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9292B1 - 복합 인공어초 - Google Patents

복합 인공어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9292B1
KR101739292B1 KR1020170022452A KR20170022452A KR101739292B1 KR 101739292 B1 KR101739292 B1 KR 101739292B1 KR 1020170022452 A KR1020170022452 A KR 1020170022452A KR 20170022452 A KR20170022452 A KR 20170022452A KR 101739292 B1 KR101739292 B1 KR 101739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block
pipe
fish
sea water
artificial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학준
Original Assignee
권학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학준 filed Critical 권학준
Priority to KR1020170022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92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인공어초에 관한 것으로, 하부면이 개방된 중공 구조로서, 전면, 측면, 배면 및 상부면에 하나 이상의 통수공이 형성된 베이스 블록과; 상기 베이스 블록의 전면, 양측면 및 배면 중 어느 한 면에 일단부가 돌출되고 있고 타단부는 상기 상부면에 돌출된 하나 이상의 해수관으로 구성됨으로써, 인공어초의 측면이나 상부면에 부유물이나 모래, 자갈 등이 퇴적되도록 하여 해양 바위 표면과 흡사하게 구성하고, 측면으로 유입된 해수를 상부로 토출시켜 해수가 솟구치는 지역을 선호하는 물고기의 습성에 부합된 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합 인공어초 {Complex artificial fishing banks}
본 발명은 복합 인공어초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988360호(등록일자: 2010.10.11., 발명의 명칭: 패류의 서식 및 해중림 조성을 위한 계단형 인공어초)는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내부에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게 형성된 내부공간부가 마련되며, 양 측면이 개구되고 하부로 진행할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사다리꼴형의 본체와, 본체의 전면 및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부와 상기 본체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유통부와,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침하를 방지하는 플랜지부와, 본체의 표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나란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며, 단부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리브들과,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리브들 사이에 형성되어 해수로부터 침강되는 유기물질이 포집됨과 동시에 패류들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패류서식부와, 리브들에 고정유니트에 의해 고정되는 모조줄들을 구비한 계단형 인공어초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내부에 다양한 해양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여건을 형성하고 외측에는 모조줄을 설치하여 해조류가 함께 서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조류, 패류, 어류 등이 공존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반면, 인공어초의 본체가 콘크리트 재질로 구성되어 있어 해조류 부착이 용이하지 못하고, 전면 및 배면이 완전 개방되어 있어 어류가 숨는 공간으로 활용되기 곤란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38225호(등록일자: 2013.2.22., 발명의 명칭: 복합형 친환경 인공어초)는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초블록(10); 하부가 기초블록(10)에 고정되어 있고 기초블록(10) 상측의 공간을 하부공간(27), 중간공간(28), 상부공간(29)으로 구획하는 골조부(20); 골조부(20)의 하부공간(27)인 기초블록(10)의 상부면에 설치되어서 어류의 서식공간 및 이동통로를 이루는 하부 어류위집터널(30); 골조부(20)의 중간공간(28)에 설치되고 골조부(20)에 고정되어서 어류의 서식공간 및 이동통로를 이루는 중간어류위집터널(40); 골조부(20)의 상부공간(29)에 설치되고 골조부(20)에 고정되어서 어류의 서식공간 및 이동통로를 이루는 상부어류위집터널(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기초블록(10)에는, 중앙에 상측으로 개방된 형태의 집수공간(11)이 형성되어 있고, 집수공간(11)의 사방에 기초블록(10) 둘레와 집수공간(11) 사이에 물의 흐름이 발생되도록 메인해수출입통로(12)가 형성되어 있으며, 메인해수출입통로(12) 양측의 기초블록(10)에 문어출입통로(13)가 형성되어 있고, 문어출입통로(13)의 중간부분에 문어의 휴식공간이 확보되도록 문어출입통로(13)보다 더 큰 공간을 갖는 문어휴식통로(14)가 형성되어 있으며, 기초블록(10)의 사방 모서리 부분에 어류의 이동 및 해수의 흐름이 유도되도록 보조해수통로(15)가 형성되어 있으며; 메인해수출입통로(12)는, 해수가 메인해수출입통로(12)를 통과하여 집수공간(11) 측으로 흐를 때에 그 유속이 증가되도록, 기초블록(10)의 외부에서 집수공간(11) 측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점차 감소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친환경 인공어초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다양한 높낮이의 서식공간이 구획되므로 다양한 어종이 최적의 서식공간에서 서식될 수 있으나, 콘크리트 재질의 기초블록과 철강재인 골조부에 의해 설치되기 때문에 친환경이지 못하고 구성이 복합한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조류의 활착이 용이하고 수직으로 해수를 토출시킬 수 있는 복합 인공어초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면이 개방된 중공 구조로서, 전면, 측면, 배면 및 상부면에 하나 이상의 통수공이 형성된 베이스 블록과; 상기 베이스 블록의 전면, 양측면 및 배면 중 어느 한 면에 일단부가 돌출되고 있고 타단부는 상기 상부면에 돌출된 하나 이상의 해수관을 포함하는 복합 인공어초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 블록은 하광상협의 형상으로 전면, 양측면 및 배면이 경사진 중공구조의 시멘트 콘크리트 구조물이고, 상기 베이스 블록은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목초액 0.05 ~ 5 중량부를 배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해수관은 상기 베이스 블록의 전면, 양측면 및 배면 중 어느 한 면에 일단이 돌출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 1 배관과, 상기 베이스 블록의 상부면에 일단이 돌출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 2 배관과, 상기 베이스 블록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 1 배관이 타단과 상기 제 2 배관의 타단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제 2 배관의 일단에 제공된 통수공이 형성된 소켓을 더 포함하되, 상기 소켓의 통수공은 상기 제 2 배관의 내경 보다 작고, 일단부가 상기 제 1 배관의 일단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부는 상기 제 1 배관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된 해수 유입유도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 블록의 전면, 양측면, 배면 및 상부면 중 어느 한 면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돌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인공어초의 측면이나 상부면에 부유물이나 모래, 자갈 등이 퇴적되도록 하여 해양 바위 표면과 흡사하게 구성하고, 측면으로 유입된 해수를 상부로 토출시켜 해수가 솟구치는 지역을 선호하는 물고기의 습성에 부합된 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합 인공어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입수관과 입수유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와류 발생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패류의 서식 및 해중림 조성을 위한 계단형 인공어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종래 기술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복합형 친환경 인공어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복합 인공어초(100)는 베이스 블록(10), 제 1 돌기부재(20), 제 2 돌기부재(30), 해수관(50) 및 해수 유입유도체(70)로 이루어져 있다.
베이스 블록(10)은 하광상협의 형상으로 전면, 양측면 및 배면이 경사진 중공구조로서 전면, 양측면, 배면에 형성된 제 1 통수공(11)과 상부면에 형성된 제 2 통수공(13)를 갖는 시멘트 콘크리트 구조물이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통수공(11)(13)의 내경 및 갯수는 해수의 유입량, 어류의 크기 등의 사용 목적에 따라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베이스 블록(10)은 해저면에 안착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하부면을 개방 할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베이스 블록(10)의 외표면은 해조류의 뿌리 활착을 조력하기 위하여 내경 1 ~ 100㎜을 갖는 미세홈이 무수하게 많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인공어초는 어류형, 패조류형, 해중림형 등으로 나누어지며 특히 본 실시예는 이들을 모두 충족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실시예의 베이스 블록(10)은 시멘트 특유의 강알카리성 독성이 있어 해조류의 활착이 용이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독성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목초액 0.05 ~ 5 중량부를 배합할 수 있다. 여기서, 목초액은 왕겨, 참나무 또는 일반 나무를 구워서 만든 것이며 적어도 6개월 이상 용기에 저장한 뒤 경유질과 타르를 제거한 것을 사용한다.
목초액이 0.05 ~ 0.1 중량부인 경우에는 해조류의 활착이 미비하고, 0.3 ~ 1 중량부일 때 해조류의 활착도 양호하고 제조단가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ㅇ여 바람직하다. 다만, 목초액이 1.5 ~ 5 중량부인 경우에는 제조단가가 높으며 특히, 5.5 중량부 이상인 경우에는 해조류 활착이 도움이 크지 않고 단가만 크게 상승될 뿐이다.
제 1 돌기부재(20)는 베이스 블록(10)의 전면, 양측면 및 배면 상부에 상하로 이격되어 복수 개가 제공되어 있다. 여기서, 돌기부재(20)는 폭방향을 가로질러 형성된 바(bar) 형상으로 전면, 양측면 및 배면과 돌기부재(20)로 이루는 각(θ)은 70 ~ 100°가 바람직하다. 각(θ)이 60°이하인 경우에는 형성 자체가 곤란하고, 110°이상인 경우에는 강력한 조류에 의해 베이스 블록(10)을 위로 띄우는 부력을 강화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는 베이스 블록(10)의 전면, 양측면 및 배면과 돌기부재(20) 사이 공간에 부유물이나 모래, 자갈 등이 퇴적되도록 하여 해양 바위 표면과 흡사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로 인해, 해조류의 활착을 조력함은 물론 물고기나 작은 해양 생물들의 서식처로서 기능을 수행한다.
제 2 돌기부재(30)는 베이스 블록(10)의 상부면에 복수 개가 이격되게 제공되어 있다. 여기서, 제 2 돌기부재(30)는 베이스 블록(10)의 상부면 중심부분을 제외한 상부면의 폭방향을 가로질러 형성된 바(bar) 형상이다.
여기서, 제 2 돌기부재(30)는 제 1 돌기부재(20)와 동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해수관(50)은 베이스 블록(10)의 전면, 양측면 및 배면에 각각의 일단이 돌출형성된 복수 개의 제 1 배관(51)과, 베이스 블록(10)의 상부면에 각각의 일단이 돌출형성된 복수 개의 제 2 배관(53)과, 베이스 블록(10)의 내부에 위치되며 각각의 제 1 배관(51)의 타단과 각각의 제 2 배관(53)의 타단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관(55)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연결관(55)은 엘보이다.
또한, 해수관(50)은 PVC, PP, PE 등의 재질로 제작되어 있다.
또한, 해수관(50)은 제 2 배관(53)의 일단에 통수공(57a)이 형성된 소켓(57)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소켓(57)의 통수공(57a)은 제 2 배관(53)의 내경에 비하여 작은 내경을 갖는다.
그리고 해수관(50)의 제 1 배관(51)의 일단은 베이스 블록(10)의 전면, 양측면 및 배면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수 유입유도체(70)는 제 1 배관(51)의 일단에 제공되어 있다. 여기서, 해수 유입유도체(70)는 일단부가 제 1 배관(51)의 일단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부는 제 1 배관(51)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해수 유입유도체(70)는 단면 형상이 '+'자 형상의 판재로서, 변형실시예로는 '-'자 또는 '*'자 등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는 해수가 베이스 블록(10)의 전면, 양측면 및 배면에 불규칙적으로 흐르더라도 해수 유입유도체(70)에 부딪혀 제 1 배관(51)을 통해 유입되어 제 2 배관(53)을 통해 상방향으로 토출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제 2 배관(53)의 타단부에 제공된 소켓(57)은 통수공(57a)의 내경이 좁아져 해수의 유속을 증가시킨다.
본 실시예의 복합 인공어초(100)가 일정한 면적에 다수 개가 설치되면, 해수가 유동되면서 제 1 배관(51)의 일단부를 통해 유입되어 제 2 배관(53)을 통해 상방향으로 토출되는 환경이 구현되는데, 이렇게 물이 솟구치는 지역은 용존 산소량이 높고 플랑크톤이 풍부하여 물고기가 선호하는 환경을 신속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이 분명하다.
10 : 베이스 블록
20, 30 : 돌기부재
50 : 해수관
70 : 해수 유입유도체
100 : 복합 인공어초

Claims (5)

  1. 하부면이 개방된 중공 구조로서, 전면, 측면, 배면 및 상부면에 하나 이상의 통수공이 형성된 베이스 블록과;
    상기 베이스 블록의 전면, 양측면 및 배면 중 어느 한 면에 일단부가 돌출되고 있고 타단부는 상기 상부면에 돌출된 하나 이상의 해수관을 포함하되,
    상기 해수관은 상기 베이스 블록의 전면, 양측면 및 배면 중 어느 한 면에 일단이 돌출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 1 배관과, 상기 베이스 블록의 상부면에 일단이 돌출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 2 배관과, 상기 베이스 블록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 1 배관이 타단과 상기 제 2 배관의 타단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배관의 일단에 제공된 통수공이 형성된 소켓을 더 포함하되, 상기 소켓의 통수공은 상기 제 2 배관의 내경 보다 작고, 일단부가 상기 제 1 배관의 일단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부는 상기 제 1 배관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된 해수 유입유도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인공어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블록은 하광상협의 형상으로 전면, 양측면 및 배면이 경사진 중공구조의 시멘트 콘크리트 구조물이고,
    상기 베이스 블록은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목초액 0.05 ~ 5 중량부를 배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인공어초.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블록의 전면, 양측면, 배면 및 상부면 중 어느 한 면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돌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인공어초.
KR1020170022452A 2017-02-20 2017-02-20 복합 인공어초 KR101739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452A KR101739292B1 (ko) 2017-02-20 2017-02-20 복합 인공어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452A KR101739292B1 (ko) 2017-02-20 2017-02-20 복합 인공어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9292B1 true KR101739292B1 (ko) 2017-05-24

Family

ID=59051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452A KR101739292B1 (ko) 2017-02-20 2017-02-20 복합 인공어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92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9155A (ko) * 2019-03-12 2020-09-22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해상풍력발전기 기초구조물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어초구조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6625A (ja) * 2003-06-17 2005-01-13 ▲高▼島産業株式会社 海藻類育成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101294897B1 (ko) * 2013-03-08 2013-08-08 부민종합건설 주식회사 해조류 부착용 요철 홈을 갖는 사다리꼴 요철형 인공어초 및 제작방법
KR101659304B1 (ko) 2016-05-24 2016-09-23 (주)대륙 다기능 수생 동식물 블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6625A (ja) * 2003-06-17 2005-01-13 ▲高▼島産業株式会社 海藻類育成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101294897B1 (ko) * 2013-03-08 2013-08-08 부민종합건설 주식회사 해조류 부착용 요철 홈을 갖는 사다리꼴 요철형 인공어초 및 제작방법
KR101659304B1 (ko) 2016-05-24 2016-09-23 (주)대륙 다기능 수생 동식물 블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9155A (ko) * 2019-03-12 2020-09-22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해상풍력발전기 기초구조물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어초구조물
KR102191591B1 (ko) 2019-03-12 2020-12-15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해상풍력발전기 기초구조물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어초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29422A (zh) 高低进口、主副出口竖缝式生态鱼道
CN208328870U (zh) 高低进口、主副出口竖缝式生态鱼道
JP4659538B2 (ja) 人工リーフ及びその構築工法
CN202310874U (zh) 一种适用于泥地底质海域的岩礁生境构件
KR101739292B1 (ko) 복합 인공어초
KR102014747B1 (ko) 조립식 쉘터 유닛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쉘터 구조
KR102050218B1 (ko) 바다 생물을 위한 인공어초
CN109338987A (zh) 内河生态整治丁坝群
CN209307945U (zh) 内河生态整治丁坝群
KR100459611B1 (ko) 어소를 갖는 호안블록
KR200379992Y1 (ko) 어도 케이스
KR101062477B1 (ko) 다기능 어도블록
KR102133408B1 (ko) 내부에 여덟 개의 날개판을 가지는 다기능 사각 인공어초
RU8368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нкубации икры в естественных условиях
CN203313890U (zh) 一种钢筋混凝土船形礁体
KR102640855B1 (ko) 다기능 산란 서식장 어초
JP2003232026A5 (ko)
CN116326525A (zh) 一种抗倾覆人工鱼礁
JP4962736B2 (ja) 二枚貝用保護構造体及びその構築方法
KR200262757Y1 (ko) 어소를 갖는 호안블럭
JP3290166B2 (ja) 魚礁の構築方法
Muñoz-Pérez Artificial reefs to improve and protect fishing grounds
CN205839697U (zh) 一种生态砌块
JP2003239241A (ja) 臨海湿地の育成方法及び臨海湿地
KR200262758Y1 (ko) 어소를 갖는 조립식 호안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