타리로 사용되는 펜스(fence)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통하여 생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일측에, 기둥과 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울타리가 결합될 수 있도록, 기둥의 하단이 삽입가능한 결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통하여 생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배수로; 배수로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길게 형성된 기둥; 및 그물형태로 이루어지고, 배수로 상측에서 기둥에 결합되는 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가 구비된 펜스가 제공된다.
동물이동통로, 배수로, 결합공, 펜스, 둔각

Description

동물이동통로로 사용되는 배수로 및 이를 구비하는 펜스{channel used as animal movement passage and animal protecting fen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야생동물의 서식에 적합한 구조를 제공하며 야생동물의 보호할 수 있는 배수로 및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야생동물의 이동통로로 사용되고 야생동물 보호용 울타리가 결합될 수 있는 배수로 및 이를 구비한 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야생동물이 서식하는 지역에 개설된 도로, 하천, 경작지 등의 주변으로는, 일반적으로 동물의 보호 및 유도 등을 위하여 주변을 따라 울타리가 설치된다.
이는 야생동물이 무단히 도로, 경작지 등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인데, 도로에 진입한 동물이 그 위를 지나는 차량에 치여 사망하는 로드킬(Road kill)과 같은 사고를 방지하고, 야생동물이 경작지 내로 진입하여 농작물을 훼손시키는 것을 차단하는 등, 야생동물에 의하여 유발되는 여러 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구조물이다.
야생동물이 서식하는 지역에 형성된 도로는, 동물들의 이동경로를 차단하게 되며, 이러한 환경에 무방비상태로의 노출은 동물의 사망에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야생동물의 도로 출연은 동물에게 위험한 상황일 뿐 아니라, 운전자에게도 지극히 위험한 상황이 될 수 있다.
야생동물에 의한 농작물 피해 사례는 해마다 속출하고 있으며, 농가의 피해규모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고속도로, 하천, 경작지 등의 주변으로는 울타리를 설치하여, 동물들이 무단히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별도로 구비된 이동통로를 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이동경로의 변경을 유도하고 있으며, 야생동물의 서식환경을 최대한 보존함과 아울러 주변 거주민들의 생활에 피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야생동물 서식지 주변으로는 위와 같은 울타리뿐 아니라, 배수로가 형성되어야 한다. 빗물 등이 원활히 배수되지 못하고 도로와 같은 통행로로 유입되어 고이는 경우에는 도로상황을 악화시키며 안전운전에 지장을 초래한다. 또한 빗물의 원활한 배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지반이 붕괴되는 등의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집중호우 시 배수의 곤란은 하천의 범람 및 주택가, 농경지 침수와 같은 큰 피해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 시설은 잘 정비되어 있어야 하며, 야생동물 서식지 주변도 예외는 아니다.
야생동물 서식지 주변에 형성되어야 하는 이러한 울타리, 배수로와 같은 구조물은 별개로 형성되어 있으며, 별도의 공정으로 설치되고 있다. 양자 모두 동일 한 지역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별도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공정이 번거롭고 설치비용이 상승할 뿐 아니라, 비교적 넓은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는 등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배수로의 경우 원활한 배수를 위하여 소정의 크기 이상으로 제작되고 있는데, 형성되는 골의 깊이가 비교적 깊게 형성되어 있어서, 작은 동물 등이 내부로 빠진 경우에 용이하게 탈출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 등, 야생동물의 생존에 부적당한 구조물로 작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배수로와 울타리가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시설물로 두 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설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야생동물의 서식환경에 적합한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는 것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통하여 생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일측에, 기둥과 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울타리가 결합될 수 있도록, 기둥의 하단이 삽입가능한 결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싱예에 따르면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통하여 생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배수로; 배수로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길게 형성된 기둥; 및 그물형태로 이루어지고, 배수로 상측에서 기둥에 결합되는 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가 구비된 펜스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첫째, 빗물 등의 배수에 사용되는 배수로와 야생동물이 도로, 농경지 등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네트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제조 및 설치비용을 절감시키고,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둘째, 배수로에서 바닥면과 제2측벽이 이루는 각을 크게 하여 배수로 내부로 진입한 동물이 쉽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셋째, 배수로에 바닥면과 상부면을 형성하고, 기둥이 바닥면과 상부면에 관통된 형태로 배수로에 결합되도록 하여, 양자간에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고 안정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넷째, 배수로에 상부면을 형성하여 배수로 내부로 진입한 작은 크기의 동물이 측벽을 통하여 기어오르거나 뛰어넘어 제한 지역으로 진입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다섯째, 결합공의 상단에 덮개판이 형성되도록 하여, 배수로만을 설치하더라도 결합공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울타리 결합시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여섯째, 덮개판을 주변과 일체로 형성하되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배수로의 제작 및 관리가 용이하며, 울타리의 결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일곱째, 펜스에서 배수로와 네트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하여 작은 동물들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10)는,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통 하여 생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일측에, 기둥(20)과 네트(30, net)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울타리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기둥(20)의 하단이 삽입가능한 결합공(15)이 형성된다.
본 발명인 배수로(10)는, 통상의 도로 주변에서 도로를 따라 설치되거나, 하천 농경지 주변 또는 산비탈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배수로(排水路, drainage canal)와 같이 배수가 필요한 곳이면 어디든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인 배수로(10)는 지면에 매설되어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인 배수로(10)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완전히 개구되어 어디에서나 제한 없이 주변의 물이 내부로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노출되지 않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내부 공간을 통하여 야생동물이 원활하게 이동하기 위해서는 전자의 경우가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상기 결합공(15)은 상기 기둥(20)이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울타리가 본 발명인 배수로(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둥(20) 및 네트(30)로 이루어진 울타리는, 동물이동을 유도하고 접근을 제한하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통상의 울타리를 말한다. 이러한 울타리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울타리를 이루는 상기 기둥(20)을 단순히 지면 아래에 매설되도록 하는 것 만으로는 부족하고, 상기 기둥(20) 및 네트(30)가 지면 상에서 견고하게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구성이 필요한데, 지면 아래에 울타리 기초 콘크리트(concrete)를 타설하거나 매설되도록 하고, 이러한 기초 콘크리트에 상기 기 둥(20)의 하단이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여 설치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10)는, 콘크리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면 아래에 매설되거나 상단이 지면에 노출되도록 이루어지므로, 이는 울타리의 기초 콘크리트와 같은 역할을 충분히 담당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울타리 설치를 위한 별도의 기초공사가 필요 없게 되어,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상기 결합공(15)은 상기 기둥(2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직경에 꼭 맞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울타리의 결합시, 보다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실리콘, 핫멜트와 같은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10)는, 일측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바닥면(11); 상기 바닥면(11)의 일측 단부에서 상측을 향하도록 일체로 연장형성된 제1측벽(12); 및 상기 바닥면(11)의 타측 단부에서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바닥면(11)과 둔각(鈍角)을 이루는 제2측벽(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측벽(12)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15)은 상기 제1측벽(12) 내부에 형성된다.
도 2에서 볼 때, 좌측에는 도로, 하천, 농경지 등이 위치하고, 우측에는 야생동물의 서식지역에 해당하는 형태로 본 발명인 배수로(10)가 설치됨을 전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10)는, 전체적인 형상이 상부방향 또는 상부 대각선 방향으로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에서 물이 수용되어 흘러가도록 하기 위하여 바닥면(11)과 측벽(12, 13)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배수로(10)는 상기 바닥면(11), 제1측벽(12), 제2측벽(13)의 3개의 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면(11)은 대체로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양측에 상기 제1측벽(12) 및 제2측벽(13)이 형성된다.
상기 제1측벽(12)은 상기 바닥면(11)의 일측 단부에서 연장형성된 부분이며, 상기 바닥면(11)에서 절곡형성된 형태를 이룬다. 상기 제1측벽(12)은 상기 기둥(20)이 고정결합되는 부분이며,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측벽(12)의 내부에는 상기 결합공(15)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이에 의하여 상기 기둥(20)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측벽(13)은 상기 바닥면(11)에서 상기 제1측벽(12)의 반대쪽에 형성되는데,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외측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2측벽(13)은 상기 바닥면(11)과의 사이에서 둔각(鈍角)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측벽(13)의 내측면은 굴곡지게 형성되거나, 다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통상의 배수로는, 원활한 배수를 위하여 소정의 크기 이상으로 형성되어야 하는데, 그 깊이가 30㎝ 이상, 대체로 40㎝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배수로에는 개구리와 같은 작은 동물들이 빠질 수 있으며, 상기 배수로의 벽이 비교적 높게 형성되어 내부에 빠진 동물들이 쉽게 빠져나올 수 없게 되 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수로(10)는 위와 같이, 내부로 진입한 동물들이 상기 제2측벽(13)의 경사면을 타고 용이하게 밖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제2측벽(13)이 이루는 면이 지면과 30° 내지 50° 정도의 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10)는, 상기 제1측벽(12)의 단부에서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바닥면(11)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면(14);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결합공(15)은, 상기 바닥면(11)과 상부면(14)에서,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동일선상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10)는, 천장을 형성하는 상기 상부면(14)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면(14)은 상기 제1측벽(12)의 단부에서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역시 절곡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면(14)은 대체적으로 상기 바닥면(11)과 대향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상부면(14)이 상기 바닥면(11)과 반드시 평행하도록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더라도 무방하다.
상기 상부면(14)은 본 발명인 배수로(10)의 천장을 형성하며, 배수로(10) 내부로 진입한 동물(개구리, 뱀과 같은 작은 동물)이 상기 제1측벽(12)을 타고 올라 가거나 뛰어넘어가려고 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수로(10) 내부로 진입한 동물은 자연스레 상기 제2측벽(13) 방향으로 빠져나가게 되며, 본 발명인 배수(10)로 단독으로 설치되더라도(기둥(20) 및 네트(30)가 결합되지 않고), 배수로(10)의 이러한 구조적인 특징에 의하여, 작은 동물들이 도로 등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바닥면(11)과 상부면(14)에는 결합공(15)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15)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에서 동일선상에 형성되어, 상기 기둥(20)이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둥(20)은 상기 바닥면(11)과 상부면(14)에서 수직하게 형성된 상기 결합공(15)에 삽입되어 본 발명인 배수로(10)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기둥(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측벽(12)의 내부에 삽입된 형태로 배수로(10)에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바닥면(11)과 상부면(14)에 결합되어 고정되게 된다. 상기 기둥(20)이 상기 제1측벽(12)에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해서는, 상기 제1측벽(12)이 상기 기둥(20)에 비하여 충분히 두껍게 형성되어야 하는데, 위와 같이 상기 바닥면(11)과 상부면(14)을 관통하는 형태로 결합되는 경우라면 이와 같은 조건은 필요 없게 된다.
상기 기둥(20)은 상기 바닥면(11)과 상부면(14)의 두 지점에서 결합되므로, 더욱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에 의하더라도 안정된 결합을 보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10)는, 상기 바닥면(11)과 제1측벽(12)의 연결부 및 상기 바닥면(11)과 제2측벽(13)의 연결부 주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보강부(1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10)에서, 상기 바닥면(11)과 상기 제1측벽(12), 제2측벽(13)이 연결되는 부분은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배수로(10)에 작용하는 하중이 집중되며, 이에 따라 파손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보강부(16)는 배수로(1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부분이며, 상기 바닥면과 제1측벽, 제2측벽의 연결부 각각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부(16)는 상기 제1측벽(12)과 상부면(14)이 연결되는 부분에서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b)는 A-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10)에서, 상기 결합공(15)의 상단에는, 상기 결합공(15)이 노출되지 않도록 폐쇄하는 덮개판(1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덮개판(17)은 주변과 일체로 형성되되 얇게 형성되어, 일측으로 압력을 가할 경우 주변과 분리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공(15)이 완전히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본 발명인 배수로(10)가 설치된 후, 상기 결합공(15)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이후 울타리 를 설치하는 경우 난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공(15)의 상단에는 상기 덮개판(17)이 결합되도록 하여,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덮개판(17)은 본 발명인 배수로(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별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덮개판(17)은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결합공(15)에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고 재사용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다.
상기 덮개판(17)은 본 발명인 배수로(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덮개판(17)은, 상기 덮개판(17)이 형성된 주변에 비하여 두께가 매우 얇게 형성되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덮개판(17)의 위 또는 아래 방향으로 충분한 압력을 가할 때, 상기 덮개판(17)의 테두리(결합부분)를 따라 하중이 집중하게 되며 균열이 발생하면서 배수로(10)에서 분리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덮개판(17)을 배수로(10)에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가 구비된 펜스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가 구비된 펜스(1)는,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통하여 생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배수로(10); 상기 배수로(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길게 형성된 기둥(20); 그물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수로(10) 상측에서 상기 기둥(20)에 결합되는 네트(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인 배수로가 구비된 펜스(1)는, 통상의 도로 주변에서 도로를 따라 설치되거나, 하천 농경지 주변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동물의 도로진입방지와 배수로의 역할을 겸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배수로(10)는 본 발명인 펜스에서 최하측에 형성되며, 지면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배수로(10)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의 형태로 이루이질 수 있으나, 주변의 물이 내부로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작 및 설치의 편의를 위하여 단면의 형상은 일정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수로(10)는, 전체적인 형상이 상부방향 또는 상부 대각선 방향으로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에서 물이 수용되어 흘러가도록 하기 위하여 바닥면(11)과 측벽(12, 13)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배수로(10)는 본 발명인 배수로가 구비된 펜스(1)가 견고한 구조물로서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지면상에서 안정된 구조로 설치되기 위하여 상당부분 지면 아래에 매설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주변의 물이 상기 배수로(10) 내부로 원활히 유입되도록 하기 위하여서도 상기 배수로(10)의 매설은 필요하게 된다. 그외 상기 배수로(10)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기둥(20)은 통상의 기둥(20)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네트(30)가 고정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둥(20)은 원기둥(20), 각기둥(20)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며, 판형상 또는 절곡된 판형상 등,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둥(20)은 하단이 상기 배수로(10)에 고정결합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배수로(10) 상측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기둥(20)은 상기 네트(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충분히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배수로(10)에 견고하게 결합되는데, 하단부가 상기 배수로(10)에 삽입된 형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둥(20)의 상기 배수로(10)에의 결합은, 더욱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상기 배수로(10)의 제작과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둥(20)의 길이는, 상기 네트(30)가 안정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면 충분하며, 상기 기둥(20)의 상단이 상기 네트(30)의 상단과 그 높이가 근사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네트(30)는 그물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둥(20)에 고정된다. 상기 네트(30)는 야생동물의 도로진입을 방지하는 직접적인 수단이 되며, 야생동물이 상측으로 뛰어넘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로 형성된다. 주변 서식동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약 1m이상의 높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인 배수로가 구비된 펜스(1)는, 배수 및 동물의 이동통로로 사용되는 상기 배수로(10)와 동물의 도로진입을 차단할 수 있는 상기 네트(30)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있어서, 하나의 구조물의 설치에 의하여 두 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기둥(20) 및 네트(30)가 지면 상에서 견고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의 구성을 추가하는 것이 아니라, 지면에 안정된 상태로 매설된 상기 배수로(10)가 그 역할을 담당하도록 하여, 울타리로서의 역할을 함과 동시 에 배수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중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7는 도 6에서 도시된 배수로가 구비된 펜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가 구비된 펜스(1)에서, 상기 네트(30)의 하단 모서리는 상기 배수로(10)의 상단에 근접하거나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네트(30)는 구조적으로 상기 배수로(1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배수로(10)와의 사이에서 간격이 없거나 매우 협소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로(10)와 상기 네트(30)와의 사이의 틈이 크게 벌어진 경우라면, 개구리, 뱀과 같은 작은 크기의 양서류, 파충류 등은 그 틈을 통하여 쉽게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야생동물의 도로진입 차단에 완벽을 기할 수 없으며, 충분한 보호에 미흡한 구조물에 해당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네트(30)의 하단 모서리는 상기 배수로(10)의 상단에 근접하거나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도 7에서 도시된 배수로가 구비된 펜스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가 구비된 펜스(1)에서, 상기 배수로(10)는, 일측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바닥면(11); 상기 바닥면(11)의 일측 단부에서 상측을 향하도록 일체로 연장형성된 제1측벽(12); 상기 바닥면(11)의 타측 단부에서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바닥면(11)과 둔각(鈍角)을 이루는 제2측벽(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가 구비된 펜스(1)에서, 상기 제1측벽(12)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둥(20)은 상기 제1측벽(12)에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도 8에서 볼 때, 좌측에는 도로, 하천, 농경지 등이 위치하고, 우측에는 야생동물의 서식지역에 해당하는 형태로 본 발명인 배수로가 구비된 펜스(1)가 설치됨을 전제한다.
상기 배수로(10)는 상기 바닥면(11), 제1측벽(12), 제2측벽(13)의 3개의 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면(11)은 대체로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양측에 상기 제1측벽(12) 및 제2측벽(13)이 형성된다.
상기 제1측벽(12)은 상기 바닥면(11)의 일측 단부에서 연장형성된 부분이며, 상기 바닥면(11)에서 절곡형성된 형태를 이룬다. 상기 제1측벽(12)은 상기 기둥(20)이 고정결합되는 부분이며,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둥(20)은 상기 제1측벽(12)의 일측면에 고정된 형태로 결합될 수 있으나,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상기 제1측벽(12) 내부에 삽입된 형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측벽(13)의 형태적 특징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가 구비된 펜스를 도시 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가 구비된 펜스(1)에서, 상기 배수로(10)는, 상기 제1측벽(12)의 단부에서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바닥면(11)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면(14);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기둥(20)은, 상기 바닥면(11)과 상부면(14)을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배수로(10)는, 상기 배수로(10)에서 천장을 형성하는 상기 상부면(14)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면(14)의 형상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상부면(14)은 상기 배수로(10)의 천장을 형성하며, 상기 배수로(10) 내부로 진입한 동물이 상기 제1측벽(12)을 타고 올라가거나 뛰어넘어가려고 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수로(10) 내부로 진입한 동물은 자연스레 상기 제2측벽(13) 방향으로 빠져나가게 되며, 상기 배수로(10)의 이러한 구조적인 특징에 의하여도 도로 등으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네트(30)와 더불어 동물 이동 차단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상기 바닥면(11)과 상부면(14)에는 결합공(15)이 형성되며, 상기 기둥(20)은 상기 결합공(15)에 삽입되어 상기 배수로(10)에 고정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둥(20)이 상기 제1측벽(12)의 일측면에 고정되거나 상기 제1측벽(12)의 내부에 삽입된 형태로 상기 배수로(10)에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결합공(15)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바닥면(11)과 상부면(14)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기둥(20)이 상기 제1측벽(12)에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해서는, 상기 제1측벽(12)이 상기 기 둥(20)에 비하여 충분히 두껍게 형성되어야 하는데, 위와 같이 상기 바닥면(11)과 상부면(14)을 관통하는 형태로 결합되는 경우라면 이와 같은 조건은 필요 없게 된다.
상기 기둥(20)은 상기 바닥면(11)과 상부면(14)의 두 지점에서 결합되므로, 견고한 고정이 보장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에 의하더라도 안정된 결합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를 구비한 펜스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른 배수로가 구비된 펜스(1)에서, 상기 배수로(10)는, 상기 바닥면(11)과 제1측벽(12)의 연결부 및 상기 바닥면(11)과 제2측벽(13)의 연결부 주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보강부(1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부(16)의 형상 및 특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b)는 A-A'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가 구비된 펜스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7은 도 6에서 도시된 배수로가 구비된 펜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도시된 배수로가 구비된 펜스를 도시한 단면도,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가 구비된 펜스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배수로가 구비된 펜스 10 : 배수로
11 : 바닥면 12 : 제1측벽
13 : 제2측벽 14 : 상부면
15 : 결합공 16 : 보강부
17 : 덮개판
20 : 기둥 30 : 네트

Claims (15)

  1. 일측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통하여 생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기둥과 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울타리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기둥의 하단이 삽입가능한 결합공이 형성되고,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바닥면;
    상기 바닥면의 일측 단부에서 상측을 향하도록 일체로 연장형성된 제1측벽;
    상기 바닥면의 타측 단부에서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바닥면과 둔각(鈍角)을 이루는 제2측벽; 및
    상기 제1측벽의 단부에서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바닥면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공은, 상기 바닥면과 상부면에서,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동일선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벽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은 상기 제1측벽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과 제1측벽의 연결부 및 상기 바닥면과 제2측벽의 연결부 주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보강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
  7.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의 상단에는, 상기 결합공이 노출되지 않도록 폐쇄하는 덮개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은 주변과 일체로 형성되되 얇게 형성되어, 일측으로 압력을 가할 경우 주변과 분리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
  9.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통하여 생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배수로;
    상기 배수로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길게 형성된 기둥; 및
    그물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수로 상측에서 상기 기둥에 결합되는 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배수로는,
    일측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바닥면;
    상기 바닥면의 일측 단부에서 상측을 향하도록 일체로 연장형성된 제1측벽; 및
    상기 바닥면의 타측 단부에서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바닥면과 둔각(鈍角)을 이루는 제2측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가 구비된 펜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의 하단 모서리는 상기 배수로의 상단에 근접하거나 밀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가 구비된 펜스.
  11. 삭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벽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둥은 상기 제1측벽에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가 구비된 펜스.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는,
    상기 제1측벽의 단부에서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바닥면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면;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가 구비된 펜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상기 바닥면과 상부면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가 구비된 펜스.
  15. 제 9, 10, 12, 13 및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는,
    상기 바닥면과 제1측벽의 연결부 및 상기 바닥면과 제2측벽의 연결부 주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보강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가 구비된 펜스.
KR1020090047327A 2009-05-29 2009-05-29 동물이동통로로 사용되는 배수로 및 이를 구비하는 펜스 KR101053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327A KR101053784B1 (ko) 2009-05-29 2009-05-29 동물이동통로로 사용되는 배수로 및 이를 구비하는 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327A KR101053784B1 (ko) 2009-05-29 2009-05-29 동물이동통로로 사용되는 배수로 및 이를 구비하는 펜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741A KR20100128741A (ko) 2010-12-08
KR101053784B1 true KR101053784B1 (ko) 2011-08-03

Family

ID=43505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7327A KR101053784B1 (ko) 2009-05-29 2009-05-29 동물이동통로로 사용되는 배수로 및 이를 구비하는 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37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671U (ko) 2014-11-10 2016-05-18 임미숙 밴드부재 부착형 친환경 펜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284Y1 (ko) 2001-03-21 2001-10-08 심석래 생태계 보호용 도배수로
JP2002013186A (ja) * 2000-06-30 2002-01-18 Yoshicon Co Ltd 側溝ブロック
KR100870969B1 (ko) * 2008-05-02 2008-12-01 합자회사 동서콘크리트 비탈면 탈출 용배수로관
KR100899037B1 (ko) * 2008-12-24 2009-05-21 이재복 블록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3186A (ja) * 2000-06-30 2002-01-18 Yoshicon Co Ltd 側溝ブロック
KR200236284Y1 (ko) 2001-03-21 2001-10-08 심석래 생태계 보호용 도배수로
KR100870969B1 (ko) * 2008-05-02 2008-12-01 합자회사 동서콘크리트 비탈면 탈출 용배수로관
KR100899037B1 (ko) * 2008-12-24 2009-05-21 이재복 블록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671U (ko) 2014-11-10 2016-05-18 임미숙 밴드부재 부착형 친환경 펜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741A (ko) 201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8368B1 (ko) 로드킬 가드 펜스
KR20200053079A (ko) 리프트형 홍수 방어벽
KR20140106092A (ko)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용 가드 휀스
US20150292170A1 (en) Barrier
US20100290842A1 (en) Ecological restoration block
KR200452739Y1 (ko) 로드킬차단가드레일
KR101053784B1 (ko) 동물이동통로로 사용되는 배수로 및 이를 구비하는 펜스
US11585081B2 (en) Border security barrier
KR100870969B1 (ko) 비탈면 탈출 용배수로관
KR101373106B1 (ko) 야생동물 생태통로
KR101087570B1 (ko) 생태통로유도벽
KR100578541B1 (ko) 산사면 사이 도로에 설치되는 동물이동대
KR101058340B1 (ko) 생태통로
KR101961440B1 (ko) 복합 맨홀 시스템
WO2017093582A1 (es) Cerramiento de seguridad para animales y personas en vías de comunicación y otros espacios
JP6072542B2 (ja) 害獣侵入防止装置
KR100523962B1 (ko) 건축용 옹벽 보호 시설물
KR100772155B1 (ko) 친환경 동물 보호를 위한 이동통로를 갖는 배수로
JP2004218269A (ja) スロープ付き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100897685B1 (ko) 소형동물의 이동을 제한 유도하는 자연친화형 소형 휀스
KR200497306Y1 (ko) 수로관 사이에 설치되는 소형동물 탈출장치
JP5326082B2 (ja) 害獣侵入防止用フェンス構造体
JP2005240363A (ja) 小動物保護用開架側溝部材
KR200395563Y1 (ko) 배수로의 생태통로
KR200497638Y1 (ko) 소형동물 탈출장치가 구비된 사각 집수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