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70059A - 다기능 산란 서식장 어초 - Google Patents

다기능 산란 서식장 어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70059A
KR20220170059A KR1020210080620A KR20210080620A KR20220170059A KR 20220170059 A KR20220170059 A KR 20220170059A KR 1020210080620 A KR1020210080620 A KR 1020210080620A KR 20210080620 A KR20210080620 A KR 20210080620A KR 20220170059 A KR20220170059 A KR 20220170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habitat
tube body
disposed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0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0855B1 (ko
Inventor
오철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성
Priority to KR1020210080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855B1/ko
Publication of KR20220170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70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01K61/77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of monolithic form, e.g. blo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산란 서식장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다기능 산란 서식장은, 블록(3)과; 블록(3)의 측벽에 삽입되어 내부에 문어가 서식할 수 있는 서식관(5)을 포함하며 블록(3)의 중심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며, 블록(3) 자체에는 다수의 관통홀(7)이 형성되어 해수가 유통가능하다. 상기 서식관(5)은 통체 형상으로서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관체(11)와; 관체(11)의 선단에 배치되며 입구(13)가 형성된 전면판(14)과; 관체(11)의 후단에 배치되며 출구(15)가 형성된 후면판(16)과; 관체(11)의 내부 일부분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관체(11)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분리판(17)을 포함하며, 입구(13)의 직경이 출구(15)의 직경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다.

Description

다기능 산란 서식장 어초{Multifunctional Scattering Habitat}
본 발명은 산란 서식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를 개선하여 문어가 선호하는 독립된 공간과, 어두운 공간을 조성함으로써 문어의 산란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공어초(人工魚礁)는 연안 수역의 수산 자원 증대를 위한 인공적인 구조물로 구성되어 어류 및 패류의 산란 및 서식장소로 제공되고, 어린 고기들을 보호 육성할 수 있는 은신처로 제공되고 있다.
통상 인공어초는 수심 20m보다 얕은 수역에 설치되는 연안용 어초와, 수심 20-50m에 설치되는 근해용 어초로 구분 되고, 연안(沿岸)용 어초는 패류 및 해조류 등 부착생물과, 치어(稚魚) 등 어린 고기를 주대상으로 하며, 근해(近海)용 어초는 조류(潮流)가 어초에 부딪치면서 용승류 및 와류가 발생하고 이를 통해 해저면에 쌓여 있던 영양 염을 상층부로 이동 시켜 각종 플랑크톤이 대량 번식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조성하여 연안어장의 생산력을 높이게 된다.
그리고, 연안정착성 어류는 문어, 다금바리, 붉바리, 자리돔, 자바리, 돌돔, 쏨뱅이, 쥐노래미 등이 있으며 산란시기에도 이동하지 않고 자신이 서식하는 근처에서 알을 낳는 특성이 있다.
특히, 문어는 암초부근의 굴처럼 패인 곳이나 그늘진 곳에 숨어서 독립적으로 생활하며 군집생활을 하지 않는 습성으로 영역 싸움이 심한 특징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서식장은 내부가 비어있는 장방형 구조물의 내부를 단순히 층상 구조화하거나 다양한 하부 구조물을 삽입 또는 체결하는 것만으로는 다양한 해양생물들이 군집을 이루어 서식하기 어려움이 있고, 해양환경에 영향을 미칠 요소가 있어 친환경적인 해양구조물에 근접하기 어려운 점이 많다.
특허출원 제10-2019-112375(명칭: 문어 산란용 어초) 특허출원 제10-2016-66185(명칭:문어집)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를 개선하여 문어가 선호하는 독립된 공간과, 어두운 공간을 조성함으로써 문어의 산란효율을 높일 수 있는 다기능 산란 서식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기능 산란 서식장을 제공하는 바, 이러한 다기능 산란 서식장은, 블록(3)과;
블록(3)의 측벽에 삽입되어 내부에 문어가 서식할 수 있는 서식관(5)을 포함하며
블록(3)의 중심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며, 블록(3) 자체에는 다수의 관통홀(7)이 형성되어 해수가 유통가능하다.
상기 서식관(5)은 통체 형상으로서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관체(11)와; 관체(11)의 선단에 배치되며 입구(13)가 형성된 전면판(14)과; 관체(11)의 후단에 배치되며 출구(15)가 형성된 후면판(16)과; 관체(11)의 내부 일부분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관체(11)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분리판(17)과; 전면판(14)에 형성되어 공기가 관체(11) 내부에 포집되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포켓 홀(Air pocket hole;12)을 포함한다.
그리고, 서식관(5)의 입구(13) 직경이 출구(15)의 직경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산란 서식장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블록과, 블록에 삽입되어 문어가 진출입하는 서식관으로 구성함으로써 문어가 선호하는 독립된 공간과 어두운 환경을 조성하여 문어의 서식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둘째, 서식관의 전면에 에어포켓 방지홀을 형성함으로써 서신과 내부에 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서식관의 내부를 분리판에 의하여 상하로 구획함으로써 산란과 치어들의 엄폐에 유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산란 서식장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서식관(5)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서식관(5)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절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산란 서식장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다기능 산란 서식장(1)은 블록(Block;3)과, 블록(3)의 측벽에 삽입되어 내부에 문어가 서식할 수 있는 서식관(5)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다기능 산란 서식장에 있어서,
블록(3)은 바다의 저면에 배치되며, 해수가 통과하는 구조를 갖는다. 즉, 블록(3)의 중심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며, 블록(3) 자체에는 다수의 관통홀(7)이 형성된다. 따라서, 해수가 이 관통홀(7)을 통과하여 빈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블록(3)은 다양한 형상을 갖으며, 예를 들면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 다각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블록(3)의 저면에는 다수의 다리(9)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바다의 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다. 따라서, 해수가 다리(9) 사이 및 관통홀(7)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흐를 수 있다.
이러한 블록(3)은 다양한 수심대에 배치되어 문어의 서식에 용이하다.
또한, 블록(3)의 주출입구(14)는 다각형의 중앙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블록(3)의 표면에는 해조류의 이식이 가능하다.
그리고, 블록(3)의 측벽에는 서식관(5)이 배치됨으로써 문어가 내부에 서식할 수 있다.
상기 서식관(5)은 통체 형상으로서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관체(11)와; 관체(11)의 선단에 배치되며 입구(13)가 형성된 전면판(14)과; 관체(11)의 후단에 배치되며 출구(15)가 형성된 후면판(16)과; 관체(11)의 내부 일부분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관체(11)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분리판(17)과; 전면판(14)에 형성되어 공기가 관체(11) 내부에 포집되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포켓 홀(Air pocket hole;12)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관체(11)는 다양한 형상을 갖는 바, 예를 들면 원통형상, 육면체 등의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전면판(14)은 관체(11)의 전면에 배치되어 관체(11)를 밀폐시키며 입구(13)가 형성되어 해수가 유입될 수있다.
또한, 후면판(16)은 전면판(14)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관체(11)의 후면을 밀폐시키며 출구(15)가 형성된다. 따라서, 입구(13) 및 출구(15)를 통하여 해수가 유통하게 된다.
이때, 입구(13) 및 출구(15)의 직경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바, 예를 들면 입구(13)의 직경이 출구(15)의 직경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다.
이는 문어가 위급한 상황에서는 급하게 도망갈수 있는 퇴로가 확보된 공간을 선택하는 습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에어포켓 홀(12)은 전면판(14)의 상부에 형성됨으로써 관체(11)의 내부에 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서식관(5)이 부력에 의하여 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분리판(17)은 관체(11)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전체 구간이 아닌 일부 구간에 배치된다.
즉, 분리판(17)은 관체(11)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 전방 공간(블록(3)의 외측방향)은 상하로 분리하여 구획하고, 후방 공간은 상하가 서로 연통된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문어는 이 분리판(17)을 중심으로 상부 공간 혹은 하부 공간에 서식하게 된다.
또한, 이 분리판(17)에 의하여 공간이 상하로 구분됨으로써 산란과 치어들의 엄폐에 유리하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문어 서식장에 문어가 출입하는 경우에는, 먼저 입구(13)를 통하여 관체(11)의 내부로 진입하게 되고, 분리판(17)에 서식한 후 출구(15)를 통하여 관체(11)의 외부로 진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문어 서식장은 블록(3)과, 서식관(5)으로 구성됨으로써 문어가 선호하는 독립된 공간과, 어두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문어 서식장은 문어 뿐만 아니라 토착어종 및 폐류의 서식장으로도 사용가능하다.

Claims (3)

  1. 블록(3)과;
    블록(3)의 측벽에 삽입되어 내부에 문어가 서식할 수 있는 서식관(5)을 포함하며
    블록(3)의 중심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며, 블록(3) 자체에는 다수의 관통홀(7)이 형성되어 해수가 유통가능한 다기능 산란 서식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식관(5)은 통체 형상으로서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관체(11)와; 관체(11)의 선단에 배치되며 입구(13)가 형성된 전면판(14)과; 관체(11)의 후단에 배치되며 출구(15)가 형성된 후면판(16)과; 관체(11)의 내부 일부분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관체(11)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분리판(17)과; 전면판(14)에 형성되어 공기가 관체(11) 내부에 포집되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포켓 홀(Air pocket hole;12)을 포함하는 다기능 산란 서식장.
  3. 제 2항에 있어서,
    입구(13)의 직경이 출구(15)의 직경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다기능 산란 서식장.
KR1020210080620A 2021-06-22 2021-06-22 다기능 산란 서식장 어초 KR102640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620A KR102640855B1 (ko) 2021-06-22 2021-06-22 다기능 산란 서식장 어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620A KR102640855B1 (ko) 2021-06-22 2021-06-22 다기능 산란 서식장 어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70059A true KR20220170059A (ko) 2022-12-29
KR102640855B1 KR102640855B1 (ko) 2024-02-29

Family

ID=84539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0620A KR102640855B1 (ko) 2021-06-22 2021-06-22 다기능 산란 서식장 어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855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0587A (ja) * 1994-03-14 1995-10-03 Sanki Kogyo Kk タコ用魚礁ブロック
KR200251140Y1 (ko) * 2001-07-10 2001-11-17 부민종합건설 주식회사 인공어초
KR200391108Y1 (ko) * 2005-04-09 2005-08-01 한승호 다기능 투석용 어초
KR101546891B1 (ko) * 2015-01-13 2015-08-24 주식회사 해건 접시형 문어 증식 어초
KR20160066185A (ko) 2014-12-02 2016-06-10 (주)아모레퍼시픽 아카리시드 b2를 함유하는 피지 조절 및 모공 축소용 조성물
KR101659304B1 (ko) * 2016-05-24 2016-09-23 (주)대륙 다기능 수생 동식물 블록
KR101900395B1 (ko) * 2018-01-16 2018-09-20 상록엔비텍(주) 문어의 산란 및 서식용 문어집
KR20190112375A (ko) 2018-03-26 2019-10-07 김민구 목고정 겸용 벗겨짐 방지 산소마스크
KR102036060B1 (ko) * 2019-03-14 2019-10-24 태림건설 주식회사 문어·해삼 등 기능성 수산물 서식블록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0587A (ja) * 1994-03-14 1995-10-03 Sanki Kogyo Kk タコ用魚礁ブロック
KR200251140Y1 (ko) * 2001-07-10 2001-11-17 부민종합건설 주식회사 인공어초
KR200391108Y1 (ko) * 2005-04-09 2005-08-01 한승호 다기능 투석용 어초
KR20160066185A (ko) 2014-12-02 2016-06-10 (주)아모레퍼시픽 아카리시드 b2를 함유하는 피지 조절 및 모공 축소용 조성물
KR101546891B1 (ko) * 2015-01-13 2015-08-24 주식회사 해건 접시형 문어 증식 어초
KR101659304B1 (ko) * 2016-05-24 2016-09-23 (주)대륙 다기능 수생 동식물 블록
KR101900395B1 (ko) * 2018-01-16 2018-09-20 상록엔비텍(주) 문어의 산란 및 서식용 문어집
KR20190112375A (ko) 2018-03-26 2019-10-07 김민구 목고정 겸용 벗겨짐 방지 산소마스크
KR102036060B1 (ko) * 2019-03-14 2019-10-24 태림건설 주식회사 문어·해삼 등 기능성 수산물 서식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0855B1 (ko) 2024-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3619B1 (ko) 바다숲 조성용 터널형 다기능 인공어초
KR101343099B1 (ko) 다기능성 해삼어초
KR100985893B1 (ko) 육각 콘크리트 어초
KR101784306B1 (ko) 산란장소를 제공하는 인공어초
JP5746545B2 (ja) 稚魚保護育成礁
KR101883836B1 (ko)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
KR20190085386A (ko)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
KR101015059B1 (ko) 벽체형 콘크리트 어초
CN102792904A (zh) 三曲面海藻林鱼礁
KR101103328B1 (ko) 거북형 인공어초
KR20140116306A (ko) 문어 해중림 인공어초
KR20220170059A (ko) 다기능 산란 서식장 어초
KR20150021664A (ko) 해중림 조성용 삼각터널타입 어초
KR101920839B1 (ko) 모듈형 문어 산란 구조물
KR102068220B1 (ko) 해삼 은신처용 인공어초
KR200411254Y1 (ko) 갯지렁이 양식장치
KR101427538B1 (ko) 도루묵 산란 및 보육을 위한 어소
KR20090000182U (ko) 굴 패각 투석식 강제어초
KR101968220B1 (ko) 콘크리트 인공어초
KR100969232B1 (ko) 개량 요철형 인공어초
KR102036060B1 (ko) 문어·해삼 등 기능성 수산물 서식블록
KR101352899B1 (ko) 대게보육어초
KR102542583B1 (ko) 성게 양성용 원통형 회전식 사육장치
KR20130071814A (ko) 주택형 인공어초
KR101421610B1 (ko) 해삼 어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