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0685B1 - 삼단 조합형 어초 - Google Patents

삼단 조합형 어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0685B1
KR101880685B1 KR1020170183705A KR20170183705A KR101880685B1 KR 101880685 B1 KR101880685 B1 KR 101880685B1 KR 1020170183705 A KR1020170183705 A KR 1020170183705A KR 20170183705 A KR20170183705 A KR 20170183705A KR 101880685 B1 KR101880685 B1 KR 101880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frame
weight
steel bars
fish ree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아
Original Assignee
김수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아 filed Critical 김수아
Priority to KR1020170183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06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01K61/73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assembled of compon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3Artificial seawe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삼단 조합형 어초에 관한 것으로, 어초에 어체 전체 또는 일부를 접촉하면서 유영하는 어종에 적합한 생태 환경을 조성하는 제1어초성과, 어초의 주위를 유영하는 어종에 적합한 생태 환경을 조성하는 제2어초성과, 어초로부터 떨어진 표층 및 중층 수역에 유영하는 어종에 적합한 생태 환경을 조성하는 제3어초성이 구비되므로, 삼단 조합형 어초에 의해 다양한 어종에 적합한 생태 환경이 조성된다. 또한, 제1어초성 대부분과, 제2어초성, 제3어초성이 강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강재의 바들을 현장에서 용접하여 조립하면 곧바로 제품화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의 양생에 필요한 공간 확보나 양생되는 동안 기다릴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전체 제작 비용 및 공기가 단축되고 어장 생산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삼단 조합형 어초{Triple-combined type artificial reef}
본 발명은 삼단 조합형 어초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어초에 어체 전체 또는 일부를 접촉시키는 어종과, 어초의 주위를 유영하는 어종과, 어초로부터 떨어진 표층 및 중층 수역에 유영하는 어종 등 다양한 어종에 적합한 생태 환경을 조성하는 삼단 조합형 어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공어초는 연안어장의 수산자원 확보를 목적으로 해양생물의 산란 및 서식공간을 조성하고 치어의 은신처를 제공하기 위하여 연안이나 근해에 설치하는 인공적인 구조물이다.
이러한 인공어초는 최초 폐선박을 침몰시키거나 지상 구조물을 바다에 투하하여 서식공간을 조성한 것에서부터 서식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조성하기 위하여 육면체형, 원통형, 요철형 구조물로 설계한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변모되어 왔다. 인공어초를 만드는 재료도 다양하여 콘크리트, 폐타이어, 강재 등을 이용한 것이 있다.
콘크리트 어초의 경우에는 구조적 안정성은 좋으나, 무겁기 때문에 고층 어초를 제작하는데 부적합하고, 그 구조가 반구형, 상자형 등으로 단순하게 제작될 수밖에 없어 복잡한 내부공간 형성에 미흡할 뿐만 아니라, 백화 현상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폐타이어를 이용한 어초의 경우에도 재활용의 측면만이 고려되었을 뿐 그 형상 자체의 변형이 어려워 어초의 제기능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콘크리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벼우면서 복잡한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어류서식에 적합한 구조를 제공하는 강제 어초가 많이 제작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어류는 인공어초를 구성하는 부재들 사이의 간격에 대하여 시각적으로 감지하여 인공어초의 유무와 공간의 존재를 인식하며, 어류가 시각적으로 감지하는 공간크기는 성육상태(크기) 및 어종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어류는 그 어종에 따라 인공어초와 전혀 상관없이 서식하는 어종, 인공어초의 상부에서 형성되는 용승류 및 와류를 따라 서식하는 어종, 인공어초의 사이사이를 다니면서 서식하는 어종, 및 인공어초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에서 서식하는 어종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그 중 일부 어종은 인공어초의 특정 공간 내에서 산란, 서식 및 휴식을 취하거나 잠을 자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어초로의 제기능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해서는 여러 어종이 함께 서식할 수 있는 적합한 생태공간을 제공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강제어초는 어초를 구성하는 부재들이 상호 등간격으로 구성되어 동일 크기의 공간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다양한 어종에 적합한 생태환경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492188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어초에 어체 전체 또는 일부를 접촉시키는 어종과, 어초의 주위를 유영하는 어종과, 어초로부터 떨어진 표층 및 중층 수역에 유영하는 어종 등 다양한 어종에 적합한 생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 삼단 조합형 어초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체 제작 비용 및 공기가 단축되도록 한 삼단 조합형 어초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착성 생물량이 극대화되고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한 삼단 조합형 어초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류가 완화되거나 빛이 가려질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한 삼단 조합형 어초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층부에서 발생하는 유체 저항을 감소시키고 후류 영역(wake region)을 확대하도록 한 삼단 조합형 어초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적으로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한 삼단 조합형 어초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물살의 흐름을 저감시키고 어류의 출입 통로를 다양하게 확보하며 어류에게 다양한 위치의 음영을 제공하도록 한 삼단 조합형 어초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류의 원활한 소통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조류 착생 기반이 확대되도록 한 삼단 조합형 어초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삼단 조합형 어초는, 어초에 어체 전체 또는 일부를 접촉하면서 유영하는 어종과, 어초의 주위를 유영하는 어종과, 어초로부터 떨어진 표층 및 중층 수역에 유영하는 어종 등, 다양한 어종에 적합한 생태 환경이 조성되도록 제1어초성, 제2어초성, 제3어초성이 삼단으로 조합되어서 이루어지고; 제1어초성은, 다수의 강재 바가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어서 하부 골조를 이루고, 어류가 사방 둘레 및 상하 방향으로 드나들 수 있도록 사방 둘레 및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으며, 내부 중앙에 어초가 정착되고 어류가 머무를 수 있도록 정착블록이 구비되며; 제2어초성은, 제1어초성의 상부에 구비되고, 다수의 강재 바가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어서 중간 골조를 이루며, 전체 골조 형태가 십자형기둥부 및 십자형기둥부 사이의 내측 모서리 이음 부위에 구비되어서 십자형기둥부를 보강하는 보강부로 이루어지며, 십자 기둥 형태를 이루어서 중간 골조 둘레에 90°씩 꺽여진 형태의 측면들이 12개가 구비되고, 상기 12개의 측면들 일부에는 측면음영판들이 설치되어서 물살의 흐름을 저감시키고 어류의 출입 통로를 확보하며 어류에게 음영을 제공하고, 십자형기둥부의 상면 일부에는 상면음영판들이 설치되어서 물살의 흐름을 저감시키고 어류의 출입 통로를 확보하며 어류에게 음영을 제공하고; 제3어초성은, 제2어초성의 상부에 구비되고, 다수의 강재 바가 수평 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서 상부 골조를 이루며, 둘레가 개방된 기둥부와, 기둥부 상부에 설치되어서 어류에게 음영을 제공하는 지붕부로 이루어지며; 제1어초성의 모서리부에는 조류의 착생 기반을 공급하여 해조장이 조성되도록 착생부가 구비되어 있고, 착생부는, 제1어초성의 모서리부에 다수 배열되는 자연석들과, 제1어초성의 모서리부에 설치되고 자연석들이 안착되는 자연석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삼단 조합형 어초의 다른 특징은, 제1어초성은, 강재 바가 격자 형태로 수평으로 배열되어서 이루어지고 제1어초성의 최하측 베이스를 이루며, 저면에 받침다리들이 구비되어 있고, 중앙에 정착블록이 안착되는 하부베이스와, 강재 바가 하부베이스 상에 수직으로 다수 배열되어서 이루어지고 제1어초성에 전달되는 수직 하중을 지지하는 수직골조들과, 강재 바가 격자 형태로 수평으로 배열되어서 이루어지고 수직골조들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제1어초성의 최상측 상부면을 이루며 상부 중앙에 제2어초성이 설치되는 상부베이스와, 하부베이스 및 상부베이스 사이의 공간들에 등간격으로 다수 배열되고 수직골조들에 고정되는 상하공간구획베이스들과, 제1어초성의 내부 중앙에 배치되도록 하부베이스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는 콘크리트재의 정착블록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삼단 조합형 어초의 또 다른 특징은, 정착블록은, 상하로 개방된 중공형 팔각 기둥 형태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측면들에 내외부 공간을 연결하는 외부출입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는 외부정착틀과, 외부정착틀의 내부 중앙에 구비되고 상하로 개방된 중공형 원통 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며 둘레에 내외부 공간을 연결하는 내부출입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정착틀과, 외부정착틀 및 내부정착틀 사이의 공간에 방사상으로 배열되어서 외부정착틀 및 내부정착틀 사이에 구획공간들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구획공간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공간이동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는 구획판들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어초에 어체 전체 또는 일부를 접촉하면서 유영하는 어종에 적합한 생태 환경을 조성하는 제1어초성과, 어초의 주위를 유영하는 어종에 적합한 생태 환경을 조성하는 제2어초성과, 어초로부터 떨어진 표층 및 중층 수역에 유영하는 어종에 적합한 생태 환경을 조성하는 제3어초성이 구비되므로, 삼단 조합형 어초에 의해 다양한 어종에 적합한 생태 환경이 조성된다.
또한, 제1어초성 대부분과, 제2어초성, 제3어초성이 강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강재의 바들을 현장에서 용접하여 조립하면 곧바로 제품화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의 양생에 필요한 공간 확보나 양생되는 동안 기다릴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전체 제작 비용 및 공기가 단축되고 어장 생산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재의 정착블록에는 8각의 측면들로 이루어진 외부정착틀과, 원통형의 내부정착틀과, 이들 사이에 방사상으로 구비된 다수의 구획판들과, 외부정착틀, 내부정착틀, 구획판들에 형성된 다수 형성된 외부출입구멍들, 내부출입구멍들, 공간이동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재의 정착블록 내외부면에 부착생물과 같은 정착성 생물이 붙을 면적이 극대화되며 이에 따라 생물량을 증대시켜 보다 많은 수산동식물이 서식하게 되어 탁월한 어류의 서식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다수의 구멍들에 의해 저층(해저면) 유속의 흐름이 이루어지며 조류(흐름)의 방향에 따라 정착성 어종의 왕래와 어린 어류(치어)의 은신처 역할을 제공한다. 이러한 콘크리트재의 정착블록은 제1어초성의 중앙에 구비되어서 삼단 조합형 어초의 무게 중심을 이루며, 이에 따라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1어초성의 내부 공간에 조피볼락, 넙치, 쥐노래미, 쏨뱅이 등과 같은 정착성 어류가 서식할 수 있는 콘크리트재의 정착블록이 설치되므로 정착성 어종이 서식 환경이 제공된다. 또한, 제2어초성 및 제3어초성에는 조류가 완화되거나 빛이 가려질 수 있는 공간을 갖도록 하여서 음영효과 등에 의해 어류의 시각을 자극하고 용승류 및 와류 등을 발생시켜서 어류의 촉각을 자극하도록 하므로 어초의 주위를 유영하거나 어초로부터 떨어진 표층 및 중층 수역에서 유영하는 특성을 가지는 경제성이 있는 어류도 위집할 수 있도록 서식환경이 최적화 되며, 먹이 사슬 생태 환경 공간이 조성된다.
또한, 제3어초성의 지붕부는 기둥부의 상단에 설치되어서 제3어초성에 유영하는 어류에 음영을 제공하는 최상단음영판과, 최상단음영판에 형성되어서 제3어초성에 발생되는 양력을 저감시키는 양력저감구멍과, 최상단음영판의 둘레에 설치되고 최상단음영판 둘레에 반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서 중층부에서 발생하는 유체 저항을 감소시키고 후류 영역(wake region)을 확대하는 테두리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최상단음영판에 의해 회유성 어종에게 음영을 제공하고, 양력저감구멍에 의해 양력이 저감되므로 삼단 조합형 어초의 안정성이 확보되며, 테두리틀과 최상단음영판 사이의 공간에 의해 중층부에서 발생하는 유체 저항이 해소되고 후류역을 확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어초성은 전체 골조 형태가 십자형기둥부 및 십자형기둥부 사이의 내측 모서리 이음 부위에 구비되어서 십자형기둥부를 보강하는 보강부로 이루어지므로 구조적으로 안정성이 확보된다.
또한, 제2어초성의 십자형기둥부에 의해 90°씩 꺽여진 형태의 측면들이 12개가 구비되고, 12개의 측면들 일부에는 측면음영판들이 설치되되, 이 측면음영판들은 12개의 측면들 중 인접한 두 측면에 각각 설치된 측면음영판들의 설치 위치 및 설치 갯수가 서로 다르게 구비되어서, 인접한 두 측면들에 형성된 어류의 통로 및 음영 위치가 서로 다르게 구비된다. 따라서, 물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물살의 흐름을 저감시키고 어류의 출입 통로를 다양하게 확보하며 어류에게 다양한 위치의 음영을 제공한다.
또한, 제1어초성의 모서리부에는 조류의 착생 기반을 공급하여 해조장이 조성되도록 착생부가 구비되어 있고, 착생부는, 제1어초성의 모서리부에 다수 배열되는 자연석들과, 제1어초성의 모서리부에 설치되고 자연석들이 안착되는 자연석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어초성의 모서리 부분에 자연석들을 메워서 조류의 착생기반을 공급하므로 해조장을 조성하는 동시에, 전복, 소라 등의 기근 자원을 증대하기 위한 돌메움의 해조장 어초 역할을 하며, 자연석들이 제1어초성의 모서리 부분에만 형성되므로 조류의 원활한 소통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대상 어류의 서식 환경이 조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삼단 조합형 어초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제1어초성, 제2어초성, 제3어초성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제1어초성의 내부를 보인 부분 분리 사시도
도 4는 착생부를 발췌한 개략적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평면도
도 7은 정착블록을 발췌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9는 도 8의 평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삼단 조합형 어초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어초성, 제2어초성, 제3어초성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제1어초성의 내부를 보인 부분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착생부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평면도이고, 도 7은 정착블록을 발췌한 사시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삼단 조합형 어초는, 어초에 어체 전체 또는 일부를 접촉하면서 유영하는 어종과, 어초의 주위를 유영하는 어종과, 어초로부터 떨어진 표층 및 중층 수역에 유영하는 어종 등, 다양한 어종에 적합한 생태 환경이 조성되도록 제1어초성(10), 제2어초성(40), 제3어초성(50)이 삼단으로 조합되어서 이루어진다.
제1어초성(10)은, 다수의 강재 바가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어서 하부 골조를 이루고, 어류가 사방 둘레 및 상하 방향으로 드나들 수 있도록 사방 둘레 및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으며, 내부 중앙에 어초가 정착되고 어류가 머무를 수 있도록 정착블록(30)이 구비된다.
이러한 제1어초성(10)은, 하부베이스(11), 수직골조(13)들, 상부베이스(14), 상하공간구획베이스(15), 정착블록(30)으로 이루어진다.
하부베이스(11)는, 강재 바가 격자 형태로 수평으로 배열되어서 이루어지고 제1어초성(10)의 최하측 베이스를 이루며, 저면에 받침다리(12)들이 구비되어 있고, 중앙에 정착블록(30)이 안착된다.
수직골조(13)는, 강재 바가 하부베이스(11) 상에 수직으로 다수 배열되어서 이루어지고 제1어초성(10)에 전달되는 수직 하중을 지지한다.
상부베이스(14)는, 강재 바가 격자 형태로 수평으로 배열되어서 이루어지고 수직골조(13)들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제1어초성(10)의 최상측 상부면을 이루며 상부 중앙에 제2어초성(40)이 설치된다.
상하공간구획베이스(15)는, 하부베이스(11) 및 상부베이스(14) 사이의 공간들에 등간격으로 다수 배열되고 수직골조(13)들에 고정된다.
정착블록(30)은, 콘크리트재로 이루어지며, 제1어초성(10)의 내부 중앙에 배치되도록 하부베이스(11)의 상부 중앙에 설치된다. 여기서 정착블록(30)은, 외부정착틀(31), 내부정착틀(33), 구획판(35)들로 이루어진다.
외부정착틀(31)은, 상하로 개방된 중공형 팔각 기둥 형태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측면들에 내외부 공간을 연결하는 외부출입구멍(32)들이 형성되어 있다. 내부정착틀(33)은, 외부정착틀(31)의 내부 중앙에 구비되고 상하로 개방된 중공형 원통 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며 둘레에 내외부 공간을 연결하는 내부출입구멍(34)들이 형성되어 있다. 구획판(35)들은, 외부정착틀(31) 및 내부정착틀(33) 사이의 공간에 방사상으로 배열되어서 외부정착틀(31) 및 내부정착틀(33) 사이에 구획공간(37)들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구획공간(37)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공간이동구멍(36)들이 형성되어 있다.
제1어초성(10)의 모서리부에는 조류의 착생 기반을 공급하여 해조장이 조성되도록 착생부(20)가 구비되어 있다.
이 착생부(20)는, 자연석틀(21)과 자연석(25)들로 이루어진다. 자연석(25)은 자갈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자연석틀(21)은, 제1어초성(10)의 모서리부에 설치되고 자연석(25)들이 안착된다. 이러한 자연석틀(21)은, 상하공간구획베이스(15)에 안착되는 지지단턱(23)과, 지지단턱(23)의 둘레에 형성되어서 상하공간구획베이스(15)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고정플랜지(22)와, 자연석틀(21)에 다수 형성되어서 자연석(25)이 안착되는 안착홈(24)으로 이루어진다. 안착홈(24)은, 자연석틀(21)에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 감소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자연석(25)이 안착홈(24)에 안착될 시 안착홈(24)의 상측부는 공간이 넓고, 하측으로 갈수록 공간이 좁게 형성되므로, 자연석(25)을 안착홈(24)에 안착시키는 작업이 쉽고, 안착된 자연석(25)은 안착홈(24) 하측으로 빠지지 않으며, 안정적으로 안착된다.
제2어초성(40)은, 제1어초성(10)의 상부에 구비되고, 다수의 강재 바가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어서 중간 골조를 이루며, 전체 골조 형태가 십자형기둥부(41) 및 십자형기둥부(41) 사이의 내측 모서리 이음 부위에 구비되어서 십자형기둥부(41)를 보강하는 보강부(44)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어초성(40)은, 십자 기둥 형태를 이루어서 중간 골조 둘레에 90°씩 꺽여진 형태의 측면들이 12개가 구비되고, 상기 12개의 측면들 일부에는 측면음영판(42)들이 설치되어서 물살의 흐름을 저감시키고 어류의 출입 통로를 확보하며 어류에게 음영을 제공하고, 십자형기둥부(41)의 상면 일부에는 상면음영판(43)들이 설치되어서 물살의 흐름을 저감시키고 어류의 출입 통로를 확보하며 어류에게 음영을 제공한다.
여기서, 측면음영판(42)들은, 제2어초성(40)의 둘레를 이루는 12개의 측면들 중 인접한 두 측면에 각각 설치된 측면음영판(42)들의 설치 위치 및 설치 갯수가 서로 다르게 구비되어서, 인접한 두 측면들에 형성된 어류의 통로 및 음영 위치가 서로 다르게 구비된다.
제3어초성(50)은, 제2어초성(40)의 상부에 구비되고, 다수의 강재 바가 수평 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서 상부 골조를 이루며, 둘레가 개방된 기둥부(51)와, 기둥부(51) 상부에 설치되어서 어류에게 음영을 제공하는 지붕부(5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지붕부(52)는, 최상단음영판(53), 양력저감구멍(54), 테두리틀(55)로 이루어진다. 최상단음영판(53)은, 기둥부(51)의 상단에 설치되어서 제3어초성(50)에 유영하는 어류에 음영을 제공한다. 양력저감구멍(54)은, 최상단음영판(53)에 형성되어서 제3어초성(50)에 발생되는 양력을 저감시킨다. 테두리틀(55)은, 최상단음영판(53)의 둘레에 설치되고 최상단음영판(53) 둘레에 반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서 중층부에서 발생하는 유체 저항을 감소시키고 후류 영역(wake region)을 확대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삼단 조합형 어초는 다음과 같이 제작된다.
먼저, 강재 바에 받침다리(12)를 용접하고, 받침다리(12)가 구비된 강재 바들을 사각 형태로 만든다. 사각 형태의 틀 내에 다른 강재 바들을 격자 모양으로 위치시키고 용접하여서 하부베이스(11)를 만든다.
하부베이스(11)의 중앙에 콘크리트재의 정착블록(30)을 안착시키고 하부베이스(11) 상에 다수의 강재 바들을 수직으로 용접해 나가면서 수직골조(13)를 세우고 수직골조(13)에 강재 바들을 수평으로 용접해 나가면서 상하공간구획베이스(15)들 및 상부베이스(14)를 만들어 나간다.
복수의 상하공간구획베이스(15)들 중 하나의 상하공간구획베이스(15)의 모서리에는 착생부(20)를 설치하는 바, 자연석틀(21)의 고정플랜지(22) 및 지지단턱(23)을 상하공간구획베이스(15)의 모서리 부분에 안착시키고, 자연석틀(21)의 안착홈(24)들에 자연석(25)을 안착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제1어초성(10)이 제작되면 그 위에 제2어초성(40)을 만들어 나간다. 제2어초성(40)은 다수의 강재 바들을 수직 및 수평으로 용접하여서 십자기둥부(51)를 만들고 십자기둥부(51)의 내측 모서리 부위에 보강부(44)를 만들어서 보강한다.
그리고 십자기둥부(51)의 수직면들과 보강부(44)의 수직면에는 측면음영판(42)들을 고정하고, 십자기둥부(51)의 상부면에는 상면음영판(43)을 고정한다.
인접한 두 측면에 각각 설치된 측면음영판(42)들은 설치 위치 및 설치 갯수가 서로 다르게 구비된다. 즉, 하나의 측면 중앙에 비교적 큰 측면음영판(42)이 설치되었다면, 이와 인접한 다른 측면에는 비교적 작은 두개의 측면음영판(42)이 상하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제2어초성(40)이 제작되면 그 위에 제3어초성(50)을 조립한다. 먼저, 제2어초성의 상부 중앙에 제3어초성(50)의 기둥부(51)를 만들고, 기둥부(51) 위에 지붕부(52)를 용접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삼단 조합형 어초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어초에 어체 전체 또는 일부를 접촉하면서 유영하는 어종에 적합한 생태 환경을 조성하는 제1어초성(10)과, 어초의 주위를 유영하는 어종에 적합한 생태 환경을 조성하는 제2어초성(40)과, 어초로부터 떨어진 표층 및 중층 수역에 유영하는 어종에 적합한 생태 환경을 조성하는 제3어초성(50)이 구비된다.
따라서, 삼단 조합형 어초에 의해 다양한 어종에 적합한 생태 환경이 조성된다.
둘째, 제1어초성(10) 대부분과, 제2어초성(40), 제3어초성(50)이 강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강재의 바들을 현장에서 용접하여 조립하면 곧바로 제품화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의 양생에 필요한 공간 확보나 양생되는 동안 기다릴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전체 제작 비용 및 공기가 단축되고 어장 생산성이 향상된다.
셋째, 본 발명의 콘크리트재의 정착블록(30)에는 8각의 측면들로 이루어진 외부정착틀(31)과, 원통형의 내부정착틀(33)과, 이들 사이에 방사상으로 구비된 다수의 구획판(35)들과, 외부정착틀(31), 내부정착틀(33), 구획판(35)들에 형성된 다수 형성된 외부출입구멍(32)들, 내부출입구멍(34)들, 공간이동구멍(36)들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재의 정착블록(30) 내외부면에 부착생물과 같은 정착성 생물이 붙을 면적이 극대화되며 이에 따라 생물량을 증대시켜 보다 많은 수산동식물이 서식하게 되어 탁월한 어류의 서식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다수의 구멍들에 의해 저층(해저면) 유속의 흐름이 이루어지며 조류(흐름)의 방향에 따라 정착성 어종의 왕래와 어린 어류(치어)의 은신처 역할을 제공한다. 이러한 콘크리트재의 정착블록(30)은 제1어초성(10)의 중앙에 구비되어서 삼단 조합형 어초의 무게 중심을 이루며, 이에 따라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된다.
넷째, 본 발명은 제1어초성(10)의 내부 공간에 조피볼락, 넙치, 쥐노래미, 쏨뱅이 등과 같은 정착성 어류가 서식할 수 있는 콘크리트재의 정착블록(30)이 설치되므로 정착성 어종이 서식 환경이 제공된다.
또한, 제2어초성(40) 및 제3어초성(50)에는 조류가 완화되거나 빛이 가려질 수 있는 공간을 갖도록 하여서 음영효과 등에 의해 어류의 시각을 자극하고 용승류 및 와류 등을 발생시켜서 어류의 촉각을 자극하도록 하므로 어초의 주위를 유영하거나 어초로부터 떨어진 표층 및 중층 수역에서 유영하는 특성을 가지는 경제성이 있는 어류도 위집할 수 있도록 서식환경이 최적화 되며, 먹이 사슬 생태 환경 공간이 조성된다.
다섯째, 제3어초성(50)의 지붕부(52)는 기둥부(51)의 상단에 설치되어서 제3어초성(50)에 유영하는 어류에 음영을 제공하는 최상단음영판(53)과, 최상단음영판(53)에 형성되어서 제3어초성(50)에 발생되는 양력을 저감시키는 양력저감구멍(54)과, 최상단음영판(53)의 둘레에 설치되고 최상단음영판(53) 둘레에 반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서 중층부에서 발생하는 유체 저항을 감소시키고 후류 영역(wake region)을 확대하는 테두리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최상단음영판(53)에 의해 회유성 어종에게 음영을 제공하고, 양력저감구멍(54)에 의해 양력이 저감되므로 삼단 조합형 어초의 안정성이 확보되며, 테두리틀(55)과 최상단음영판(53) 사이의 공간에 의해 중층부에서 발생하는 유체 저항이 해소되고 후류역을 확대하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의 제2어초성(40)은 전체 골조 형태가 십자형기둥부(41) 및 십자형기둥부(41) 사이의 내측 모서리 이음 부위에 구비되어서 십자형기둥부(41)를 보강하는 보강부(44)로 이루어지므로 구조적으로 안정성이 확보된다.
일곱째, 제2어초성(40)의 십자형기둥부(41)에 의해 90°씩 꺽여진 형태의 측면들이 12개가 구비되고, 12개의 측면들 일부에는 측면음영판(42)들이 설치되되, 이 측면음영판(42)들은 12개의 측면들 중 인접한 두 측면에 각각 설치된 측면음영판(42)들의 설치 위치 및 설치 갯수가 서로 다르게 구비되어서, 인접한 두 측면들에 형성된 어류의 통로 및 음영 위치가 서로 다르게 구비된다.
따라서, 물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물살의 흐름을 저감시키고 어류의 출입 통로를 다양하게 확보하며 어류에게 다양한 위치의 음영을 제공한다.
여덟째, 제1어초성(10)의 모서리부에는 조류의 착생 기반을 공급하여 해조장이 조성되도록 착생부(20)가 구비되어 있고, 착생부(20)는, 제1어초성(10)의 모서리부에 다수 배열되는 자연석(25)들과, 제1어초성(10)의 모서리부에 설치되고 자연석(25)들이 안착되는 자연석틀(21)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어초성(10)의 모서리 부분에 자연석(25)들을 메워서 조류의 착생기반을 공급하므로 해조장을 조성하는 동시에, 전복, 소라 등의 기근 자원을 증대하기 위한 돌메움의 해조장 어초 역할을 하며, 자연석(25)들이 제1어초성(10)의 모서리 부분에만 형성되므로 조류의 원활한 소통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대상 어류의 서식 환경이 조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삼단 조합형 어초는 대형의 경우, 가로, 세로, 높이가 12m x 12m x 11m이고, 중형은 12m x 12m x 10m이며, 소형은, 12m x 12m x 9m로 제작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평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삼단 조합형 어초는, 어초에 어체 전체 또는 일부를 접촉하면서 유영하는 어종과, 어초의 주위를 유영하는 어종과, 어초로부터 떨어진 표층 및 중층 수역에 유영하는 어종 등, 다양한 어종에 적합한 생태 환경이 조성되도록 제1어초성(10), 제2어초성(40), 제3어초성(50)이 삼단으로 조합되어서 이루어진다.
제1어초성(10)은, 다수의 강재 바가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어서 하부 골조를 이루고, 어류가 사방 둘레 및 상하 방향으로 드나들 수 있도록 사방 둘레 및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으며, 내부 중앙에 어초가 정착되고 어류가 머무를 수 있도록 정착블록(30)이 구비된다.
제2어초성(40)은, 제1어초성(10)의 상부에 구비되고, 다수의 강재 바가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어서 중간 골조를 이루며, 전체 골조 형태가 십자형기둥부(41) 및 십자형기둥부(41) 사이의 내측 모서리 이음 부위에 구비되어서 십자형기둥부(41)를 보강하는 보강부(44)로 이루어지며, 십자 기둥 형태를 이루어서 중간 골조 둘레에 90°씩 꺽여진 형태의 측면들이 12개가 구비되고, 상기 12개의 측면들 일부에는 측면음영판(42)들이 설치되어서 물살의 흐름을 저감시키고 어류의 출입 통로를 확보하며 어류에게 음영을 제공하고, 십자형기둥부(41)의 상면 일부에는 상면음영판(43)들이 설치되어서 물살의 흐름을 저감시키고 어류의 출입 통로를 확보하며 어류에게 음영을 제공한다.
제3어초성(50)은, 제2어초성(40)의 상부에 구비되고, 다수의 강재 바가 수평 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서 상부 골조를 이루며, 둘레가 개방된 기둥부(51)와, 기둥부(51) 상부에 설치되어서 어류에게 음영을 제공하는 지붕부(5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삼단 조합형 어초는 제1어초성(10)이 평면도를 기준으로 볼때 8각으로 형태로 이루어진 것에 그 특징이 있으며, 나머지 작용 및 효과는 도 1 내지 도 7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제1어초성(10)이 8각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사각형태의 제1어초성(10)에 비해 어류가 다양한 방향에서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어류의 서식 환경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삼단 조합형 어초는 제1어초성(10)에 의해 어초에 어체 전체 또는 일부를 접촉시키는 어종, 예를 들면, 조피볼락, 넙치, 쥐노래미, 쏨뱅이 등의 서식 환경이 조성되고, 제2어초성(40)에 의해 어초에 어체를 접촉시키지 않지만 어초 주위를 유영하는 어종, 예를 들면, 참돔, 돌돔, 농어, 벤자리 등의 서식 환경이 조성되며, 제3어초성(50)에 의해 어초로부터 떨어진 표층 및 중층 수역에 유영하는 어종, 예를 들면, 방어, 가다랭이, 삼치, 전갱이, 고등어 등의 서식 환경이 조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삼단 조합형 어초는 내부에 조류가 완화되거나 빛이 가려질 수 있는 일정한 공간을 갖도록 하여서 정착성 어류가 서식할 수 있는 장소를 마련하고, 표층 유영 어류 및 회유성 어류의 서식 환경과 생태계의 균형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어류의 서식, 휴식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조성하기 위해 육면체형, 팔면체형, 사면체형 구조가 조화되도록 설계하였으며, 내부 공간에는 조피볼락, 넙치, 쥐노래미, 쏨뱅이 등과 같은 정착성 어류가 서식할 수 있는 콘크리트재의 정착블록(30)를 설치하였으며, 인공 어초의 상부에서 형성되는 용승류 및 와류를 따라 서식하는 어종이 머무를 수 있도록 구비하므로 어장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삼단 조합형 어초는, 내부공간에는 구조적 안정성이 뛰어난 콘크리트재의 정착블록(30)을 서리하여서 어류와의 접촉 빈도를 높이고, 상부 외측에는 용승류 및 와류를 발생시켜서 어류의 촉각을 자극하며, 음영 효과 등에 의해 어류의 시각을 자극하도록 설계되었다.
특히 본 발명의 삼단 조합형 어초는 용승류 및 와류에서 발생하는 영양 염류와 플랑크톤과 같은 1차 생산자로 인해 다양한 어종에 적합한 생태공간을 제공하며, 내부공간에 설치된 콘크리트재의 정착블록(30)에 의해 정착성 어종의 서식환경을 제공하고, 해양생물의 산란 및 서식공간을 제공하며, 치어의 은신처를 제공한다.
한편, 측면음영판(42)들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이 도포된 오염방지도포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수산화나트륨 및 알킬 베타인이 포함되어 있고, 수산화나트륨 및 알킬 베타인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 10 중량%이다.
상기 수산화나트륨 및 알킬 베타인은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을 측면음영판(42)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면음영판(42) 상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500 ~ 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 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500 Å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 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하부베이스(11)에는 부식방지 및 내오염성 향상용 피복 조성물로 이루어진 부식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이러한 피복 조성물은 레조르시놀 디글리시딜에테르(Resorcinol diglycidyl ether) 70중량% 및 프로판올아민 (Propanol amine) 25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한 수용해성 수지 조성물에, 5중량%의 헥사메틸레이티드-헥사메틸롤 멜라민(Hexamethylated-hexamethylol melamine)을 부가하여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레조르시놀 디글리시딜에테르의 우수한 내화학성, 치수 안정성 등의 특성과 프로판올아민의 내부식성 등의 특성 및 멜라민 유도체의 우수한 윤활특성 등을 활용하여 보다 친환경적인 하부베이스(11)의 부식방지를 위한 피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부식 방지용 피복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은 하부베이스(11)의 표면에 건조 도막 두께가 10~30㎛가 되도록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도막 두께가 10㎛ 미만이면 수명이 짧아질 수 있고, 3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능상 문제점은 없으나, 경제적 이점이 감소한다.
또한 부직 방지용 피복 조성물이 도포된 하부베이스(11)는 10~30분 동안 공기 건조시킨 후 100~200℃, 바람직하게는 150~180℃에서 10~50분 동안 경화하여 비점착성이고 광택이 우수한 도막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수직골조(13)의 둘레에는 고무재의 산화방지층이 도포될 수 있다. 산화방지층의 원료 함량비는 고무 60중량부, 카아본블랙 33~36중량부, 산화방지제 2~5중량부, 촉진제인 유황 1~3중량부를 혼합한다.
카아본블랙은 내마모성을 증대시키는 것이므로 이를 첨가하되, 함유량이 33중량부 미만이면, 탄성과 내마모성이 줄어들며, 36중량부가 초과 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33~36중량부를 혼합한다.
산화방지제는 3C (N-PHENYL-N'-ISOPROPYL- P-PHENYLENEDIAMINE) 또는 RD(POLYMERIZED 2,2,4-TRIMETHYL-1,2- DIHYDROQUINOLINE)을 선택하여 2~5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으로, 2중량부 미만이면, 제품이 산화가 되기 쉽고, 너무 많이 첨가하여 5중량부를 초과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또한 산화방지제의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2~5중량부가 적정하다.
촉진제인 유황은 1~3중량부를 혼합한다. 1 중량부 미만은 성형시 가열공정에서 가황작용 효과가 미미하므로, 1 중량부 이상을 첨가한다. 3중량부를 초과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1 ~ 3중량부가 적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직골조(13)에 산화방지층이 도포되므로 수직골조(13)의 산화가 방지되며, 이에 따라 수직골조(13)의 내구성이 증대된다.
또한, 콘크리트재의 정착블록(30) 둘레에는 어류의 배설물 등의 오염물질이 달라붙지 않도록 오염방지층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오염방지층은, 정착블록(30) 오염 방지용 도장재 조성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오염 방지용 도장재 조성물은, 66.42-66.58 중량%로 함유되는 아미노실란 화합물, 13.24-13.41 중량%로 함유되는 암모늄 화합물, 3.21-3.38 중량%로 함유되는 용제 및 16.76-16.93 중량%로 함유되는 첨가제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정착블록(30)의 표면은 바다에 설치된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류의 배설물 등으로 오염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착블록(30) 표면의 오염 방지용 도장재 조성물은 어류의 배설물 등의 오염물질로부터 정착블록(30)의 표면이 누적적으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도장재 조성물은 기존 구조물 표면의 오염 방지용 도장재에 비해 부착력과 차폐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콘크리트재의 정착블록(30)을 염소 이온의 침투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이를 통해 철근이 내장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표면의 오염 방지용 도장재 조성물은 동결융해 저항성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다.
상기 아미노실란 화합물은 도장의 표면에 발수성을 부여하고, 미세먼지 또는 염소이온이 포함된 수분의 접촉각을 크게 하여 상기 미세먼지 또는 염소이온이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구조물의 자가 세정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도장재 조성물에서 아미노실란 화합물은 66.42-66.58 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아미노실란 화합물이 66.42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발수성이 미흡하여 수분의 흡수에 의해 오염물질이 축적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기 아미노실란 화합물이 66.58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조성물 내에서 다른 조성물질의 함량을 제한하여 조성물의 도막 형성을 방해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아미노실란 화합물은 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암모늄 화합물은 도장재의 표면에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여 대기 중의 미세먼지 또는 유기물이 구조물의 표면에 흡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암모늄 화합물은 정전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대전 방지(Antistatic) 효과가 우수한 제4급 암모늄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제4급 암모늄화합물은 질소원자 1개에 4개의 탄화수소기가 결합하여 생긴 제4급의 암모늄 이온염과 결합된 화합물이다. 또한 상기 도장재 조성물에서 암모늄 화합물은 13.24-13.41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암모늄 화합물이 13.24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대전 방지 기능이 미흡하여 표면에 오염 물질이 흡착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고, 상기 암모늄 화합물이 13.41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도장재의 표면에 핀홀이 발생하여 오염물질 및 염소이온이 콘크리트나 강재 내부로 쉽게 침투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암모늄 화합물은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제4급 암모늄염, 히드록시알킬 제4급 암모늄염 및 아실로일히드록시알킬 제4급 암모늄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제는 상기 도장재 조성물 내에서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용제는 상기 도장재 조성물에서 3.21-3.38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용제가 3.21 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도장재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 작업성이 불량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기 용제가 3.38 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도장재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낮아 과도한 흐름이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용제는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및 이소부틸알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첨가제는 상기 도장재 조성물의 전체적인 물성을 개량하기 위하여 도장재 조성물에 함유된다. 상기 도장재 조성물에서 상기 첨가제는 16.76-16.93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첨가제가 16.76 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도장재 조성물의 전체적인 물성을 향상시키기 어려워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기 첨가제가 16.93 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도장재 조성물의 도막 형성이 원활하지 못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흐름방지제, 가소제, 소포제 및 침강방지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흐름방지제는 지방산 아미드계, 폴리에스테르계 및 아크릴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소제는 아디핀산계, 프탈레이트계 및 말레인산염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포제는 실리콘계, 광물계 및 알콜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침강방지제는 유기벤토나이트계 또는 실리카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도장재 조성물에는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안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료는 도막에 색상을 구현하여 구조물의 외적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도장재 조성물에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장재 조성물에서 상기 안료는 도장재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안료가 1.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은폐력이 떨어져 구조물의 외적 미관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기 안료가 2.0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도장재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 작업성이 불량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안료는 당업계에 안료로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모두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기안료 또는 무기안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안료는 아조계 또는 프탈로시아닌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기안료는 티타늄계, 아연계, 구리계 및 크로뮴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정착블록(30)에 본 발명의 오염방지층이 도포되므로 어류의 배설물 등의 오염물질로부터 정착블록(30) 표면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된다.
10 : 제1어초성 11 : 하부베이스
12 : 받침다리 13 : 수직골조
14 : 상부베이스 15 : 상하공간구획베이스
20 : 착생부 21 : 자연석틀
22 : 고정플랜지 23 : 지지단턱
24 : 안착홈 25 : 자연석
30 : 정착블록 31 : 외부정착틀
32 : 외부출입구멍 33 : 내부정착틀
34 : 내부출입구멍 35 : 구획판
36 : 공간이동구멍 37 : 구획공간
40 : 제2어초성 41 : 십자형기둥부
42 : 측면음영판 43 : 상면음영판
44 : 보강부 50 : 제3어초성
51 : 기둥부 52 : 지붕부
53 : 최상단음영판 54 : 양력저감구멍
55 : 테두리틀

Claims (3)

  1. 어초에 어체 전체 또는 일부를 접촉하면서 유영하는 어종과, 어초의 주위를 유영하는 어종과, 어초로부터 떨어진 표층 및 중층 수역에 유영하는 어종 등, 다양한 어종에 적합한 생태 환경이 조성되도록 제1어초성(10), 제2어초성(40), 제3어초성(50)이 삼단으로 조합되어서 이루어지고;
    제1어초성(10)은,
    다수의 강재 바가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어서 하부 골조를 이루고, 어류가 사방 둘레 및 상하 방향으로 드나들 수 있도록 사방 둘레 및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으며, 내부 중앙에 어초가 정착되고 어류가 머무를 수 있도록 정착블록(30)이 구비되며;
    제2어초성(40)은,
    제1어초성(10)의 상부에 구비되고, 다수의 강재 바가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어서 중간 골조를 이루며, 전체 골조 형태가 십자형기둥부(41) 및 십자형기둥부(41) 사이의 내측 모서리 이음 부위에 구비되어서 십자형기둥부(41)를 보강하는 보강부(44)로 이루어지며, 십자 기둥 형태를 이루어서 중간 골조 둘레에 90°씩 꺽여진 형태의 측면들이 12개가 구비되고, 상기 12개의 측면들 일부에는 측면음영판(42)들이 설치되어서 물살의 흐름을 저감시키고 어류의 출입 통로를 확보하며 어류에게 음영을 제공하고, 십자형기둥부(41)의 상면 일부에는 상면음영판(43)들이 설치되어서 물살의 흐름을 저감시키고 어류의 출입 통로를 확보하며 어류에게 음영을 제공하고;
    제3어초성(50)은,
    제2어초성(40)의 상부에 구비되고, 다수의 강재 바가 수평 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서 상부 골조를 이루며, 둘레가 개방된 기둥부(51)와, 기둥부(51) 상부에 설치되어서 어류에게 음영을 제공하는 지붕부(52)로 이루어지며;
    제1어초성(10)의 모서리부에는 조류의 착생 기반을 공급하여 해조장이 조성되도록 착생부(20)가 구비되어 있고, 착생부(20)는, 제1어초성(10)의 모서리부에 다수 배열되는 자연석(25)들과, 제1어초성(10)의 모서리부에 설치되고 자연석(25)들이 안착되는 자연석틀(21)로 이루어지고;
    제1어초성(10)은,
    강재 바가 격자 형태로 수평으로 배열되어서 이루어지고 제1어초성(10)의 최하측 베이스를 이루며, 저면에 받침다리(12)들이 구비되어 있고, 중앙에 정착블록(30)이 안착되는 하부베이스(11)와,
    강재 바가 하부베이스(11) 상에 수직으로 다수 배열되어서 이루어지고 제1어초성(10)에 전달되는 수직 하중을 지지하는 수직골조(13)들과,
    강재 바가 격자 형태로 수평으로 배열되어서 이루어지고 수직골조(13)들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제1어초성(10)의 최상측 상부면을 이루며 상부 중앙에 제2어초성(40)이 설치되는 상부베이스(14)와,
    하부베이스(11) 및 상부베이스(14) 사이의 공간들에 등간격으로 다수 배열되고 수직골조(13)들에 고정되는 상하공간구획베이스(15)들과,
    제1어초성(10)의 내부 중앙에 배치되도록 하부베이스(11)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는 콘크리트재의 정착블록(30)으로 이루어지며;
    정착블록(30)은,
    상하로 개방된 중공형 팔각 기둥 형태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측면들에 내외부 공간을 연결하는 외부출입구멍(32)들이 형성되어 있는 외부정착틀(31)과,
    외부정착틀(31)의 내부 중앙에 구비되고 상하로 개방된 중공형 원통 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며 둘레에 내외부 공간을 연결하는 내부출입구멍(34)들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정착틀(33)과,
    외부정착틀(31) 및 내부정착틀(33) 사이의 공간에 방사상으로 배열되어서 외부정착틀(31) 및 내부정착틀(33) 사이에 구획공간(37)들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구획공간(37)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공간이동구멍(36)들이 형성되어 있는 구획판(35)들로 이루어지고;
    자연석틀(21)은, 상하공간구획베이스(15)에 안착되는 지지단턱(23)과, 지지단턱(23)의 둘레에 형성되어서 상하공간구획베이스(15)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고정플랜지(22)와, 자연석틀(21)에 다수 형성되어서 자연석(25)이 안착되는 안착홈(24)으로 이루어지며, 안착홈(24)은 자연석(25)을 안착홈(24)에 안착시키는 작업이 쉽고 안착된 자연석(25)은 안착홈(24) 하측으로 빠지지 않으며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 감소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음영판(42)들에는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이 도포된 오염방지도포층이 형성되되,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수산화나트륨 및 알킬 베타인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수산화나트륨 및 상기 알킬 베타인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 10 중량%이며,
    하부베이스(11)에는 피복 조성물로 이루어진 부식방지도포층이 도포되되, 상기 피복 조성물은 레조르시놀 디글리시딜에테르(Resorcinol diglycidyl ether) 70중량% 및 프로판올아민 (Propanol amine) 25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한 수용해성 수지 조성물에, 5중량%의 헥사메틸레이티드-헥사메틸롤 멜라민(Hexamethylated-hexamethylol melamine)을 부가하여서 구성되며, 상기 피복 조성물은 하부베이스(11)의 표면에 10~30㎛가 되도록 도포되고;
    수직골조(13)의 둘레에는 고무재의 산화방지층이 도포되되, 상기 산화방지층의 원료 함량비는 고무 60중량부, 카아본블랙 33~36중량부, 산화방지제 2~5중량부, 촉진제인 유황 1~3중량부가 혼합되어서 이루어지며;
    콘크리트재의 정착블록(30) 둘레에는 오염방지층이 도포되되, 상기 오염방지층은, 66.42-66.58 중량%로 함유되는 아미노실란 화합물, 13.24-13.41 중량%로 함유되는 암모늄 화합물, 3.21-3.38 중량%로 함유되는 용제 및 16.76-16.93 중량%로 함유되는 첨가제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단 조합형 어초.
  2. 삭제
  3. 삭제
KR1020170183705A 2017-12-29 2017-12-29 삼단 조합형 어초 KR101880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705A KR101880685B1 (ko) 2017-12-29 2017-12-29 삼단 조합형 어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705A KR101880685B1 (ko) 2017-12-29 2017-12-29 삼단 조합형 어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0685B1 true KR101880685B1 (ko) 2018-07-20

Family

ID=63103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705A KR101880685B1 (ko) 2017-12-29 2017-12-29 삼단 조합형 어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06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69261A (zh) * 2023-02-24 2023-07-04 湖北省交通规划设计院股份有限公司 一种大型分层式人工生态鱼礁及其安装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7160A (ko) * 1999-10-14 2001-05-07 김성근 내염성이 개선된 해수용 어초
KR200341909Y1 (ko) * 2003-11-24 2004-02-11 동성해양개발 주식회사 시비제를 수용하는 조립식 강제증식초
KR100580546B1 (ko) * 2004-10-18 2006-05-23 주식회사 리프티맥스 고기능성 강제어초
KR20070048587A (ko) * 2006-09-07 2007-05-09 부민종합건설 주식회사 피라미드형 인공산호초
KR100985893B1 (ko) * 2010-08-06 2010-10-08 해주이엔씨 (주) 육각 콘크리트 어초
KR101492188B1 (ko) 2014-04-15 2015-02-10 양조욱 인공어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7160A (ko) * 1999-10-14 2001-05-07 김성근 내염성이 개선된 해수용 어초
KR200341909Y1 (ko) * 2003-11-24 2004-02-11 동성해양개발 주식회사 시비제를 수용하는 조립식 강제증식초
KR100580546B1 (ko) * 2004-10-18 2006-05-23 주식회사 리프티맥스 고기능성 강제어초
KR20070048587A (ko) * 2006-09-07 2007-05-09 부민종합건설 주식회사 피라미드형 인공산호초
KR100985893B1 (ko) * 2010-08-06 2010-10-08 해주이엔씨 (주) 육각 콘크리트 어초
KR101492188B1 (ko) 2014-04-15 2015-02-10 양조욱 인공어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69261A (zh) * 2023-02-24 2023-07-04 湖北省交通规划设计院股份有限公司 一种大型分层式人工生态鱼礁及其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3299B1 (ko) 강제 인공어초
AU2011200222B1 (en) Artificial Reef
KR101723269B1 (ko) 방사상의 어초판과 연결다리를 가지는 인공어초
KR100985893B1 (ko) 육각 콘크리트 어초
KR100913808B1 (ko) 삼각 패조류 인공어초
KR100762820B1 (ko) 석탑형 다기능 인공어초
KR101868222B1 (ko) 벤치형 어초
KR101015059B1 (ko) 벽체형 콘크리트 어초
US20040065266A1 (en) Composition suitable for aquatic habitat repair, replacement and/or enhancement
KR101880685B1 (ko) 삼단 조합형 어초
KR101880683B1 (ko) 삼단 조합형 어초
KR20050032088A (ko) 다기능성 고층어초
KR101880681B1 (ko) 삼단 조합형 어초
KR101880684B1 (ko) 삼단 조합형 어초
KR100838714B1 (ko) 강재골조 구조의 인공어초
KR101167655B1 (ko) 팔각지붕형 인공어초
KR100704144B1 (ko) 인공어초
KR100996879B1 (ko) 패류 부착구조를 갖는 강재골조 인공어초
KR200477518Y1 (ko) 바다숲 조성용 십자형 해중림초
CN108308079B (zh) 四孔式圆台型滩涂组合构建礁及其建设方法
KR100734466B1 (ko) 해중림 조성용 하우스형 인공어초
US20100258058A1 (en) Grouper Module
Dabaieh et al. Building with reeds: Revitalizing a building tradition for low carbon building practice
KR20090000183U (ko) 터널형 강제어초
KR200428057Y1 (ko) 다공간 생물 육성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