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3883B1 - 생태계 전체를 고려한 환경호안 및 수로의 구축방법 - Google Patents

생태계 전체를 고려한 환경호안 및 수로의 구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3883B1
KR100413883B1 KR10-2000-0069409A KR20000069409A KR100413883B1 KR 100413883 B1 KR100413883 B1 KR 100413883B1 KR 20000069409 A KR20000069409 A KR 20000069409A KR 100413883 B1 KR100413883 B1 KR 100413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block
fish
environmenta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9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1859A (ko
Inventor
비케이코우
Original Assignee
상원개발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원개발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상원개발산업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10051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1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3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38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2Improving land use; Improving water use or availability; Controlling ero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 Revetment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호안블록은, 전면벽의 관통공은 횡장으로 하고, 자립해서 공적을 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합단벽 또는 가상 배면판의 제품으로 하면 공통의 블록천단에 야조의 영소도 외적으로부터 지키는 구조가 되며, 또한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는 생태계 전체를 고려한 환경호안 및 수로의 구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태계 전체를 고려한 환경호안 및 수로의 구축방법{The whole consider an ecosystem for environment revetment and the method for construction waterway}
본 발명은, 수중의 패류를 포함한 동식물과 언덕 위의 조류를 포함한 동식물의 생태계전체를 배려한 환경호안 및 수로의 구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콘크리트 제품에서 생태계를 고려한 제품에는, 어패류면 어패류, 화초의 식재면 화초의 식재, 야조의 생식이면 야조의 생식만을 생각한 제품은 있다.
그러나, 이것의 동식물, 특히 소어와 야조의 습성과 생태를 고려한 생태계 전체의 호안블록과 수로제품은 아니었다.
여기서, 본 발명자는, 자연의 혜택을 받는 산과 강이 있는 추전현의 농촌 산간부에서 태어나서 자라난 지역의 강과 수로에 생식하는 동식물의 일을 숙지하고, 더해서, 콘크리트 제품의 제조와 시공에 종사하면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를 다음과 같이 하게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법구배(표준 1:0.5)를 갖도록 하며, 수면이하는 전면합단벽(1)과 양측이 오목하게 생식공동부(5)가 형성된 중간합단벽(2)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면합단벽(1)의 중앙부와 모서리부에는 어패류(4)들이 상기 생식공동부(5)로 출입할 수 있으며, 외적 칩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높이 30~50㎜ 정도로 가로길이 150~180㎜ 정도 크기의 횡장관통공(3)이 형성된 콘크리트 표면의 석모양 환경형 블록(A)으로 시공하고,
수면 상부에서는 하부에는 콘크리트 표면의 석모양 환경형 블록(A)과 같은 구조의 파라펫활면블록(쌓임블록)(B)으로 시공하며, 호안의 상단은 수직높이 1.2m이상(보통 1.5 ~ 2.0m)으로 하고, 전면에는 참새, 딱따구리, 북방쇠박새, 박새 등의 야조(9)의 종류에 따라 빈 내부공간에 칸막이를 설치하고, 전면에는 새가 출입하는 관통공을 설치한 의목환테의 연결 의목의 영소(C)나 천연목의 단독영소(D-1, D-2)를 설치할 수 있는 파라펫활면블록(L형제품)(B)으로 시공하며, 상기 블록(A,B)의 전면 바닥에는 유속에 대응하는 질량으로 칸막이재(자연석이나 의석블록)(13)를 설치해서 수생식물(14)들이 번식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블록(A,B)의 배면에는 가상배면판(6)과, 이입재(역질토) 또는 콘크리트(7-1)로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계 전체를 배려한 환경호안과,
콘크리트 보통수로(E) 또는 낙차수로(어도부착)(F)의 하류단부에 심장수로(G)를 설치하고, 이 수로의 측벽저부에 어패류관통공(4-1)(천단을 원호로 하면 미적으로 좋다.)을 적어도 2개 이상(보통 2.0m 제품으로 3개로 중앙을 높인다)설치하며, 상기 어패류관통공(4-1)의 전면에는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칸막이재(13)를 설치하여 수생식물(14)의 생식의 장소로 이용하고, 상기 어패류관통공(4-1)과 연동하여 어패류생식박스(H)를 배면성토(15)의 하부에 설치, 수로천단의 요소요소에는 파라펫 활면블록(수로의 경우는 L형태의 제품)(B)을 시공하며, 상기 파라펫 활면블록(수로의 경우는 L형태의 제품)(B)의 전면에 야조(9)의 영소(D-1,D-2)를 설치하는 것이고, 또한, 용지가 충분하다면, 심장수로(G)를 보통수로(E)보다 넓게 하여 수로에 떨어지는 소동물이 올라갈 수 있게 도와주는 소동물승강도(16)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계 전체를 고려한 환경수로의 구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① 수중소동물(어패류)은, 애형의 뢰어, 블랙버스 등의 외적을 고려하고, 언덕 위에서의 조류는 매, 독수리, 뱀 등을 고려한 제품으로 한다.
② 번성하고픈 수릉식물의 유실에도 십분 배려한 제품으로 한다.
③ 호안용, 수로용 파라펫 활면블록은 지름길이, 구배, 수로의 깊이, 수로폭의 변화가 있어도 동일한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시공도 특별한 기술을 요하지 않도록 배려한 제품으로 한다.
콘크리트제품이 좋고, 강인하며, 항구적인 점이 있어, 이점을 살려 수중의 패류를 포함한 동식물과, 언덕위의 조류를 포함한 동식물들에게 좋은 서식처가 되며, 지역주민과 보는 사람들에게 안정을 주게되는 생태계 전체를 배려한 환경호안 및 수로의 구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인 것이다.
도1은 생태계 전체를 고려한 환경호안의 실시예의 시공개요 단면 사시도와 일부 확대도
도2는 천연목 단독 영소상자의 개요 사시도
도3은 물총새와 바위새의 유목에 부착한 단독영소(점질토를 넣어 새가 뚫도록 한)의 단면 개요사시도
도4는 낙차수로공 실시예의 단면 개요 사시도
도5는 보통 수로공 실시예의 단면 개요 사시도
도6은 환경수로에서 심장식재부를 바이패스로 한 실시예 단면 개요 사시도
<도면부호의 설명>
전면합단벽(1), 중간합단벽(2), 횡장관통공(3), 어패류(4),
어패류관통공(수로)(4-1), 생식공동부(5), 가상배면판(6),
이입재(역질토) 또는 콘크리트(7-1), 식재토 또는 식대(7-2),
이끼와 화초 또는 관목(8), 야조(9), 캅셀상통(10), 출입구(11),
점질토(전안으로 안에 넣는 흙)(12), 칸막이재(자연석이나 의석블록)(13),
수생식물(14), 배면성토(15), 소동물승강도(16), 터널공(17-1),
터널산란광장(17-2), 유목(18),
표면의 석 모양환경형 블록(A),
파라펫 활면 블록(호안은 쌓임 블록, 수로는 L형 제품)(B),
연결 의목의 영소(C), 단독영소상자(D-1), 캅셀 단독영소(D-2),
보통수로(E), 낙차수로(어도부착)(F), 심장수로(G), 어패류 생식 박스(H)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호안블록은, 전면벽의 관통공은 횡장으로 하고, 자립해서 공적을 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합단벽 또는 가상 배면판의 제품으로 하면 공통의 블록천단에 야조의 영소도 외적으로부터 지키는 구조가 되며, 또한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는 제품으로 한다.
수로에서는, 심장(낙차공에서는 정수지)을 설치해서 측벽에 여러 개의 관통을 설치하고 측벽 배면성토 아래에는 어패류생식박스를 설치 천단에 파라펫 활면블록과 L형태의 야조영소를 구축할 수 있는 수단으로 한다.
파라펫 활면 블록에 설치하게 한 조류영소에는, 지역에 생식하는 조류의 종류에 의해, 칸막이를 설치한 연결영소 혹은 단독영소를 설치하는 수단으로 한다.
더해서, 보는 사람에게도 안정을 주게 되는 생태계전체를 배려한 환경호안 및 수로의 구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생태계 전체를 고려한 환경호안의 실시예의 시공개요 단면 사시도와 일부 확대도이고, 도2는 천연목 단독 영소상자의 개요 사시도이며, 도3은 물총새와 바위새의 유목에 부착한 단독영소(점질토를 넣어 새가 뚫도록 한)의 단면 개요 사시도이고, 도4는 낙차수로공 실시예의 단면 개요 사시도이며, 도5는 보통 수로공 실시예의 단면 개요 사시도이고, 도6은 환경수로에서 심장식재부를 바이패스로 한 실시예 단면 개요 사시도를 도시하였으며, 도면의 부호는 전면합단벽(1), 중간합단벽(2), 횡장관통공(3), 어패류(4), 어패류관통공(수로)(4-1), 생식공동부(5), 가상배면판(6), 이입재(역질토) 또는 콘크리트(7-1), 식재토 또는 식대(7-2), 이끼와 화초 또는 관목(8), 야조(9), 캅셀상통(10), 출입구(11), 점질토(전안으로 안에 넣는 흙)(12), 칸막이재(자연석이나 의석블록)(13), 수생식물(14), 배면성토(15), 소동물승강도(16), 터널공(17-1), 터널산란광장(17-2), 유목(18), 표면의 석 모양환경형 블록(A), 파라펫 활면 블록(호안은 쌓임블록, 수로는 L형 제품)(B), 연결 의목의 영소(C), 단독영소상자(D-1), 캅셀단독영소(D-2), 보통수로(E), 낙차수로(어도부착)(F), 심장수로(G), 어패류 생식 박스(H)임을 알 수 있다.
도1은 생태계전체를 고려한 환경호안의 단면사시도와 일부확대도로서, 법구배(표준 1:0.5)를 갖도록 하며, 수면이하는 콘크리트 표면의 석모양 환경형 블록(A)으로 시공하고, 수면 상부는 파라펫활면블록(호안은 쌓임블록, 수로는 L형제품)(B)으로 시공하며, 상기 블록(A,B)의 전면 바닥에는 유속에 대응하는 질량으로 칸막이재(자연석이나 의석블록)(13)를 설치해서 수생식물(14)들이 번식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블록(A,B)의 배면에는 가상배면판(6)과, 이입재(역질토) 또는 콘크리트(7-1)로 시공한 것으로,
상기 석모양 환경형 블록(A)은 도1의 일부 확대도와 같이 전면합단벽(1)과 양측이 오목하게 생식공동부(5)가 형성된 중간합단벽(2)으로 구성하고, 상기 전면합단벽(1)의 중앙부와 모서리부에는 어패류(4)들이 상기 생식공동부(5)로 출입할 수 있으며, 외적 칩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높이 30~50㎜ 정도로 가로길이 150~180㎜정도 크기의 횡장관통공(3)이 형성된 구조이고,
상기 파라펫활면블록(호안은 쌓임블록, 수로는 L형제품)(B)은, 호안의 쌓임블록(B)은 상기 석모양 환경형 블록(A)과 같은 구조로서, 생식공동부(5)에는 식재토 또는 식대(7-2)를 넣고, 횡장관통공(3)에는 이끼와 화초, 관목(8)등의 식물이 번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구조이고, L형 제품(B)은 수직높이 1.2m이상(보통 1.5 ~ 2.0m)으로 시공하고, 전면에는 참새, 딱따구리, 북방쇠박새, 박새 등의 야조(9)의 종류에 따라 빈 내부공간에 칸막이를 설치하고, 전면에는 새가 출입하는 관통공을 설치한 의목환테의 연결 의목의 영소(C)나 천연목의 단독영소(D-1, D-2)를 설치할 수 있는 구조이며,
도2는 천연목 단독영소상자의 개요 사시도로서, 전면에 새가 출입하는 출입구(11)가 형성된 횡장상자와, 상기 출입구(11)의 앞에는 야조(9)들이 앉을 수 있도록 유목(18)을 형성시킨 영소상자(D-1)의 구조이고,
도3은 물총새와 바위새의 유목에 부착한 단독영소(점질토를 넣어 새가 뚫도록 한)의 단면 개요 사시도로서, 외부는 콘크리트나 엔비재의 캅셀상통(10)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캅셀상통(10)의 전면에 출입구(11)를 형성하고, 상기 출입구(11)의 앞에는 야조(9)들이 앉을 수 있도록 유목(18)을 형성시키며, 내부는 점질토(전안으로 안에 넣는 흙)(12)를 밀어 넣어서 새의 터널공(17-1)과, 터널산란광장(17-2)이 형성된 영소상자(D-2)인 것이다.
도4 내지 도6과 같이 수로에 형성된, 콘크리트 보통수로(E) 또는 낙차수로(어도부착)(F)의 하류단부에 심장수로(G)를 설치하고, 이 수로의 측벽저부에 어패류관통공(4-1)(천단을 원호로 하면 미적으로 좋다.)을 적어도 2개 이상(보통 2.0m 제품으로 3개로 중앙을 높인다.)설치하고, 상기 어패류관통공(4-1)의 전면에는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칸막이재(13)를 설치하여 수생식물(14)의 생식의 장소로 이용하며, 도5와 같이 상기 어패류관통공(4-1)과 연동하여 어패류생식박스(H)를 배면성토(15)의 하부에 설치, 수로천단의 요소 요소에는 파라펫 활면블록(수로의 경우는 L형태의 제품)(B)을 시공하고 여기에 야조(9)의 영소(D-1,D-2)를 설치하는 것이며,
또한, 용지가 충분하다면, 도4와 같이 심장수로(G)를 보통수로(E)보다 넓게 하여 수로에 떨어지는 소동물이 올라갈 수 있게 도와주는 소동물승강도(16)를 설치하면 더욱 더 환경친화적인 수로가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중블록의 횡장관통공은 소어와 소동물(어패류)이 출입할 수 있는 것으로, 대형의 어류, 특히 뇌어와 횡영이 뛰어나지 못한 블랙버스는 출입을 할 수 없으며, 호안블록은 합단벽(가상배면판)을 가지고 있는 제품으로 미리 공장에서 제조하여 조립, 시공함으로 시공이 용이하고, 안정한 공적이 가능하며, 비용이 절감되고, 야조의 영소는 수직으로 공중에 노출되어 있어, 야조의 외적인 여우, 족제비, 뱀이 오를 수 없으며,
수로제품은 심장구조로서, 갈수기에도 동식물의 생식수가 확보되고 동시에심장에서의 식물의 번식은 통상의 유수량으로도 지장이 없으며, 칸막이재에 의해서 식물의 번식의 장소와 수로면이 구별되어 유대관리도 용이하고, 수로에 떨어진 소동물승강도를 설치해서 언덕 위의 생식하는 소동물을 도울 뿐만 아니라, 유대관리인의 승강도 용이하게 작용하고, 콘크리트 제품이 좋은 것은 강인하고 항구적인 점을 확보하면서, 수중의 어패류를 포함한 동식물과 언덕 위의 조류를 포함한 동식물의 생태계 전체를 배려한 동시에 지역주민과 보는 사람에게 안정을 주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생태계 전체를 배려한 환경호안에 있어서,
    법구배(표준 1:0.5)를 갖도록 하며, 수면이하에 형성되는 전면합단벽(1)과, 상기 전면합단벽(1)의 중앙부와 모서리부에 어패류(4)들이 출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생식공동부(5)와, 외적 칩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높이 30~50㎜ 정도로 가로길이 150~180㎜ 정도 크기로 형성된 횡장관통공(3)과, 상기 전면합단벽(1)의 후방으로 양측이 오목하게 생식공동부(5)가 형성된 중간합단벽(2)으로 구성된 콘크리트 표면의 석모양 환경형 블록(A)과,
    수면 상부에서는 하부에 형성되는 콘크리트 표면의 석모양 환경형 블록(A)과, 상기 석모양 환경형 블록(A)과 같은 구조의 파라펫활면블록(쌓임블록)(B)과, 호안의 상단은 수직높이 1.2m이상(보통 1.5 ~ 2.0m)으로 하고, 전면에는 참새, 딱따구리, 북방쇠박새, 박새 등의 야조(9)의 종류에 따라 빈 내부공간에 칸막이를 설치하고, 전면에는 새가 출입하는 관통공을 설치한 의목환테의 연결 의목의 영소(C)나 천연목의 단독영소(D-1, D-2)를 설치할 수 있는 파라펫활면블록(L형제품)(B)과, 상기 블록(A,B)의 전면 바닥에는 수생식물(14)들이 번식할 수 있도록 유속에 대응하는 질량으로 형성된 칸막이재(자연석이나 의석블록)(13)와, 배면에 형성되는 가상배면판(6)과, 이입재(역질토) 또는 콘크리트(7-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계 전체를 배려한 환경호안.
  2. 생태계전체를 배려한 환경수로의 구축방법에 있어서,
    콘크리트 보통수로(E) 또는 낙차수로(어도부착)(F)의 하류단부에 심장수로 (G)를 설치하고, 상기 수로의 측벽저부에 어패류관통공(4-1)(천단을 원호로 하면 미적으로 좋다.)을 적어도 2개 이상(보통 2.0m 제품으로 3개로 중앙을 높인다.)설치하며, 상기 어패류관통공(4-1)의 전면에는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칸막이재(13)를 설치하여 수생식물(14)의 생식의 장소로 이용하고, 상기 어패류관통공(4-1)과 연동하여 어패류생식박스(H)를 배면성토(15)의 하부에 설치하며, 수로천단의 요소요소에는 파라펫 활면블록(수로의 경우는 L형태의 제품)(B)을 시공하고, 상기 파라펫 활면블록(수로의 경우는 L형태의 제품)(B)의 전면에는 야조(9)의 영소(D-1,D-2)를 설치하며, 용지가 충분할 경우 심장수로(G)를 보통수로(E)보다 넓게 하여 수로에 떨어지는 소동물이 올라갈 수 있게 도와주는 소동물승강도(16)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계 전체를 고려한 환경수로의 구축방법.
KR10-2000-0069409A 1999-11-24 2000-11-22 생태계 전체를 고려한 환경호안 및 수로의 구축방법 KR1004138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295999A JP2001152428A (ja) 1999-11-24 1999-11-24 生態系全体を考慮した環境護岸及び水路の構築方法
JP?11-332959 1999-1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859A KR20010051859A (ko) 2001-06-25
KR100413883B1 true KR100413883B1 (ko) 2004-01-07

Family

ID=18260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9409A KR100413883B1 (ko) 1999-11-24 2000-11-22 생태계 전체를 고려한 환경호안 및 수로의 구축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1152428A (ko)
KR (1) KR1004138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352B1 (ko) * 2001-11-21 2005-03-10 배순순 생태환경 보호구조를 갖는 수로의 제조방법
JP2007023695A (ja) * 2005-07-20 2007-02-01 Kumagai Gumi Co Ltd ホタル等生息水路用ブロックおよびこれを用いるホタル等生息水路
KR200452081Y1 (ko) 2009-02-18 2011-01-28 이동순 생태계 보호수로의 벽체시공용 거푸집판넬
CN102704441A (zh) * 2012-05-30 2012-10-03 中水东北勘测设计研究有限责任公司 一种生态石笼格室护岸型式的布置方法
CN110205976B (zh) * 2019-06-26 2024-05-14 金陵科技学院 一种多功能河岸生物多样性维持结构与构建方法
CN111172943A (zh) * 2020-01-22 2020-05-19 中国科学院东北地理与农业生态研究所 一种北方低山丘陵区河流岸边带生态构建的方法
CN115262589B (zh) * 2022-07-25 2024-02-20 浙江数智交院科技股份有限公司 边坡地质灾害防护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41619U (ko) * 1986-08-30 1988-03-18
JPH02200910A (ja) * 1989-01-28 1990-08-09 Chugoku Concrete Kogyo Kk 魚巣付l形水路ブロック
JPH05118017A (ja) * 1991-10-25 1993-05-14 Randesu Kk 生態系保全水路ブロツク
KR100336583B1 (ko) * 2000-04-21 2002-05-24 변광섭 어소를 겸용하는 생태계 보호용 수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41619U (ko) * 1986-08-30 1988-03-18
JPH02200910A (ja) * 1989-01-28 1990-08-09 Chugoku Concrete Kogyo Kk 魚巣付l形水路ブロック
JPH05118017A (ja) * 1991-10-25 1993-05-14 Randesu Kk 生態系保全水路ブロツク
KR100336583B1 (ko) * 2000-04-21 2002-05-24 변광섭 어소를 겸용하는 생태계 보호용 수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859A (ko) 2001-06-25
JP2001152428A (ja) 2001-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2820B1 (ko) 석탑형 다기능 인공어초
KR100413883B1 (ko) 생태계 전체를 고려한 환경호안 및 수로의 구축방법
KR101032837B1 (ko) 생물의 부유식 서식 구조물
CN107864774A (zh) 一种水下原位生态修复沉水水草培植装载系统
CN112385598A (zh) 一种用于鱼类增殖放流站裂腹鱼亲鱼培育的仿生态亲鱼池
CN110835899A (zh) 一种环状内凹型湿地水鸟栖息繁殖岛及其构建方法和应用
CN109006674B (zh) 长江江豚野化驯养的栖息地生境构建设施
CN100507154C (zh) 多孔栖息单元式生态护岸块体
JP3012485B2 (ja) ホタルの養殖装置
KR100838311B1 (ko) 계단형 인공어초
KR101272219B1 (ko)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
JPH0762335B2 (ja) 生態系改善型護岸構造
CN106400818A (zh) 能促进生态护坡上生态系统迅速建立的生态袋护坡系统
JPH05118017A (ja) 生態系保全水路ブロツク
CN220976711U (zh) 一种组合式生态栖息地系统
CN1037399C (zh) 一种人工饲养用养蝎房
CN219470804U (zh) 一种适应鱼蟹寄居的生态护坡结构
CN215405898U (zh) 一种用于水生动物栖息地搭建的生态鱼巢砖
CN105028327A (zh) 扬子鳄山地丘陵和农耕区野外栖息地以及栖息地食物链的构建方法
CN213784897U (zh) 一种用于鱼类增殖放流站裂腹鱼亲鱼培育的仿生态亲鱼池
CN215367074U (zh) 一种用于便于草木种植的航道生态护岸
CN219478912U (zh) 一种六棱台珊瑚生态礁
CN215074380U (zh) 一种适用于鱼塘的生态防护堤
JP4065442B2 (ja) 生態系配慮型水路構造
KR200228745Y1 (ko) 기초어상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