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001B1 - 실뱀장어 포획장치 - Google Patents

실뱀장어 포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001B1
KR102130001B1 KR1020150174929A KR20150174929A KR102130001B1 KR 102130001 B1 KR102130001 B1 KR 102130001B1 KR 1020150174929 A KR1020150174929 A KR 1020150174929A KR 20150174929 A KR20150174929 A KR 20150174929A KR 102130001 B1 KR102130001 B1 KR 102130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el
water
eels
lift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4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7624A (ko
Inventor
정문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도스이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도스이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도스이노텍
Priority to KR1020150174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001B1/ko
Publication of KR20170067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4/00Other catching n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0/00Harvesting oysters, mussels, sponge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의 실뱀장어 포획장치는 해안가나 강가, 또는 방조제 외측이나 보에 설치되고, 운반과 조립 설치가 용이하며, 어미 뱀장어가 성장한 모천의 물 냄새를 맡고 찾아오는 실뱀장어의 본능과 소량의 물이 느린 유속으로 흐르는 경사면을 타고 기어서 소상하는 실뱀장어의 습성을 이용하여 경사지게 설치된 승강 틀에 물 공급장치를 통해서 모천의 물을 흘려보내 유인함과 동시에 승강 틀 위로 소상케 하여 승강 틀의 중간에 설치된 다수의 휴식 겸용 틀로 포획하고 승강 틀 최상부 밑에 설치된 체포 틀로 실뱀장어를 체포하는 실뱀장어 포획장치로서 승강 틀과 물 공급장치를 구비하여 육상에 설치됨으로써 안전하고 경비가 들지 않으며 모천수로 본능을 자극하여 유인하여 잡는 방식이므로 기존의 포획 방식보다는 월등히 많은 포획이 가능한 실뱀장어 포획장치이다.

Description

실뱀장어 포획장치 {catching structure for a elver with resting and catching room.}
본 발명은 실뱀장어를 포획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유영능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져 유량이 많지 않고 유속이 느린 경사면을 타고 기어오르는 형태를 갖는 실뱀장어의 소상 습성과 실뱀장어가 어미가 성장한 모천의 물 냄새를 기억하고 본능적으로 모천을 찾아가는 회귀 습성을 이용하여 실뱀장어를 어미 뱀장어가 살았던 모천의 물 냄새로 유인하여 비스듬한 경사를 가진 승강 틀 위로 소상하기에 가장 적당한 유속과 유량으로 모천의 물을 흘려보내 본능에 따라 승강 틀을 타고 기어오른 실뱀장어를 승강 틀 중간에 설치된 다수의 휴식 겸용 포획 틀에 빠지게 하여 1차로 포획을 하고, 휴식 겸용 체포 틀에 빠지지 않고 승강 틀의 끝까지 올라간 실뱀장어는 승강 틀 끝에 위치한 체포 틀에 빠지게 하여 2차로 포획하는 모천의 물 냄새를 따라 회귀하는 실뱀장어를 쉽게 대량으로 포획할 수 있는 실뱀장어 포획 장치에 관한 것이다.
회귀성 어류인 뱀장어는 민물에서 성장하다가 성어가 된 후에 먼 바다에 나가 마리아나 제도 동쪽에 위치한 마리아나 해구의 깊은 곳에서 산란을 하고 일생을 마치게 된다.
알에서 부화한 치어들은 성장 해가면서 여러 가지의 모습으로 변하면서 본능적으로 어미 뱀장어가 성장한 장소의 물 냄새를 따라 어미가 성장한 강의 상류로 회귀하다가 모천의 입구인 강 하구 즉 기수면에 이르게 되면 담수에 적응하기 위하여 잠시 머물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투명하고 가느다란 실뱀장어의 형상을 갖추게 되고 모천을 찾아 강 상류를 향하여 소상하기 시작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많은 강하구에는 방조제가 축조되어 있고, 용수 확보를 위하여 보로 막혀있어 뱀장어는 모천까지 소상을 하지 못하고 강의 하구나 강의 하류에 머물게 되는데, 적당한 경사가 있는 승강 틀을 바다쪽이나 보에 설치한 후에 모천의 물을 적당한 유속과 유량으로 흘려주면 실뱀장어들은 본능에 따라 모천으로 가기 위해서 승강 틀을 기어오르게 되고 기어 오르는 도중에 중간에 설치된 다수의 휴식 겸용 포획 틀이나 승강 틀 끝에 설치된 체포 틀에 들어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뱀장어는 워낙 수심이 깊은 곳에서 산란을 하기 때문에 인공 부화가 가능한 여타의 어류들과는 달리 인공부화가 불가능하여 뱀장어의 양식을 위하여서는 어미 뱀장어가 살았던 곳을 찾아가는 실뱀쟁어를 강 어귀에서 포획하여 성어가 될 때 까지 양식장에서 양식을 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그 동안은 실뱀장어가 강 하구에 몰려드는 2월에서 5월 사이에 어선에 집어등을 밝혀 실뱀장어를 유인한 후 뜰채등을 이용하여 실뱀장어를 포획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실뱀장어를 포획하여 왔다. 하지만 다수의 강 하구에는 용수 확보 및 홍수 조절을 위하여 방조제를 축조한 관계로 실뱀장어들이 강 상류로 오르지 못하게 되어 상대적으로 강 보다는 면적이 훨씬 넓은 바다에 머물게 되어 폭이 좁은 강 보다는 실뱀장어의 밀집도가 떨어져서 포획량이 현저하게 감소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배를 타고 실뱀장어를 잡는 것은 기본적으로 배를 운행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연료비가 소비되고 사용된 경비 만큼 포획량이 많지 않아서 많은 배들이 조업을 포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결과 양식할 수 있는 실뱀장어의 개체수가 부족하여 충분한 개체수를 저렴한 가격에 확보할 수 없는 양식업자는 물론 뱀장어를 소비하는 소비자들도 비싼 가격 때문에 뱀장어를 먹기가 힘들어지고 따라서 뱀장어 요리집도 그 수가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실용신안공부 제20-0285364호(2002,08,13) "자연산 어류의 유도 및 사육을 위한 양식장 구조"
본 발명은 실뱀장어의 포획량이 줄어 발생하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를 이용하지 않고 육상에서 실뱀장어를 유인하여 경비를 들이지 않고 손쉽게 실뱀장어를 포획할 수 있는 포획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뱀장어 포획 장치는 실뱀장어가 타고 오르는 승강 틀;과 실뱀장어가 기어 오를 수 있도록 상기 승강 틀에 모천의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 틀의 바닥면에는 기어오르던 실뱀장어가 쉴 수 있는 휴식 풀(Pool)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휴식 풀(Pool)에 들어오는 실뱀장어들이 빠져 나갈 수 없는 함정의 역할을 하는 휴식 겸용 포획 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식 겸용 포획 틀은 만조 시에 일정한 수위가 되면 상기 휴식 겸용 포획 틀의 입구를 막는 부력식 개폐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 틀의 최상부 말단부 밑에는 기어오른 실뱀장어가 상기 승강 틀의 아래로 떨어지면 체포할 수 있는 체포 틀;을 구비하고.
상기 승강 틀에서 장시간 떨어지는 물이 체포 틀을 넘쳐서 체포된 실뱀장어들이 상기 체포 틀에서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당한 높이에 상기 체포 틀 내의 수위가 일정 수준 이상은 오르지 못하도록 상기 체포 틀 내로 유입된 물을 배출하는 체포 틀 배수구;가 뚫려 있으며 상기 체포 틀 배수구는 실뱀장어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그물코가 작은 모기장으로 막아 놓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 틀의 바닦면은 실뱀장어가 쉽게 기어오를 수 있도록 거친 구두솔이나 칫솔과 같이 솔모;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뱀장어 포획장치에는 물 냄새를 맡고 오는 실뱀장어들을 더 많이 유인할 수 있는 유인수 배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뱀장어 포획장치는 어미가 살던 장소의 물 냄새를 맡고 회귀하고, 흐르는 물을 따라 경사면을 기어오르는 실뱀장어의 습성과 본능을 이용하여 승강 틀로 유인하여 기어오르게 한 뒤에 휴식 겸용 포획 틀과 체포 틀에 감금하여 육상에서 저렴한 경비와 노력으로 용이하게 실뱀장어를 포획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뱀장어 포획기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전체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뱀장어 포획상치의 승강 틀에 대한 부분 상세도이고,
도 3은 휴식 겸용 포획 틀과 부력식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상세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체포 틀을 설명하는 상세도이며,
도 5는 물 공급장치와 유인수 배출구를 설명하는 상세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뱀장어 포획장치는 어미 뱀장어가 살던 장소의 물 냄새를 따라 회귀하는 실뱀장어의 본능과 물 흐름이 약하고 유량이 많지 않는 경사면을 타고 상류로 소상하는 습성을 이용하여 승강 틀로 유인하여 기어오르게 한 뒤에 휴식겸용 포획 틀과 체포 틀에 실뱀장어들이 스스로 들어가게 하여 쉽게 포획할 수 있는 장치로써 그 일 실시예를 도 1에 나타내 보였다.
기수면에 도달한 뱀장어 치어들은 민물에 적응하며 실뱀장어의 형태로 변태하여 강 상류로 올라갈 준비를 하는데 우리나라의 다수의 강 하구는 용수공급과 홍수조절을 위하여 방조제나 보를 축조하여 실뱀장어들이 더 이상 강을 따라 오르지 못하고 방조제의 외측인 바다나 강의 하류에 머물고 있으므로 실뱀장어 포획장치는 방조제 외측이나 해안가, 바다와 만나는 강의 언덕 또는 보에 설치되는 것이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실뱀장어 포획장치에 대한 개요와 원리에 대하여 설명하면, 실뱀장어는 회귀성 어류로서 알에서 부화하면 어미 뱀장어가 성장한 모천의 물 냄새를 기억하여 모천으로 회귀하는 본능적인 습성이 있어서 모천을 향하여 찾아오는 다수의 강 하구는 방조제와 보로 막혀 있어 더 이상 오르지 못하고 바다나 강의 하류에 머무르게 된다.
이때 비스듬한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는 승강 틀(20)에 모천의 물을 물 공급장치(30)을 통해 조금씩 흘려 보내주면 실뱀장어들은 모천의 물 냄새를 맡고 몰려들고, 흐르는 물을 따라 상류로 소상하려는 본능에 따라 무조건 승강 틀(20)위를 타고 소상하게 되는데 실뱀장어들이 승강 틀(20)의 최상부에까지 도달하면 승강 틀이 끝나므로 밑으로 떨어지게 되는데, 떨어지는 실뱀장어들은 승강 틀(20) 밑에 설치된 체포 틀(50)속으로 떨어지게 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승강 틀(20)과 헤엄치지 않고 기어오르는 실뱀장어들이 용이하게 소상할 수 있도록 승강 틀의 바닦에 거친 표면을 제공하는 구두솔이나 칫솔등의 구조를 갖는 솔모(21)와 실뱀장어가 들어오면 빠져나가지 못하는 휴식겸용 포획 틀(40)과 포획 틀의 입구를 봉쇄하는 부력식 개폐장치(41)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을 하면, 승강 틀(20)은
Figure 112015503539195-pat00001
형태로써 재질은 스틸, 프라스틱, 알루미늄등 어느 것이 되어도 상관이 없다 할 것이며, 승강 틀(20)의 길이는 설치하였을 때 간조 시 바닷물에 승강 틀(20)의 하부가 잠기고 상부는 만조 시 바닷물이 넘치지 않는 길이이면 되고, 또한 이동할 경우를 대비하여 다수로 분할된 상태에서 운반되어 실뱀장어 포획장치를 설치할 때 나사로 결합하여 필요한 길이 만큼 조립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승강 틀(20)의 바닦 표면은 요철이 심한 거친 상태의 표면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하는데 그 이유는 실뱀장어는 유영력이 떨어져 물의 흐름이 강하면 소상하지 못하고 떠내려 가기가 쉬워서 졸졸 흐르는 물에서 기어오르듯이 소상하기 때문으로써 표면이 미끄러운 상태보다는 요철이 심하고 표면이 거친 상태에서 소상하는 개체수가 훨씬 더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승강 틀(20)의 바닦표면은 구두솔이나 칫솔에서 보다시피 솔모(21)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어서 휴식 겸용 포획 틀(40)과 부력에 의해 휴식 겸용 포획 틀(40)의 입구를 패쇄하는 부력식 개폐장치(41)에 대하여 설명을 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실뱀장어는 유영력이 약하여 헤엄을 치면서 소상하는 것이 아니고 흐르는 물을 따라 기어서 소상하는데, 속도가 느려서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된다. 이때 승강 틀(20)의 중간 중간에 물이 고여 있는 공간, 즉 휴식 겸용 포획 틀(40)을 형성해 놓으면 그 공간에서 휴식을 취하여 소상이 용이하도록 하며 풀(Pool)에 들어온 실뱀장어는 도면 3에서 알 수 있듯이 한번 들어오면 휴식겸용 포획 틀을 빠져나가지 못하는 구조로 되어있어 포획량이 증가하게 된다,
또 실뱀장어들은 간조 때보다는 만조 때에 소상하는 개체수가 월등히 많은데 소상하는 속도가 느려서 실뱀장어가 승강 틀(20)을 다 올라가서 체포 틀(50)에 들 어 가기 전에 불어나는 바다 물에 의하여 수위가 상승하면 도로 쓸려나가는 경우가 생길 수 도 있게 된다. 이런 경우를 대비하여 휴식 겸용 포획 틀(40)에는 만조 때 입구를 막아 실뱀장어가 떠내려 가는 것을 방지하는 부력식 개폐장치(41)가 있는데, 그 이유를 설명하면 승강 틀(20)을 따라 소상하던 실뱀장어들이 승강 틀(20)을 다 오르지 못하고 물이 고여 있는 휴식 겸용 포획 틀(40)에 머물고 있을 때 만조 때 수위가 휴식 겸용 포획 틀(40) 이상으로 상승하면 그 안에 있던 뱀장어들이 떠내려 갈 수도 있게 되는데 휴식 겸용 포획 틀(40) 입구에 부력통을 구비한 위로 닫히는 부력식 개폐장치(41)를 설치하면 수위가 상승하여 수면이 부력통과 접촉하면 부력통(42)이 상승하고 개폐장치가 휴식 겸용 포획 틀(40)의 입구를 막아 휴식 겸용 포획 틀(40)이 물속에 잠기더라도 그 속에 있던 실뱀장어는 떠 내려 가지 않게 되어 포획된 실뱀장어를 놓치는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은 도 4을 참조하여 체포 틀(50)에 대하여 설명을 하면, 체포 틀(50)의 크기와 형태와 재질은 어떤 것이든 상관이 없으며 물이 새지만 않으면 되고 그 용도는 승강 틀(20)을 타고 소상하던 실뱀장어는 승강 틀(20)의 끝에 도달하면 어쩔 수없이 아래로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 떨어지는 실뱀장어들은 승강 틀 (20) 밑에 설치된 물이 담긴 체포 틀(50)에 감금 된다.
실뱀장어의 소상을 위하여 물 공급장치(30)을 통해서 승강 틀(20)에 모천의 물을 조금씩 흘려 보낼 때 체포 틀(50)에도 물이 떨어지는데 장시간을 두고 물이 떨어지면 체포 틀(50)이 넘치게 되고 그 틈에 실뱀장어들이 탈출할 수도 있기 때문에 체포 틀(50)안의 수위가 차오르지 못하게 체포 틀(50)의 중간에 체포 틀 배수구(51)가 뚫려 있으며 체포 틀 배수구(51)는 실뱀장어들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모기장같이 그물이 작은 천으로 막혀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물 공급장치(30)와 유인수 배출구(60)에 대하여 설명하면, 실뱀장어가 소상할 수 있도록 승강 틀(20)위로 모천의 민물을 조금씩 흘려 보내야 하는데 펌프를 사용하여 모천의 물을 공급하는 것은 거리가 너무 멀고 전기를 공급하여야 하는 관계로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다.
따라서 모천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휴대가 용이한 다수의 물통(31)을 상호 연결하고 하나의 물통(31)에서 호스를 이용하여 승강 틀(20)의 상부 꺽이는 지점에 위치한 분배기(32)와 연결하여 벨브로 물량을 조절하면 된다, 따라서 충분한 숫자의 물통(31)을 준비하면 모천의 민물을 충분히 공급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유인수 배출구(60)는 넓은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실뱀장어들이 승강틀(20) 입구로 모일 수 있도록 유인하는 효과가 발생하도록 물 공급장치(30)를 통해서 승강 틀(20) 입구 주변에 모천의 물을 조금씩 흘러 보내므로써 집어가 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뱀장어 포획장치는 구조가 간단하고 운반과 조립 설치가 용이하며 실뱀장어를 집어등을 이용하여 유인하는 방식이 아니고 모천을 찾아 소상하는 실뱀장어의 본능을 이용하여 유인하기 때문에 기존의 방식보다 체포의 효과가 월등히 좋으며 육상에다 실뱀장어 포획 장치를 설치한 후에 기다리기만 하면 실뱀장어가 스스로 휴식 겸용 포획 틀과 체포 틀에 갇히게 되어 경비가 들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뱀장어 포획장치는 경비가 많이 들지 않고 육상에서 실뱀장어를 잡기 때문에 안전하며 기존의 실뱀장어 포획 방식보다 효과가 우수하여 부족한 실뱀장어의 포획량을 증대시켜 양만업계를 활성화 하여 저렴한 뱀장어를 게 공급할 수 있고 어민들에게 보다 더 많은 이익을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10;실뱀장어 포획장치. 20:승강 틀.
21:승강 틀 바닦 표면인 솔모. 30:물 공급장치.
31:물통 32:분배기
40:휴식 겸용 포획 틀. 41:부력식 개폐장치.
42:부력통 50:체포 틀.
51:체포 틀 배수구 60:유인수 배출구.

Claims (8)

  1. 해안가나 강가 또는 방조제의 외측 또는 보에 설치되어 실뱀장어가 그 위로 기어오를 수 있는 경사를 가진 승강 틀;과
    실뱀장어가 승강 틀을 타고 기어오르도록 일정량의 모천의 물을 승강 틀 위로 공급하는 물 공급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 틀의 바닥에는 적당한 간격으로 풀이 형성되어 있어서 승강 틀을 타고 소상하던 실뱀장어들이 휴식을 취할 수 있고, 풀에 진입하면 쉽게 빠져 나갈 수 없는 함정의 역할을 하는 휴식 겸용 포획 틀;이 더 구비되고
    상기 휴식 겸용 포획 틀에는 만조 시 수위가 상승하여 휴식 겸용 포획 틀이 수면 아래로 잠겨서 체포되어 있는 실뱀장어들이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부력식 개폐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뱀장어 포획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틀 의 최 상부 밑에는 소상하여 떨어지는 실뱀장어들을 체포하는 체포 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뱀장어 포획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체포 틀의 중간에는 장시간 동안 상기 승강 틀 위로 물을 흘려보내면 일부가 상기 체포 틀에 흘러들어와 넘치게 되면 체포되어 있는 실뱀장어가 외부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고자 상기 체포 틀 내의 수위가 일정이상 오르지 못하도록 하는 체포 틀 배수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뱀장어 포획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틀의 바닥은 실뱀장어가 용이하게 소상할 수 있도록 구두솔이나 칫솔 같이 솔모;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뱀장어 포획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이동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물통들로 형성되며, 물통들은 호스 또는 다른 방법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 중 하나의 물통에 호스를 연결하고 다른 한쪽은 상기 승강 틀 위에 설치된 분배기와 연결하여 벨브를 통하여 유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뱀장어 포획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장치에 연결되어 실뱀장어가 소상할 수 있도록 승강 틀 위로 흘려보내는 물과는 별도로 더 많은 실뱀장어들이 승강 틀 주변으로 유인되도록 모천의 물을 흘려주는 유인수 배출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뱀장어 포획장치.
KR1020150174929A 2015-12-08 2015-12-08 실뱀장어 포획장치 KR102130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929A KR102130001B1 (ko) 2015-12-08 2015-12-08 실뱀장어 포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929A KR102130001B1 (ko) 2015-12-08 2015-12-08 실뱀장어 포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624A KR20170067624A (ko) 2017-06-16
KR102130001B1 true KR102130001B1 (ko) 2020-07-03

Family

ID=59278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4929A KR102130001B1 (ko) 2015-12-08 2015-12-08 실뱀장어 포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0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24158A (zh) * 2019-03-18 2019-06-25 王凤亮 一种鳗鱼选别回池装置
CN110036990A (zh) * 2019-04-28 2019-07-23 唐山多玛乐园旅游文化有限公司 一种辘轳式智能擒游鱼装置
CN115530117A (zh) * 2022-09-21 2022-12-30 中国科学院水生生物研究所 一种多参数可调节的水生动物攀爬装置及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364Y1 (ko) * 2002-05-24 2002-08-13 서경영 자연산 어류의 유도 및 사육을 위한 양식장 구조
JP2008154483A (ja) 2006-12-21 2008-07-10 Nippon Sakuhin Kenkyusho:Kk 遡上魚の採捕方法、採捕装置及び採捕システム
KR100976973B1 (ko) 2010-01-21 2010-08-20 (주)하이스콘 어류의 습성을 이용한 친환경 어도블록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463B1 (ko) * 2009-09-28 2011-11-03 조남열 어도장치 및 어도블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364Y1 (ko) * 2002-05-24 2002-08-13 서경영 자연산 어류의 유도 및 사육을 위한 양식장 구조
JP2008154483A (ja) 2006-12-21 2008-07-10 Nippon Sakuhin Kenkyusho:Kk 遡上魚の採捕方法、採捕装置及び採捕システム
KR100976973B1 (ko) 2010-01-21 2010-08-20 (주)하이스콘 어류의 습성을 이용한 친환경 어도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624A (ko) 2017-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0362B2 (en) Complex floating wetland equipment
CN108901965A (zh) 一种大型网箱养殖鱼类分级采捕装置及其大型网箱和方法
KR102130001B1 (ko) 실뱀장어 포획장치
KR102146159B1 (ko) 이중 부력체와 복수재질의 그물망을 갖는 부침식 가두리
CN109497006B (zh) 一种孑孓诱捕灭杀装置及垃圾桶
DK2015705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exterior parasites from fish and fish feeding system and method
Meissner Some notes on using walk-in traps
JP4484212B2 (ja) 水位低下追い込み式定置網
KR101453990B1 (ko) 조식동물 포획을 위한 유인장치
KR101695979B1 (ko) 수면생물 포획용 통발
CN207284842U (zh) 一种渔业诱捕装置
JP6323966B1 (ja) 魚類の捕獲装置、および魚類の捕獲方法
KR100817754B1 (ko) 자연어장구축장치
CN114521521B (zh) 锚定浮式立体仿生鱼礁装置
CN109247310A (zh) 一种渔业资源养护型鲜活鱼类捕捞的方法及设施
WO2019045582A1 (en) SUSTAINABLE INNOVATIVE FISH FEEDING WITH AN EVOLVED CAPTURE SYSTEM
CN211793857U (zh) 生态甲鱼的防逃脱捕捉笼
CN104222029A (zh) 一种快速捕蟹的方法与装置
WO2006074602A1 (fr) Systeme d'elevage de produits marins integre
Sheldon Elvers in Maine Techniques of locating, catching and holding
EP4298903A1 (en) Method for reducing a population of harmful walking aquatic animals in which the animals are lured towards an open feeding tray for natural enemies, and a device for the same
Coker Water-power development in relation to fishes and mussels of the Mississippi
JP3822878B2 (ja) 魚類の捕獲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定置網
KR101622774B1 (ko) 실뱀장어와 참게 소상용 생태어도
CN103478062B (zh) 河蟹扣蟹养殖池塘生态放生幼蛙的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