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4009Y1 - 전복 보육어초 - Google Patents

전복 보육어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4009Y1
KR200374009Y1 KR20040030313U KR20040030313U KR200374009Y1 KR 200374009 Y1 KR200374009 Y1 KR 200374009Y1 KR 20040030313 U KR20040030313 U KR 20040030313U KR 20040030313 U KR20040030313 U KR 20040030313U KR 200374009 Y1 KR200374009 Y1 KR 2003740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alone
frame
horizontal
steel plate
nurs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303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중
Priority to KR200400303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40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40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40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01K61/73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assembled of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1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gastropods, e.g. abalones or turban sn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전복 보육어초는 어초의 상부에 전복의 먹이가 되는 해조류가 번식할 수 있도록 하고 어초의 내부 공간에는 전복의 섭식 공간이나 은신처 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인공어초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전복 보육어초는, 강재로 된 다수개의 수평 골격프레임과 수직 골격프레임이 상호 연결 설치되어 다층으로 된 육면체의 어초틀을 이루고; 상기 어초틀의 상면에는 상면 세라믹판이 배열되고 상기 어초틀의 측면에는 그 상부 둘레를 따라 측면 세라믹판이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어초틀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수평 골격프레임에 의해 구분되는 각 층마다 금속망이 부착되고, 그 위에 요철(凹凸)형으로 된 내부 강판이 설치되되 맨 하부층에는 사석이 놓여지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전복 보육어초{Artificial reef for nurturing abalone}
본 고안은 전복 보육어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초의 상부에 전복의 먹이가 되는 해조류가 번식할 수 있도록 하고 어초의 내부 공간에는 전복의 섭식 공간이나 은신처 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복의 생장을 주목적으로 한 어초에 관한 것이다.
인공어초는 해저나 해중에 인공적인 구조물을 설치하여 대상 수산생물을 보호, 육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어장 시설물로서, 대상 수상생물의 어획증대, 조업의 효율화 및 보호 육성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인공어초는 바다생태계에 큰 역할을 하는 해조류의 좋은 서식장이 되고, 풍성한 해조류는 치어들의 좋은 먹이가 되며, 어류들의 좋은 산란장이 된다. 또한 인공어초는 거센 해류를 막아주고 와류를만들어 풍부한 용존산소와 미세 플랑크톤을 제공하여 어류의 훌륭한 휴식처가 되어준다.
인공어초는 대개 콘크리트, 강재, 석재, 폐타이어 등을 사용하여 사각형, 육각형, 원통형, 반구형 등의 형태로 만들어진다. 인공어초는 그로 인해 생기는 음영효과, 와류효과, 먹이효과, 도피처효과 등으로 인해 어류 등의 수산생물을 위집하는데 효과적이다. 어초에 위집하는 어류의 특성을 보면 전갱이, 방어와 같이 표층, 중층 등에서 어초의 상부에 체류하는 것이 있고, 볼락, 감성돔과 같이 어초에 아주 접근하거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이 있으며, 가자미, 넙치와 같이 어초 부근의 해저나 해저 가까이에 서식하는 것도 있다. 지금까지 인공어초는 이러한 어류의 보편적인 위집 특성을 이용하여 보다 다양한 어류를 위집, 번식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인공어초의 목적이 매우 전문화되어 특정한 수산생물의 생장, 번식에 적합한 인공어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게로 유명한 경북 연안의 경우에는 대게의 생장 및 번식을 위하여 그 생활 습성이나 환경에 적합한 인공어초가 개발되었다. 본 고안에 따른 전복 보육어초도 이러한 해양업계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설계된 것이다.
전복은 복족류에 속하는 연체동물로서 예로부터 식용으로 해온 주요 수산물 중 하나이다. 전복은 수심 5∼50m 되는 외양의 섬 지방이나 암초에 주로 서식하며, 파래, 미역, 다시마 등과 같은 해조류를 먹고 자라기 때문에 바닷물이 깨끗해 해조류가 번식하는 곳에서 많이 서식한다. 또한, 주간에는 암초 등에 은신하고 있다가야간에 주로 섭식활동을 한다. 따라서, 이러한 전복의 번식 환경이나 생활 습성에 적합한 인공어초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전복의 먹이인 해조류가 많이 번식할 수 있고, 전복의 은신처 및 섭식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인공어초가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환경친화적인 세라믹판을 사용하여 해조류의 번식을 돕고, 복잡한 형태의 강판이나 사석을 설치하여 전복의 은신처 및 섭식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전복 보육어초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전복 보육어초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2는 전복 보육어초의 제1 실시예의 정면도.
도3은 전복 보육어초의 제1 실시예 중 세라믹판을 도시한 도면.
도4는 전복 보육어초의 제1 실시예 중 내부 강판을 도시한 도면.
도5는 전복 보육어초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도6은 전복 보육어초의 제2 실시예의 정면도.
도7은 전복 보육어초의 제2 실시예 중 내부 강판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수평 골격프레임 11: 수직 골격프레임
12: 수직 보조프레임 13: 경사 지지프레임
14: 바닥 지지프레임 15: 상면 세라믹판
16: 로프 17: 고정구
18: 측면 세라믹판 19: 내부 강판
20: 요(凹)면 21: 철(凸)면
22: 통공 23,25: 금속망
24: 사석 26: 하부 평판
30: 수평 골격프레임 31: 수직 골격프레임
32: 수평 지지프레임 33: 수직 지지프레임
34: 바닥 지지프레임 35: 상면 세라믹판
36: 측면 세라믹판 37: 통공
38: 측면 강판 39: 내부 강판
40: 굴곡면 41: 오름면
42: 내림면 43: 통공
44: 사석 45: 하부 평판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전복 보육어초는, 강재로 된 다수개의 수평 골격프레임과 수직 골격프레임이 상호 연결 설치되어 다층으로 된 육면체의 어초틀을 이루고; 상기 어초틀의 상면에는 상면 세라믹판이 배열되고 상기 어초틀의 측면에는 그 상부 둘레를 따라 측면 세라믹판이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어초틀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수평 골격프레임에 의해 구분되는 각 층마다 금속망이 부착되고, 그 위에 요철(凹凸)형으로 된 내부 강판이 설치되되 맨 하부층에는 사석이 놓여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형태로서, 강재로 된 다수개의 수평 골격프레임과 수직 골격프레임이 상호 연결 설치되어 다층으로 된 직육면체의 어초틀을 이루고; 상기 어초틀의 상면에는 상면 세라믹판이 소정 간격으로 배열되며, 상기 어초틀의 측면에는 그 상부 둘레를 따라 측면 세라믹판이 경사지게 설치되고, 이 측면 세라믹판의 하부에는 통공이 형성된 측면 강판이 측면 세라믹판보다 더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측면 세라믹판과 측면 강판에는 이를 지지하도록 다수개의 수평 지지프레임, 수직 지지프레임 및 바닥 지지프레임이 연결 설치되어 전체적으로 다면체 형상을 이루고; 상기 어초틀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수평 골격프레임에 의해 구분되는 각 층마다 굴곡면이 형성된 내부 강판이 설치되되 맨 하부층에는 사석이 놓여지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에 따른 전복 보육어초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1 및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전복 보육어초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다. 먼저, 강재로 된 다수개의 수평 골격프레임(10)과 수직 골격프레임(11)이 상호 연결 설치되어 다층으로 된 육면체의 어초틀을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평 골격프레임(10)에 의해 3개의 층으로 구분되어 있으나, 투하되는 해저의 깊이에 따라 어초의 높이 및 층의 개수는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어초틀의 상면에는 상면 세라믹판(15)이 배열되고 상기 어초틀의 측면에는 그 상부 둘레를 따라 측면 세라믹판(18)이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들 세라믹판은 환경친화적인 황토와 패각을 주원료로 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해조류의 번식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한다. 이들 세라믹판은 특히 해조류의 포자가 이식된 로프를 고정시켜 해조류가 쉽게 번식할 수 있도록 해주는데, 그 구조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세라믹판(15)의 상면에는 해조류 포자가 이식된 로프(16)가 놓여지도록 띠상홈이 형성되고, 로프(16)는 고정 클립(17)에 의해 상기 띠상홈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러한 해조류용 세라믹판의 특성은 출원인의 등록 실용신안 제361101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해조류가 없는 시기를 대비하여 상면 세라믹판(15)의 측면 앵글에 해조류의 연결고리를 설치하여 해조류를 인위적으로 공급할 수도 있다.
해조류 포자가 착생된 상기 상면 세라믹판(15)은 어초틀의 상부에 편평한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가 상호 이격되도록 배열되어 총 5열을 이루고, 양측 2개의 열은 상호 가운데가 솟아오르도록 경사지게 연결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양측에 경사지게 설치된 상면 세라믹판(15)이 해류의 흐름을 방해하여 와류가 형성시키고, 이는 해조류 포자의 이동을 활발하게 하여 어초틀 전체에 골고루 해조류가 착생되게 해주기 때문이다. 상기 어초틀의 측면에 상부 둘레를 따라 경사지게 설치된 측면 세라믹판(18)은 상기한 와류 형성기능 외에도, 어초틀 내부에 음영을 만들어 전복의 활동을 왕성하게 해주는 역할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어초틀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수평 골격프레임(10)에 의해 구분되는 각 층마다 금속망(23,25)이 부착되고, 그 위에 요철(凹凸)형으로 된 내부 강판(19)이 설치되되 맨 하부층에는 사석(24)이 놓여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내부 강판(19)은 해조류가 번식하고 있는 어초틀 상부의 아래에 위치하여 전복의 섭식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사석은 어초틀의 하부에 위치하여 전복의 은신처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복은 주간에는 해초 등에 은식하여 있다가 야간에 섭식활동을 하는 생활 습성을 가지는 바, 본 고안에 따른 인공어초에 의하면, 전복은 주간에 어초틀의 하부에 놓여진 사석(24)에 은식하여 있다가 야간이 되면 프레임을 따라 내부 강판(19)으로 올라와 해조류 등을 섭식하게 된다.
상기 내부 강판(19)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복의 섭식공간으로서 보다 적합한 형태로 구성된다. 내부 강판(19)은 일정 간격을 따라 요(凹)면(20)과 철(凸)면(21)이 반복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해류의 빠른 흐름을 막아 전복이 보다 편안하게 섭식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러한 기능은 본 실시예와 같이 내부 강판(19)을 상하 복층으로 설치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발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철(凸)면(21)에는 일정 간격으로 통공(22)이 형성되는데, 이는 요철면에 의해 유동되는 해류가 빠져나갈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여 해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만들어 주는 한편, 상기 통공(22)은 전복의 상하 이동 통로를 제공한다.
어초틀의 내부 공간 중 맨 하부층에 놓여지는 사석(24)은 상기한 바와 같이 주간에 전복의 은신처 역할을 한다. 도2에 보는 바와 같이 사석(24)은 금속망(25) 위에 놓여져 해저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떨어지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초가 사질 등의 해저바닥에 시설될 경우 해수의 유동에 의해 모래에 매몰되어 은신처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되므로 일정 높이만큼 위에 설치된다. 물론, 암반지역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해저바닥에 놓여지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전복 보육초에는 어초틀의 4개 측면에 경사 지지프레임(13)과 바닥 지지프레임(14)이 연결 설치되어 삼각형 측면을 갖는 지지대가 설치된다. 이 지지대는 어초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켜 해류가 심한 해저환경에도 시설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어초틀의 바닥면에는 하부 평판(26)이 설치되어 어초의 전체 접지압을 낮춤으로써 연약 지반에도 시설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도5 내지 도7에는 본 고안에 따른 전복 보육초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강재로 된 다수개의 수평 골격프레임(30)과 수직 골격프레임(31)이 상호 연결 설치되어 다층으로 된 직육면체의 어초틀을 이루고, 상기 어초틀의 상면에는 상면 세라믹판(35)이 소정 간격으로 배열되며, 상기 어초틀의 측면에는 그 상부 둘레를 따라 측면 세라믹판(36)이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은 상기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가장 큰 구조적 특징은 상기 측면 세라믹판(36)의 하부에 통공(37)이 형성된 측면 강판(38)이 측면 세라믹판(36)보다 더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측면 세라믹판(36)과 측면 강판(38)에는 이를 지지하도록 다수개의 수평 지지프레임(32), 수직 지지프레임(33) 및 바닥 지지프레임(34)이 연결 설치되어 전체적으로 다면체 형상을 이룬다는 것이다.
상기 측면 강판(38)은 어초틀 내부로 해녀 등이 접근하는 것을 막아 전복이 완전히 성장하기 전에 남획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복이 성장한 후 이를 채취하기 위해서는 작업 통로를 확보할 필요가 있으므로 상기 측면 강판(38)에 이를 여닫을 수 있도록 힌지를 설치할 수도 있다. 측면 강판(38)에 설치된 통공(37)은 해류의 흐름을 원활하게 만들어준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평 지지프레임(32), 수직 지지프레임(33) 및 바닥 지지프레임(34)이 연결 설치되어 어초의 전체 형상이 곡면에 가까운 다면체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각 모서리가 직각을 이루는 제1 실시예에 비해 해류에 대한 저항이 작아져 어초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된다. 따라서, 해류가 강한 바다에도 시설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또 다른 특징은 어초틀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 강판(39)에 있다. 어초틀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수평 골격프레임(30)에 의해 구분되는 각 층마다 굴곡면(40)이 형성된 내부 강판(39)이 설치되되 맨 하부층에는 사석(44)이 놓여진다. 상기 내부강판(39)은 전복의 섭식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사석(44)은 전복의 은신처를 제공한다는 것은 상기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의 내부 강판(39)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굴곡면(40)이 일정 경사각을 갖는 오름면(41)과 내림면(42)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인공적인 평평한 바닥이 아니라 천연 해저면과 유사한 울퉁불퉁한 바닥면을 만들어 보다 효과적인 전복의 섭식공간을 제공해준다. 상기 각각의 오름면(41)과 내림면(42)에는 통공(43)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전복의 이동 통로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해수를 상승시켜 와류효과를 만들어낸다.
상기 사석(44)이 놓여지는 맨 하부층은 해저면과 일정한 높이를 두고 형성되고, 그 위에 상기 사석(44)이 놓여질 수 있도록 금속망이 설치되는 것은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암반 지역에 시설되는 경우에는 모래에 매몰될 염려가 없기 때문에 사석(44)이 바로 해저바닥에 놓여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복 보육어초에 의하면, 전복의 먹이가되는 해조류의 번식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복의 생활 습성에 맞추어 어초의 하부에는 은신처가 되는 사석을 놓고 상부에는 해조류의 섭식공간이 되는 내부 강판을 설치함으로써 전복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육성할 수 있다.

Claims (7)

  1. 강재로 된 다수개의 수평 골격프레임(10)과 수직 골격프레임(11)이 상호 연결 설치되어 다층으로 된 육면체의 어초틀을 이루고; 상기 어초틀의 상면에는 상면 세라믹판(15)이 배열되고 상기 어초틀의 측면에는 그 상부 둘레를 따라 측면 세라믹판(18)이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어초틀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수평 골격프레임(10)에 의해 구분되는 각 층마다 금속망(23,25)이 부착되고, 그 위에 요철(凹凸)형으로 된 내부 강판(19)이 설치되되 맨 하부층에는 사석(24)이 놓여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보육어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세라믹판(15)은 다수개가 상호 이격되도록 배열되어 총 5열을 이루고, 양측 2개의 열은 상호 가운데가 솟아오르도록 경사지게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보육어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강판(19)은 철(凸)면(21) 상에 통공(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보육어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초틀의 4개 측면에는 경사 지지프레임(13)과 바닥 지지프레임(14)이 연결 설치되어 삼각형 측면을 갖는 지지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보육어초.
  5. 강재로 된 다수개의 수평 골격프레임(30)과 수직 골격프레임(31)이 상호 연결 설치되어 다층으로 된 직육면체의 어초틀을 이루고; 상기 어초틀의 상면에는 상면 세라믹판(35)이 소정 간격으로 배열되며, 상기 어초틀의 측면에는 그 상부 둘레를 따라 측면 세라믹판(36)이 경사지게 설치되고, 이 측면 세라믹판(36)의 하부에는 통공(37)이 형성된 측면 강판(38)이 측면 세라믹판(36)보다 더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측면 세라믹판(36)과 측면 강판(38)에는 이를 지지하도록 다수개의 수평 지지프레임(32), 수직 지지프레임(33) 및 바닥 지지프레임(34)이 연결 설치되어 전체적으로 다면체 형상을 이루고; 상기 어초틀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수평 골격프레임(30)에 의해 구분되는 각 층마다 굴곡면(40)이 형성된 내부 강판(39)이 설치되되 맨 하부층에는 사석(44)이 놓여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보육어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강판(39)의 굴곡면(40)은 일정 경사각을 갖는 오름면(41)과 내림면(42)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오름면(41)과 내림면(42)에는 통공(43)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보육어초.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맨 하부층은 해저면과 일정한 높이를 두고 형성되고, 그 위에 상기 사석(44)이 놓여질 수 있도록 금속망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보육어초.
KR20040030313U 2004-10-27 2004-10-27 전복 보육어초 KR2003740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30313U KR200374009Y1 (ko) 2004-10-27 2004-10-27 전복 보육어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30313U KR200374009Y1 (ko) 2004-10-27 2004-10-27 전복 보육어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4009Y1 true KR200374009Y1 (ko) 2005-01-21

Family

ID=41139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30313U KR200374009Y1 (ko) 2004-10-27 2004-10-27 전복 보육어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400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466B1 (ko) * 2006-04-11 2007-07-02 부민종합건설 주식회사 해중림 조성용 하우스형 인공어초
KR100852935B1 (ko) * 2007-11-16 2008-08-19 우창종합건설 주식회사 인공 어초
KR101011766B1 (ko) 2010-06-18 2011-02-07 청암건설주식회사 다면체 인공어초
KR102149503B1 (ko) * 2019-05-24 2020-08-28 박두용 해삼을 포함한 바다생물 서식장 기능을 겸비한 잠제
KR20200135238A (ko) * 2020-08-24 2020-12-02 박두용 해삼 중간육성 및 수산생물 성육 다기능 모듈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466B1 (ko) * 2006-04-11 2007-07-02 부민종합건설 주식회사 해중림 조성용 하우스형 인공어초
KR100852935B1 (ko) * 2007-11-16 2008-08-19 우창종합건설 주식회사 인공 어초
WO2009064085A1 (en) * 2007-11-16 2009-05-22 Woochang General Construction Co., Ltd. The artificial fish reef
KR101011766B1 (ko) 2010-06-18 2011-02-07 청암건설주식회사 다면체 인공어초
KR102149503B1 (ko) * 2019-05-24 2020-08-28 박두용 해삼을 포함한 바다생물 서식장 기능을 겸비한 잠제
KR20200135238A (ko) * 2020-08-24 2020-12-02 박두용 해삼 중간육성 및 수산생물 성육 다기능 모듈
KR102225234B1 (ko) * 2020-08-24 2021-03-09 박두용 해삼 중간육성 및 수산생물 성육 다기능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5893B1 (ko) 육각 콘크리트 어초
KR100762820B1 (ko) 석탑형 다기능 인공어초
KR100913808B1 (ko) 삼각 패조류 인공어초
KR101289093B1 (ko) 돔형 해삼 증식초
KR101196669B1 (ko) 다공성황토블럭을 이용한 다기능 인공어초
KR101934447B1 (ko) 새우용 인공어초
CN101146441B (zh) 应用于海产养殖的鱼笼
KR200374009Y1 (ko) 전복 보육어초
JP2003047363A (ja) 藻場増殖礁
KR101427538B1 (ko) 도루묵 산란 및 보육을 위한 어소
CN217336966U (zh) 一种鸟类栖息系统
KR20090000182U (ko) 굴 패각 투석식 강제어초
KR200278181Y1 (ko) 하우스형 인공어초
KR101352899B1 (ko) 대게보육어초
KR200456709Y1 (ko) 인공어초
KR20200106802A (ko) 해상용 해삼 양식장치
CN217428996U (zh) 一种半球型开孔式亲鱼滞留礁
KR200477377Y1 (ko) 바다숲 조성용 상자형 해중림초
KR200369962Y1 (ko)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
JP3875195B2 (ja) アオリイカ産卵礁
CN217012329U (zh) 一种适用于鱼群避敌的立体浮式藻礁
KR200197703Y1 (ko) 하우스형 인공어초
KR20060028559A (ko) 전복양식용 인공어초
KR200350540Y1 (ko) 인공어초
KR101981486B1 (ko) 전복 해상가두리 중간 육성용 기능성 쉘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