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456B1 - 하천용 어도블럭 - Google Patents
하천용 어도블럭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69456B1 KR101369456B1 KR1020120113416A KR20120113416A KR101369456B1 KR 101369456 B1 KR101369456 B1 KR 101369456B1 KR 1020120113416 A KR1020120113416 A KR 1020120113416A KR 20120113416 A KR20120113416 A KR 20120113416A KR 101369456 B1 KR101369456 B1 KR 1013694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vegetation
- adobe
- block
- riv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하천용 어도블럭은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 상면에 상향으로 돌출되고 일측과 상부가 개구된 식생공을 내부에 형성한 비월류벽과, 상기 바닥부 상면에 상향으로 돌출되고, 측면이 상기 비월류벽 측면에 연결된 월류벽으로 이루어진 모듈블럭을 마련한 다음 상기 모듈블럭은 한 쌍으로 구비하여 상호 마주보게 한 다음 한 개조로 조립된 어도블럭을 구성하되, 상기 어도블럭은 상기 비월류벽 양측에 위치한 한 쌍의 월류벽의 높이는 동일하고, 상기 비월류벽과 월류벽 전면은 전방으로 돌출된 만곡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월류벽의 상부가 만곡된 호 형상을 갖도록 한 다음 한 개조로 조합된 비월류벽의 하부에 유입공을 형성시켜 상기 식생공과 연통되도록 하고, 상기 식생공에는 식물을 식모시키기 위한 배양토가 매립된 식생박스를 내입하되, 상기 식생박스는 상부가 개구된 입구를 갖되, 상기 식생박스는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구멍을 형성시키고, 상기 식생박스 내부에는 메쉬와 부직포가 적층된 격벽을 설치하여 상기 식생박스 내부공간을 배양토 매립공간과 자갈층 매립공간으로 구획시켜 구성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천용 어도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의 식생 환경을 최적화하는 동시에 어류의 소상 효율을 향상시킨 친환경적 기능을 갖는 하천용 어도블럭에 관한 것이다.
어도의 종류로서는 풀이 계단식으로 연속되어 있는 풀 형식(Pool Type), 낙 차가 없이 연속된 유로형상을 가지는 수로형식(Channel Type), 시설이 인위적인 조작으로 작동되는 조작형식(Operation Type), 기타형식으로 구분된다.
풀 형식은 계단식과 버티컬 슬롯식(Vertical Slot) 및 잠공식(Orifice)으로 구분되고, 계단식은 전면월류형과 부분월류형으로 구분된다.
수로형식은 데닐식(Denil), 도벽식, 인공하도식으로 구분되고, 데닐식은 표준데닐형과 급경사형 및 통선형 데닐식으로 구분된다.
조작형식은 리프트/엘리베이터식, 갑문식, 피시 펌프식(Fish Pump Type), 트럭식(Truck)으로 구분되고, 갑문식은 갑문형(Lock Gate)과 볼랜드형(Bolrand Type)으로 구분된다.
기타형식은 암거식(Culvert), 혼합식(병용식), 복합식(Hybrid)으로 구분된다.
상기 풀형식 계단식 부분월류형 어도는 일명 "아이스 하버식(Ice Harbor Type) 어도"라고도 불린다.
종래의 아이스 하버식(Ice Harbor Type) 어도를 구성하는 어도 블록으로서는 도 31 내지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 바닥부(11)와, 상기 블록 바닥부(11)의 상면 중앙부에 상향 돌출된 비월류벽(12)과, 상기 비월류벽(12)의 양측에서 상기 블록 바닥부(11) 상면 양측에 상향 돌출된 월류벽(13,14)을 포함하는 어도 블록이 있다.
상기 비월류벽(12)은 그 양측에서 상류 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유황조절벽(15)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황조절포킷(16)을 포함한다.
상기 월류벽(13,14)은 상기 유황조절벽(15)의 양측 면에서 양 측방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월류벽(13,14)은 어도의 중앙선에 대하여 직각으로 설치되지 않고 비월류벽(12) 쪽 끝단보다 비월류벽(12) 반대쪽 끝단이 상류 측에 위치하는 경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월류벽(13,14)의 하단에는 잠공(17)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어도 블록을 사용하여 어도를 시공함에 있어서는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도가 설치될 하천의 일 측에 본체 바닥부(21)와 양측 본체 측벽(22)을 가지는 채널(Channel)형 어도 본체(20)를 콘크리트로 설치하고, 상기 어도 본체(20)의 본체 바닥부(21)에 복수 개의 어도 블록(10)을 상ㆍ하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배치하여 어도 블록(10)들 사이에 풀(Pool)이 형성되는 아이스 하버식 어도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어도 본체(20)의 상류 단은 수중보나 댐에 절취된 노치부에 연결되어 수중보나 댐의 상류로부터 하천수가 어도 내로 유입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어도의 경우 어도 본체(20)의 상류 단, 즉 어류출구부를 통해 어도 내로 유입되는 하천수는 최상류측 어도 블록(10)의 월류벽(13,14)과 비월류벽(12) 및 어도 본체(20)의 본체 측벽(22) 사이에 형성된 최상류 측 풀(Pool) 내로 유입되어 차오르게 된다.
계속되는 하천수의 유입으로 최상류측 풀 내의 하천수 수위가 월류벽(13,14) 높이보다 높아지면 월류벽(13,14)을 월류하게 되어 차하류 측 어도 블록(10)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풀로 유입되며,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어도의 하류 단, 즉 어류입구로 흘러내리면서 복수 개의 풀로 이루어지는 어도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어도가 형성되면 어류가 어류입구부에서 최하단의 풀로, 다시 차상류측 풀로 소상하는 식의 단계적 소상을 거쳐 최상류 단의 어류출구부에 이르러 최종적으로 수중보나 댐의 상류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어도 블록을 사용하여 아이스 하버식 어도를 설치하였을 경우 다음과 같은 여러 문제점이 있다.
첫째는 양측의 월류벽(13,14)이 그 비월류벽(12) 쪽 끝단보다 비월류벽(12) 반대쪽 끝단이 상류 측으로 편위된 상태, 즉 유입되는 하천수를 바깥쪽에서 비월류벽(12)을 향해 유도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데에서 비롯된 문제점이다.
상류로부터 흘러내리는 하천수가 경사진 월류벽(13,14)에 의해 비월류벽(12)을 향해 유도되면서 상기 유황조절포킷(16) 부분에서 심한 와류가 발생된다.
어류는 그 측면에 있는 유선에 의해 유속을 감지하여 유영을 하게 되는데 와류가 발생하게 되면 어류는 그 와류의 방향을 감지하여 와류를 따라 맴돌게 되므로 상류 측으로 소상하지 못하고 풀 내에 갇히게 된다. 따라서 어류의 이동환경을 보전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어도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유황조절포킷(16)은 그 부분에서의 유속이 영(零)으로 되어 어류에게 쉼터를 제공하여야 하는데 위와 같이 와류가 발생하게 되면 소상과정에서 체력이 소진되어가는 어류에게 쉴 수 있는 쉼터를 제공하지 못하게 되어 어류의 소상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어류의 패사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는, 월류벽(13,14)의 비월류벽(12)측 높이와 그 반대쪽 높이가 동일하게 구성된 데에서 비롯된 문제점이다.
어도를 상류 측으로 가면서 1/20의 경사도로 상향경사지게 시공하고, 인접하는 어도 블록(10)의 월류벽(13,14) 사이의 간격이 200cm라고 할 때 인접하는 어도 블록(10)들의 월류벽(13,14) 사이에 형성되는 풀의 최저수심이 우리나라의 규정에서 정하는 70cm가 되게 하기 위해서는 월류벽(13,14)의 높이를 80cm정도로 해야 한다.
또한 최상류측, 즉 어류출구부측 어도 블록(10)의 월류벽(13,14)에 의해 형성되는 최상류측 풀의 수심이 그 월류벽(13,14)의 높이보다 높아지게 되면 그 풀 내의 하천수가 월류벽(13,14)을 월류하여 차하류측 어도 블록(10)에 의해 형성되는 풀로 유입되며, 이러한 과정을 여러 단계 거치면서 하천수가 최하류측, 즉 어류입구부측 풀에 이른 후 어도 밖에서 흘러내린 하천수와 합류하게 되면서 어도를 구성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어도 블록(10)은 월류벽(13,14)의 높이가 즉 비월류벽(12)측과 그 반대 측에서 동일한 높이, 예컨대 80cm로 되어 있기 때문에 평수기나 갈수기에 각 풀에 유입되는 하천수에 의한 최상류측2풀의 최고수심이 80cm, 최저수심이 70cm 이하로 되는 경우 그 풀 내의 하천수가 그 차하류측 풀로 월류하지 못하게 되어 어도를 구성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는 양측 월류벽(13,14)이 동일한 높이로 구성됨에 따른 문제점이다.
종래의 어도 블록(10)은 양측 월류벽(13,14)의 높이가 동일한 높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위대응력이 떨어진다.
즉, 양측 월류벽(13,14)의 높이가 동일하여 양측 월류벽(13,14)에서 어도를 구성할 수 있는 풀 내의 최저수심이 동일하게 되므로 수위에 따른 어도 구성 능력, 즉 수위대응력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는 어도 본체(20)의 본체 바닥부(21)에 따른 문제점이다.
어도 본체(20)의 본체 바닥부(21)는 실질적으로 어도를 구성하는 부분은 아니고 어도 블록(10)을 설치하기 위한 부분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어도 본체(20)의 본체 측벽(22) 사이의 폭에 대응하는 본체 바닥부(21) 전체를 콘크리트로 타설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사용량이 증가하고 그 만큼 시공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본체 바닥부(21)의 두께가 통상 300mm이고 어도 블록(10)의 블록 바닥부(11)의 두께가 300mm이므로 전체적인 바닥 두께가 600mm가 되며, 실질적으로 블록 바닥부(11)와 본체 바닥부(21)의 전체 두께는 300mm정도면 충분하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콘크리트 사용량이 2배가 된다는 것이다.
또한 본체 바닥부(21)와 블록 바닥부(11)의 전체 두께를 600mm로 할 경우 때, 하천 바닥을 기준으로 할 때 월류벽(13,14)의 높이는 1300mm, 비월류벽(12)의 높이는 1400mm가 된다. 또 본체 측벽(21)의 높이는 월류벽(13,14)을 도약하는 어류가 어도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월류벽(13,14)의 높이보다 200mm정도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본체 측벽(22)의 높이는 1500mm가 된다.
따라서 불필요한 콘크리트를 더 사용하게 되어 시공비용의 낭비를 초래하며, 더욱이 갈수기에 수심이 얕은 하천에 종래의 어도 블록을 사용하여 어도를 설치하는 경우 어도 본체(20)의 본체 측벽(22)이 수면 위로 높게 노출되므로 자연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도 드러낸다.
또한 일반적으로 많은 양의 농업용수가 필요한 농번기에는 수중보나 댐 상류측에 담수된 하천수를 농업용수로 활용하게 되는데 이때에도 상류측에 담수된 하천수가 어도로 흘러내리기 때문에 농업용수 활용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어도는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하천에 어도를 구성하는 데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이 그대로 하천 일측에 드러나기 때문에 자연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천용 어도블럭은 토양을 수납한 식생박스를 어도블럭에 탑재시켜 하천 흐름에 의한 토양유실을 방지하고 식물의 활착 및 생장을 촉진시켜 식물의 식생 환경을 최적화함으로서, 생태계 복원 및 수변경관의 확보와, 근린 친수환경 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월류부와 비월류부의 상부 이음 부분과 하부의 통공을 통해 어류의 습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어도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각종 수중생물이 쉽게 소상할 수 있도록 하여 생태계의 보존 및 복원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하천의 흐름 방향으로 월류부 및 비월류부에 경사를 부여하여 하천수의 하류층에서 상류층으로의 흐름이 안내되면서 와류 현상없이 자연스러운 월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어류의 소상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도블럭 표면을 전체적으로 곡면화하여 하천 흐름시 어도블럭과의 충돌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기포 또는 와류 발생을 최소화시켜 어류 소상의 효율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어도블럭의 월류부와 비월류부의 경계부분이 월류부의 상단부 보다 낮은 높이로 라운드 처리되어 월류부 높이 보다 낮은 높이의 담수량을 갖을 경우 하천의 월류를 부분적으로 수행시켜 갈수기시에 수위 변화의 대응력을 갖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목적은 식생박스 내부에 입자 크기가 다른 자갈층 및 토양층을 차례로 적층시키되 상기 식생박스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입자 크기가 큰 순서부터 자갈층 및 토양층을 적층시켜 하천 유량이 식생박스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공급되면서 식물의 뿌리가 활착된 토양층의 유실을 방지하면서 수분의 공급을 원활하게 이루고, 상기 식생박스의 자갈층이 월류부의 통공과 연통되어 저서성 어류의 서식, 산란, 은신의 최적 공간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도의 규모 확장시 어도블럭에 측방에 연결하여 다양한 하천폭에 맞추어 시공할 수 있어 어도블럭 시공 공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어도블럭에 어초를 설치하여 어류의 산란 장소 및 은신처를 제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천용 어도블럭은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높이가 다른 월류벽 및 비월류벽으로 이루어진 어도블럭을 마련하고, 상기 월류벽 및 비월류벽 중 어느 한 개소에 외부와 부분 연통된 식생공을 마련하여 하천이 식생공으로 유입되도록 하며, 상기 식생공에는 식물을 식모시키기 위한 식생박스를 설치한다.
본 발명의 하천용 어도블럭은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 상면에 상향으로 돌출되고 일측과 상부가 개구된 식생공을 내부에 형성한 비월류벽과, 상기 바닥부 상면에 상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비월류벽에 연결된 월류벽으로 이루어진 모듈블럭을 마련한 다음 상기 모듈블럭은 한 쌍으로 마련하여 한 개조로 결합된 어도블럭으로 구성되되, 상기 식생공은 상호 마주보게 결합되고 식생공 하부에 식생공을 개구시켜 하천이 유입되도록 한 다음 식생공에 식물을 식생시키기 위한 식생박스를 설치한다.
본 발명의 하천용 어도블럭은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 상면 측부에 상향으로 돌출된 비월류벽과, 상기 바닥부 상면에 상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비월류벽에 연결되며 내부에 상부가 개구된 식생공을 갖는 월류벽으로 이루어진 모듈블럭을 마련한 다음 상기 모듈블럭은 한 쌍으로 마련하여 한 개조로 결합된 어도블럭으로 구성되되, 상기 식생공은 하부가 개구된 유입공을 통해 하천이 유입되도록 한 다음 식생공에 식물을 식생시키기 위한 식생박스를 설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월류벽 보다 비월류벽의 높이가 높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비월류벽과 월류벽 전면은 전방으로 돌출된 만곡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식생박스는 상부가 개구된 내부 공간에 메쉬와 부직포가 적층된 격벽을 설치하여 상기 식생박스 내부공간을 배양토 매립공간과 자갈층 매립공간으로 구획시키고, 상기 식생박스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구멍을 형성시키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비월류벽 후면 또는 월류벽 후면 중 어느 한 개소에 어소공간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비월류벽 전면 또는 월류벽 전면 중 어느 한 개소에 어소공간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어도블럭은 복수개로 마련하여 하천 바닥에 연접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어도블럭의 바닥부 일측에는 제1연결턱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연결홈을 형성시켜 어도블럭의 제1연결턱이 다른 개소의 어도블럭의 제2연결홈과 결합하여 복수개의 어도블럭을 종방향으로 이음하고, 상기 바닥부의 상부 각변에 결합홈을 형성시켜 연접된 복수개의 어도블럭 결합홈을 연통시킨 다음 결속판을 내입시킨 후 고정수단으로 어도블럭에 고정시키도록 하고, 상기 바닥부의 하부면에는 안착돌기를 형성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월류벽 또는 비월류벽 중 어느 한 개소에 통공이 관통되어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식생박스의 내부에는 식물을 식생할 수 있는 포트를 더 포함시키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어도블럭은 복수개로 마련하여 전후좌우로 연이어 설치하되, 조합된 어도블럭 중 좌측과 우측에 배치된 어도블럭의 측면에는 서브어도블럭을 연접시킬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서브어도블럭은 상부 측면에 결합홈이 형성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 중앙에 상향으로 돌출된 월류벽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바닥부에는 어초를 더 포함시키되, 상기 어초는 하부가 바닥부에 고정되는 연결줄과, 상기 연결줄 상부에 설치되는 부표와, 상기 연결줄에 설치되는 복수의 수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식생박스 둘레면은 메쉬로 형성되도록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하천용 어도블럭은 비월류벽과, 월류벽 중 어느 한 개소 또는 상기 비월류벽 및 월류벽에 상부가 개구된 식생공을 형성시키면서 상기 비월류벽 하부에 형성시킨 유입공을 식생공과 연통시켜 하천 흐름에 의해 식생공으로 수분을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식물을 활착시키는 배양토층 및 자갈층을 내부에 층간 구분시켜 수납한 식생박스를 식생공 내부로 설치하여 하천 흐름에 의해 유량이 유입공을 거쳐 자갈층 및 배양토층으로 유입되어 식물 활착 및 생장을 촉진시켜 식물의 식생 환경을 최적화하여 생태계 복원 및 수변경관의 확보와, 근린 친수환경 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동시에 식생박스를 통해 어도블럭에 식물의 생장에 도움을 주며, 어도블럭에 형성된 어소공간에 의해 어류의 은신처 제공 기능을 추가하여 어류 보호에 효과가 있다.
즉, 식생박스의 최하단은 굵은 자갈을 충진하여 하부에 통공된 구멍과 연결되어 치어 또는 저서성 어류의 은신 및 서식처를 제공하는 어소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결국, 식물의 식생을 돕고, 어도블럭 자체에 형성된 어소공간 및 을 통해 어류들의 서식, 산란, 은폐, 은신용으로 안식처를 제공함으로써, 자연 생태계를 복원하여 주는 환경 친화적인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더불어 식물을 통해 식재된 수생식물에 의해 오염된 하천수를 효율적으로 자연 정화할 뿐만 아니라 방류되는 물의 유량 및 유속에 관계없이 어류의 안전하고 용이한 이동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하천용 어도블럭은 비월류부 양측에 일체로 형성된 월류부의 상부를 만곡시키고, 상기 비월류부의 하부에 통공을 형성시켜 다양한 어류 종류의 습성을 갖는 어류 또는 성어로부터 섭식되는 것을 피하고자 하는 치어 등의 은신처를 제공함으로서, 통공을 통해 미꾸라지, 뱀장어 등의 저서성 습성을 갖는 어류의 은신처를 제공한다.
동시에 상기 비월류부와 월류부 이음 부분의 공간을 통해 다음 차순의 어도블럭의 풀 내부로 어류의 소상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어류의 습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어도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각종 수중생물이 쉽게 소상할 수 있도록 하여 생태계의 보존 및 복원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하천의 흐름 방향으로 월류부 및 비월류부에 경사를 부여하여 하천수의 하류층에서 상류층으로의 흐름이 안내되면서 와류 현상없이 자연스러운 월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어도블럭 표면을 전체적으로 곡면화로 형성시켜 홍수기때 토사 흐름에 의해 어도블럭과의 충돌에 의해 충격에 취약한 모서리 부분이 파손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고, 하천 흐름과의 표면장력을 최소화시켜 마찰력 발생에 의한 기포 또는 와류 발생을 억제시켜 보다 안전한 어류의 휴식공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하천용 어도블럭은 어도의 규모 확장시 어도블럭에 측방에 연결하여 다양한 하천폭에 맞추어 시공할 수 있어 어도블럭 시공 공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천용 어도블럭은 하천수가 유입되는 방향의 전면을 만곡시켜 유속 흐름이 자연스럽게 저속으로 감속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월류벽의 상부가 상부로 만곡된 형상을 갖고, 상기 비월류벽과 월류벽의 후면에 어소공간을 마련하여 하천수의 유속에 의한 와류 현상을 최소화하여 최적의 어류 휴식처를 제공함으로써, 어류 보존에 기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하천용 어도블럭은 어초를 더 포함시키되, 상기 어초는 하부가 바닥부에 고정되는 연결줄과, 상기 연결줄 상부에 설치되는 부표와, 상기 연결줄에 설치되는 복수의 수초로 이루어져 부표의 부력을 통해 연결줄이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연결줄에 복수로 설치된 수초를 통해 어류의 휴식처, 먹이장, 산란장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어도블럭을 나타낸 사시도.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어도블럭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하천용 어도블럭을 나타낸 전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하천용 어도블럭을 나타낸 후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하천용 어도블럭 중 서브어도블럭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하천용 어도블럭 중 비월류벽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하천용 어도블럭 중 월류벽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하천용 어도블럭 중 식생박스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하천용 어도블럭 중 식생박스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하천용 어도블럭의 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하천용 어도블럭의 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하천용 어도블럭에 적용되는 어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어도블럭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하천용 어도블럭을 나타낸 전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하천용 어도블럭을 나타낸 후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하천용 어도블럭 중 서브어도블럭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하천용 어도블럭 중 비월류벽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하천용 어도블럭 중 월류벽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하천용 어도블럭 중 식생박스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하천용 어도블럭 중 식생박스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하천용 어도블럭의 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하천용 어도블럭의 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하천용 어도블럭에 적용되는 어초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어도블럭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어도블럭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하천용 어도블럭을 나타낸 전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하천용 어도블럭을 나타낸 후방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하천용 어도블럭 중 서브어도블럭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하천용 어도블럭 중 비월류벽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하천용 어도블럭 중 월류벽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하천용 어도블럭 중 식생박스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하천용 어도블럭 중 식생박스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하천용 어도블럭의 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하천용 어도블럭의 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하천용 어도블럭에 적용되는 어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먼저, 도 3 내지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천용 어도블럭 10은 통상적으로 철근의 구조물에 콘크리트를 타설 후 양생시켜 완성시킨다.
여기서, 콘크리트로 적용할 경우 상기 콘크리트는 강 알카리성을 나타내며 이러한 알카리성은 철근보호막(이하 '부동태 피막'이라 한다)을 형성하여 철근 구조물의 부식 방지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공기 중의 탄산가스의 작용을 받아 알카리성을 잃어가게 되어 콘크리트의 중성화가 발생하게 된다. 중성화가 발생하게 되면 철근을 보호하는 부동태 피막이 파괴되어 철근의 부식으로 이어지며 콘크리트 내부 균열과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를 보완하고자 친환경 특성을 갖는 지오폴리머를 적용하거나, 상기 지오폴리머와 콘크리트를 혼합시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지오폴리머는 속경성, 고강도, 내구성, 화학적, 내산성, 내구성 등이 우수하며 철근부식 및 염해, 중성화를 억제할 수 있다.
이는, 기존 공법들에 비해 습윤상태의 콘크리트 구조물이라 할지라도 별도의 건조공정 없이 시공이 가능하며 우수한 중성화 저항성을 지니며 염화물의 침투성을 현격하게 낮출 수 있어 화학적 부식환경과 염해, 중성화의 위험성에 노출되어 있는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결국, 내알카리성 및 내수성이 특히 우수하고 중성화 저항성이 "0" 값에 가까워 화학적 부식환경에 대한 저항성과 염해, 중성화 및 철근부식 억제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또는 철근 구조물에 FRP(Fiber Reinforced Plastics)를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FRP는 합성수지 속에 섬유기재를 혼입시켜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킨 수지의 총칭. 수명이 길고 가볍고 강하며 부패하지 않는 등의 특징을 살려 욕조, 요트, 골프클럽, 공업용 절연자재 등 폭넓은 용도에 사용되고 있다. 화학적으로는 유리섬유를 혼입하는 G-FRP와 탄소섬유를혼입하는 C-FRP로 구별되며 기초가 되는 수지에 따라서는 실리콘계, 페놀계 등으로 나눠진다.
또는 철근 구조물에 재생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을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재생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결정화도가 높고 고밀도인 폴리에틸렌, 기계적 성질, 내열성, 내한성(耐寒性)이 뛰어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어도블럭 10은 콘크리트 이외에 지오폴리머, FRP, 재생PE의 재질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하천용 어도블럭 10의 구성은 아래와 같다.
바닥부 100와, 비월류벽 200과, 월류벽 300이 일체로 이루어진 모듈블럭 10a을 마련한다.
상기 모듈블럭 10a은 한 쌍으로 구비하되, 바닥부 100에서 직립된 비월류벽 200과 월류벽 300을 상호 대칭적으로 형성시켜 한 쌍의 모듈 블럭을 한 개조로 조립하면 한 개조의 비월류벽 200 양측에 한 쌍의 월류벽 300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렇게 한 쌍의 모듈블럭 10a을 한 개조로 결합하여 단일 개소의 어도블럭 10을 완성한다.
상기와 같은 모듈블럭 10a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상기 바닥부 100는 어도가 설치된 풀 바닥에 설치되도록 두께를 갖는 평판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바닥부 100의 하부 일측과 타측에는 제1연결턱 130과 제2연결홈 140이 각각 형성된다.
즉, 복수개로 마련된 어도블럭 10을 하천 바닥에 연접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바닥부 100 일측에는 제1연결턱 130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연결홈 140이 형성시켜 어도블럭 10의 제1연결턱 130이 다른 개소의 어도블럭 10의 제2연결홈 140과 결합하여 복수개의 어도블럭 10을 종방향으로 이음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 100의 상부 각변에 결합홈 110을 형성시켜 연접된 복수개의 어도블럭 10의 결합홈 110을 상호 연통시킨 다음 결속판 160을 내입시킨 후 고정수단 170으로 어도블럭 10에 고정시킨다.
이는, 어도블럭 10 상호간의 연결상태를 긴밀하게 유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비월류벽 200은 상기 바닥부 100 상면 일측에 상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비월류벽 200의 내부와 상부면 및 일측면으로 식생공 210이 개구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비월류벽 200의 전면에는 유입공 220을 형성시키되, 상기 식생공 210과 상호 연통시켜 하천 흐름 방향에 의해 유량이 유입공 220을 통해 식생공 2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렇게 구성된 한 쌍의 모듈블럭 10a을 상호 결합시키면 비월류벽 200의 식생공 210이 일체로 결합하여 식생공 210이 비월류벽 200 내부에 형성되면서 상부가 개구된 상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식생공 210은 비월류벽 200 또는 월류벽 300 중 어느 한 개소에 형성되거나, 상기 비월류벽 200과 월류벽 300에 모두 형성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식생공 210이 형성된 비월류벽 200 또는 월류벽 300 전면에는 유입공 220을 형성시켜 상기 식생공 210과 연통되도록 한다.
이후, 식생공 210에는 식물을 활착시켜 식생시킬 수 있는 식생박스 230를 내입한다.
상기 식생박스 230는 상부가 개구된 입구 231를 갖되, 상기 식생박스 230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구멍 233a 또는 메쉬 233b를 형성시키고, 상기 식생박스 230 내부에는 메쉬 235a와 부직포 235b가 적층된 격벽 235을 설치하여 상기 식생박스 230 내부공간을 배양토 매립공간 232과 자갈층 매립공간 233으로 구획시킨다.
여기서, 구멍 233a 또는 메쉬 233b는 자갈층 매립공간 233의 식생박스 벽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양토 매립공간 232은 식생박스 230의 상부에 위치하여 배양토 236가 매립되고, 식물을 식모 후 활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자갈 층 매립공간 233은 하천의 흐름에 의해 배양토 236 유실을 방지 및 배양토 236 측으로 하천수의 유입시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자갈 237을 매립한다.
아울러, 상기 월류벽 300은 상기 바닥부 100 상면에서 돌출되어 측면이 상기 비월류벽 200의 일측에 연접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월류벽 300은 비월류벽 200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월류벽 300을 통해 하천이 월류되도록 한다.
상기 비월류벽 200 또는 월류벽 300의 후면에는 어소공간 201을 형성하여 어류의 서식, 산란, 은폐, 은신용으로 안식처를 제공한다.
여기서, 어소공간 201은 비월류벽 200과 월류벽 300 중 어느 한 개소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비월류벽 200과 월류벽 30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비월류벽 200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월류벽 300의 높이는 상호 동일하다.
상기 한 쌍의 모듈블럭 10a의 결합에 의해 완성된 어도블럭 10은 하천 바닥에 전, 후, 좌, 우에 상호 연접되게 배치시키면서 상호 이음 연결시킨다.
결국, 상기 어도블럭 10은 바닥부 중심에 비월류벽 200을 입설시킨 다음 상기 비월류별 200 양측에 월류벽 300을 형성시키고, 상기 비월류벽 200 또는 월류벽 300 내부에 상부가 개구된 식생공 210을 형성시키면서 상기 비월류벽 또는 월류벽 하부에 형성시킨 유입공 220을 식생공 210과 연통시켜 하천 흐름에 의해 식생공 210으로 수분을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식물을 활착시키는 배양토 236층 및 자갈 237 을 내부에 층간 구분시켜 수납한 식생박스 230를 식생공 210 내부로 설치하여 하천 흐름에 의해 유량이 유입공 220을 거쳐 자갈 237 및 배양토 236로 유입되어 식물 활착 및 생장을 촉진시켜 식물의 식생 환경을 최적화하여 생태계 복원 및 수변경관의 확보와, 근린 친수환경 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식생박스 230를 통해 어도블럭 10에 식물의 생장에 도움을 주며, 어도블럭 10에 형성된 어소공간 201에 의해 어류의 은신처 제공 기능을 추가하여 어류 보호한다.
이와 같이, 식물의 식생을 돕고, 어도블럭 10 자체에 형성된 어소공간 201 및 을 통해 어류들의 서식, 산란, 은폐, 은신용으로 안식처를 제공함으로써, 자연 생태계를 복원하여 주는 환경 친화적인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더불어 식물을 통해 식재된 수생식물에 의해 오염된 하천수를 효율적으로 자연 정화할 뿐만 아니라 방류되는 물의 유량 및 유속에 관계없이 어류의 안전하고 용이한 이동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어도블럭 10의 작용은 아래와 같다.
계속적으로 유입되는 하천수는 최상류측 어도블럭 10의 월류벽 300, 비월류벽 200 사이로 유입되어 차오르게 된다.
이는, 어도블럭 10 사이 공간에 순차적으로 하천수가 유입되되, 높이가 비월류벽 200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월류벽 300을 통해 다음 차순의 어도블럭 10의 사이 공간의 풀로 유입시키는 방식을 반복하여 하천수의 부분 저수와 부분 흐름을 모두 가능하도록 한다.
결국, 본 발명의 수변의 침식 방지와 식생지를 제공하고 하천의 제방이나 저수지, 절개지 등에 경사면에 시공하여 토사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며 식생 가능하고 장마나 호우에 물의 흐름 속도를 둔화시켜 식생 식물과 하천의 오염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도 8과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식생박스 230는 둘레면이 밀폐되고 상부가 개구된 입구 231를 갖되, 상기 식생박스 230는 상부에 배양토 매립공간 23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자갈층 매립공간 233이 형성되며, 상기 배양토 매립공간 232은 식생박스 230 둘레면이 밀폐되어 있고, 상기 자갈층 매립공간 233은 식생박스 230 둘레면에 복수개의 구멍 233a을 형성되며, 상기 식생박수 내부에는 복수층으로 격벽 235을 형성시켜 층간 경계를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격벽 235은 메쉬 235a와 , 상기 메쉬 235a의 상부에 적층된 부칙포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배양토 매립공간 232에는 중공의 포트 240를 더 포함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포트 240는 수생식물을 식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포트 240 내부에 배양토 236 매립하지 않는다.
즉, 상기 식생박스 230 내부에는 3개의 층간 경계로 구분되고, 제일 상부에 위치한 공간은 배양토 매립공간 232이고, 중간 및 하부에 위치한 자갈층 매립공간 233에는 자갈 237을 매립한다.
상기 배양토 236는 하천수의 유속에 휩쓸려 소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양토 매립공간 232이 격벽 235을 통해 밀폐된 상태이고, 자갈층 매립공간 233은 하천수를 배양토 236측으로 유입시키기 위해 부피가 큰 자갈 237은 제일 하부의 자갈층 매립공간 233에 매립하고, 중간 크기의 자갈 237은 배양토 236 바로 아래층에 매립시켜 구성한다.
이는, 배양토 236와 자갈 237을 내부에 층간 수납한 식생박스 230를 통해 식물을 식모시켜 상기 비월류벽 200의 유입공 220을 통해 하천수가 배양토 236측으로 제공되어 식물의 최적인 식생 환경을 제공하기 위함과 동시에 자갈 237과 격벽 235을 통해 배양토 236의 유실을 방지하고, 자갈 237의 공극으로 저서성 어류의 은신을 도울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식생박스 230를 통해 식물의 최적의 식생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시에 어도블럭 10 자체에 형성된 어소공간 201을 통해 어류들의 안식처를 제공함으로써, 자연 생태계를 복원하여 주는 환경 친화적인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더불어 식재수단을 통해 식재된 수생식물에 의해 오염된 하천수를 효율적으로 자연 정화할 뿐만 아니라 방류되는 물의 유량 및 유속에 관계없이 어류의 안전하고 용이한 이동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식생박스 230에 의한 식물의 서식환경을 최적화시킴으로써 식물 그늘에 의해 어류의 서식, 산란, 은폐, 은신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식생박스 230 하부에 위치한 부피가 큰 자갈 237 및 유입공 220을 통해 작은 미꾸라지 등의 저서성 생물의 은신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하천수의 흐름 속도를 최적화시키도록 상기 비월류벽 200과 월류벽 300은 바닥부 100 상면을 기준으로 경사가 2.5°~ 3.2°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상기 월류부와 비월류부의 전면을 돌출되게 만곡시키고 상기 월류부의 상부를 만곡시킨다.
이는, 어도블럭 10의 표면이 만곡된 형상을 갖음으로써, 하천 흐름이 어도블럭 10에 충돌되면서 하천 흐름이 급격한 변화에 의해 와류 발생을 최소화 하고, 자연스러운 하천의 월류를 유도하며, 월류부와 비월류부의 경계부분이 월류부의 상단부 보다 낮은 높이로 라운드 처리되어 월류부 높이 보다 낮은 높이의 담수량을 갖을 경우 하천의 월류를 부분적으로 수행시켜 갈수기시에 수위 변화의 대응력을 갖으며, 월류 수심이 깊은곳과 낮은 곳이 순차적으로 차별화되어 각각의 깊이를 선호하는 크기의 어종별로 소상에 이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비월류부 200 또는 월류부 300의 하부에는 통공 302을 형성시켜 다양한 어류 종류의 습성에 맞추어 상중류층에 서식하는 어류의 경우 비월류부와 월류부 이음 부분의 공간을 통해 다음 차순의 어도블럭의 풀 내부로 어류의 소상을 가능하게 하며, 통공을 통해 미꾸라지, 뱀장어 등의 저서성 습성을 갖는 어류의 은신처를 제공함으로써, 어류의 습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어도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각종 수중생물이 쉽게 소상할 수 있도록 하여 생태계의 보존 및 복원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비월류벽 200 또는 월류벽 300 후면에는 어소공간 201을 형성시켜 어류가 소상 이후 하천수의 흐름 속도 및 와류에 영향을 받지 않는 어류의 쉼터 공간을 제공하여 어류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 도 10,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어도블럭 10은 풀 바닥에 설치할 때 구성은 아래와 같다.
상기 어도블럭 10을 복수개로 마련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바닥부 100 상면 각변에 결합홈 110을 형성시켜 어도블럭 10을 전, 후, 좌, 우로 연접시키면 상호 연통된 결합홈 110에 결속판 160을 내입시켜 고정수단 170으로 어도블럭 10 간의 횡방향 연결을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 100 일측 상부에는 제1연결턱 130이 형성되고, 타측 하부에는 제2연결홈 140이 형성되어, 복수개의 어도블럭 10을 종방향으로 연접시켜 상기 제1연결홈과 제2연결홈 140이 중첩되게 결합시킨다.
즉, 바닥부 100에는 전,후,좌,우 측면에 각각 결합홈 110이 형성되어 있어 복수개로 마련되는 어도블럭 10을 상호 연접시킨 후 연결된 결합홈 110에 결속판 160을 내입시킨 후 고정수단 170을 결합시켜 복수개의 어도블럭 10의 횡방향 및 종방향 이음 고정한다.
아울러, 상기 비월류벽 200의 후면에 결합홈 110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시켜 상기 결속판 160을 내입시킨 후 고정수단 170으로 결합하여 어도블럭 10 한 쌍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식생공 210의 조립 오차를 최소화시켜 상기 식생박스 230의 설치를 보다 원활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 100의 하부면에는 일측과 타측에 안착돌기 150를 형성시켜 풀 바닥과의 안착력 및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어도블럭 10의 측면에는 서브어도블럭 10을 연접시킬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서브어도블럭 10은 상부 측면에 결합홈 110이 형성된 바닥부 100와, 상기 바닥부 100 중앙에 상향으로 돌출된 월류벽 30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는 서브어도블럭 10을 통해 다양한 하천 폭에 맞추어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어도블럭 10의 시공에 대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어도블럭 10에는 어초 400를 더 포함시켜 어류의 산란 및 은신처를 제공한다.
상기 어초 400는 하부가 바닥부 100에 고정되는 연결줄 410과, 상기 연결줄 410 상부에 설치되는 부표 420와, 상기 연결줄 410에 설치되는 복수의 수초 430로 이루어져 부표 420의 부력을 통해 연결줄 410이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연결줄 410에 복수로 설치된 수초 430를 통해 어류의 휴식처, 먹이장, 산란장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 : 어도블럭 10a : 모듈블럭
20 : 서브어도블럭 100 : 바닥부
110 : 결합홈 130 : 제1연결턱
140 : 제2연결홈 150 : 안착돌기
160 : 결속판 170 : 고정수단
200 : 비월류벽 201 : 어소공간
210 : 식생공 220 : 유입공
230 : 식생박스 231 : 입구
232 : 배양토 매립공간 233 : 자갈층 매립공간
233a : 구멍 233b : 메쉬
235 : 격벽 235a : 메쉬
235b : 부직포 236 : 배양토
237 : 자갈 240 : 포트
300 : 월류벽 302 : 통공
400 : 어초 410 : 연결줄
420 : 부표 430 : 수초
20 : 서브어도블럭 100 : 바닥부
110 : 결합홈 130 : 제1연결턱
140 : 제2연결홈 150 : 안착돌기
160 : 결속판 170 : 고정수단
200 : 비월류벽 201 : 어소공간
210 : 식생공 220 : 유입공
230 : 식생박스 231 : 입구
232 : 배양토 매립공간 233 : 자갈층 매립공간
233a : 구멍 233b : 메쉬
235 : 격벽 235a : 메쉬
235b : 부직포 236 : 배양토
237 : 자갈 240 : 포트
300 : 월류벽 302 : 통공
400 : 어초 410 : 연결줄
420 : 부표 430 : 수초
Claims (14)
-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높이가 다른 월류벽 및 비월류벽으로 이루어진 어도블럭을 마련하고,
상기 월류벽 및 비월류벽 중 어느 한 개소에 외부와 부분 연통된 식생공을 마련하여 하천이 식생공으로 유입되도록 하며,
상기 식생공에는 식물을 식모시키기 위한 식생박스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어도블럭.
-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 상면에 상향으로 돌출되고 일측과 상부가 개구된 식생공을 내부에 형성한 비월류벽과,
상기 바닥부 상면에 상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비월류벽에 연결된 월류벽으로 이루어진 모듈블럭을 마련한 다음
상기 모듈블럭은 한 쌍으로 마련하여 한 개조로 결합된 어도블럭으로 구성되되,
상기 식생공은 상호 마주보게 결합되고 식생공 하부에 식생공을 개구시켜 하천이 유입되도록 한 다음 식생공에 식물을 식생시키기 위한 식생박스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어도블럭.
-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 상면 측부에 상향으로 돌출된 비월류벽과,
상기 바닥부 상면에 상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비월류벽에 연결되며 내부에 상부가 개구된 식생공을 갖는 월류벽으로 이루어진 모듈블럭을 마련한 다음
상기 모듈블럭은 한 쌍으로 마련하여 한 개조로 결합된 어도블럭으로 구성되되,
상기 식생공은 하부가 개구된 유입공을 통해 하천이 유입되도록 한 다음 식생공에 식물을 식생시키기 위한 식생박스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어도블럭.
-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월류벽 보다 비월류벽의 높이가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어도블럭.
-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월류벽과 월류벽 전면은 전방으로 돌출된 만곡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어도블럭.
-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박스는 상부가 개구된 내부 공간에 메쉬와 부직포가 적층된 격벽을 설치하여 상기 식생박스 내부공간을 배양토 매립공간과 자갈층 매립공간으로 구획시키고, 상기 식생박스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구멍을 형성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어도블럭.
-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월류벽 후면 또는 월류벽 후면 중 어느 한 개소에 어소공간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어도블럭.
-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월류벽 전면 또는 월류벽 전면 중 어느 한 개소에 어소공간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어도블럭.
-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도블럭은 복수개로 마련하여 하천 바닥에 연접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어도블럭의 바닥부 일측에는 제1연결턱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연결홈을 형성시켜 어도블럭의 제1연결턱이 다른 개소의 어도블럭의 제2연결홈과 결합하여 복수개의 어도블럭을 종방향으로 이음하고, 상기 바닥부의 상부 각변에 결합홈을 형성시켜 연접된 복수개의 어도블럭 결합홈을 연통시킨 다음 결속판을 내입시킨 후 고정수단으로 어도블럭에 고정시키도록 하고, 상기 바닥부의 하부면에는 안착돌기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어도블럭.
-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월류벽 또는 비월류벽 중 어느 한 개소에 통공이 관통되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어도블럭.
-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박스의 내부에는 식물을 식생할 수 있는 포트를 더 포함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어도블럭.
-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도블럭은 복수개로 마련하여 전후좌우로 연이어 설치하되,
조합된 어도블럭 중 좌측과 우측에 배치된 어도블럭의 측면에는 서브어도블럭을 연접시킬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서브어도블럭은,
상부 측면에 결합홈이 형성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 중앙에 상향으로 돌출된 월류벽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어도블럭.
-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에는 어초를 더 포함시키되,
상기 어초는,
하부가 바닥부에 고정되는 연결줄과,
상기 연결줄 상부에 설치되는 부표와,
상기 연결줄에 설치되는 복수의 수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어도블럭.
-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박스 둘레면은 메쉬로 형성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어도블럭.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3416A KR101369456B1 (ko) | 2012-10-12 | 2012-10-12 | 하천용 어도블럭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3416A KR101369456B1 (ko) | 2012-10-12 | 2012-10-12 | 하천용 어도블럭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69456B1 true KR101369456B1 (ko) | 2014-03-04 |
Family
ID=50647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13416A KR101369456B1 (ko) | 2012-10-12 | 2012-10-12 | 하천용 어도블럭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69456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3424B1 (ko) * | 2015-02-06 | 2015-07-09 | 수생태복원(주) | 하천의 생태기능을 갖는 블록 |
CN104818695A (zh) * | 2015-05-21 | 2015-08-05 | 交通运输部天津水运工程科学研究所 | 一种生态壅水型护滩结构 |
CN109502761A (zh) * | 2019-01-08 | 2019-03-22 | 上海市园林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 一种生态塘渗透墙及生态景观水原位处理方法 |
CN111587826A (zh) * | 2020-06-08 | 2020-08-28 | 中国水产科学研究院东海水产研究所 | 中华绒螯蟹生态洄游通道及其重建方法 |
KR102436458B1 (ko) * | 2022-05-16 | 2022-08-24 | 김현성 | 어류 안내구조를 갖는 하천용 어도블럭 |
CN116084338A (zh) * | 2023-02-24 | 2023-05-09 | 重庆交通大学 | 大落差大夹角运河支流汇入干流的治理方法 |
WO2023108204A1 (en) * | 2021-12-14 | 2023-06-22 | MMA Subsea Services Pty Ltd | Artificial reef arrangement and module for an artificial reef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9882Y1 (ko) | 2002-06-28 | 2002-09-19 | 농업기반공사 | 어도 블록 |
KR200427600Y1 (ko) | 2006-07-07 | 2006-09-27 | 백종선 | 어도 블록 |
KR20070000622A (ko) * | 2005-06-28 | 2007-01-03 | 김석순 | 어도블럭 |
KR101210491B1 (ko) | 2012-07-20 | 2012-12-11 | 수생태복원(주) | 어도블럭 |
-
2012
- 2012-10-12 KR KR1020120113416A patent/KR10136945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9882Y1 (ko) | 2002-06-28 | 2002-09-19 | 농업기반공사 | 어도 블록 |
KR20070000622A (ko) * | 2005-06-28 | 2007-01-03 | 김석순 | 어도블럭 |
KR200427600Y1 (ko) | 2006-07-07 | 2006-09-27 | 백종선 | 어도 블록 |
KR101210491B1 (ko) | 2012-07-20 | 2012-12-11 | 수생태복원(주) | 어도블럭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3424B1 (ko) * | 2015-02-06 | 2015-07-09 | 수생태복원(주) | 하천의 생태기능을 갖는 블록 |
CN104818695A (zh) * | 2015-05-21 | 2015-08-05 | 交通运输部天津水运工程科学研究所 | 一种生态壅水型护滩结构 |
CN109502761A (zh) * | 2019-01-08 | 2019-03-22 | 上海市园林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 一种生态塘渗透墙及生态景观水原位处理方法 |
CN109502761B (zh) * | 2019-01-08 | 2024-04-30 | 上海市园林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 一种生态塘渗透墙及生态景观水原位处理方法 |
CN111587826A (zh) * | 2020-06-08 | 2020-08-28 | 中国水产科学研究院东海水产研究所 | 中华绒螯蟹生态洄游通道及其重建方法 |
WO2023108204A1 (en) * | 2021-12-14 | 2023-06-22 | MMA Subsea Services Pty Ltd | Artificial reef arrangement and module for an artificial reef |
KR102436458B1 (ko) * | 2022-05-16 | 2022-08-24 | 김현성 | 어류 안내구조를 갖는 하천용 어도블럭 |
CN116084338A (zh) * | 2023-02-24 | 2023-05-09 | 重庆交通大学 | 大落差大夹角运河支流汇入干流的治理方法 |
CN116084338B (zh) * | 2023-02-24 | 2024-05-24 | 重庆交通大学 | 大落差大夹角运河支流汇入干流的治理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69456B1 (ko) | 하천용 어도블럭 | |
KR101130237B1 (ko) | 수생태 복원 및 수질개선을 위한 복합 서식장치 | |
CN106277572B (zh) | 一种生态与景观相结合的城市河道水体净化系统 | |
KR101660462B1 (ko) | 지그재그형 월류식 어도보 및 그 시공 방법 | |
KR101210491B1 (ko) | 어도블럭 | |
KR100513270B1 (ko) | 하천 생태 보호용 물고기 집 | |
JP4787868B2 (ja) | テラス構造付き護岸構造体 | |
KR101093392B1 (ko) |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 설치공법 | |
CN114956341B (zh) | 一种塘泡型近自然河流湿地及其构建方法 | |
KR101650479B1 (ko) | 생태보호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저수구조물 | |
KR100914046B1 (ko) | 담수용 생태 수로관 | |
KR100477555B1 (ko) | 어도 블록 | |
JP4330350B2 (ja) | 水質汚濁防止方法及び水流遮断フェンス | |
KR101223653B1 (ko) | 여울목 및 수중 도랑을 구비한 다단 생태하천 수중보와 그의 시공방법 | |
JPH08199535A (ja) | 浄化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護床構造 | |
KR100478900B1 (ko) | 조립식 어도 및 그의 시공방법 | |
KR101297419B1 (ko) | 어류 및 육상동물의 은신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친환경 생태 블록 | |
KR101739292B1 (ko) | 복합 인공어초 | |
JP3124733B2 (ja) | 護床ブロック及び同護床ブロックの施工方法 | |
KR101403714B1 (ko) | 용궁형 해저 건축물 및 그의 시공방법 | |
KR200453193Y1 (ko) | 집성 인공어초 및 이를 이용한 인공어장 | |
KR200289882Y1 (ko) | 어도 블록 | |
JP3687969B2 (ja) | 多自然型コンクリート水路構造 | |
KR101033211B1 (ko) | 어류 양서류의 서식지가 구비된 친환경 수로관 | |
KR101905608B1 (ko) | 하천 서식 치어용 생활공간구조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