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5893B1 - 육각 콘크리트 어초 - Google Patents

육각 콘크리트 어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5893B1
KR100985893B1 KR1020100076048A KR20100076048A KR100985893B1 KR 100985893 B1 KR100985893 B1 KR 100985893B1 KR 1020100076048 A KR1020100076048 A KR 1020100076048A KR 20100076048 A KR20100076048 A KR 20100076048A KR 100985893 B1 KR100985893 B1 KR 100985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exagonal
reef
outer frame
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상현
Original Assignee
해주이엔씨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주이엔씨 (주) filed Critical 해주이엔씨 (주)
Priority to KR1020100076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58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안목장화를 위하여 해저면에 침설되는 인공어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육각 형상의 외곽프레임 내측 중앙에 원통 형상의 유공관을 배치하여, 외곽프레임 및 유공관의 외측 표면은 해조류의 착생면이 되도록 하고, 외곽프레임의 내측면 및 유공관과의 연결부위는 패류의 활착에 적합한 좁은 모서리 부분을 제공토록 하는 한편, 유공관의 내부는 어류의 은신공간을 제공토록 함으로서,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어류의 산란장과 먹이장 및 은신공간의 최적화 된 배치가 이루어진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인공어초를 제공하는 동시에, 어초의 시설 방향을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대상생물 및 어초기능의 다변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인공어초의 활용성과 적용성 또한 보다 폭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육각 콘크리트 어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육각프레임(2)과 하부육각프레임(3)의 각 꼭지점 부분이 6개의 기둥프레임(4)으로 연결 설치된 외곽프레임(1)과, 상기 외곽프레임(1)의 내측 중앙부로 삽입되어 외곽프레임(1)과 연결 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유공관(5)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유공관(5)의 몸통에는 다수 개의 통로구멍(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육각 콘크리트 어초{Hexagonal concrete reef}
본 발명은 육각 형상의 외곽프레임 내측 중앙에 원통 형상의 유공관을 배치하여, 외곽프레임 및 유공관의 외측 표면은 해조류의 착생면이 되도록 하고, 외곽프레임의 내측면 및 유공관과의 연결부위는 패류의 활착에 적합한 좁은 모서리 부분을 제공토록 하는 한편, 유공관의 내부는 어류의 은신공간을 제공토록 함으로서,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어류의 산란장과 먹이장 및 은신공간의 최적화 된 배치가 이루어진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인공어초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육각 콘크리트 어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공어초는 각종 어류나 패,조류(貝藻類) 등과 같은 수중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할 수 있도록 바닷속에 설치하는 인공구조물로서, 어획능력이 큰 저인망이나 권현망 등으로부터 어장을 보호하고 각종 어류나 패류의 산란장 및 은신처를 조성하여 어자원을 육성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인공어초는, 해저지반에 구조물을 설치하는 침설형(沈設型)과 바닷속에 구조물을 계류(繫留)시키는 부표형 어초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국외에서는 폐자재로서의 폴리에틸렌 수지나 폐타이어 등을 일정한 모양으로 구성한 조립식 어초를 포함하여 폐선어초나 폐차어초와 같은 여러 가지 종류의 어초가 사용되었으나, 해양환경 문제와 관련하여 폐자원의 활용은 감소추세에 있다.
상기와 같은 각종 인공어초 중 침설형 어초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콘크리트와 철근을 이용하여 육면체 형상의 골조프레임을 형성시킨 사각형 인공어초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사각형 인공어초를 바지선에 적재하여 해당 수역으로 운반시킨 다음, 바지선에 설치된 크레인을 사용하여 해저지반상에 인공어초를 침설시킴으로서 어류나 패류의 산란장 및 은신처를 제공토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사각형 인공어초는 어초 자체가 매우 단순한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어초의 표면상에 각종 패류나 해조류가 종패단계에서 용이하게 활착하여 많은 개체수로 생장하기 어려운 한편, 각종 치어나 치패(稚貝; 어린조개)가 천적의 눈을 피하여 은신할 수 있는 공간 또한 매우 적게 되며, 수면을 통하여 직사광선이 그대로 비치게 될 경우에는 이러한 은신처마저 쉽게 노출됨으로서, 치어나 치패가 보다 안전하게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사각형 인공어초를 바닷속에 침설시킴으로서 치어나 치패의 은신처 및 산란장을 일차적으로 조성시킨다 하더라도, 치어나 치패의 실질적인 은신수단과 먹이가 되는 각종 해조류의 착생이 매우 더디게 이루어지고 그 개체수 역시 매우 빈약하게 됨으로서, 인공어초의 침설 후 다소 오랜 기간이 경과하더라도 어자원의 증가를 이루어내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연안해역의 바다낚시터와 같은 어촌의 수익사업이나 연안목장화 사업에 별다른 기여를 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한편, 또 다른 침설형 어초로서, 강철재 프레임을 소재로 하여 약 10m 내외의 높이를 가지는 다층의 골조구조물로 형성된 강제어초(鋼製魚礁)를 들 수 있으나, 이러한 강제어초는 그 표면이 매끈한 강철재 프레임으로 제조됨으로서, 콘크리트 재질로 제조된 사각형 인공어초보다 해조류나 치패의 활착 및 생장에 적합하지 못한 구조물이 되며, 이로 인하여 어초 자체는 복잡한 구조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어초기능은 제대로 발현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강제어초의 경우는 강철재 프레임을 복잡한 형상으로 조립시킨 대형의 골조구조물이 되므로 인공어초의 제조비용이 고가인 문제점이 있었고, 인공어초의 높이를 약 10m 내외로 함에 따라 해저바닥에서 생장하는 정착성 어류와 보호목적성 어류 및 중층과 상부층을 유영하는 회유성 어류 등이 높이 방향을 따라 골고루 분포되도록 할 수는 있었으나, 단순한 골조구조만으로는 보다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어류의 위집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어초의 제조 및 시설에 따른 비용과 어초의 기능을 동시에 고려할 경우 매우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한편으로, 인공어초의 경우 그 대상으로 하는 수생생물의 종류에 따라 패류 및 해조류를 대상으로 하는 어초나, 어류을 대상으로 하는 어초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고 있지만, 현재까지는 각각의 인공어초 자체가 특정한 단일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개발되는 것에 불과하였으며, 어초의 시설 방향을 조정하여 대상생물 및 어초기능의 다변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인공어초의 개발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육각 콘크리트 어초는, 육각 형상의 외곽프레임 내측 중앙에 원통 형상의 유공관을 배치하여, 외곽프레임 및 유공관의 외측 표면은 해조류의 착생면이 되도록 하고, 외곽프레임의 내측면 및 유공관과의 연결부위는 패류의 활착에 적합한 좁은 모서리 부분을 제공토록 하는 한편, 유공관의 내부는 어류의 은신공간을 제공토록 함으로서,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어류의 산란장과 먹이장 및 은신공간의 최적화 된 배치가 이루어진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인공어초를 제공하는 동시에, 어초의 시설 방향을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대상생물 및 어초기능의 다변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인공어초의 활용성과 적용성 또한 보다 폭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상부육각프레임과 하부육각프레임의 각 꼭지점 부분이 6개의 기둥프레임으로 연결 설치된 외곽프레임과, 상기 외곽프레임의 내측 중앙부로 삽입되어 외곽프레임과 연결 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유공관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유공관의 몸통에는 다수 개의 통로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외곽프레임과 유공관은 120도 각도를 두고 3개의 기둥프레임과 함께 배치되는 방사상의 연결프레임으로 연결 설치되며, 상기 연결프레임은, 유공관의 높이 방향에 걸쳐 상단연결프레임과 중앙연결프레임과 하단연결프레임으로 분할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어초로부터 발현되는 입체감과 시각적 유인효과를 충분히 확보토록 한 상태에서, 어초의 최외곽으로부터 어초의 중심부측을 향하여 산란장과 먹이장 및 은신공간이 최적화 된 배치를 이루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어초의 시설 후 매우 짧은 기간안에 다양한 수생생물의 체계적인 군락을 형성시킴으로서, 연안해역의 바다낚시터와 같은 어촌의 수익사업이나 연안목장화 사업에 실질적으로 기여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육각 형상의 외곽프레임 및 그 내부에 설치되는 유공관을 포함하는 매우 간단한 구조만으로도 위와 같은 우수한 기능을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사각형 인공어초나 강제어초를 포함하여 현재까지 개발 및 사용되었던 다양한 종류의 어초와 비교할 경우, 매우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구조의 인공어초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어초의 시설 방향을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대상생물 및 어초기능의 다변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이로 인하여 기존의 사각형 인공어초나 강제어초를 포함하여 현재까지 개발 및 사용되었던 다양한 종류의 어초와 비교할 경우, 어초의 활용성과 적용성을 보다 더 폭넓게 확보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육각 콘크리트 어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따른 육각 콘크리트 어초의 사용상태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육각 콘크리트 어초(10)는 도 1 내지 도 3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육각프레임(2)과 하부육각프레임(3)의 각 꼭지점 부분이 6개의 기둥프레임(4)으로 연결 설치된 외곽프레임(1)과, 상기 외곽프레임(1)의 내측 중앙부로 삽입되어 외곽프레임(1)과 연결 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유공관(5)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어초(10)용 외곽프레임(1)을 상부육각프레임(2)과 하부육각프레임(3) 및 6개의 기둥프레임(4)을 사용하여 육각 형상으로 형성시키는 이유는, 외곽프레임(1) 및 유공관(5)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어초(10)가 입체적인 외관을 가지도록 함으로서, 어류의 위집(蝟集: 번잡하게 모임)에 필요한 시각적인 유인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예를 들어, 종래의 사각형 인공어초 내부에 유공관(5)을 설치할 경우, 외곽측 프레임과 내부측 유공관(5)이 제공하는 입체감이 저하되어 시각적인 유인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팔각형 프레임과 8개의 기둥프레임(4)을 사용하여 외곽프레임(1)을 팔각 형상으로 형성시키게 되면, 각각의 기둥프레임(4)에 의하여 유공관(5)의 대부분이 가려지게 되므로, 이 또한 시각적 유인효과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뿐만 아니라, 위와 같은 팔각형 프레임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어초(10)의 제조에 필요한 거푸집의 설계가 까다롭게 되는 한편, 어초(10)의 제조에 투입되는 콘크리트의 량 또한 증대되므로, 어초(10)가 발현하는 입체감과 시각적 유인효과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비경제적이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도 4의 (나)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초(10)는 해저면에 수평 방향으로 뉘어서 설치할 수도 있는 바, 외곽프레임(1)이 팔각 형상을 가지게 되면, 어초(10)의 저부와 해저면과의 접촉면적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되므로, 파랑(波浪) 등에 의하여 어초(10)가 최초의 위치에서 쉽게 이동하거나 전도되는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여러 가지의 상황을 고려하여, 최적의 외곽프레임(1)으로서 육각 형상의 프레임을 적용시킨 것이며, 상기 유공관(5)의 몸통에는 유공관(5)의 내부측 공간과 외부측 공간을 통하여 어류가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통로구멍(6)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면상 유공관(5)의 상측단과 하측단 또한 어류와 수생생물의 이동통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개구부로 형성된다.
상기 통로구멍(6)은,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 과정을 거쳐 본 발명의 어초(10)가 제조된다는 점을 감안할 경우, 도면에서와 같은 원형의 구멍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사각형 구멍이나 다른 형태의 구멍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으며, 통로구멍(6)의 개수나 배치형태 역시 어초(10)의 치수나 유공관(5)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정이 가능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한편, 상기 외곽프레임(1)과 유공관(5)은 연결프레임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되는 바, 상기 연결프레임의 배치는, 어초(10)의 제조시 투입되는 철근 및 콘크리트의 량을 절감시키면서도, 어초(10)의 구조적인 강도를 충분히 확보토록 하는 동시에, 치패의 활착과 생장 및 치어의 은신에 필요한 좁은 모서리 공간이 외곽프레임(1)의 내측면에 충분히 제공되도록 하는 측면을 고려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로 도시된 도 1 내지 도 3에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외곽프레임(1)과 유공관(5)의 사이에서 120도 각도를 두고 3개의 기둥프레임(4)과 함께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한편, 유공관(5)의 높이 방향에 걸쳐 상단연결프레임(7)과 중앙연결프레임(9)과 하단연결프레임(8)의 3단 프레임으로 분할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연결프레임의 주된 역할은 외곽프레임(1)과 유공관(5)을 일체로 연결시키는 것이므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연결프레임의 형태 이외에도 다른 개수와 배치상태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도 4의 (나)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육각 콘크리트 어초(10)를 해저면에 수평 방향으로 뉘어서 설치하고자 어초(10)의 길이를 길게 하는 경우에, 외곽프레임(1)과 유공관(5)이 보다 많은 개수의 연결프레임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프레임 중에서 중앙연결프레임(9)이 기둥프레임(4)과 연결되는 부분에는 삼각 형상의 리브(Rib)(9a)가 상,하로 돌출 형성되는 바, 이는 연결프레임의 외측면에도 치패의 활착과 생장에 적합한 모서리 부분이 제공되도록 한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단연결프레임(7)의 하측면과 하단연결프레임(8)의 상측면에도 이러한 리브를 형성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육각프레임(2)과 상단연결프레임(7)의 상부표면 및 유공관(5)의 상부표면이 동일면상에 위치하고 있는 바, 이는 하부육각프레임(3)과 하단연결프레임(8) 및 유공관(5)의 하부표면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하부육각프레임(2,3)과 상,하단연결프레임(7,8) 및 유공관(5)의 표면이 동일면상에 위치토록 한 이유는, 본 발명의 육각 콘크리트 어초(10)를 상,하 구분없이 수직 방향으로 세워서 시설할 경우, 어초(10)와 해저면과의 접지면적을 최대한으로 확보하여 어초(10)의 안정적인 시설이 가능토록 함은 물론, 니질(泥質: 진흙이나 뻘층)이나 사니질(沙泥質: 뻘과 모래의 혼합층)과 같은 연약지반에 본 발명의 어초(10)를 시설하더라도, 어초(10)의 침하현상을 최대한으로 억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는 달리, 도 4의 (나)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육각 콘크리트 어초(10)를 해저면에 뉘어서 설치하는 경우에 한하여, 유공관(5)의 양측(도면상 좌,우측) 단부가 소정의 깊이만큼 외곽프레임(1)의 내측으로 들어가게 하거나, 소정의 폭만큼 외곽프레임(1)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유공관(5)의 배치는, 어초(10)의 제조적인 측면에서 까다로운 거푸집 설계가 요구되므로, 가급적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육각프레임(2,3)과 상,하단연결프레임(7,8) 및 유공관(5)의 표면이 서로 동일면상에 위치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육각 콘크리트 어초(10)는 도 1 및 도 3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곽프레임(1) 및 유공관(5)의 외측 표면이 해조류의 착생면을 제공하고, 외곽프레임(1)의 내측면 및 유공관(5)과의 연결부위는 해조류의 착생과 더불어 치패의 활착 및 생장에 적합한 좁은 모서리 부분을 제공하며, 유공관(5)의 내부는 치어를 포함한 각종 어류의 은신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외곽프레임(1)으로부터 유공관(5)의 내부공간에 이르기까지 어패류의 산란장 및 1차적인 은신처를 제공하는 해조류용 표면과, 치패의 활착 및 생장에 적합한 패류용 표면과, 치어 및 어류의 활동과 은신에 적합한 공간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한편, 유공관(5)에 제공된 통로구멍(6)에 의하여 유공관(5)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으로 어류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외곽프레임(1) 및 유공관(5)의 외측 표면에 부착하여 생장하는 해조류가 1차 먹이사슬을 이루고, 외곽프레임(1)의 내측면 및 유공관(5)과의 연결부위에 제공된 좁은 모서리에 부착하여 생장하는 패류가 2차 먹이사슬을 이루며, 유공관(5)을 기초로 활동하는 어류가 최종 포식자의 3차 먹이사슬을 이루게 됨으로서, 본 발명의 육각 콘크리트 어초(10)를 중심으로 하여 거의 완벽한 생태계의 구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어초(10)로부터 발현되는 입체감과 시각적 유인효과를 충분히 확보토록 한 상태에서, 어초(10)의 최외곽으로부터 어초(10)의 중심부측을 향하여 산란장과 먹이장 및 은신공간이 최적화 된 배치를 이루도록 함에 따라, 어초(10)의 시설 후 매우 짧은 기간안에 다양한 수생생물의 체계적인 군락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연안해역의 바다낚시터와 같은 어촌의 수익사업이나 연안목장화 사업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육각 형상의 외곽프레임(1) 및 그 내부에 설치되는 유공관(5)을 포함하는 매우 간단한 구조만으로도 위와 같은 우수한 기능을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사각형 인공어초나 강제어초를 포함하여 현재까지 개발 및 사용되었던 다양한 종류의 어초와 비교할 경우에도, 매우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구조의 인공어초가 됨을 알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육각 콘크리트 어초(10)는 도 4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립 상태로도 설치가 가능하고, 도 4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뉘어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각각의 설치방식에 따라 본 발명의 어초(10)가 제공하는 기능 또한 다변화된다.
먼저, 도 4의 (가)에 도시된 상태로 시설되는 어초(10)의 바람직한 치수는 는 2.5m 내외의 폭과 3.5m 내외의 높이가 되며, 이러한 치수의 어초(10)를 해저면에 직립식으로 침설시키게 되면, 해조류와 패류의 활착 및 생장을 기본 조건으로 하는 상태에서, 바닥층이나 고형체에 붙어서 서식하는 주촉성(走觸生) 어류와, 무분별한 남획으로 인하여 보호가 요구되는 보호목적성 어류 및 중층을 유영하는 회유성 어류의 위집이 가능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하부육각프레임(3)과 하단연결프레임(8) 및 유공관(5)의 하단측이 제공하는 공간에는, 협소한 바위틈을 선호하는 주촉성 어류인 넙치나 가자미 또는 쏨뱅이 등이 위집되고, 각각의 기둥프레임(4)과 중앙연결프레임(9) 및 유공관(5)의 내,외부측이 제공하는 공간에는, 보호목적성 어류인 감성돔이나 참돔 또는 우럭 등이 위집된다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부육각프레임(2)과 상단연결프레임(7) 및 유공관(5)의 상측단이 제공하는 공간에는, 그 개체수가 비록 많지는 아니하지만 고등어나 전갱이 또는 방어나 삼치 등의 회유성 어종이 위집된다는 것이며, 이러한 회유성 어류의 위집은 본 발명의 육각 콘크리트 어초(10)가 그 내부의 유공관(5)과 함께 기둥의 형태로 설치됨에 기인하는 것이다.
이와는 달리, 도 4의 (나)에 도시된 상태로 시설되는 어초(10)의 바람직한 치수는 4.5m 내외의 폭과 2.5m 내외의 높이가 되며, 이러한 치수의 어초(10)를 해저면에 수평 방향으로 뉘어서 침설시키게 되면, 해조류와 패류의 활착 및 생장을 기본 조건으로 하는 상태에서, 주촉성 어류와 보호목적성 어류 및 해저면을 기초로 하여 생장하는 각종 수생생물의 위집이 가능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도 4의 (나)에서 해저면과 접지된 2개의 기둥프레임(4) 및 해당 기둥프레임(4)과 연결되는 각각의 연결프레임(7)(8)(9)과, 수평 방향으로 위치하는 유공관(5)의 내측 바닥에는 주촉성 어류가 위집되고, 유공관(5)의 내측 중앙부와 상부측 공간 및 유공관(5)의 외부를 에워싸는 나머지 4개의 기둥프레임(4)과 각각의 연결프레임(7)(8)(9)이 제공하는 공간에는 보호목적성 어류가 위집된다는 것이며, 이 경우 상기 통로구멍(6)과 함께 도면상 유공관(5)의 좌,우측 개구부 또한 어류의 이동통로를 제공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도 4의 (나)에 도시된 상태로 본 발명의 육각 콘크리트 어초(10)를 침설시키게 되면, 유공관(5)과 해저면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됨으로서 유공관(5)과 해저면의 사이에도 추가적인 은신공간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은신공간에 낚지나 문어 또는 꽃게와 같은 다양한 바닥층 수생생물이 위집되어 서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육각 콘크리트 어초(10)는, 그 시설 방향을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대상생물 및 어초기능의 다변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인공어초의 활용성과 적용성을 보다 더 폭넓게 확보할 수 있는 바, 이러한 기능은 기존의 사각형 인공어초나 강제어초를 포함하여 현재까지 개발 및 사용되었던 다양한 종류의 어초에서도 전혀 찾아볼 수 없는 본 발명만의 특징이 되는 것이다.
1 : 외곽프레임 2 : 상부육각프레임 3 : 하부육각프레임
4 : 기둥프레임 5 : 유공관 6 : 통로구멍
7 : 상단연결프레임 8 : 하단연결프레임 9 : 중앙연결프레임
9a : 리브 10 : 육각 콘크리트 어초

Claims (2)

  1. 해저면에 침설(沈設)되는 인공어초에 있어서,
    상기 인공어초는, 상부육각프레임(2)과 하부육각프레임(3)의 각 꼭지점 부분이 6개의 기둥프레임(4)으로 연결 설치된 외곽프레임(1)과, 상기 외곽프레임(1)의 내측 중앙부로 삽입되어 외곽프레임(1)과 연결 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유공관(5)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유공관(5)의 몸통에는 다수 개의 통로구멍(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각 콘크리트 어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프레임(1)과 유공관(5)은 120도 각도를 두고 3개의 기둥프레임(4)과 함께 배치되는 방사상의 연결프레임으로 연결 설치되며,
    상기 연결프레임은, 유공관(5)의 높이 방향에 걸쳐 상단연결프레임(7)과 앙연결프레임(9)과 하단연결프레임(8)으로 분할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각 콘크리트 어초.
KR1020100076048A 2010-08-06 2010-08-06 육각 콘크리트 어초 KR100985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048A KR100985893B1 (ko) 2010-08-06 2010-08-06 육각 콘크리트 어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048A KR100985893B1 (ko) 2010-08-06 2010-08-06 육각 콘크리트 어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5893B1 true KR100985893B1 (ko) 2010-10-08

Family

ID=43135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048A KR100985893B1 (ko) 2010-08-06 2010-08-06 육각 콘크리트 어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5893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069B1 (ko) * 2011-03-23 2012-11-07 주식회사 태화건설 콘크리트 인공어초
KR101437895B1 (ko) 2014-04-18 2014-09-16 주식회사 혁신 인공어초
CN104126532A (zh) * 2014-07-22 2014-11-05 重庆大学 一种用于江河流域生态环境的鱼礁体
KR101597079B1 (ko) * 2015-11-26 2016-02-23 해주이엔씨 (주) 강제 보프레임이 설치된 침선어초
KR101880683B1 (ko) * 2017-12-29 2018-07-20 김수아 삼단 조합형 어초
KR101880681B1 (ko) * 2017-12-29 2018-07-20 김수아 삼단 조합형 어초
KR101880685B1 (ko) * 2017-12-29 2018-07-20 김수아 삼단 조합형 어초
KR101880684B1 (ko) * 2017-12-29 2018-08-16 김수아 삼단 조합형 어초
CN110506685A (zh) * 2019-09-20 2019-11-29 韦怡 一种具有高增殖效果的人工鱼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3565U (ko) 1981-04-28 1982-11-01
JPH0779661A (ja) * 1993-09-10 1995-03-28 Hirobumi Tamaru 魚礁用ブロックの製造方法
KR20010010757A (ko) * 1999-07-22 2001-02-15 배평암 상자형 인공어초
KR100890281B1 (ko) 2008-10-21 2009-03-24 백상현 대형 정삼각뿔 인공어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3565U (ko) 1981-04-28 1982-11-01
JPH0779661A (ja) * 1993-09-10 1995-03-28 Hirobumi Tamaru 魚礁用ブロックの製造方法
KR20010010757A (ko) * 1999-07-22 2001-02-15 배평암 상자형 인공어초
KR100890281B1 (ko) 2008-10-21 2009-03-24 백상현 대형 정삼각뿔 인공어초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069B1 (ko) * 2011-03-23 2012-11-07 주식회사 태화건설 콘크리트 인공어초
KR101437895B1 (ko) 2014-04-18 2014-09-16 주식회사 혁신 인공어초
CN104126532A (zh) * 2014-07-22 2014-11-05 重庆大学 一种用于江河流域生态环境的鱼礁体
CN104126532B (zh) * 2014-07-22 2016-04-20 重庆大学 一种用于江河流域生态环境的鱼礁体
KR101597079B1 (ko) * 2015-11-26 2016-02-23 해주이엔씨 (주) 강제 보프레임이 설치된 침선어초
KR101880683B1 (ko) * 2017-12-29 2018-07-20 김수아 삼단 조합형 어초
KR101880681B1 (ko) * 2017-12-29 2018-07-20 김수아 삼단 조합형 어초
KR101880685B1 (ko) * 2017-12-29 2018-07-20 김수아 삼단 조합형 어초
KR101880684B1 (ko) * 2017-12-29 2018-08-16 김수아 삼단 조합형 어초
CN110506685A (zh) * 2019-09-20 2019-11-29 韦怡 一种具有高增殖效果的人工鱼礁
CN110506685B (zh) * 2019-09-20 2021-12-03 浙江龙谱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高增殖效果的人工鱼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5893B1 (ko) 육각 콘크리트 어초
KR100794230B1 (ko) 이중 어초프레임을 가지는 돔형 인공어초
KR100913808B1 (ko) 삼각 패조류 인공어초
KR100762820B1 (ko) 석탑형 다기능 인공어초
KR101868222B1 (ko) 벤치형 어초
KR101015059B1 (ko) 벽체형 콘크리트 어초
KR101883836B1 (ko)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
KR101120922B1 (ko) 삼곡면 해중림 어초
KR101196669B1 (ko) 다공성황토블럭을 이용한 다기능 인공어초
KR101934447B1 (ko) 새우용 인공어초
KR200430045Y1 (ko) 이중 어초프레임을 가지는 돔형 인공어초
KR100838714B1 (ko) 강재골조 구조의 인공어초
KR100704144B1 (ko) 인공어초
KR102068220B1 (ko) 해삼 은신처용 인공어초
KR100734466B1 (ko) 해중림 조성용 하우스형 인공어초
KR100424135B1 (ko) 다기능성 어초
KR100969232B1 (ko) 개량 요철형 인공어초
KR20090000182U (ko) 굴 패각 투석식 강제어초
KR20150029107A (ko) 바다숲 조성용 상자형 해중림초
JP4998877B2 (ja) イセエビ用の増殖礁とその設置方法
KR200392536Y1 (ko) 해중림 조성용 하우스형 인공어초
KR200374009Y1 (ko) 전복 보육어초
KR101125868B1 (ko) 인공어초 및 인공어초 복합체
KR101011766B1 (ko) 다면체 인공어초
KR200456709Y1 (ko) 인공어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