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9621B1 -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 - Google Patents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9621B1
KR102679621B1 KR1020230103703A KR20230103703A KR102679621B1 KR 102679621 B1 KR102679621 B1 KR 102679621B1 KR 1020230103703 A KR1020230103703 A KR 1020230103703A KR 20230103703 A KR20230103703 A KR 20230103703A KR 102679621 B1 KR102679621 B1 KR 102679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pipe
sump
main body
movement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3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태승
Original Assignee
임태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태승 filed Critical 임태승
Priority to KR1020230103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96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9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96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로관 또는 집수정의 일면에 설치되어 상기 수로관 또는 집수정 외부로의 야생동물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본체고정부 및 상기 수로관 또는 집수정 내 물의 수위 변화에 따라 상기 본체고정부의 일단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타공홀이 형성되는 이동로를 포함하여, 수로관 또는 집수정 내부에서 야생동물이 탈출할 수 있도록 수로관 또는 집수정에 통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Escape guidance for ecological passage}
본 발명은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물이 집수되거나 흐르는 집수정 또는 수로관에 모두 설치 가능하게 형성되어, 야생동물이 집수정 또는 수로관으로부터 탈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택단지나 도로 주변 등 다양한 장소에 매립되어 집수 및 배수를 하기 위한 목적으로 물이 집수되는 구조를 가지며, 보다 구체적으로 집수정 본체의 상단은 도로 상의 물이 내부 공간으로 유입시키기 위하여 개방되어 있으며, 집수정 본체의 한 측면에는, 외부의 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개구가 형성되고, 또 다른 측면에는 내부 공간에 모아진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수로관은 일반적인 배수로나 농업용 수로를 구성하고 있으며, 그 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되고, 주변의 지대보다 낮게 설치되는 방식으로 흔히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형태의 집수정과 수로관은 야생동물이 집수정 또는 수로관의 내부 공간에 빠질 경우 탈출이 힘들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단점으로 인해, 양서류 및 파충류와 같은 야생동물들이 집수정에 빠져 죽게 되고, 그의 사체가 부패되어 집수정에 저장된 물과 함께 집수정 자체가 오염됨과 동시에, 생태계가 파괴되는 상황이 발생하기에 이르렀고, 야생동물들은 매일같이 생명의 위협에 노출된 상태로 살아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자동차나 자전거가 주행하는 도로변에서는 살아가는 양서류, 파충류 등과 같은 작은 야생동물들은 도로를 횡단하다가 지나가는 차량 등에 치여서 죽는 사고(로드킬: Roadkill)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단순히 야생동물들의 생명을 빼앗는 수준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운전자들의 안전에도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
그리고 별도의 이동로가 마련되지 못한 도로는 주변의 생태계를 분리하여 서로 격리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양서류, 파충류와 소동물들의 유전적 생태적 종족 번식 등의 다양성에도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낳고 있다
또한, 종래의 탈출로는 수로관에만 사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아직까지는 집수정과 수로관 모두에 사용 가능하여, 각 집수정 또는 수로관에 빠진 야생동물을 구호하기 위한 기술 개발은 미흡한 상태이다.
따라서, 수로관 및 집수정에 통용 가능하게 형성되어, 수로관 또는 집수정 내외부로 야생동물이 출입 또는 탈출하는데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의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82063호 '각도 가변형 이동로가 구비된 생태보호 수로관'(2011.11.03.)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61750호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2004.09.01.)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집수정 및 수로관과 같이 설치류 또는 양서류가 빠지기 쉽고 물이 흘러 가는 곳은 어느 곳이든 통용 가능한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는 수로관 또는 집수정의 일면에 설치되어 상기 수로관 또는 집수정 외부로의 야생동물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본체고정부 및 상기 수로관 또는 집수정 내 물의 수위 변화에 따라 상기 본체고정부의 일단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타공홀이 형성되는 이동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타공홀은, 하단 일부가 커버되는 루버 타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고정부는, 상기 수로관 또는 집수정에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상단에 직립하도록 형성되는 난간; 상기 고정판의 하단에 형성되되, 상기 수로관 또는 집수정의 내측면에 맞닿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을 지지하는 지지판 및 상기 이동로가 상기 고정판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하거나 상기 고정판이 상기 수로관 또는 집수정의 외측 방향으로 꺾이게 하는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부는, 상기 고정판에서 상기 이동로가 수심에 맞춰 부상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부상용힌지 및 상기 고정판이 상기 수로관 또는 집수정의 일면으로부터 90° 방향으로 꺾이도록 형성되는 청소용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의 상기 이동로는, 상기 본체고정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이동로 및 상기 제1이동로와 연결되어, 상기 수로관 또는 집수정의 깊이에 따라 상기 야생동물 이동 경로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제2이동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는 상기 본체고정부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고정부를 지지하되, 상기 수로관 또는 집수정의 상단 모서리 중 상기 본체고정부가 설치된 면과 수평적으로 대응되는 면의 상단에 형성되는 안착홈에 안착되는 환봉 및 상기 수로관 또는 집수정의 내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이동로의 하측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는 상기 본체고정부의 양 측방에 마련되되, 상기 수로관 또는 집수정 모서리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막힘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다른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는 상면에 형성되되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그레이팅부 및 상기 그레이팅부의 개방된 부분에 맞춰 상기 그레이팅부의 외측 방향에 형성되는 탈출홈을 포함하는 집수정에 설치되는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팅부의 개방된 부분에 설치되고, 야생동물이 이동하는 경로가 'ㄷ'자 형태로 형성되는 이동로 및 상기 이동로를 탈출홈에 고정시키는 바닥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레이팅부는, 상기 이동로가 설치되도록 상기 이동로의 폭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로와 그레이팅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로는, 상기 그레이팅부의 관통홀과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그레이팅부에 상기 이동로를 고정시키는 제1관통홀; 상기 이동로의 벽체 중 상기 집수정의 내측면과 맞닿는 벽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제2관통홀 및 상기 제2관통홀을 통해 상기 이동로를 집수정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는 수로관 또는 집수정 내부에서 야생동물이 탈출할 수 있도록 수로관 또는 집수정에 통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는 수로관 또는 집수정의 외부 방향으로 열리게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수로관 또는 집수정을 보다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로는 수로관 또는 집수정의 깊이에 따라 연장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서, 야생동물이 탈출 가능한 이동로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로의 타공홀이 루버타공으로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도 4의 (a) 및 (b)는 도 1에 도시된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가 수로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작동예시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도 1에 도시된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가 집수정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작동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가 수로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가 집수정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가 수로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회전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가 집수정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회전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가 수로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가 집수정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가 설치된 집수정의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집수정의 회전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로의 타공홀이 루버타공으로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저면사시도이고, 도 4의 (a)는 도 1에 도시된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가 수로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의 (b)는 청소용힌지를 통해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가 수로관의 외측으로 젖혀진 작동예시도이며, 도 5의 (a)는 도 1에 도시된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가 집수정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b)는 청소용힌지를 통해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가 집수정의 외측으로 젖혀진 작동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1)는 본체고정부(10) 및 이동로(11)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체고정부(10)는 수로관(A) 또는 집수정(W)의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본체고정부(10)는 캔틸레버(cantilever)와 같이 수로관(A) 또는 집수정(W)의 내부 방향은 고정이 되지 않는 외팔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체고정부(10)는 수로관(A) 또는 집수정(W)의 외부로의 야생동물 이동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고정판(100), 난간(101), 지지판(103) 및 힌지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판(100)은 수로관(A) 또는 집수정(W)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고정판(100)은 힌지부(102) 중 청소용힌지(1021)를 통해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고정판(100)은 수로관(A) 또는 집수정(W)의 일면에서 외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난간(101)은 고정판(100)의 상단에 직립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난간(101)은 고정판(100)의 상단 중 이동로(11)와 연결되거나 청소용힌지(1021)가 연결되는 부분을 제외한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난간(101)은 야생동물이 수로관(A) 또는 집수정(W)으로 다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힌지부(102)는 이동로(11)와 고정판(100)을 연결하는 부상용힌지(1020) 및 수로관(A) 또는 집수정(W)의 일측 상단과 고정판(100)을 연결하는 청소용힌지(1021)를 포함할 수 있다.
부상용힌지(1020)는 이동로(11)가 고정판(100)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상용힌지(10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00)과 이동로(11)의 하단에 설치되어, 이동로(11)가 수로관(A) 또는 집수정(W) 내부의 수위(水位) 변화에 따라 회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이동로(11)는 최하단에 부력체(미도시)가 더 설치되어 수면에서 보다 용이하게 부상할 수 있다.
여기서, 부력체는 원통형, 잠수형, H형 부력체 등 통상적으로 물에서 뜨기 위해 사용되는 모든 부력체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로(11)를 보다 용이하게 부상시키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모든 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청소용힌지(1021)는 사용자가 수로관(A) 또는 집수정(W)을 청소할 시 사용되는 힌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청소용힌지(1021)는 사용자에 의해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1)가 수로관(A) 또는 집수정(W)의 일면으로부터 90° 방향으로 젖혀지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가 수로관(A) 또는 집수정(W)을 청소할 시,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1)가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판(103)은 고정판(100)의 하단에 형성되되, 수로관(A) 또는 집수정(W)의 내측면에 맞닿게 형성되어 고정판(100)이 청소용힌지(1021)에 의해 수로관(A) 또는 집수정(W) 방향으로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로(11)는 수로관(A) 또는 집수정(W) 내의 물의 수위 변화에 따라 본체고정부(10)의 일단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로(11)는 수로관(A) 또는 집수정(W)의 내부 방향으로 벽체가 형성되어 단면이 'ㄴ'자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벽체는 야생동물이 이동로(11)를 따라 본체고정부(10)로 이동할 시 수로관(A) 또는 집수정(W)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야생동물은 시궁쥐, 다람쥐 및 친칠라와 같은 설치류나 개구리, 도롱뇽과 같은 양서류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수로관(A) 또는 집수정(W)에 빠질 수 있는 모든 동물 즉, 노루 및 고라니 등과 같은 포유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동로(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 개의 타공홀(110)을 포함할 수 있다. 타공홀(110)은 수로관(A) 또는 집수정(W)에 빠진 야생동물이 본체고정부(10)로부터 미끄러 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타공홀(110)은 벽체까지 이어지는 장공타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루버타공, 원형타공, 사각타공, 크로바타공, 체크발판, 시보리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타공홀(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일부가 커버되는 루버 타공으로 형성됨으로써, 수로관(A) 또는 집수정(W)에 부유하는 이물질이 쉽게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1)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관(A)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용힌지(1021)를 통해 본체고정부(10)와 이동로(11)가 펼쳐진 상태에서 동시에 수로관(A)의 외측 90° 방향으로 젖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1)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정(W)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용힌지(1021)를 통해 본체고정부(10)와 이동로(11)가 동시에 집수정(W)의 외측 90° 방향으로 젖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1)는 수로관(A)과 집수정(W)에 모두 설치가 가능하며, 청소 시 용이하게 젖혀질 수 있음에 따라, 야생동물이 수로관(A)과 집수정(W)에서 탈출 가능하게 하는 효과와 더불어, 수로관(A) 또는 집수정(W)을 보다 깨끗하게 사용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가 수로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가 집수정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1)의 이동로(11)는 수로관(A) 또는 집수정(W)의 깊이에 따라 연장 가능하도록 제1이동로(111) 및 제2이동로(1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이동로(111) 및 제2이동로(112)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1)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1)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이동로(111) 및 제2이동로(112)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1이동로(111)는 본체고정부(10)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이동로(111)는 상술된 부상용힌지(1020)에 의해 본체고정부(10)의 고정판(100)과 연결됨으로서, 수로관(A) 또는 집수정(W)의 수위에 맞춰 후술될 제2이동로(112)와 함께 부상할 수 있다.
제2이동로(112)는 제1이동로(111)와 연결되어 수로관(A) 또는 집수정(W)의 깊이에 따라 야생동물 이동 경로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다.
이때, 제2이동로(112)는 타공홀(110)을 제1이동로(111)의 타공홀(110)에 맞추게 되고, 맞춰진 타공홀(110)에 볼트 결합되어 제1이동로(111)와 연결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볼트 결합 외에 다른 결합 방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깊이가 깊은 수로관(A)에 사용되더라도 본체고정부(10)와 이동로(11) 간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깊이가 깊은 집수정(W)에도 사용 가능하며, 도 8에서는 각도가 가파른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깊이가 깊은 집수정(W)에서 사용할 때에도 본체고정부(10)와 이동로(11) 간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가 수로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회전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가 집수정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회전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1)는 환봉(12) 및 지지대(13)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수로관(A) 및 집수정(W)은 안착홈(A1, W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환봉(12), 지지대(13) 및 안착홈(A1, W1)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1)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1)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환봉(12), 지지대(13) 및 안착홈(A1, W1)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환봉(12)은 본체고정부(10)의 하단에 설치되어 본체고정부(10)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환봉(12)은 본체고정부(10)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봉일 수 있으며, 일단은 본체고정부(10)의 지지판(103)에 고정되고, 타단은 수로관(A) 및 집수정(W)의 상단에 형성된 안착홈(A1, W1)에 안착될 수 있다.
안착홈(A1, W1)은 수로관(A) 또는 집수정(W)의 상단 모서리 중 본체고정부(10)가 설치된 면과 수평적으로 대응되는 면의 상단에 환봉(12)이 안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착홈(A1, W1)을 통해, 환봉(12)이 기울어지게 되어 자재가 더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착홈(A1, W1)은 내부에 환봉(12)을 고정하는 환봉고정부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환봉고정부재는 환봉(12)이 본체고정부(10)가 청소용힌지(1021)에 의해 젖혀질 시, 동시에 젖혀질 수 있도록 임시로 고정할 수 있는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13)는 수로관(A) 또는 집수정(W)의 내측면에 설치되되, 이동로(11)의 하단에 형성되어 이동로(11)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대(13)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로(11)의 하측에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로(11)와 소정의 이격을 가진 위치에 앙카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대(13)는 수로관(A)의 내측면에 이동로(11)의 길이 방향 및 경사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정(W)의 내측면에도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1)의 환봉(12) 및 지지대(13)는 노루, 고라니와 같은 포유류 종의 야생동물들이 탈출할 시, 그 무게를 분산할 수 있음에 따라, 이동로(11)가 야생동물들의 탈출 도중 파손되거나 아래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고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1)의 수명을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가 수로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가 집수정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1)는 막힘판(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막힘판(14)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1)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1)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막힘판(14)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막힘판(14)은 본체고정부(10)의 양 측방에 마련되되, 수로관(A) 또는 집수정(W)의 모서리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관(A)에 설치될 경우, 막힘판(14)은 본체고정부(10)가 설치된 부분을 기준으로, 수로관(A)의 모서리를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정에 설치될 경우, 막힘판(14)은 본체고정부(10)가 설치된 집수정의 꼭짓점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꼭짓점과 맞닿는 모서리의 상단에 설치됨으로써, 각 막힘판(14)이 수직 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막힘판(14)은 민자판 형태로 형성되어 크기가 작은 양서류 또는 설치류가 수로관(A) 또는 집수정(W)으로 추락하지 못 하도록 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형태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1)는 막힘판(14)을 이용하여 본체고정부(10) 및 이동로(11)를 통해 탈출한 야생동물들이 다시 수로관(A) 또는 집수정(W)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실시예는 설명의 용이성을 위하여 각 구성에 따라 다른 실시예로 나누어 설명을 진행하였으나, 이동로(11)의 제1이동로(111) 및 제2이동로(112)와 더불어 환봉(12), 지지대(13) 및 막힘판(14)은 동일한 장소에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생태 보호용 탈출 유도 장치가 설치된 집수정의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집수정의 회전사시도이며,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생태 보호용 탈출 유도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2)는 그레이팅부(W2)가 형성된 집수정(W)에 설치될 수 있도록 이동로(20) 및 바닥부재(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2)를 그레이팅부용 탈출 유도 장치(2)로 지칭하기로 한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집수정(W)에 설치되는 그레이팅부용 탈출 유도 장치(2)는 이동로(20) 및 바닥부재(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로(20)는 그레이팅부(W2)의 개방된 부분에 설치되고, 야생동물이 이동하는 경로가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닥부재(21)는 상기 이동로(20)를 집수정(W)의 상면에 고정할 수 있다.
바닥부재(21)는 집수정(W)의 상단 또는 후술될 탈출홈(W3)에 피스를 통해 고정되도록 천공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사항은 아니고, 콘크리트 접착제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이 바닥부재(21)와 집수정(W)을 고정시킬 수 있는 모든 접착부재를 통해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그레이팅부용 탈출 유도 장치(2)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그레이팅부(W2)가 형성된 집수정(W)에 대해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집수정(W)은 그레이팅부(W2) 및 탈출홈(W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레이팅부(W2)는 집수정(W)의 상면에 형성되되,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레이팅부(W2)는 상방에 수평 I-bar가 형성되고 하방에 수직 I-bar가 형성되는 그레이팅(grating)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격자 형태를 가진 모든 그레이팅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레이팅부(W2)는 관통홀(W20) 및 연결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W20)은 그레이팅부(W2)가 집수정(W)의 상면에 설치되기 전에, 그레이팅부(W2)의 일측면에서부터 천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W20)은 이동로(20)가 그레이팅부(W2)에 연결될 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관통홀(W20)은 이동로(20)의 폭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관통홀(W20)은 이동로(20)의 벽체가 그레이팅부(W2)의 I-bar를 적어도 하나 이상 감쌀 시, 이동로(20)의 벽체 사이에 있는 그레이팅부(W2)의 I-bar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는 관통홀(W20)에 설치되어 이동로(20)와 그레이팅부(W2)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재는 관통홀(W20)과 후술될 이동로(20)의 제1관통홀(200)을 결합하도록 볼트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연결부재는 바닥부재(21)가 집수정(W)에 고정되지 않았을 시, 후크로 형성될 수도 있다.
후크 형태의 연결부재는 후술될 이동로(20)의 제1관통홀(200)과 연결되어 그레이팅부(W2)의 상단에 걸쳐지거나 관통홀(W20)에 걸리게 됨으로써, 이동로(20)가 집수정(W) 내부의 수심에 따라 부상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탈출홈(W3)은 격자 형태를 가진 그레이팅부(W2)에서 개방된 부분에 맞춰 그레이팅부(W2)의 외측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탈출홈(W3)은 그레이팅부(W2)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탈출한 야생동물이 집수정(W)의 외부로 탈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탈출홈(W3)은 상술된 바닥부재(21)가 고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레이팅부용 탈출 유도 장치(2)는 이동로(20) 및 바닥부재(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로(20)는 집수정(W)의 내측면과 맞닿는 벽체와, 집수정(W)의 내부 방향에 형성되어 야생동물의 낙하를 방지하는 벽체가 형성되어,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로(20)는 제1관통홀(200), 제2관통홀(201) 및 고정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관통홀(200)은 상술된 그레이팅부(W2)의 관통홀(W20)와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관통홀(200)은 그레이팅부(W2)에 이동로(20)를 연결시키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제1관통홀(200)은 각 벽체의 상단에 각각 하나씩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레이팅부(W2)와 이동로(20)를 연결시킬 수 있는 모든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관통홀(201)은 이동로(20)의 벽체 중 집수정(W)의 내측면과 맞닿는 벽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관통홀(201)은 이동로(20)의 벽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이동로(20)를 집수정(W)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2관통홀(201)은 제1관통홀(200)과 동일 선상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고정부재(미도시)는 제2관통홀(201)을 통해 이동로(20)를 집수정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재는 볼트 결합 또는 세트 앙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
10 : 본체고정부
100 : 고정판
101 : 난간
102 : 힌지부
1020 : 부상용힌지
1021 : 청소용힌지
103 : 지지판
11 : 이동로
110 : 타공홀
111 : 제1이동로
112 : 제2이동로
12 : 환봉
13 : 지지대
14 : 막힘판
2 : 그레이팅용 탈출 유도 장치
20 : 이동로
200 : 제1관통홀
201 : 제2관통홀
21 : 바닥부재
A : 수로관
A1 : 안착홈
W : 집수정
W1 : 안착홈
W2 : 그레이팅부
W20 : 관통홀
W3 : 탈출홈

Claims (10)

  1. 수로관 또는 집수정의 일면에 설치되어 상기 수로관 또는 집수정 외부로의 야생동물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본체고정부 및
    상기 수로관 또는 집수정 내 물의 수위 변화에 따라 상기 본체고정부의 일단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타공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로관 또는 집수정의 내부 방향으로 벽체가 형성되어 단면이 'ㄴ'자인 형태로 형성되는 이동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고정부는,
    상기 수로관 또는 집수정에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상단에 직립하도록 형성되는 난간;
    상기 고정판의 하단에 형성되되, 상기 수로관 또는 집수정의 내측면에 맞닿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을 지지하는 지지판 및
    상기 이동로가 상기 고정판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하거나 상기 고정판이 상기 수로관 또는 집수정의 외측 방향으로 꺾이게 하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고정판에서 상기 이동로가 수심에 맞춰 부상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부상용힌지 및
    상기 고정판이 상기 수로관 또는 집수정의 일면으로부터 90° 방향으로 꺾이도록 형성되는 청소용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고정부는 상기 청소용힌지에 의해 수로관 또는 집수정 방향으로 꺽이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타공홀은,
    하단 일부가 커버되는 루버 타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로는,
    상기 본체고정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이동로 및
    상기 제1이동로와 연결되어, 상기 수로관 또는 집수정의 깊이에 따라 상기 야생동물 이동 경로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제2이동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고정부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고정부의 지지판에 고정되고, 상기 수로관 또는 집수정의 상단 모서리 중 상기 본체고정부가 설치된 면과 수평적으로 대응되는 면의 상단에 형성되는 안착홈에 안착되는 환봉 및
    상기 수로관 또는 집수정의 내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이동로의 하측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고정부의 양 측방에 마련되되, 상기 수로관 또는 집수정 모서리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막힘판을 더 포함하는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30103703A 2023-08-08 2023-08-08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 KR102679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3703A KR102679621B1 (ko) 2023-08-08 2023-08-08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3703A KR102679621B1 (ko) 2023-08-08 2023-08-08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9621B1 true KR102679621B1 (ko) 2024-06-27

Family

ID=91713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3703A KR102679621B1 (ko) 2023-08-08 2023-08-08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96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808B1 (ko) * 2010-09-17 2011-06-29 주식회사 은성콘크리트 탈출로를 구비한 수로관
KR101766918B1 (ko) * 2016-04-21 2017-08-25 케이씨테크주식회사 수로관용 가변형 탈출유도장치
KR102275903B1 (ko) * 2021-03-29 2021-07-08 임태승 친환경 이동로가 설치된 집수정
KR102492556B1 (ko) * 2022-10-31 2023-01-27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탈부착이 용이한 생태수로 조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생태수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808B1 (ko) * 2010-09-17 2011-06-29 주식회사 은성콘크리트 탈출로를 구비한 수로관
KR101766918B1 (ko) * 2016-04-21 2017-08-25 케이씨테크주식회사 수로관용 가변형 탈출유도장치
KR102275903B1 (ko) * 2021-03-29 2021-07-08 임태승 친환경 이동로가 설치된 집수정
KR102492556B1 (ko) * 2022-10-31 2023-01-27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탈부착이 용이한 생태수로 조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생태수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6420B1 (ko)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
JP2011220048A (ja) 床下浸水防止構造
US20100290842A1 (en) Ecological restoration block
KR20080007089A (ko)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
KR102679621B1 (ko) 생태 통로용 탈출 유도 장치
KR200398056Y1 (ko) 수로관용 소형동물 이동대
KR100656801B1 (ko) 동물의 이동통로가 되는 동물이동 전용 암거관
KR20190116729A (ko) 수로에 설치되는 동물 탈출장치
KR101058340B1 (ko) 생태통로
KR100773488B1 (ko) 신도시 공원의 생태계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보행자 도로
KR100772155B1 (ko) 친환경 동물 보호를 위한 이동통로를 갖는 배수로
JP3875975B2 (ja) 小動物保護用開架側溝部材
JP4914301B2 (ja) 水貯留槽用の構造部材
KR101087570B1 (ko) 생태통로유도벽
JP4235297B2 (ja) 小動物脱出用集水桝
KR200395563Y1 (ko) 배수로의 생태통로
KR200497306Y1 (ko) 수로관 사이에 설치되는 소형동물 탈출장치
KR101281422B1 (ko) 개방형 수로
US6530344B2 (en) Nesting structure for northern rough-winged swallows
KR102684797B1 (ko) 생태 수로관
JP3748878B1 (ja) 生態系配慮型水路構造
KR102643517B1 (ko) 생태보호 집수정
KR20040053067A (ko)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
KR102222562B1 (ko) 외부로의 탈출과 식생 공간이 확보되는 수로
KR200497638Y1 (ko) 소형동물 탈출장치가 구비된 사각 집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