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6583B1 - 어소를 겸용하는 생태계 보호용 수로 - Google Patents

어소를 겸용하는 생태계 보호용 수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6583B1
KR100336583B1 KR1020000021269A KR20000021269A KR100336583B1 KR 100336583 B1 KR100336583 B1 KR 100336583B1 KR 1020000021269 A KR1020000021269 A KR 1020000021269A KR 20000021269 A KR20000021269 A KR 20000021269A KR 100336583 B1 KR100336583 B1 KR 100336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boundary
waterway
storage groove
anim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1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7305A (ko
Inventor
이강협
Original Assignee
변광섭
합명회사 남부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광섭, 합명회사 남부산업 filed Critical 변광섭
Priority to KR1020000021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6583B1/ko
Priority to KR2020000011538U priority patent/KR200197750Y1/ko
Publication of KR20010097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7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6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65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로에 저류홈(貯溜溝) 및 경사로를 설치하여 수로 인근의 동물들이 수로의 내외부를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민물어류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환경 친화적인 생태계 보호용 수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좌우 양측의 한 쌍의 경계벽의 모두 또는 그 중의 어느 하나의 경계벽의 외측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외측벽을 설치하고, 이 외측벽과 인접하는 경계벽의 중하단 일부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수로의 바닥면의 일부에 저류홈(貯溜溝)을 설치하여 이 저류홈이 개구부를 통과하여 외측벽까지 연장되도록 하고, 외측벽과 이에 인접하는 경계벽의 사이에서 저류홈의 저면으로부터 외측벽 및 경계벽의 상단까지를 비스듬하게 뻗어나가는 무늬가 있는 경사로를 설치하고, 경계벽 상단에 V자 홈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계 보호용 수로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저류홈은 건조기에 동물들에 대한 식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할뿐만 아니라, 이 저류홈과 직접 연결된 경사로를 통하여 동물들이 수로로부터 빠져나가도록 탈출로를 안내하여 주는 역할도 할 수 있다.

Description

어소를 겸용하는 생태계 보호용 수로 {An Ecological Waterway for Ecosystem Protection Which Can Also Be Used as Fish Pool}
본 발명은 생태계 보호용 수로(水路)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로에 저류홈(貯溜溝) 및 동물들의 이동로를 설치하여 수로 인근에 서식하는 동물들의 수로 이동을 원활히 하며 또한 민물어류의 서식처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환경 친화적인 생태계 보호용 수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연제방은 파충류, 양서류 등의 수륙양생동물 또는 수서곤충들의 서식지로서 제공되며 인접지역으로 이동하는 통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하천 및 농수로 정비공사에서는 동물들의 이동통로 및 서식지의 역할을 하는 원만한 경사면을 이루는 자연제방을 파괴하고 주로 직강하된 콘크리트 경계벽을 갖는 수로가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자연제방을 파괴하고 설치되는 표준화되고 대량생산되는 조립형 수로 및 콘크리트에 의해 만들어지는 인위적 하천 제방은 수량의 안정적 공급이나 유수(流水)의 흐름만을 고려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인근의 동물들이 이동하기 위해서 수로를 통과할 경우 높은 경계벽에 의해 이동이 차단되거나 혹은 수로 내에 갇혀서 빠져 나오지 못하고 죽는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자연제방의 파괴로 인하여 이동통로가 차단됨으로써 수로 및 하천주변의 서식지가 파괴되고, 이동경로에 의해 형성되는 먹이사슬이 파괴되어 생태계 불균형의 문제가 심각하게 도출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생태친화적인 저류홈과 이동경사로를 설치하여 동물들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친화적인 생태계 보호용 수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로는, 좌우 양측의 한 쌍의 경계벽의 모두 또는 그 중의 어느 하나의 경계벽의 외측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외측벽을 설치하고, 이 외측벽과 인접하는 경계벽의 중하단 일부에 개구부를 형성하고,외측벽과 인접하는 경계벽의 중상단 일부에는 V자 홈을 형성하며, 상술한 한 쌍의 경계벽을 연결하는 바닥면의 일부에 저류홈(貯溜溝)을 설치하여 이 저류홈이 개구부를 통과하여 외측벽까지 연장되도록 하고, 외측벽과 이에 인접하는 경계벽의 사이에서 저류홈의 저면으로부터 외측벽 및 경계벽의 상단까지를 비스듬하게 뻗어나가는 경사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경사로의 표면은 주름이나 무늬 등을 표출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저류홈은 건조기에 동물들에 대한 식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동물들이 자연스럽게 저류홈내로 모여들게 하여 이 저류홈과 직접 연결된 경사로를 통하여 수로로부터 빠져나가도록 탈출로를 안내하여 주는 역할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측벽 사이의 공간부와 함께 민물어류들이 쉴 수 있는 서식처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수로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수로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의한 수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경계벽 11 : 수로바닥면
12 : 외측벽 13 : 경사로
14 : 저류홈 15 : 개구부
16 : V자 홈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수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수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수로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1단위의 수로관을 길이방향으로 계속 연결하여 설치하면 도 3에 나타난 형태의 수로가 완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수로는 좌우 양측의 경계벽(10)(10)과 이들 경계벽(10)(10)을 연결하는 바닥면(11)으로 구성되는 단순한 형태로 되어 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수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경계벽(10)(10)의 외측에 또 하나의 외측벽(12)(12)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경계벽(10)과 외측벽(12)의 사이에는 동물들이 이동할 수 있는 경사로(13)가 설치되어 있고, 경사로(13)의 상단은 경계벽(10) 및 외측벽(12)의 상단과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경사로(13)의 표면은 동물들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주름이나 무늬 등을 표출하여 울퉁불퉁하게 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수로의 바닥면(11)에는 저류홈(貯溜溝)(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저류홈(14)과 경계벽(10)이 맞닿는 부분은 개구부(15)로 되어 있으므로, 저류홈(14)은 경계벽(10)을 지나서 외측벽(12)까지 연장된다. 상술한 경사로(13)의 하단은 저류홈(14)의 저면과 맞닿아 있다.
이때, 저류홈(14)에 있어서 유수(流水)를 등지는 부분 및 유수와 정면으로 부딪치는 부분을 경사면으로 구성하면 유속에 의해 저류홈(14)에 모래나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즉, 저류홈(14)의 벽이 수직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유속에 의해 바닥면(11)으로 이동되는 모래 또는 이물질이 저류홈(14)에서 밖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저류홈(14)내에 쌓이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수를 등지는 부분을 경사면으로 하여 유수의 흐름을 유연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경사면으로 유수와 함께 이동되는 모래나 이물질 등이 저류홈(14)의 외부로 배출되기 위해서 유수와 정면으로 부딪치는 부분의 경사면을 상기 경사면보다 경사각을 작게 형성하면 유속에 의해 모래나 이물질 등이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저류홈(14)에는 유수의 양이 적을 때에도 물이 고여 있기 때문에 저류홈(14)은 민물어류들의 어소(魚巢) 역할을 담당할 수 있으며, 건조기에는 저류홈(14)이 동물들의 식수원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우기(雨期)에 유수의 흐름이 강하여질 때에는 어류가 서식지에서 떠내려가지 않기 위하여 유속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계벽(10)과 외측벽(12) 사이의 저류홈(14)으로 어류가 자연스럽게 모여들게 되어 어류의 피난처를 제공한다.
또한, 하천이나 수로를 통해 이동하는 몸집이 작은 파충류 및 양서류 등의 수륙양생동물과 수서곤충들은 생태학적으로 물과 상당한 친화력을 가지고 있는데, 만약에 저류홈(14)을 설치하지 아니하고 경사로(13)만을 설치하였을 경우에는 유수의 흐름이 없는 건조기에 동물들은 수로로부터의 탈출구(즉, 경사로)를 찾아내지 못하고 수로내에서 죽어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저류홈(14)은 건조기에 동물들에 대한 식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동물들이 물을 찾아서 자연스럽게 저류홈(14)내로 모여들게 하여 이 저류홈(14)과 직접 연결된 경사로(13)를 통하여 수로로부터 빠져나가도록 탈출로를 안내하여 주는 역할도 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외측벽(12)을 설치하지 아니하고 경계벽(10)의 내측면에 경사로(13)를 설치할 경우에는 경사로(13)의 한쪽이 개방되기 때문에 동물들이 경사로(13)를 따라 올라갈 때에 지속적으로 전방을 향하여 이동하지 아니하고 경사로(13)의 중간부에서 다시 수로를 향하여 뛰어내리거나 빠져버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경계벽(10)과 외측벽(12)의 사이에 경사로(13)를 설치함으로써 경사로(13)의 양측을 모두 차단하여 동물들이 이동하여야 할 방향을 유도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벽(10)의 상단에 V자 홈(16)을 만들어 주면, 많은 양의 유수가 흐를 경우에 유수가 V자 홈(16)을 통해 경계벽(10)과 외측벽(12)의 사이로 이동하기 때문에, 동물들은 유수를 따라 V자 홈(16)을 통과하여 경사로(15)의 중상부측에 직접 도달하게 됨으로써 손쉽게 수로로부터 빠져나갈 수가 있게 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의한 수로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수로는 좌우의 경계벽(10)(10)의 외측에 모두 외측벽(12)(12)을 설치하고 각각의 경계벽(10)(10)과 외측벽(12)(12)의 사이에 경사로(13)(13)을 설치한 형태의 것이지만, 도 4의 변형 실시예에 의한 수로는 좌우의 경계벽중의 어느 한쪽의 경계벽(10')의 외측에만 외측벽(12')을 설치하고 이에 따라 경사로(13')도 한쪽에만 설치되어 있는 형태이다. 도 4의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도 바닥면(11')에 저류홈(14')을 설치하고, 외측벽(12')이 설치되어 있는 경계벽(10')과 저류홈(14')이 맞닿는 부분에는 개구부(15')를 형성하며, 저류홈(14')은 개구부(15')를 통하여 외측벽(12')까지 연장되어서 저류홈(14')의 하부로부터 경계벽(10')과 외측벽(12')의 상단까지 경사로(13')가 설치되어 있는 것은 도 2에 있어서와 같다.
이와 같은 변형실시예에 의한 수로(도 4)에 의하여서도 도 2에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 2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수로는 경계벽, 외측벽 및 경사로를 별도로 제작한 후에 시공현장에서 조립하는 것이 경제적이며, 이때 시공현장의 자연조건 및 노폭 등에 따라 도 2의 형태로 혹은 도 4의 형태로 선택적으로 조립 시공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수로를 도 4의 형태로 시공할 때에는 외측벽(12') 및 경사로(13')가 한 쪽 방향으로만(예컨대, 수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바라보았을 때에 오른쪽으로만 혹은 왼쪽으로만) 설치되도록 하여줄 수도 있고, 혹은 경사로(13')가 수로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좌우 교호로 설치되도록 하여줄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로 인근의 동물들이 수로의 내외부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동물들이 수로내에서 죽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저류홈을 만들어 민물어류의 서식처를 제공함과 동시에 동물들의 식수를 공급하며, 우기뿐만 아니라 건조기에도 동물들을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로 인접지역의 생태계를 자연상태에 가깝게 보존할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좌우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경계벽과 이들 경계벽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바닥면으로 구성되는 수로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경계벽의 모두 또는 그 중의 어느 하나의 경계벽의 외측 일부분에 상기 경계벽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외측벽을 설치하고,
    상기 외측벽과 인접하는 경계벽의 중하단 일부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측벽과 인접하는 경계벽의 중상단 일부에 V자 홈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면의 일부에 저류홈(貯溜溝)을 상기 경계벽과 수직하게 만나도록 설치하여 상기 저류홈이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외측벽까지 연장되도록 하고,
    상기 외측벽과 이에 인접하는 경계벽의 사이에서 상기 저류홈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외측벽 및 경계벽의 상단까지를 비스듬하게 뻗어나가는 경사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소(魚巢)를 겸용하는 생태계 보호용 수로.
KR1020000021269A 2000-04-21 2000-04-21 어소를 겸용하는 생태계 보호용 수로 KR100336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1269A KR100336583B1 (ko) 2000-04-21 2000-04-21 어소를 겸용하는 생태계 보호용 수로
KR2020000011538U KR200197750Y1 (ko) 2000-04-21 2000-04-22 어소를 겸용하는 생태계 보호용 수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1269A KR100336583B1 (ko) 2000-04-21 2000-04-21 어소를 겸용하는 생태계 보호용 수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538U Division KR200197750Y1 (ko) 2000-04-21 2000-04-22 어소를 겸용하는 생태계 보호용 수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7305A KR20010097305A (ko) 2001-11-08
KR100336583B1 true KR100336583B1 (ko) 2002-05-24

Family

ID=19666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1269A KR100336583B1 (ko) 2000-04-21 2000-04-21 어소를 겸용하는 생태계 보호용 수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65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3883B1 (ko) * 1999-11-24 2004-01-07 상원개발산업주식회사 생태계 전체를 고려한 환경호안 및 수로의 구축방법
KR101001204B1 (ko) 2010-02-18 2010-12-15 상원개발산업주식회사 친환경 생태수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3883B1 (ko) * 1999-11-24 2004-01-07 상원개발산업주식회사 생태계 전체를 고려한 환경호안 및 수로의 구축방법
KR101001204B1 (ko) 2010-02-18 2010-12-15 상원개발산업주식회사 친환경 생태수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7305A (ko) 200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6583B1 (ko) 어소를 겸용하는 생태계 보호용 수로
KR200215908Y1 (ko) 생태계 보호 및 어소 겸용 수로
KR200197750Y1 (ko) 어소를 겸용하는 생태계 보호용 수로
KR100688895B1 (ko) 물고기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어도를 구성하는 방법
KR100721453B1 (ko) 어소 옹벽 겸용블럭 및 그 시공방법
KR100732405B1 (ko) 물고기의 이동이 용이한 이중어도의 구성방법
JP2017095860A (ja) 水路の構造体および水路
KR200277591Y1 (ko) 하천의 수중보용 어도장치
KR100607455B1 (ko) 하천수의 원활한 이용을 위한 수중보
KR102228790B1 (ko) 하천 보의 잠월류 어도
KR20080113147A (ko) 담수용 생태 수로관
KR200236284Y1 (ko) 생태계 보호용 도배수로
KR100684632B1 (ko) 어도시설물
KR100703609B1 (ko) 수생동물의 서식을 위한 하천제방의 옹벽
KR20090046362A (ko) 수문용 어도
KR100547001B1 (ko) 친환경적인 생태형 호안 블록 구조
KR200390488Y1 (ko) 배수로관
KR100678870B1 (ko) 배수로관
KR200418467Y1 (ko) 양서.파충류용 유도수로
JP2005282287A (ja) 水路式魚道ブロック
KR200236297Y1 (ko) 환경친화형 수로관
KR101387168B1 (ko) 하상용 세굴방지블록
KR200202467Y1 (ko) 생태계 보호용 수로관
KR20240059237A (ko) 조립식 수로관
KR20120040570A (ko) 관수로 타입 어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