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3984B1 - 하천의 경사진 바닥에 설치되는 어도 경사블록 - Google Patents

하천의 경사진 바닥에 설치되는 어도 경사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3984B1
KR100673984B1 KR1020060100816A KR20060100816A KR100673984B1 KR 100673984 B1 KR100673984 B1 KR 100673984B1 KR 1020060100816 A KR1020060100816 A KR 1020060100816A KR 20060100816 A KR20060100816 A KR 20060100816A KR 100673984 B1 KR100673984 B1 KR 100673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r
fixed
block
rod
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0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웅
Original Assignee
(주)평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평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평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60100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39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을 거슬러 올라가는 물고기들이 용이하게 하천의 경사진 부분을 거슬러 올라갈 수 있게 하여 하천 생태계에 도움을 주는 하천의 경사진 바닥에 설치되는 어도 경사블록에 관한 것이며, 하단부(11)와 상단부(12) 사이에 경사부(13)가 형성되어 하천(1) 바닥의 경사면에 설치되고, 하단부(11)의 전면에 다수개의 하부어류출입구(20)가 형성되며, 하단부(11)의 상부가 개방되어 개방구(14)가 형성되고, 하단부(11)의 바닥면에 형성된 앵커홀(21)을 통해 앵커(22)로 하천(1)에 고정되며, 상단부(12)의 양측으로 홈부(17)가 형성되어 홈부(17)에서 전방을 향한 면에 상부어류출입구(18)가 형성되고, 상단부(12)의 상하를 관통하는 앵커홀(19)을 통해 앵커(22)로 하천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하단부(11)와 상단부(12)를 연결하도록 경사부(13)의 내부에 이동통로(13-1)가 형성되고, 경사부(13)의 저면에 파형고정면(15)이 형성되어 하천 바닥면의 파형면과 결합되어 잘 지지되게 하는 어도경사블록(10); 어도경사블록(10)의 경사부(13) 상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되, 전하방으로 갈수록 크기가 크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유속저감턱(16); 삽입원통부(31) 일측의 직경이 확장되어 확개부(32)가 형성되고, 확개부(32)와 경계를 이루는 삽입원통부(31) 외측면에 볼트부(33)가 형성되어 어도경사블록(10)의 하단부(11) 전단에 볼트로 고정되는 전면판(34)에 형성된 다수개의 홀(35)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통로입구체(30); 어도경사블록(10) 하단부(11)의 개방구(14)를 덮도록 고정되는 판체(41) 상면 양측으로 날개봉설치포스트(43)가 돌출 형성되고, 날개봉설치포스 트(43)에 후방을 향하여 개방된 축홈(44)이 형성되며, 축홈(44)은 전방을 향하여 형성되다가 아래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고정판(40); 원기둥 형상의 회전봉(51)의 둘레에 다수개의 날개프레임(53)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날개프레임(53)은 호형으로 이루어져 내측으로 사각홀(54)이 형성되며, 회전봉(51)의 양측단에 중심축(52)이 형성되어 날개봉설치포스트(43)에 형성된 축홈(44)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날개프레임(53)에 고정되는 회전날개(55)는 망(56)으로 이루어지는 회전날개봉(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어도블록, 경사면, 하천, 회전날개봉, 유속저감

Description

하천의 경사진 바닥에 설치되는 어도 경사블록{A slope block using bottom of river}
도 1은 본 발명의 하천의 경사진 바닥에 설치되는 어도 경사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하천의 경사진 바닥에 설치되는 어도 경사블록을 도시한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하천의 경사진 바닥에 설치되는 어도 경사블록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하천의 경사진 바닥에 설치되는 어도 경사블록을 도시한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하천의 경사진 바닥에 설치되는 어도 경사블록을 도시한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하천의 경사진 바닥에 설치되는 어도 경사블록을 도시한 설치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하천의 경사진 바닥에 설치되는 어도 경사블록에서 사용하는 회전날개봉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하천 2 : 경사면
10 : 어도 경사블록 11 : 하단부
12 : 상단부 13 : 경사부
13-1 : 이동통로 14 : 개방구
15 : 파형고정면 16 : 유속저감턱
17 : 홈부 18 : 상부어류출입구
19 : 앵커홀 20 : 하부어류출입구
21 : 앵커홀 22 : 앵커
30 : 통로입구체 31 : 삽입원통부
32 : 확개부 33 : 볼트부
34 : 전면판 35 : 홀
36 : 나사산 40 : 고정판
41 : 판체 42 : 삽입단턱
43 : 날개봉설치포스트 44 : 축홈
50 : 회전날개봉 51 : 회전봉
52 : 중심축 53 : 날개프레임
54 : 사각홀 55 : 회전날개
56 : 망
본 발명은 하천의 경사진 바닥에 설치되는 어도 경사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을 거슬러 올라가는 물고기들이 용이하게 하천의 경사진 부분을 거슬러 올라갈 수 있게 하여 하천 생태계에 도움을 주는 하천의 경사진 바닥에 설치되는 어도 경사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폭이 비교적 좁고, 게다가 그 법면이 급경사를 이루고 있으면서도 유속이 빠른 하천법면의 경우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여야 하는데 이때 대부분이 콘크리트옹벽을 쌓거나, 석축을 쌓아 토사의 유출을 방지하고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로 법면을 축조하는 경우, 우선 콘크리트옹벽 및 석축에서 수변(水邊)식물이 자랄 수 없고, 또한 하천 어류들의 서식처는 물론 산란처까지도 상실하게 되기 때문에, 어류의 번식 증대에도 막대한 지장을 초래케 함은 물론, 이로 인하여 환경보호차원에 있어서도 역행하는 폐단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어도블록을 하천 양안의 경사면에 설치하는데, 이러한 어도블록의 경우 하천 양안으로 물고기들을 보내는 결과를 초래하고, 이는 낚시꾼들이 쉽게 물고기를 잡게 하여 낚시꾼들이 던진 떡밥 등으로 인하여 하천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최근 들어서, 하천 유역의 토지 이용이 증대되고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하천환경은 현저하게 변화되었는데 특히, 하천 주변의 토지 이용 밀도가 높은 도시 하천의 경우, 홍수 예방목적으로 저수로와 고수부지의 정비,하도의 선형 정비 및 하천 제방의 축조 등으로 자연하천의 곡선 선형은 직선으로 변경되었고, 하천의 경사 면은 침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어도블록을 설치하였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하천 제방은 토사의 침하를 방지함과 동시에 오염된 하천수의 정화 및 물고기의 서식과 식물의 식생이 가능토록 충분한 공간부을 제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자연석으로 대체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 날씨는 장마 기간 또는 짧은 시간에 많은 량의 비가 내리는 집중호우로 갑자기 하천에 많은 량의 하천수가 빠른 속도로 흘러내리면서 하천바닥이 파헤쳐져 단순히 상하좌우로 적층된 블록이 쉽게 붕괴 유실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또한 설치된 기간이 오래된 어도블록은 노후되면서 서로 좌우 일렬로 정렬되어 있어야 할 축조상태가 지속적인 하천수의 흐름에 따라 틈새가 벌어져 붕괴 유실됨에따라 해마다 지속적으로 유지보수 작업과 정지작업을 반복해야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 하천에 사는 어류중 하천 상류로 거슬러 올라가는 물고기들이 있는데, 하천의 많은 부분이 이러한 물고기들이 거슬러 올라갈 수 없도록 콘크리트 등으로 하천이 개발되거나 정비되어 왔다.
물고기들의 특성상 상류로 거슬러 올라가려는 본능이 있는데, 하천의 경사면에서는 낙차가 커서 물고기들의 이동이 용이하지 않았다. 물고기들이 상류로 이동을 하지 못하게 되면 산란과 생장에 문제가 발생하여 하천 생태계가 무너지는 문제도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물고 기들이 낙차가 큰 하천 바닥 경사면에도 불구하고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게 하고, 경사면에서 하천 유속을 떨어뜨려 물고기들의 이동을 더욱 편하게 하며, 물고기들이 블럭 내부의 이동통로에 피난을 할 수 있게 한 하천의 경사진 바닥에 설치되는 어도 경사블록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에 경사부가 형성되어 하천 바닥의 경사면에 설치되고, 하단부의 전면에 다수개의 하부어류출입구가 형성되며, 하단부의 상부가 개방되어 개방구가 형성되고, 하단부의 바닥면에 형성된 앵커홀을 통해 앵커로 하천에 고정되며, 상단부의 양측으로 홈부가 형성되어 홈부에서 전방을 향한 면에 상부어류출입구가 형성되고, 상단부의 상하를 관통하는 앵커홀을 통해 앵커로 하천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하단부와 상단부를 연결하도록 경사부의 내부에 이동통로가 형성되고, 경사부의 저면에 파형고정면이 형성되어 하천 바닥면의 파형면과 결합되어 잘 지지되게 하는 어도경사블록; 어도경사블록의 경사부 상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되, 전하방으로 갈수록 크기가 크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유속저감턱; 삽입원통부 일측의 직경이 확장되어 확개부가 형성되고, 확개부와 경계를 이루는 삽입원통부 외측면에 볼트부가 형성되어 어도경사블록의 하단부 전단에 볼트로 고정되는 전면판에 형성된 다수개의 홀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통로입구체; 어도경사블록 하단부의 개방구를 덮도록 고정되는 판체 상면 양측으로 날개봉설치포스트가 돌출 형성되고, 날개봉설치포스트에 후방을 향하여 개방된 축홈이 형성되며, 축홈은 전방을 향하여 형성되다가 아래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고정판; 원기둥 형상의 회전봉의 둘레에 다수개의 날개프레임이 일체로 돌출 형성 되고, 날개프레임은 호형으로 이루어져 내측으로 사각홀이 형성되며, 회전봉의 양측단에 중심축이 형성되어 날개봉설치포스트에 형성된 축홈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날개프레임에 고정되는 회전날개는 망으로 이루어지는 회전날개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경사진 바닥에 설치되는 어도 경사블록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되지 않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 하천의 하류방향을 전방으로 하고, 하천의 상류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은 하천에서 급격한 경사를 이루는 바닥면에 어도경사블록(10)을 고정하여 어도경사블록(10) 내에 형성된 이동통로(13-1)을 통해 물고기들이 상향이동할 수 있게 하고, 어도경사블록(10)의 하단부(11)에 고정되는 통로입구체(30)를 통해 내부로 물고기들이 출입할 수 있게 하며, 어도경사블록(10)의 상단부(12)에 형성된 상부어류출입구(18)를 통해 경사면을 거슬러올라온 물고기들이 출입할 수 있게 하고, 경사부(13)의 상면에 다단의 유속저감턱(16)이 형성되며, 어도경사블 록(10)의 하단부(11)에 회전날개봉(50)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하단부로 떨어지는 유속을 저감시켜 물고기들의 생태에 도움을 주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어도경사블록(10)은 하단부(11)와 상단부(12) 사이에 경사부(13)가 형성되어 하천(1) 바닥의 경사면에 설치되고, 경사부(13)의 저면에는 파형고정면(15)이 형성되어 하천(1)의 바닥면을 이루는 파형면과 결합되어 잘 지지되게 한다.
어도경사블록(10) 하단부(11)의 전면에 다수개의 하부어류출입구(20)가 형성되고, 하단부(11)의 상부가 개방되어 개방구(14)가 형성된다. 하단부(11)의 바닥면에 다수개의 앵커홀(21)이 형성되고, 개방구(14)을 통해 앵커(22)를 앵커홀(21)로 박아 하천(1) 바닥면에 고정한다.
어도경사블록(10)의 상단부(12) 양측으로 홈부(17)가 형성되어 홈부(17)에서 전방을 향한 면 즉 하천의 하류를 향하는 면이 개방되어 상부어류출입구(18)가 형성된다. 하천의 흐름과 직접 닿는 부분이 아니라 측면을 통하여 들어간 홈부(17)에 상부어류출입구(18)가 형성되므로 하천의 급격한 흐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이동통로를 통해 상류로 올라온 물고기들이 하천(1)으로 나올 수 있게 된다.
어도경사블록(10)의 상단부(12)에 상하를 관통하는 앵커홀(19)이 형성되고, 앵커홀(19)을 통해 앵커(22)로 하천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하단부(11)와 상단부(12)를 연결하도록 경사부(13)의 내부에 이동통로(13-1)가 형성된다.
어도경사블록(10)의 경사부(13) 상면에 다수개의 유속저감턱(16)이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전하방으로 갈수록 크기가 크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하천수는 유속저감턱(16)을 지나면서 많은 기포가 발생되어 하천수에 산소를 공급하여 줄뿐만 아니라 유속이 저감되어 수생동물이 잘 살 수 있게 도와준다.
어도경사블록(10)의 전단에 형성된 하부어류출입구(20)에 어류들이 잘 들어갈수 있도록 통로입구체(30)를 고정하는데, 통로입구체(30)는 원통형관 형상의 삽입원통부(31)와 일체로 직경이 순차적으로 확장되어 나팔 형상의 확개부(32)가 형성되고, 확개부(32)와 경계를 이루는 삽입원통부(31) 외측면에 볼트부(33)가 형성된다.
어도경사블록(10)의 전단에 전면판(34)을 볼트로 고정하고, 전면판(34)에는 다수개의 홀(35)이 형성되어 하부어류출입구(20)와 일치되게 고정되며, 홀(35)의 내경에는 나사산(36)이 형성되어 삽입원통부(31)의 볼트부(33)와 체결되어 삽입원통부(31)를 고정한다.
고정판(40)은 어도경사블록(10) 하단부(11)의 개방구(14)를 덮도록 고정되는 것으로서, 고정판(40)의 판체(41) 상면 양측으로 날개봉설치포스트(43)가 돌출 형성된다. 고정판(40)의 판체(41) 저면에는 삽입단턱(42)이 돌출 형성되어 어도경사블록(10)의 개방구(14)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날개봉설치포스트(43)에 후방을 향하여 개방된 축홈(44)이 형성되고, 축홈(44)은 전방을 향하여 수평으로 형성되다가 아래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후술할 회전날개봉(50)의 중심축(52)이 삽입되어 아래로 절곡된 부분으로 내려가 그 단부에서 회전하게 된다. 하천수의 유속을 회전날개봉(50)이 받게 되므로 축홈(44)으로 밀려들어가 아래로 내려가면 밖으로 이탈할 염려가 없다.
회전날개봉(50)은 원기둥 형상의 회전봉(51)의 둘레에 다수개의 날개프레임(53)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날개프레임(53)은 호형으로 이루어져 내측으로 사각홀(54)이 형성된다. 날개프레임(53)에 회전날개(55)를 고정하는데, 회전날개(55)는 고정프레임 가운데 망(56)이 고정된 것으로, 이 고정프레임이 날개프레임(53)에 볼트등으로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회전날개봉(50)의 회전날개(55)에 하천수가 부딪치면서 회전날개봉(50)을 회전시켜 유속을 저감시킨다.
회전날개봉(50)의 회전봉(51) 양측단에 중심축(52)이 형성되어 날개봉설치포스트(43)에 형성된 축홈(44)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회전날개봉(50)이 회전하여 하천의 유속을 저감할 뿐만 아니라 하천의 경사부 하단에서 급격한 속도로 하천 바닥면이 파이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물고기들이 낙차가 큰 하천 바닥 경사면에도 불구하고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게 하고, 경사면에서 하천 유속을 떨어뜨려 물고기들의 이동을 더욱 편하게 하며, 물고기들이 블럭 내부의 이동통로에 피난을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하천수가 회전날개봉을 회전시키면서 유속이 저감되고, 유속저감턱과 회전날개봉을 지나면서 하천수가 유속이 저감될 뿐만 아니라 기포가 발생되어 산소가 공급되어 수중동물들이 살기 좋은 환경을 제공해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하단부(11)와 상단부(12) 사이에 경사부(13)가 형성되어 하천(1) 바닥의 경사면에 설치되고, 하단부(11)의 전면에 다수개의 하부어류출입구(20)가 형성되며, 하단부(11)의 상부가 개방되어 개방구(14)가 형성되고, 하단부(11)의 바닥면에 형성된 앵커홀(21)을 통해 앵커(22)로 하천(1)에 고정되며, 상단부(12)의 양측으로 홈부(17)가 형성되어 홈부(17)에서 전방을 향한 면에 상부어류출입구(18)가 형성되고, 상단부(12)의 상하를 관통하는 앵커홀(19)을 통해 앵커(22)로 하천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하단부(11)와 상단부(12)를 연결하도록 경사부(13)의 내부에 이동통로(13-1)가 형성되고, 경사부(13)의 저면에 파형고정면(15)이 형성되어 하천 바닥면의 파형면과 결합되어 잘 지지되게 하는 어도경사블록(10);
    어도경사블록(10)의 경사부(13) 상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되, 전하방으로 갈수록 크기가 크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유속저감턱(16);
    삽입원통부(31) 일측의 직경이 확장되어 확개부(32)가 형성되고, 확개부(32)와 경계를 이루는 삽입원통부(31) 외측면에 볼트부(33)가 형성되어 어도경사블록(10)의 하단부(11) 전단에 볼트로 고정되는 전면판(34)에 형성된 다수개의 홀(35)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통로입구체(30);
    어도경사블록(10) 하단부(11)의 개방구(14)를 덮도록 고정되는 판체(41) 상면 양측으로 날개봉설치포스트(43)가 돌출 형성되고, 날개봉설치포스트(43)에 후방을 향하여 개방된 축홈(44)이 형성되며, 축홈(44)은 전방을 향하여 형성되다가 아 래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고정판(40);
    원기둥 형상의 회전봉(51)의 둘레에 다수개의 날개프레임(53)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날개프레임(53)은 호형으로 이루어져 내측으로 사각홀(54)이 형성되며, 회전봉(51)의 양측단에 중심축(52)이 형성되어 날개봉설치포스트(43)에 형성된 축홈(44)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날개프레임(53)에 고정되는 회전날개(55)는 망(56)으로 이루어지는 회전날개봉(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경사진 바닥에 설치되는 어도 경사블록.
KR1020060100816A 2006-10-17 2006-10-17 하천의 경사진 바닥에 설치되는 어도 경사블록 KR100673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816A KR100673984B1 (ko) 2006-10-17 2006-10-17 하천의 경사진 바닥에 설치되는 어도 경사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816A KR100673984B1 (ko) 2006-10-17 2006-10-17 하천의 경사진 바닥에 설치되는 어도 경사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3984B1 true KR100673984B1 (ko) 2007-01-25

Family

ID=38014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0816A KR100673984B1 (ko) 2006-10-17 2006-10-17 하천의 경사진 바닥에 설치되는 어도 경사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39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973B1 (ko) 2010-01-21 2010-08-20 (주)하이스콘 어류의 습성을 이용한 친환경 어도블록
KR102165005B1 (ko) 2020-02-29 2020-10-13 하해개발 주식회사 한국 환경에 적합한 조립식 격벽 블록 어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199A (ko) * 2000-11-22 2001-03-05 김달환 하천용 어도(魚道)블록
KR20030079992A (ko) * 2001-02-13 2003-10-10 오리엔토 솟키 콤퓨타 가부시키가이샤 광 디스크 라벨 프린터용 디스크 어댑터
KR100478245B1 (ko) * 2004-09-24 2005-03-23 기인서 수위감지식 자동가변어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199A (ko) * 2000-11-22 2001-03-05 김달환 하천용 어도(魚道)블록
KR20030079992A (ko) * 2001-02-13 2003-10-10 오리엔토 솟키 콤퓨타 가부시키가이샤 광 디스크 라벨 프린터용 디스크 어댑터
KR100478245B1 (ko) * 2004-09-24 2005-03-23 기인서 수위감지식 자동가변어도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4782450000
1020010016199
2003799920000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973B1 (ko) 2010-01-21 2010-08-20 (주)하이스콘 어류의 습성을 이용한 친환경 어도블록
KR102165005B1 (ko) 2020-02-29 2020-10-13 하해개발 주식회사 한국 환경에 적합한 조립식 격벽 블록 어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osset et al. Tests of two types of bypass for downstream migration of eels at a small hydroelectric power plant
DE102009037196B3 (de) Schachtkraftwerk
KR100966723B1 (ko) 하천 우회수로형 어도시설물
DE102009052383A1 (de) Schachtkraftwerk
KR101983371B1 (ko) 대형 빗물저장고 겸용 인공양어장을 조성하여 자연생태계를 살려 내면서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US20190150382A1 (en) Farming Sargasso
EP2606221A1 (de) Wasserkraftwerksrechenanordnung
KR100732805B1 (ko) 어도 형성 및 수질개선을 위한 보
KR100541631B1 (ko) 유속 안내판과 어도 덮게의 저항 작용에 의해 물고기의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어도의 구성방법
KR100673984B1 (ko) 하천의 경사진 바닥에 설치되는 어도 경사블록
KR101585639B1 (ko) 어도블록 및 어도시공방법
KR20100088359A (ko) 인공하천용 민물 어패류의 자연서식가능한 서식구조체
CN101199270B (zh) 农村简易防洪鱼池的建造方法
CN111379238B (zh) 发育侵蚀沟的沟头防护结构及其施工方法
Voicu et al. A potential engineering solution to facilitate upstream movement of fish in mountain rivers with weirs: Southern Carpathians, the Azuga River
EP2420669B1 (de) Schachtkraftwerk mit Schachtspülung
CN211973343U (zh) 一种活动式溢洪道拦鱼闸门
KR100757315B1 (ko) 어도를 갖는 자동보 수문
KR100659300B1 (ko) 하천 바닥면에 설치되는 유속저감 생태블럭
CN111236134A (zh) 一种活动式溢洪道拦鱼闸门
JP2005282287A (ja) 水路式魚道ブロック
KR20100111552A (ko) 유량손실을 방지하며 양 방향으로 상시 이동이 용이한 어도
Balasubramanian River as an Ecosystem
KR20030063254A (ko) 물고기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어도와 그 구성방법
KR20120055777A (ko) 수초가 식재된 수문겸용 친환경 어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