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9304B1 - 다기능 수생 동식물 블록 - Google Patents

다기능 수생 동식물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9304B1
KR101659304B1 KR1020160063223A KR20160063223A KR101659304B1 KR 101659304 B1 KR101659304 B1 KR 101659304B1 KR 1020160063223 A KR1020160063223 A KR 1020160063223A KR 20160063223 A KR20160063223 A KR 20160063223A KR 101659304 B1 KR101659304 B1 KR 101659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octopus
sub
cavity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윤
Original Assignee
(주)대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륙 filed Critical (주)대륙
Priority to KR1020160063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93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01K61/006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01K61/77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of monolithic form, e.g. bloc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다기능 수생 동식물 블록이 개시된다. 다기능 수생 동식물 블록은 중앙에 상측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사방에 블록의 둘레와 캐비티 사이에 물의 흐름이 발생되도록 형성된 제1 문어서식공간; 상기 제1 문어서식공간 양측에 형성된 제2 문어서식공간; 상기 제2 문어서식공간의 중간부분에 상기 제2 문어서식공간보다 더 큰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제3 문어서식공간; 블록의 사방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어 해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제4 문어서식공간; 및 상기 캐비티의 둘레 주변에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문어서식공간들과 연통되지 않는 고리형상 캐비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수생 동식물 블록{BLOCKS FOR APUATIC FLORA AND FAUNA HABITAT}
본 발명은 다기능 수생 동식물 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수생 동식물의 서식공간을 제공하는 다기능 수생 동식물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류에게 은신처와 산란처 및 서식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어류 서식공간을 갖는 콘크리트 블록, 즉 수생 동식물 블록이 해저에 설치된다.
수생 동식물 블록은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조성어장에서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 수생 동식물 블록은 각각의 어장에 있어서 대상 어종에 대하여 최적의 것이 선정, 배치되어야 할 것이나, 실제로는 어종과 블록 형상과의 관계를 명확히 하지 않은 채 어종에 관계없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사각 콘크리트 등의 단순한 구조로 된 수생 동식물 블록은 적절한 어류의 생활조건을 만들어 주어 어류가 모여들도록 콘크리트 블록 등을 제작하여 해저에 투하하고 있으나, 이 방법은 불법어업인 소형기선저인망의 어업행위로부터 어류를 보호하는 역할에 만족해야 했으며, 많은 예산 및 노력과 시간이 드는 반면에 어류의 유집이나 서식장으로 기능은 미흡한 점이 많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0691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35079호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양한 어종뿐만 아니라, 해삼, 해조류, 갑각류까지도 서식이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여 경제적 이득이 극대화되고, 어류의 서식환경이 향상되며, 문어 서식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수생 동식물 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수생 동식물 블록은 중앙에 상측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사방에 블록의 둘레와 캐비티 사이에 물의 흐름이 발생되도록 형성된 제1 문어서식공간; 상기 제1 문어서식공간 양측에 형성된 제2 문어서식공간; 상기 제2 문어서식공간의 중간부분에 상기 제2 문어서식공간보다 더 큰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제3 문어서식공간; 블록의 사방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어 해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제4 문어서식공간; 및 상기 캐비티의 둘레 주변에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문어서식공간들과 연통되지 않는 고리형상 캐비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캐비티 및 고리형상 캐비티 사이에 위치하고, 블록의 상면으로부터 제2 문어서식공간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제2 문어서식공간과 연통된 산소발생구멍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수생 동식물 블록은 상기 산소발생구멍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산소발생구멍의 내부로부터 상기 산소발생구멍의 외부로 배출되는 기포를 생성하는 기포발생부재; 및 상기 블록의 사방의 각 면에 관통되어 있는 와류형성구멍으로서, 상기 와류형성구멍의 내면에 형성된 나선형홈을 포함하는 다수의 와류형성구멍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수생 동식물 블록은 상기 블록은 4개의 소단위블록들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소단위블록 각각을 연결하는 소단위블록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단위블록연결부재는, 서로 이웃하는 제1 소단위블록 및 제2 소단위블록에 관통된 제1 연결와이어; 서로 이웃하는 제3 소단위블록 및 제4 소단위블록에 관통된 제2 연결와이어; 서로 이웃하는 제1 소단위블록 및 제3 소단위블록에 관통된 제3 연결와이어; 서로 이웃하는 제2 소단위블록 및 제4 소단위블록에 관통된 제4 연결와이어; 및 상기 연결와이어들의 양측 끝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블록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스토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상기 블록은 상기 소단위블록들 각각의 접한면으로부터 상기 소단위블록들의 외면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연장된 경사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수생 동식물 블록에 의하면, 다양한 어종뿐만 아니라, 해삼, 해조류, 갑각류까지도 서식이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여 경제적 이득이 극대화되고, 어류의 서식환경이 향상되며, 문어 서식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수생 동식물 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수생 동식물 블록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기포발생관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기포발생관에 의한 캐비테이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수생 동식물 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수생 동식물블록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수생 동식물 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수생 동식물 블록(100)은, 캐비티(110), 제1 문어서식공간(121), 제2 문어서식공간(122), 제3 문어서식공간(123), 제4 문어서식공간(124) 및 고리형상 캐비티(140)를 포함한다.
캐비티(110)는 블록의 중앙에 상측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즉, 캐비티(110)는 블록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함몰되어 블록의 중앙에 공간을 형성한다. 일 예로, 캐비티(110)는 평면 형상이 사각형상일 수 있다.
제1 문어서식공간(121)은 블록의 둘레와 캐비티(110) 사이에 물의 흐름이 발생하도록 캐비티(110)의 사방에 형성된다. 즉, 제1 문어서식공간(121)은 블록의 사방의 각 측면으로부터 캐비티(110)를 향해 연장된다.
제2 문어서식공간(122)은 제1 문어서식공간(121)의 양측에 형성된다. 제2 문어서식공간(122) 역시 블록의 둘레와 캐비티(110) 사이에 물의 흐름이 발생하도록 블록의 사방의 각 측면으로부터 캐비티(110)를 향해 연장된다.
제3 문어서식공간(123)은 제2 문어서식공간(122)의 중간부분에 제2 문어서식공간(122)보다 더 큰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4 문어서식공간(124)은 블록의 사방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어 해수의 흐름을 유도한다. 즉, 제4 문어서식공간(124)은 블록의 사방 모서리 부분을 해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각각의 문어서식공간(121, 122, 123, 124)은 무척추동물, 예를 들면, 문어의 서식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문어서식공간(121, 122, 123, 124)들이 형성되기 위해 블록을 타설할 때 다수의 관들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문어서식공간(121)의 내부에는 제1 입수관(131)이 매설되고, 제2 문어서식공간(122)의 내부에는 제2 입수관(132)이 매설되고, 제3 문어서식공간(123)의 내부에는 제3 입수관(133)이 매설되고, 제4 문어서식공간(124)의 내부에는 제4 입수관(134)이 매설된다.
고리형상 캐비티(140)는 캐비티(110) 둘레 주변에 고리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고리형상 캐비티(140)는 평면 형상이 사각고리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고리형상 캐비티(140)는 문어서식공간들(121, 122, 123, 124)과 연통되지 않으며, 해조류, 어류, 해삼, 갑각류 등의 서식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고리형상 캐비티(140) 주변의 블록의 상면(100a)에는 굴패각을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수생 동식물 블록은 산소발생구멍(150)을 더 포함한다.
산소발생구멍(150)은 캐비티(110) 및 고리형상 캐비티(140) 사이에 위치하고, 블록의 상면으로부터 제2 문어서식공간(122)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제2 문어서식공간(122)과 연통된다. 이때, 산소발생구멍(150)은 제2 문어서식공간(122)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제2 문어서식공간(122)의 직경보다 감소한 직경을 갖도록 연장된다. 이러한 산소발생구멍(150)은 제2 문어서식공간(122)의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면 제2 문어서식공간(122)으로 유입된 해수의 일부가 유입되며, 이때 산소발생구멍(150)은 제2 문어서식공간(122)의 직경보다 작으므로 산소발생구멍(150)으로 유입된 해수의 유입 압력은 증가하고, 증가된 압력으로 해수가 산소발생구멍(150)을 통과함에 따라 방울 형태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수생 동식물 블록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다수의 문어서식공간들(121, 122, 123, 124) 및 고리형상 캐비티(140)에 의해 다양한 어종뿐만 아니라, 문어, 해삼, 해조류, 갑각류까지도 서식이 가능한 공간이 제공됨에 따라 경제적 이득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둘째, 블록의 중앙에 상측으로 개방된 형태의 캐비티(110)가 형성되고, 캐비티(110)의 사방에 블록의 둘레와 캐비티(110) 사이에 물의 흐름이 발생되도록 다수의 문어서식공간들(121, 122, 123, 124)이 형성되어 서로 연통되므로 블록 주변의 해수가 다수의 문어서식공간들(121, 122, 123, 124)을 통해 캐비티(110) 측으로 유입되면서 해수의 순환이 이루어지므로 블록 내부의 산소공급 및 정화가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어류의 서식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블록에 형성된 문어서식공간들(121, 122, 123, 124)은 무척추동물인 문어의 서식공간을 제공하므로 다른 어류보다 낮은 수심에서 서식하는 문어의 특성에 맞는 문어 서식에 적합한 환경이 조성된다.
넷째, 캐비티(110) 및 고리형상 캐비티(140) 사이에 위치하는 산소발생구멍(150)이 형성됨에 따라 블록 상면 측을 향해 산소를 공급하므로 고리형상 캐비티(140) 내에 서식하는 각종 어류, 해조류, 해삼, 갑각류의 서식 환경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수생 동식물 블록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수생 동식물 블록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수생 동식물 블록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수생 동식물 블록(200)은 기포발생부재(260) 및 와류형성구멍(271, 272, 273, 27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포발생부재(260)는 산소발생구멍(150)의 내부에 설치되어 산소발생구멍(150)의 내부로부터 산소발생구멍(150)의 외부로 배출되는 기포를 생성한다. 일 예로, 기포발생부재(260)는 고정관(261) 및 기포발생관(262)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관(261)은 기포발생관(262)을 산소발생구멍(150)의 내부에 위치시킨다. 고정관(261)은 산소발생구멍(150)의 내부로 삽입되어 산소발생구멍(150)의 내면에 고정된다. 고정관(261)의 고정은 블록을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시 산소발생구멍(150) 내에 매설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기포발생관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포발생관(262)은 고정관(261)의 내부에서 고정관(261)과 연결된다. 일 예로, 기포발생관(262)은 고정관(261)의 내부에 고정관(261)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구비되며, 다수의 연결프레임(263)을 통해 고정관(261)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기포발생관(262)의 외면과 고정관(261)의 내면은 이격된다.
이러한 기포발생관(262)은 사각의 플레이트가 태엽식으로 감겨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플레이트 면에 다수의 개구(262a)를 형성할 수 있다. 기포발생관(262)에 형성되는 개구(262a)는 단축변과 장축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262a)의 형상에서, 개구(262a)의 장축변이 기포발생관(262)의 내부로 유입되는 해수가 진행되는 방향에 수직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개구(262a)의 장축변이 해수가 진행되는 방향에 수직하도록 위치되면, 해수가 개구(262a)에 충돌되는 면적이 넓어지므로 해수의 일부를 기포로 생성하는 작용이 촉진될 수 있다.
기포발생관(262)에 형성되는 개구(262a)는 원 또는 긴 변과 짧은 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개구(262a)의 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인 경우, 개구(262a)의 장축변이 기포발생관(262) 내부로 유입된 해수가 진행되는 방향에 수직하게 위치되므로, 해수가 개구(262a)에 충돌되는 면적이 넓어지므로 해수의 일부가 기포로 생성되는 작용이 촉진될 수 있다.
즉, 개구(262a)를 통해 난류 및 캐비테이션(cavitation)이 작용되며, 이에 의해 기포가 발생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기포발생관에 의한 캐비테이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6을 참조하면, 해수가 개구(262a)에 충돌되는 경우, 해수의 진행방향에 대향되는 면에 부딪혀서 충돌(ⓐ)이 발생되고, 충돌된 이후에 해수의 진행방향은 급격히 변화됨에 따라 해수가 진행되는 방향의 역방향측으로 캐비테이션(ⓑ)이 발생될 수 있다.
와류형성구멍(271, 272, 273, 274)은 블록의 사방의 각 면에 관통되는 제1 와류형성구멍(271), 제2 와류형성구멍(272), 제3 와류형성구멍(273) 및 제4 와류형성구멍(27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와류형성구멍(271) 및 제2 와류형성구멍(272)은 서로 평행할 수 있고, 제3 와류형성구멍(273) 및 제4 와류형성구멍(274)은 서로 평행하되 제1 와류형성구멍(271) 및 제2 와류형성구멍(272)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와류형성구멍들(271, 272, 273, 274) 내면에는 나선형홈(271a, 272a, 273a, 274a)이 형성된다. 나선형홈(271a, 272a, 273a, 274a)은 각각의 와류형성구멍들(271, 272, 273, 274)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나선형홈(271a, 272a, 273a, 274a)은 와류형성구멍들(271, 272, 273, 274)의 내부로 유입된 해수가 나선형으로 진행하도록 안내한다. 따라서, 와류형성구멍들(271, 272, 273, 274)을 통과하는 해수는 나선형홈(271a, 272a, 273a, 274a)에 의해 와류를 형성하여 블록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수생 동식물 블록은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이점이 있다.
첫째, 산소발생구멍(150)에 구비되는 기포발생부재(260)에 의해 산소발생구멍(150)을 통과하는 해수가 기포를 생성하는 효율이 증가함에 따라 블록 상면 측을 향해 증가된 양의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둘째, 블록의 사방의 각 면에는 내면에 나선형홈(271a, 272a, 273a, 274a)을 형성한 와류형성구멍들(271, 272, 273, 274)이 형성되므로 파도 및 파랑이 블록의 사방에서 블록을 향해 진행하는 경우 와류형성구멍들(271, 272, 273, 274)을 통과하는 해수가 와류를 형성하면서 배출됨에 따라 파력을 감쇄시켜서 파력에 의한 블록의 유동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수생 동식물 블록을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수생 동식물 블록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수생 동식물 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수생 동식물 블록(300)은 4개의 소단위블록들(301, 302, 303, 304)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소단위블록(301, 302, 303, 304) 각각을 연결하는 소단위블록연결부재(360) 및 경사면들(3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수생 동식물 블록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4개의 소단위블록(301, 302, 303, 304), 소단위블록연결부재(360) 및 경사면들(370)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4개의 소단위블록은 블록 전체를 가상의 제1 절개선 및 제2 절개선을 따라 절개하여 분할될 수 있다. 4개의 소단위블록(301, 302, 303, 304)은 제1 내지 제4 소단위블록(304)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소단위블록(301, 302, 303, 304)은 2개의 접한면(301a, 302a, 303a, 304a)을 포함하고, 각각의 소단위블록들(301, 302, 303, 304)의 2개의 접한면(301a, 302a, 303a, 304a)이 서로 면접하여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다.
소단위블록연결부재(360)는 제1 연결와이어(361), 제2 연결와이어(362), 제3 연결와이어(363), 제4 연결와이어(364) 및 스토퍼들(365)을 포함한다.
제1 연결와이어(361)는 서로 이웃하는 제1 소단위블록(301) 및 제2 소단위블록(302)에 관통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와이어(361)는 제1 소단위블록(301) 및 제2 소단위블록(302) 각각의 서로 접하여 있는 접한면(301a, 302a)들에 수직하게 관통된다.
제2 연결와이어(362)는 서로 이웃하는 제3 소단위블록(303) 및 제4 소단위블록(304)에 관통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와이어(361)는 제3 소단위블록(303) 및 제4 소단위블록(304) 각각의 서로 접하여 있는 접한면(303a, 304a)들에 수직하게 관통된다.
제3 연결와이어(363)는 서로 이웃하는 제1 소단위블록(301) 및 제3 소단위블록(303)에 관통된다. 이때, 제3 연결와이어(363)는 제1 소단위블록(301) 및 제3 소단위블록(303) 각각의 서로 접하여 있는 접한면(301a, 303a)들에 수직하게 관통된다.
제4 연결와이어(364)는 서로 이웃하는 제2 소단위블록(302) 및 제4 소단위블록(304)에 관통된다. 이때, 제4 연결와이어(364)는 제2 소단위블록(302) 및 제4 소단위블록(304) 각각의 서로 접하여 있는 접한면(302a, 304a)들에 수직하게 관통된다.
이러한 각각의 연결와이어(361, 362, 363, 364)의 길이는 서로 이웃하는 두 소단위블록의 길이를 합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스토퍼들(365)은 연결와이어들(361, 362, 363, 364)의 양측 끝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블록의 외부에 노출된다. 일 예로, 스토퍼들(365)의 형상은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경사면들(370)은 소단위블록들(301, 302, 303, 304) 각각의 접한면(301a, 302a, 303a, 304a)으로부터 상기 소단위블록들(301, 302, 303, 304)의 외면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연장된다. 각각의 경사면(370)은 소단위블록들(301, 302, 303, 304) 각각의 접한면(301a, 302a, 303a, 304a)을 향해 해수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수생 동식물 블록은 블록을 향해 가해지는 파도 및 파랑이 각각의 소단위블록들(301, 302, 303, 304) 사이를 통과하도록 한다.
즉, 블록의 사방에서 블록을 향해 파도 및 파랑이 진행되면 파도 및 파랑은 각각의 소단위블록(301, 302, 303, 304)의 외면에 부딪히게 된다. 이때, 파도 및 파랑은 각각의 소단위블록들(301, 302, 303, 304) 사이의 경사면들(370)에도 부딪힌다.
파도 및 파랑이 경사면들(370)에 부딪히면 해수는 경사면들(370)을 통해 각각의 소단위블록들(301, 302, 303, 304)의 서로 접하여 있는 접한면(301a, 302a, 303a, 304a)들 사이로 진입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소단위블록들(301, 302, 303, 304)은 파력에 의해 각각의 접한면(301a, 302a, 303a, 304a)들이 이격되도록 각각의 연결와이어(361, 362, 363, 364)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각각의 접한면(301a, 302a, 303a, 304a)들이 이격되도록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동하는 각각의 소단위블록들(301, 302, 303, 304)의 유동 거리는 각각의 소단위블록들(301, 302, 303, 304)에 관통된 각각의 연결와이어(361, 362, 363, 364) 끝에 위치한 스토퍼들(365)에 의해 제한된다. 즉, 각각의 소단위블록들(301, 302, 303, 304)은 각각의 연결와이어(301, 302, 303, 304)의 길이 내에서 유동하여 이격된다.
소단위블록들(301, 302, 303, 304)의 각각의 접한면(301a, 302a, 303a, 304a)들이 이격됨에 따라 접한면(301a, 302a, 303a, 304a)들의 이격된 공간의 사이로 해수가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블록의 사방에서 블록을 향해 진행하는 파도 및 파랑에 의한 파력을 감쇄시켜서 파력에 의한 블록의 유동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수생 동식물 블록의 각각의 연결와이어(361, 362, 363, 364)는 부식방지용 피복 조성물이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부식방지용 피복 조성물은 수용해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해성 수지는 다관능 지방족 글리시딜에테르 화합물, 아릴알킬글리시딜에테르(arylalkylglycidyl ether) 화합물 등의 글리시딜에테르 화합물과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알카놀아민(alkanol amine)의 반응물인 것이 좋으며, 특히 옥시란기(oxirane group)을 2개 이상 가지는 글리시딜 에테르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글리시딜에테르 화합물과 알카놀아민의 반응성 수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상기 옥시란기를 2개 이상 가지는 글리시딜에테르 화합물의 일례로는 비스페놀 A형 디글리시딜에테르(Bis phenol A type diglycidyl ether), 비스페놀 F형 디글리시딜에테르(Bis phenol F type diglycidyl ether), 페놀 노볼락형 글리시딜에테르(Phenol novolac type glycidyl ether), 레조르시놀 디글리시딜에테르(Resorcinol diglycidyl ether), 크레졸 노볼락형 글리시딜에테르(Cresol novolac type glycidyl ether), 비스페놀 A 노볼락형 글리시딜에테르(Bis phenol A novolac type glycidyl ether), 트리페닐 프로판 트리글리시딜에테르(Triphenyl propane triglycidyl ether), 트리(p-하이드록시 페닐) 에탄의 트리글리시딜에테르(Triglycidyl ether of tris(p-hydroxy phenyl) ethane), 트리하이드록시 바이페닐의 트리글리시딜에테르(Triglycidyl ether of trihydroxy biphenyl), 비스 레조르시놀 F의 트리글리시딜에테르(Tetraglycidyl ether of bis resorcinol F), 및 테트라페닐렌 에탄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Polyglycidyl ether of tetraphenylene ethane) 등에서 선택되는 페놀 유도체; 디글리시딜 아닐린(Diglycidyl aniline), 디글리시딜 톨루이딘(Diglycidyl toluidine), 트리글리시딜 p-아미노 페놀(Triglycidyl p-amino phenol), 및 테트라글리시딜 디아미노 디페닐 메탄(Tetraglycidyl diamino diphenyl methane) 등에서 선택되는 아민 유도체; 1,4-부탄디올글리시딜에테르(1,4-butandiol diglycidyl ether),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1,6-hexandiol diglycidyl ether), 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E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Poly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디글리시딜에테르 디메틸롤 시클로헥산(Diglycidyl ether dimethylol cyclohexan), 및 옥타플루오로펜틸 글리시딜에테르(Octafluoropentyl glycidylether) 등에서 선택되는 알코올 유도체; 디글리시딜 1,2-사이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Diglycidyl 1,2 cyclohexane dicarboxylate) 등의 유기산 유도체; 디펜텐 다이옥사이드(Dipentene dioxide), 디시클로펜타디엔 다이옥사이드(Dicyclopentadiene dioxide), 3,4-에폭시 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 시클로헥산 카르복실산(3,4-epoxy cyclohexylmethyl-3,4-epoxy cyclohexane carboxylate) 등에서 선택되는 시클로 알켄(cyclo alkene)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카놀아민으로는 모노에탄올아민(Monoethanol amine), 디에탄올아민(Diethanol amine), 프로판올아민(Propanol amine), 2-아미노-2-메틸-1,3 프로판디올(2-amino-2-methyl-1,3 propandiol),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2-amino-2-methyl-1 propandol) 등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알카놀아민을 대신하여 모노알킬아민(Mono alkyl amine), 알콕시 알킬모노아민(Alkoxy alkyl monoamine) 등 기타 아민계열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글리시딜에테르 화합물과 알카놀아민은 각각 0.05 : 99.5 ~ 99.5 : 0.05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부식방지용 피복 조성물이 각각의 연결와이어(361, 362, 363, 364)에 도포되면 각각의 연결와이어(361, 362, 363, 364)의 부식방지는 물론, 각각의 연결와이어(361, 362, 363, 364)의 내마모성, 내오염성, 비점접착성이 부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수생 동식물 블록의 기포발생관(262)은 금속, 합성수지, 고무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질인 경우, 내산화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RD(Polymerized trimethyl dihydroquinoline)를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RD는 내오존성 및 내산화성을 증가시키며, 기포발생관(262)의 부식 및 산화를 방지시킨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에 RD 0.4 내지 1.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RD의 첨가량이 상술된 범위보다 적은 경우에는 내산화성을 획득하기 어려우며, 상술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조직의 밀도 및 견고성에 영향을 주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의 기포발생관(262)에 RD가 더 첨가되므로 내산화성이 크게 향상되며, 이에 따라 제품의 수명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캐비티 121 : 제1 문어서식공간
122 : 제2 문어서식공간 123 : 제3 문어서식공간
124 : 제4 문어서식공간 150 : 산소발생구멍

Claims (6)

  1. 중앙에 상측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 캐비티(110);
    상기 캐비티(110)의 사방에 블록의 둘레와 캐비티(110) 사이에 물의 흐름이 발생되도록 형성된 제1 문어서식공간(121);
    상기 제1 문어서식공간(121) 양측에 형성된 제2 문어서식공간(122);
    상기 제2 문어서식공간(122)의 중간부분에 상기 제2 문어서식공간(122)보다 더 큰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제3 문어서식공간(123);
    블록의 사방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어 해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제4 문어서식공간(124); 및
    상기 캐비티(110)의 둘레 주변에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문어서식공간들(121, 122, 123, 124)과 연통되지 않는 고리형상 캐비티(140)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110) 및 고리형상 캐비티(140) 사이에 위치하고, 블록의 상면으로부터 제2 문어서식공간(122)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제2 문어서식공간(122)과 연통된 산소발생구멍(150, 25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산소발생구멍(25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산소발생구멍(250)의 내부로부터 상기 산소발생구멍(250)의 외부로 배출되는 기포를 생성하는 기포발생부재(2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블록의 사방의 각 면에 관통되어 있는 와류형성구멍(271, 272, 273, 274)으로서, 상기 와류형성구멍(271, 272, 273, 274)의 내면에 형성된 나선형홈(271a, 272a, 273a, 274a)을 포함하는 다수의 와류형성구멍(271, 272, 273, 274)을 더 포함하며;
    기포발생관(262)은 사각의 플레이트가 태엽식으로 감기면서 상기 플레이트 면에 다수의 개구(262a)를 형성하고, 고정관(261)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수생 동식물 블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4개의 소단위블록들(301, 302, 303, 304)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소단위블록(301, 302, 303, 304) 각각을 연결하는 소단위블록연결부재(3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단위블록연결부재(360)는,
    서로 이웃하는 제1 소단위블록(301) 및 제2 소단위블록(302)에 관통된 제1 연결와이어(361);
    서로 이웃하는 제3 소단위블록(303) 및 제4 소단위블록(304)에 관통된 제2 연결와이어(362);
    서로 이웃하는 제1 소단위블록(301) 및 제3 소단위블록(303)에 관통된 제3 연결와이어(363);
    서로 이웃하는 제2 소단위블록(302) 및 제4 소단위블록(304)에 관통된 제4 연결와이어(364); 및
    상기 연결와이어들(361, 362, 363, 364)의 양측 끝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블록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스토퍼들(36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수생 동식물 블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상기 소단위블록들(301, 302, 303, 304) 각각의 접한면(301a, 302a, 303a, 304a)으로부터 상기 소단위블록들(301, 302, 303, 304)의 외면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연장된 경사면들(3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수생 동식물 블록.
KR1020160063223A 2016-05-24 2016-05-24 다기능 수생 동식물 블록 KR101659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223A KR101659304B1 (ko) 2016-05-24 2016-05-24 다기능 수생 동식물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223A KR101659304B1 (ko) 2016-05-24 2016-05-24 다기능 수생 동식물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9304B1 true KR101659304B1 (ko) 2016-09-23

Family

ID=57047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223A KR101659304B1 (ko) 2016-05-24 2016-05-24 다기능 수생 동식물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930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9292B1 (ko) 2017-02-20 2017-05-24 권학준 복합 인공어초
KR101954422B1 (ko) * 2018-08-17 2019-03-04 (주)대륙 친환경 황토 재질의 문어, 해삼, 전복 서식 및 산란장을 제공하는 수생 동식물 블록
KR102132317B1 (ko) * 2020-03-05 2020-07-09 (주)대륙 동·식물 인공어초
KR20210030918A (ko) * 2018-12-26 2021-03-18 김진태 부상이동식 친환경 인공어초
KR102267666B1 (ko) * 2020-11-17 2021-06-22 주식회사 네오 친환경 석재 문어 서식블록
IT202000009046A1 (it) * 2020-04-27 2021-10-27 Stazione Zoologica Anton Dohrn Dispositivo per il supporto, la crescita e il reimpianto di piante acquatiche da semi
KR102364094B1 (ko) 2021-12-07 2022-02-17 서금석 수생 어초형 앵커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70059A (ko) * 2021-06-22 2022-12-29 주식회사 해성 다기능 산란 서식장 어초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917B1 (ko) 2000-12-26 2003-11-28 농업기반공사 돌망태를 이용한 인공 어초
KR100735079B1 (ko) 2005-08-16 2007-07-03 오주희 황토를 이용한 인공 어초 제조방법
KR200447370Y1 (ko) * 2009-04-15 2010-01-21 한중기반산업 주식회사 하천용 인공어초
KR100977706B1 (ko) * 2010-06-14 2010-08-24 (주) 세진건설 팔각형 2단 어초
KR101238225B1 (ko) * 2012-10-24 2013-03-05 (주)네오테크 복합형 친환경 인공어초
KR20160042516A (ko) * 2014-10-10 2016-04-20 주식회사 무일콘크리트 세굴방지용 호안블록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917B1 (ko) 2000-12-26 2003-11-28 농업기반공사 돌망태를 이용한 인공 어초
KR100735079B1 (ko) 2005-08-16 2007-07-03 오주희 황토를 이용한 인공 어초 제조방법
KR200447370Y1 (ko) * 2009-04-15 2010-01-21 한중기반산업 주식회사 하천용 인공어초
KR100977706B1 (ko) * 2010-06-14 2010-08-24 (주) 세진건설 팔각형 2단 어초
KR101238225B1 (ko) * 2012-10-24 2013-03-05 (주)네오테크 복합형 친환경 인공어초
KR20160042516A (ko) * 2014-10-10 2016-04-20 주식회사 무일콘크리트 세굴방지용 호안블록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9292B1 (ko) 2017-02-20 2017-05-24 권학준 복합 인공어초
KR101954422B1 (ko) * 2018-08-17 2019-03-04 (주)대륙 친환경 황토 재질의 문어, 해삼, 전복 서식 및 산란장을 제공하는 수생 동식물 블록
KR20210030918A (ko) * 2018-12-26 2021-03-18 김진태 부상이동식 친환경 인공어초
KR102308034B1 (ko) 2018-12-26 2021-09-30 김진태 부상이동식 친환경 인공어초
KR102132317B1 (ko) * 2020-03-05 2020-07-09 (주)대륙 동·식물 인공어초
IT202000009046A1 (it) * 2020-04-27 2021-10-27 Stazione Zoologica Anton Dohrn Dispositivo per il supporto, la crescita e il reimpianto di piante acquatiche da semi
EP3903569A1 (en) 2020-04-27 2021-11-03 Stazione Zoologica "Anton Dohrn" Device for supporting, growing and replanting aquatic plants from seeds
KR102267666B1 (ko) * 2020-11-17 2021-06-22 주식회사 네오 친환경 석재 문어 서식블록
KR20220170059A (ko) * 2021-06-22 2022-12-29 주식회사 해성 다기능 산란 서식장 어초
KR102640855B1 (ko) 2021-06-22 2024-02-29 주식회사 해성 다기능 산란 서식장 어초
KR102364094B1 (ko) 2021-12-07 2022-02-17 서금석 수생 어초형 앵커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9304B1 (ko) 다기능 수생 동식물 블록
KR20190092504A (ko) 인공 암초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8147165B2 (en) Artificial ground reef
US20100018470A1 (en) Submersible Offshore Marine Aquaculture Apparatus
CN204518866U (zh) 一种适合泥沙质海底且易于海洋生物附着的人工鱼礁
CN105900865A (zh) 立体生态养殖人工鱼礁
AU2012201758A1 (en) Artificial Reef for Seaweed
KR20210016810A (ko) 가두리 해삼 양식장치와 이를 이용한 가두리 양식장
BR102012013547B1 (pt) composição de revestimento à base de solvente e método para prover uma superfície que resista à incrustação marinha
KR101827348B1 (ko) 폐전봇대를 이용한 인공어초
KR101681578B1 (ko) 친환경 테트라포드와 그의 제조방법
KR101788562B1 (ko) 부력부재를 이용한 다기능 부어초
KR101954422B1 (ko) 친환경 황토 재질의 문어, 해삼, 전복 서식 및 산란장을 제공하는 수생 동식물 블록
KR100948399B1 (ko) 미로형 인공어초
CN100361902C (zh) 水质污浊防止方法及水流隔断墙
KR100424135B1 (ko) 다기능성 어초
KR100903169B1 (ko) 다공성 옥타포드형 생태초
KR101543012B1 (ko) 수산 생산용 월류형 소파구조물
KR100969232B1 (ko) 개량 요철형 인공어초
KR102347416B1 (ko) 고도회유성 어류 양식을 위한 운반수조
KR100777046B1 (ko) 인공어초
KR20200141819A (ko) 화로형 인공어초
Ultsch et al. An aggregation of overwintering leopard frogs, Rana pipiens, and common map turtles, Graptemys geographica, in northern Vermont
KR102018638B1 (ko) 자리돔 산란과 해양저서생물의 서식처를 위한 콘크리트 블록
CN209508702U (zh) 一种包覆金属球的沉降绳及其生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