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2219B1 -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 - Google Patents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2219B1
KR101272219B1 KR1020100134407A KR20100134407A KR101272219B1 KR 101272219 B1 KR101272219 B1 KR 101272219B1 KR 1020100134407 A KR1020100134407 A KR 1020100134407A KR 20100134407 A KR20100134407 A KR 20100134407A KR 101272219 B1 KR101272219 B1 KR 101272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made
shoals
artificial
inclined plate
under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4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2581A (ko
Inventor
안창혁
김영택
송호면
주진철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34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2219B1/ko
Publication of KR20120072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2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2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2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본 발명은 어류를 기반으로 한 생물 서식 공간을 제공하는 인공 어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연·인공하천 및 호수의 여울이나 수제 등에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고, 어류 및 생물 서식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지하에 매설함으로써 갈수기시 구조물 내 일정 수위를 유지하여 생물 서식 유량확보 및 서식처, 은신처를 제공할 수 있고, 어초의 내부 공간으로의 토사 유입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공 또는 자연적으로 조성된 여울이나 수제; 및 상기 여울 또는 수제의 적어도 일측 하부에 상부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가 매설되는 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구조체는 외부와 통하는 입구를 가지며, 내부 공간을 갖는 상부 개방형 함체; 및 상기 함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경사판을 포함하는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UNDERGROUND RECLAMATION STYLE POOL FOR FISHING BANKS HAVING APPLICATION ON RIFFLE AND SPUR}
본 발명은 어류를 기반으로 한 생물 서식 공간을 제공하는 인공 어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연·인공하천 및 호수의 여울이나 수제 등에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고, 어류 및 생물 서식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지하에 매설함으로써 갈수기시 구조물 내 일정 수위를 유지하여 생물 서식 유량확보 및 서식처, 은신처를 제공할 수 있고, 어초의 내부 공간으로의 토사 유입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초라 함은 해저의 융기부로서 어류가 모여 좋은 어장이 되는 장소를 일컫는데, 근래에는 수산동물의 번식을 도울 목적으로 바닷속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비롯하여 폐선(廢船)이나 기타 못쓰게 된 구조물을 투입하는 인공 어초가 제안되고 있다.
이와 같이 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관련 기술로서는 어초 이외에도 호안, 어도, 둠벙 등이 있다.
이러한 각 구성들의 주요 기능과 특징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어초는 주요 기능으로서 해양 자원을 보호하고 어장을 확보하는 기능을 하고, 대형 시설물로 이루어지고 주로 바다에서 사용되는 특징이 있으며, 적용 대상지로는 인근 연안이나 해양 바닥고 상부에 적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어초는 넓은 부지를 사용해야 하고, 바닥고 상부에만 적용되는 한계가 있다.
다음으로, 호안은 주요 기능으로서 제방 또는 하안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며 일부가 서식처 기능을 한다. 호안은 비탈덮기, 기초, 비탈멈춤, 밑다짐 및 그의 조합이 가능한 특징이 있으며, 적용 대상지로는 하천 및 호소의 하안에 적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호안은 갈수기 시에 생물의 서식처로서 제공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어도는 어류의 이동 통로 및 피난처의 기능을 하고, 다양한 구조와 인위적인 어류 이동 통로의 조정이 가능한 특징이 있으며, 적용 대상지로는 하천 및 호수에 적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어도는 수원이 확보되지 않는 경우 그 기능을 상실하는 한계가 있다.
마지막으로 둠벙은 농업 용수의 공급 및 생태기능 강화에 주요 기능을 하고, 갈수기에 수원을 확보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적용 대상지로는 논 가장자리 등에 적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둠벙은 설치 지역이 매우 한정적인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이 관련 기술들의 기능 및 특징을 정리하면 아래의 표1과 같다.
구분 어초 호안 어도 둠벙

주요 기능
- 해양자원의 보호
- 어장확보
- 제방 또는 하안 보호
- 일부 서식처 기능
- 어류의 이동통로 및 피난처 - 농업용수 공급
- 생태기능 강화

특징
- 대형 시설물
- 주로 바다에서 사용
- 비탈덮기, 기초, 비탈멈춤, 밑다짐 등의 조합 - 다양한 구조
- 인위적 어류 이동 통로 조성
- 갈수기 수원확보

적용대상지
- 인근 연안
- 해양바닥고 상부
- 하천 및 호소의 하안 - 하천 및 호수 - 논 가장자리 등

단점
- 넓은 부지 사용
- 바닥고 상부만 적용
- 갈수기 서식처 제공 불가 - 수원 미확보시 기능 상실 - 설치지역이 한정적임
이와 같은 각 구성들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생물 서식처 공간을 제공하는 기능을 가지나, 구조 및 공간에 대한 제약이 많으며 서로 연계되기보다는 독립적으로 적용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어초는 해양에서 주로 사용되어 담수에 적용된 사례는 드물며, 호안, 어도, 둠벙의 경우는 갈수기(渴水期)의 대처 방안이 없는 실정이다.
한편, 일반적인 수제의 형태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생물다양성 확충수제의 일 형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수심확보 수제의 일 형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제방보호공 식생수제의 일 형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먼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생물다양성 확충수제는 양호한 하천 지형 보전 및 생물 다양성 확충을 위한 수제로서, 식생대 조성으로 생물서식공간 확충하고, 생물 서식로를 통한 다양한 수서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한다. 또한, 급격한 수위변화에 대응가능하고, 준설토 활용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다음으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심확보 수제는 건천 및 주문에 필요한 수심 확보와 파랑 등의 외부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T자형 식생 수제로서, 식생대 조성으로 생물서식공간을 확충하고, 유수의 흐름을 중앙으로 유도하여 수심을 확보하며, 준설토를 활용하여 식생대를 조성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방보호공 식생수제는 제방의 보호 및 식생대 조성으로 안정성, 경관성 향상을 위한 수제로서, 하천제방 및 하안 침식방지에 효과적이고, 식생대 조성으로 생물서식공간을 확충할 수 있으며, 다양한 수변경관을 창출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제들은 수제 상단의 식생대 조성 및 수심 확보의 치수적 기능에 치중되어 있으며, 구체적인 어류의 서식처 복원 및 갈수기 유량확보에 대한 대책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여울이나 수제 또는 돌틈과 같이 하상 구조물에 은신하는 특징을 갖는 고착성 담수어종의 은신 및 산란처를 확보하고, 생물다양성 및 개체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는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제나 여울 등의 구조물 아래에 적용하여 갈수기를 중심으로 한 육상 및 수생태계의 적절한 생태유지용수의 확보와 서식처 제공 및 복원 기능을 담당하며 해당 구조물 내에 토사유입을 최소한으로 하여 생물 서식 공간의 유지관리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토사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고, 토사가 유입되더라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르면, 인공 또는 자연적으로 조성된 여울이나 수제; 및 상기 여울 또는 수제의 적어도 일측 하부에 상부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가 매설되는 구조체를 포함하는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르면, 인공 또는 자연적으로 조성된 여울이나 수제; 상기 여울 또는 수제의 적어도 일측 하부에 매설되고, 외부와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연통부를 가지며, 내부에 공간을 갖는 장방형의 방틀 둠벙; 및 상기 방틀 둠벙의 내부 공간 일측에 설치되는 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구조체는 외부와 통하는 입구를 가지며, 내부 공간을 갖는 상부 개방형 함체와, 상기 함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경사판을 포함하는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를 제공한다.
상기 구조체는 외부와 통하는 입구를 가지며, 내부 공간을 갖는 상부 개방형 함체; 및 상기 함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경사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판은 상기 함체에 개방가능하게 또는 분리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판은 타공 형성된 복수의 유동공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유동공의 상부 둘레에는 융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판은 0°초과 30°이하로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15°로 경사진다.
상기 방틀 둠벙은 하부에 토사 차집용 홈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에 따르면, 여울 및 수제 아래 설치하여 기존 어류의 은신 공간 및 생물서식처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장 구조를 크게 바꾸지 않으면서 지하에 공간을 확보하여 고착성 어류의 개체수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하수위를 고려하여 지반고(E.L.) 이하로 설치하여 갈수기에 생태유량을 유지할 수 있고, 자연재료를 활용하여 기존 생태계 유지에 거부감을 없애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로의 토사 유입을 최소화 수 있고, 토사가 유입되더라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어 지속적인 유지 및 유지 관리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생물다양성 확충수제의 일 형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수심확보 수제의 일 형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제방보호공 식생수제의 일 형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를 구성하는 경사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를 구성하는 경사판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를 구성하는 구조체가 방틀 둠벙에 설치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를 수제에 설치한 예시들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의 적용 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의 실험장의 평면도, 단면도 및 유속범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의 실험장의 사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는 기본적으로 인공 또는 자연적으로 조성된 여울이나 수제; 및 상기 여울 또는 수제의 적어도 일측 하부에 상부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가 매설되고, 일측에 입구가 형성되는 구조체를 포함한다.
상기 구조체는 외부와 통하는 입구를 가지며, 내부 공간을 갖는 상부 개방형 함체; 및 상기 함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경사판을 포함한다.
상기 경사판은 상기 함체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판에는 랜덤 또는 일정 간격으로 타공 형성된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 둘레에는 관통공 중심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를 구성하는 경사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를 구성하는 경사판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는 인공 또는 자연적으로 조성된 여울이나 수제(후술할 도 9 내지 도 11 참조); 및 상기 여울 또는 수제의 적어도 일측 하부에 상부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가 매설되는 구조체(10)를 포함한다.
상기 구조체(10)는 외부와 통하는 입구(11)를 가지며, 내부 공간을 갖는 상부 개방형 함체(12); 및 상기 함체(12)의 상단에 설치되는 경사판(20)을 포함한다.
상기 구조체(10)는 목재, 콘크리트, 플라스틱 등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판(20)은 상기 함체(12)에 개방가능하게 또는 분리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경사판(20)의 일단은 상기 함체(12)의 일단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경사판(20)은 0°초과 30°이하로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5°내외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경사판(20)에는 랜덤(random)하게 또는 일정 간격으로 타공 형성된 유동공(21)이 형성된다.
상기 유동공(21)이 형성됨으로써 인공 어초 내부와 외부의 흐름 및 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인공 어초 내부의 믹싱(mixing)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상기 유동공(21)의 상부 둘레에는 융기부(22)가 형성된다. 상기 융기부(22)는 유동공(21)의 가장자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방향으로 테이퍼지는 구성으로 형성되는 것(예를 들면, 축방향 중공의 돔형)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동공(21)의 상부 둘레에 하방향으로 경사지는 융기부(22)가 형성됨으로써 경사판(20)의 경사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토사가 쉽게 집사(舍捨)될 수 있다.
상기 구조체(10)의 내부 공간에는 어류 은신처 및 산란공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부대시설이 설치될 수 있다. 부대 시설로는 산란공간을 제공하는 산란용 메디아나 어류의 은신처를 제공하는 방사형 어초인 소형 어초이다.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는 지반고(E.L.)를 기준으로 지하(입구가 경사판에 형성되는 경우) 또는 상부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가 매설되게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이 다른 구조물에 연계되어 구성되는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는 기본적으로 방틀둠벙 등의 둠벙과 같은 구조물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를 구성하는 구조체가 방틀 둠벙에 설치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방틀 둠벙(30)은 외부와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연통부를 가지며, 내부에 공간을 갖는 장방형으로 구성되고, 그 내부 공간 일측에 상기한 구조체(10)가 설치된다.
상기 방틀 둠벙의 일측에는 상기 구조체(10)의 경사판(20)을 통해 흘러내린 토사가 차집되는 차집부(31)가 형성된다. 상기 차집부(31)에 차집된 토사는 제거수단을 이용하여 차집부(31)로부터 제거된다.
상기 방틀 둠벙(30)은 목재나 콘크리트 등으로 형성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방틀 둠벙(30)에 있어서 차집부(31)는 콘크리트 제조시 차집부인 차집공간이 홈 형태로 일체로 주조되어 형성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를 여울이나 수제에 설치되는 설치 예를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를 수제에 설치한 예시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의 적용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본 도면에서는 도 4에 나타낸 실시 예를 설치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도 7에 나타낸 구조체를 설치하고 그 내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어초의 매립은 보강재를 활용하며, 인공하천 등에의 적용이나 때에 따라서는 차수재를 보강한다. 적용 대상지와 자생 어류 등을 반영하여 입구에 말뚝을 활용한 여울을 추가로 조성할 수도 있다.
상기 경사판(20)에는 현장의 상황에 따라 돌, 자갈, 식생 매트 등으로 덮을 수 있다.
통상적으로 바위밑으로 숨는 어류의 특징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어류는 쏘가리(Siniperca scherzeri), 꺽지(Coreoperca herzi), 수수미꾸리(Niwaella multifasciata), 동자개(Pseudobagrus fulvidraco), 뱀장어(Anguilla japonica), 금강모치(Rhynchocypris kumganensis), 쉬리(Coreoleuciscus splendidus) 등 돌 틈 사이 은신을 좋아하는 담수어종을 주요 대상으로 한다.
내부 토사 유입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하여 여울 등에 설치시에는 수체의 흐름과 역방향으로 입구를 개방하며(도 8 참조), 전단에 수제 등의 장애물이 있는 경우는 장애물을 향하여 입구를 개방하여(도 9 참조) 토사 유입을 최소화하는 구조로 설치한다.
한편, 상기 인공 어초(10)가 방틀 둠벙과 같은 구조물과 함께 연계되어 지하에 매설될 수 있어 갈수기 시 생태유지용수 확보와 생물 서식처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자에 의해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를 실험 설치하여 이에 따른 시공성과 적합성 및 생태 기능을 평가하였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의 실험장의 평면도, 단면도 및 유속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의 실험장의 사진들이다.
본 실험장은 A 내지 D구간(Site 1 내지 3)으로 구분하여 총 10조/8.5m2로 설치하였으며, 설치 조건은 아래의 [표 2]와 같다.
구분 A~B구간
(Site1)
B~C구간
(Site2)
C~D구간
(Site3)
D~E구간
(Site4)
전체







시공





수로
구간길이 5m 5m 5m 5m 20m
수로폭 1m 2m 2~3m 3m 평균 2m
수심 0.05~0.1m 0.1~0.2m 0.2~0.25m 0.25~0.7m 0~0.5m
하상재료 φ200~300 산석 φ30~50
자갈
φ30~50
자갈
φ2모래 다양

유속 1.5~3.0 m/s 0.5~1.5 m/s 0.2~0.5 m/s 0.07~0.2 m/s 다양

유량 0~0.15 m3/s 다양
수리 구조가 다르게 상류~하류를 조성함
  → 서로 다른 생물 서식처 환경으로 구분


둠벙 
여울·
수제형
1조/1m2 4조/3m2 5조/4.5m2 - 10조/8.5m2

다양한 둠벙 조성
  → 어류를 중심으로한 생물의 적응도 파악
생태기능외 토사유입 검토
적용 어류 토종붕어, 칼납자루, 밀어, 쉬리, 꺽지, 수수미꾸리, 버들치, 피라미
모니터링 수리 모니터링 유속실험: Flow Traker ADV
수질 모니터링 수질 모니터링: 현장 수질 측정
생물 모니터링 어류, 부착조류, 저서생물 등
  : 생물 적응력 도출, Biomass/m2
  : 영상 모니터링(GVS-380)
유지관리 모니터링 및 실험장 유지관리: 1회/2주
관찰 결과로서는 쉬리, 수수미꾸리, 꺽지, 밀어 등은 대부분 바닥이나 돌 틈에 은신하는 경향을 보이며 Site1~3에서 주로 관찰되었고, 관찰비중은 쉬리(40%), 꺽지(60%), 수수미꾸리(30%), 칼납자루(20%), 버들치(50%), 미꾸라지(20%), 밀어(20), 토종붕어(20%), 피라미(60%) 이었다.
각 사이트에서의 관찰어종과 환경조건(평균)은 다음의 [표3]과 같았다.
Sites 관찰어종 환경조건(평균)

1

쉬리, 꺽지, 수수미꾸리, 버들치, 미꾸라지, 밀어, 칼납자루
- 수위 : 0.3m
- 유속 : 1.0m/s
- 하상재료 : 돌, 자갈

2

쉬리, 꺽지, 수수미꾸리, 칼납자루, 버들치, 미꾸라지, 밀어
- 수위 : 0.3m
- 유속 : 0.5m/s
- 하상재료 : 돌, 자갈

3

쉬리, 꺽지, 수수미꾸리, 버들치, 토종붕어, 피라미
- 수위 : 0.3m
- 유속 : 0.15m/s
- 하상재료 : 자갈

4

쉬리, 버들치, 토종붕어, 피라미
- 수위 : 0.3m
- 유속 : 0.05m/s
- 하상재료 : 자갈

5

칼납자루, 버들치, 토종붕어, 피라미
- 수위 : 1.0m
- 유속 : 0.001m/s
- 하상재료 : 둠벙

6

칼납자루, 버들치, 토종붕어
- 수위 : 1.0m
- 유속 : 0.005m/s
- 하상재료 : 둠벙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는 여울이나 수제 또는 돌틈과 같이 하상 구조물에 은신하는 특징을 갖는 고착성 담수어종의 은신 및 산란처를 확보하고, 생물다양성 및 개체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제나 여울 등의 구조물 아래에 적용하여 갈수기를 중심으로 한 육상 및 수생태계의 적절한 생태유지용수의 확보와 서식처 제공 및 복원 기능을 담당하며 해당 구조물 내에 토사유입을 최소한으로 하여 생물 서식 공간의 유지관리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토사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고, 토사가 유입되더라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의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구조체
11: 입구
12: 함체
20: 경사판
30: 방틀 둠벙
31: 차집부

Claims (8)

  1. 인공 또는 자연적으로 조성된 여울이나 수제; 및
    상기 여울 또는 수제의 적어도 일측 하부에 상부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가 매설되는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체는 외부와 통하는 입구를 가지며, 내부 공간을 갖는 상부 개방형 함체와 상기 함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경사판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판에는 상부 둘레에 융기부가 형성되는 복수의 유동공이 구비되며, 상기 융기부는 상기 유동공의 전체 가장자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돔 형태로 이루어지는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은 상기 함체에 개방가능하게 또는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
  4. 삭제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은 0°초과 30°이하로 경사지는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
  7. 인공 또는 자연적으로 조성된 여울이나 수제;
    상기 여울 또는 수제의 적어도 일측 하부에 매설되고, 외부와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연통부를 가지며, 내부에 공간을 갖는 장방형의 방틀 둠벙; 및
    상기 방틀 둠벙 내부 공간 일측에 설치되는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체는 외부와 통하는 입구를 가지며, 내부 공간을 갖는 상부 개방형 함체와 상기 함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경사판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판에는 상부 둘레에 융기부가 형성되는 복수의 유동공이 구비되며, 상기 융기부는 상기 유동공의 전체 가장자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틀 둠벙은 하부에 토사 차집부가 구비되고,
    상기 토사 차집부에 차집된 토사를 외부로 제거하기 위한 제거수단을 포함하는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
  8. 삭제
KR1020100134407A 2010-12-24 2010-12-24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 KR101272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407A KR101272219B1 (ko) 2010-12-24 2010-12-24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407A KR101272219B1 (ko) 2010-12-24 2010-12-24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581A KR20120072581A (ko) 2012-07-04
KR101272219B1 true KR101272219B1 (ko) 2013-06-11

Family

ID=46707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4407A KR101272219B1 (ko) 2010-12-24 2010-12-24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22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996B1 (ko) * 2012-10-12 2014-02-20 주식회사 준수이앤텍 어류의 생태계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서식처
CN103222434B (zh) * 2013-04-27 2014-09-17 天津大学 潮汐式进水池压差诱导上升流的增殖人工鱼礁系统
CN113718043B (zh) * 2021-09-03 2024-03-05 广东海洋大学 一种鉴定多纹钱蝶鱼遗传性别的特异性分子标记、引物及其方法和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1733A (ja) * 1996-02-15 1997-08-26 Hokuetsu:Kk 護岸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護岸工
JPH10136828A (ja) * 1996-11-13 1998-05-26 Asahi Chem Ind Co Ltd 魚礁及びその基質
KR20090005336U (ko) * 2007-11-29 2009-06-03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정자형 다목적 인공어초
KR20100129523A (ko) * 2009-06-01 2010-12-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어초둠벙을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1733A (ja) * 1996-02-15 1997-08-26 Hokuetsu:Kk 護岸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護岸工
JPH10136828A (ja) * 1996-11-13 1998-05-26 Asahi Chem Ind Co Ltd 魚礁及びその基質
KR20090005336U (ko) * 2007-11-29 2009-06-03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정자형 다목적 인공어초
KR20100129523A (ko) * 2009-06-01 2010-12-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어초둠벙을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581A (ko) 201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90346A (zh) 水库消落带岸坡防护松木桩-石笼网组合植生挡土墙
CN106277572B (zh) 一种生态与景观相结合的城市河道水体净化系统
US20190150382A1 (en) Farming Sargasso
KR101032837B1 (ko) 생물의 부유식 서식 구조물
KR200473631Y1 (ko) 해양생태 복원용 다기능 복합 인공어초
KR101272219B1 (ko)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
KR101934447B1 (ko) 새우용 인공어초
Marcus Prehistoric fishermen in the Kingdom of Huarco: An ancient town on the coast of Peru exported dried fish as part of a regional economic network that predated the Inca conquest
KR102144053B1 (ko) 구조안정성이 개선되고 서식 및 은신 공간이 증가된 다기능 삼각형 인공어초
JP4566145B2 (ja) 人工干潟及び人工干潟における生物生息環境の形成方法
KR101582443B1 (ko) 어소가 구비된 친환경 게비온
Bhatt et al. Burrowing activities of goby fish in the recent intertidal mud flats along the Navinal coast, Kachchh, Western India
CN207987862U (zh) 一种绿色生态护坡水岸结构
JP2783775B2 (ja) 生態系を考慮した護岸構造物
JP3481870B2 (ja) 粗 朶
KR100884810B1 (ko)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 조성방법 및 그 구조
JP2000212936A (ja) 水生生物生息用護岸構造物
KR200406383Y1 (ko) 해중림 조성 시스템
JP2001152428A (ja) 生態系全体を考慮した環境護岸及び水路の構築方法
CN209339091U (zh) 一种生态友好型河道护岸结构
KR100764798B1 (ko) 해중림 조성 시스템 및 방법
WO2019204970A1 (zh) 一种滨海湿地侵蚀防护新结构及其施工方法
KR20160024568A (ko) 사면 녹화용 블록 매트 조립체
JP4013210B2 (ja) 河川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工
CN220079887U (zh) 沿海生态复合韧性堤岸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