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503B1 - 해삼을 포함한 바다생물 서식장 기능을 겸비한 잠제 - Google Patents

해삼을 포함한 바다생물 서식장 기능을 겸비한 잠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9503B1
KR102149503B1 KR1020190061382A KR20190061382A KR102149503B1 KR 102149503 B1 KR102149503 B1 KR 102149503B1 KR 1020190061382 A KR1020190061382 A KR 1020190061382A KR 20190061382 A KR20190061382 A KR 20190061382A KR 102149503 B1 KR102149503 B1 KR 102149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ubmerged
stone
inner space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두용
김태희
이상영
Original Assignee
박두용
김태희
이상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두용, 김태희, 이상영 filed Critical 박두용
Priority to KR1020190061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5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01K61/78Arrangements for sinking or moor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3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ponges, sea urchins or sea cucumb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1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gastropods, e.g. abalones or turban sn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Revetment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삼을 포함한 바다생물 서식장 기능을 겸비한 잠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잠제를 구성하는 잠제 유닛(10)은 평평한 형태의 베이스(20); 상기 베이스(20)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면망체(30); 이웃하는 두 측면망체(30-1. 30-2)의 가장자리를 중첩시키어 형성되는 중첩부로서, 베이스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충첩되는 폭이 커지도록 하여 상기 측면망체(30)가 베이스 쪽으로 경사지도록 하는 중첩부(303); 상기 측면망체가 중첩되지 않은 부위와 중첩부(303)의 경계 부근에서 상기 중첩부(303)의 양면을 개재하여 압착하되, 상기 베이스(20)에는 고정되지 아니하는 덧댐부재(31); 상기 베이스(20)와 측면망체(30)에 의해 규정되는 잠제 유닛(10) 내부 공간(A)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그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20)에 고정되는 종패함(40); 및 상기 종패함(40)이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종패함을 제외한 나머지 내부 공간의 일부에 채워지는 석재(5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삼을 포함한 바다생물 서식장 기능을 겸비한 잠제{Submerged Artificial Reef as Shelter of Sea Creatures Including Sea Cucumber}
본 발명은 잠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삼을 포함한 바다생물 서식장 기능을 겸비한 잠제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동해의 환경은 서해의 환경과 달리 연안에 해삼을 서식시키기에 매우 척박한 환경이었다. 또 한편으로 동해는 해빈 침식이 매우 심각한 지경에 이르고 있다.
연안의 토사류에는 각종 유기물이 섞여 있으며, 이를 먹고 사는 수생 생물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다. 특히 해삼은 토사류의 유기물을 먹고 사는데, 해빈 침식은 이러한 해삼의 먹이를 제거하는 결과가 된다. 따라서 해삼을 연안에서 서식시키고 개체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해삼이 천적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피난처를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해삼의 먹이가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환경이 필수적이다.
아울러 거센 파도는 해삼과 같이 피부가 부드러운 해상 생물들을 다치게 하거나 죽게 만든다. 즉 파도에 휩쓸린 해삼이 주변의 단단한 암초 등에 부딪혀 다치거나 죽게 되면, 그 수역에서는 해삼을 보호하기 어렵다.
해삼에 대해서는 단순히 개체를 보존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사람이 해삼을 채취하기 쉬운 환경에서 해삼이 잘 번식하고 서식하여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즉 연안은 서식하기 척박하고, 그보다 깊은 해저로 가면 해삼이 살기에 보다 적합한 환경이 된다면, 해삼은 점점 해저로 이동하여 서식하게 되고, 그만큼 해삼의 채취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해삼의 서식을 위한 서식처는 단단하지 않아야 하고, 조류나 파도에 의해 해삼과 그 종패가 휩쓸리지 아니하며, 서식처 주변에 지속적으로 해빈이 공급되어 해삼의 먹이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한다. 특히 종패의 보호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한편 지속적인 해빈의 퇴적을 유도하게 되면, 해삼의 먹이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것뿐만 아니라, 해안 침식을 방지할 수 있다는 부수적인 효과도 함께 가질 수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이러한 사항들을 고려한 개비온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개비온 구조는 직육면체 형태의 뼈대 프레임에 사각뿔대 형상의 망체를 고정한 형태이기 때문에, 개비온의 전체적인 유연성은 떨어지면서 뼈대 프레임보다 더 돌출된 망체 부분이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82923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견고하면서도 망체의 유연성을 확보하면서도 전체적으로 견고한 개비온 형태의 잠제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잠제 유닛을 이용하여 해삼 및 해조류를 포함하는 해양생물의 서식처로 활용할 수 있는 잠제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평평한 형태의 베이스(20); 상기 베이스(20)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면망체(30); 이웃하는 두 측면망체(30-1. 30-2)의 가장자리를 중첩시키어 형성되는 중첩부로서, 베이스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충첩되는 폭이 커지도록 하여 상기 측면망체(30)가 베이스 쪽으로 경사지도록 하는 중첩부(303); 상기 측면망체가 중첩되지 않은 부위와 중첩부(303)의 경계 부근에서 상기 중첩부(303)의 양면을 개재하여 압착하되, 상기 베이스(20)에는 고정되지 아니하는 덧댐부재(31); 상기 베이스(20)와 측면망체(30)에 의해 규정되는 잠제 유닛(10) 내부 공간(A)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그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20)에 고정되는 종패함(40); 및 상기 종패함(40)이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종패함을 제외한 나머지 내부 공간의 일부에 채워지는 석재(50);를 포함하는 잠제 유닛(10)을 제공한다.
상기 덧댐부재(31)의 하부의 소정 구간이 상기 석재(50)에 의해 지지되어 그 자세를 유지함에 따라, 상기 덧댐부재(31)가 상기 내부 공간에서 석재가 채워지지 않은 상부 공간(a)으로 상기 측면망체(30)가 눕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상기 측면망체(30)는 스틸라스 또는 메탈라스일 수 있다.
상기 덧댐부재(31)는 가늘고 긴 평판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덧댐부재(31)에는 소정 간격마다 복수 개의 체결홀(311)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홀(311)에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덧댐부재(31)를 서로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가압 체결하는 체결부재(3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32)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32)는 와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0)의 가장자리에는 인양고리(29)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석재(50)는 상기 내부 공간의 높이의 1/3 내지 2/3 만큼 채워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석재(50)는 상기 내부 공간의 높이의 1/2 만큼 채워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20)는: 상기 베이스(20)의 가장자리를 규정하는 외부프레임(211); 상기 외부프레임(211)의 내측에서 상기 외부프레임(211)을 서로 연결하는 내부프레임(212); 및 상기 내부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프레임(212)에 의해 지지되고, 가장자리가 상기 외부프레임(211)에 고정되는 바닥망체(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프레임(211)은 정사각형일 수 있다.
상기 내부프레임(212)은 +자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패함(40)의 하단부는 상기 내부프레임(21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측면망체(30)의 하단부는 상기 외부프레임(21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측면망체(30)의 하단부와 상기 바닥망체(22)의 가장자리는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인양고리(29)는 상기 외부프레임(211)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0)의 가장자리로부터 소정 깊이만큼 하향 연장되는 연장베이스(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베이스(60)는 해저면의 토사의 질의 평가 결과에 따라 그 깊이(높이)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연장베이스(60)의 상단부가 상기 베이스(20)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연장베이스(60)는 내부에 석재가 채워진 직육면체 형태의 개비온 또는 콘크리트 블록일 수 있다.
상기 종패함(40)은: 상하로 연장되는 측벽부(41); 상기 측벽부(41)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종패함의 상부를 덮는 상면부(42); 및 상기 종패함(40) 내부 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상면부(42)에 설치되는 도어(4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패함(40)은 상하로 길게 연장된, 중공의 정육각기둥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측벽부(41)에는 서로 다른 크기 또는 형상의 홀들(411, 412, 4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벽부(41)의 상부에는 제1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제1홀(4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벽부(41)의 하부에는 상기 제1면적보다 큰 제2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제2홀(4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벽부(41)의 중앙부에는 측방으로 연장되는 장공 형태의 제3홀(4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홀(411)과 제3홀(413)은 상기 내부 공간에 채워진 석재보다 상부에 위치하여 석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2홀(412)은 상기 내부 공간에 채워진 석재 하부에 배치되어 석재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상면부(42)에는 상기 제1홀(411)과 대응하는 크기의 제4홀(4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종패함(40)에 바닥부가 더 구비되거나, 상기 베이스(20)가 상기 종패함(40)의 바닥부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측면망체(30)에는 해초를 이식할 수 있는 로프(7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로프(70)는 네트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잠제 유닛(10)들을 해저면에 거치하여 형성하되, 이웃하는 잠제 유닛들의 측면망체(30)들이 서로 상기 로프(70)로 연결된 잠제 구조물을 더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잠제 유닛은, 잠제의 기능과 해삼의 서식처 기능을 겸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잠제 유닛은, 해삼을 비롯하여 해조류나 전복 등을 생육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잠제 유닛은, 치삼을 쉽게 생육할 수 있고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잠제 유닛은, 토질에 따라 기초 크기를 조절하여 제작할 수 있어 연약 토질로 인해 잠제 유닛이 침강하는 현상에 대응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잠제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잠제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잠제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의 C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1의 잠제 유닛의 내부 공간에 석재가 채워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잠제 유닛이 로프로 상호 연결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9는 잠제 유닛이 로프로 연결되는 제1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잠제 유닛이 로프로 연결되는 제2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잠제 유닛의 변형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잠제 유닛은 복수 개가 연결 설치되어 잠제의 기능을 할 수 있다(도 8 내지 도 10 참조). 또한 이와 더불어 해류가 소산되면서 해수에 있던 부유물이 잠제 유닛의 내부에 침강하는 원리에 의해, 잠제의 내부 공간에 유기물들이 끊임없이 공급될 수 있는 점을 활용하여, 잠제 유닛을 해삼 등의 해양생물의 서식처로서 활용하는 것을 하나의 요지로 한다.
특히 해삼은 그 습성 상 석재 표면에 가라앉은 유기물을 먹고 살 수는 있지만, 순수 모래에서 유기물을 먹고 살기에는 힘들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잠제 유닛은 해삼의 서식장으로 매우 활용도가 높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잠제 유닛은, 베이스(20)와 측면망체(30)와 종패함(40)과 석재(50)로 제작된다.
[베이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베이스에 대해 살펴본다. 베이스(20)는 평평한 바닥면을 제공한다.
상기 베이스(20)는 금속 재질로 제작되는 외부프레임(211)과 내부프레임(212)을 포함하는 프레임(21)을 구비할 수 있다. 외부프레임(211)은 정사각형 틀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외부프레임(211)은, 형강 또는 각관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정사각형의 네 변을 이루도록 서로 연결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형강이나 각관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가령 외부프레임은 "ㅁ"자형 각관 또는 "ㄱ"자 형강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내부프레임(212)은 상기 외부프레임(211)의 각 변에 해당하는 부재들을 서로 연결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내부프레임(212)은 상기 외부프레임(211) 내에 배치되는 "+" 형상 또는 "#" 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상기 내부프레임(212)은 역시 형강 또는 각관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외부프레임(211)과 내부프레임(212)은, 상기 각관 또는 형강을 서로 볼팅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거나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0)는 상기 외부프레임(211)과 내부프레임(212) 상에 설치되는 바닥망체(2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망체(22)는 메탈라스 또는 스틸라스 등의 금속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바닥망체(22)는 정사각형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내부프레임(212) 상에 놓여질 수 있고, 그 가장자리는 상기 외부프레임(21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바닥망체(22)는 상기 내부프레임(212)에 고정될 수도 있고, 그 위에 그냥 얹어질 수도 있다. 상기 바닥망체(22)의 가장자리와 외부프레임(211)은 용접될 수 있다. 상기 바닥망체(22)는, 상기 용접 대신 또는 상기 용접과 함께, 와셔와 볼트, 그리고 너트를 포함하는 고정부재(23; 도 4 참조)를 이용한 체결 방식으로 체결될 수도 있다. 즉 볼트는 바닥망체를 관통하되 볼트에 끼워진 와셔가 바닥망체를 눌러, 바닥망체가 상기 외부프레임(211)에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외부프레임(211)에는 인양고리(29)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인양고리는, 상기 외부프레임(211)과 내부프레임(212)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서, 상기 외부프레임(211)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인양고리(29)는 베이스(20)의 가장자리에 고정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베이스(20)는 후술할 연장베이스(60;도 11 참조)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연장베이스(60)의 상단부가 베이스(20)의 기능을 갈음할 수 있다. 상기 인양고리(29)는 상기 연장베이스(6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측면망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측면망체(30)는 상기 베이스(20)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베이스(20)에 설치된다. 즉 상기 측면망체(30)의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20)의 가장자리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상기 측면망체(30)의 하단부는 외부프레임(211)에 고정될 수 있다. 측면망체(30)의 하단부는 상기 바닥망체(22)의 가장자리와 포개어지거나 겹쳐진 채로, 용접되어 상기 외부프레임(211)에 고정되고(고정되거나), 상기 고정부재(23)에 의해 상기 외부프레임(21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측면망체(30)는 상기 바닥망체(22)와 동일한 구조의 망체를 사용하거나 상이한 망체를 사용할 수 있다. 스틸라스 또는 메탈라스는 용접 부위가 없어 해수 내에서 용접부위에 집중적으로 녹이 스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측면망체(30)는 직사각형 판재 형상일 수 있으며,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20)에 고정된 상태로 세워진 형태로 상기 베이스(2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측면망체(30)는 측방으로 길게 연장된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베이스(20)의 바닥면은 정사각형 형상이며, 상기 측면망체(30)는 좌우로 긴 직사각형 형상의 망체 네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네 개의 측면망체의 서로 이웃하는 제1측면망체(30-1)와 제2측면망체(30-2)의 가장자리는 서로 겹쳐져 중첩부(303)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중첩부(303)는 베이스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충첩되는 폭이 커지도록 하여 상기 측면망체(30)가 베이스 쪽으로 경사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중첩부(303)는 뾰족한 꼭지점 부분이 하향하도록 세워진 삼각형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중첩부(303)의 상부가 중첩되는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측면망체(30)가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중첩부(303)의 상부가 중첩되는 길이를 길게 할수록, 상기 측면망체(30)는 내측으로 더 기울어질 수 있다.
[덧댐부재]
도 1 내지 도 3, 도 5를 참조하면, 중첩부(303)의 안쪽 변, 즉 상기 측면망체(30)가 중첩되지 않은 부위와 상기 중첩부(303)의 경계 부근에는, 상기 중첩부(303)가 중첩된 상태를 지지하도록 하는 덧댐부재(3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덧댐부재(31)는 금속 재질의 가늘고 긴 직사각형 판재일 수 있다. 상기 덧댐부재(31)에는 복수 개의 체결홀(311)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덧댐부재(31) 사이에 상기 중첩부(303)의 양면을 개재하고 상기 체결홀(311)을 통해 체결부재(32)를 체결하여 한 쌍의 덧댐부재(31)가 상기 중첩부(303)의 해당 부위를 압착하도록 하면, 별도의 용접 작업이 없이도 상기 중첩부(303)가 중첩된 상태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후술할 석재(50)를 채웠을 때 측면망체(30)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받게 되는 힘에 대항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32)는 통상적인 볼트, 너트, 와셔 등일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덧댐부재(31)는 강체와 다름 없는 베이스(20)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중첩부(303)를 넓게 분포된 압착력으로 지지하므로, 중첩부(303)를 벌리는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외력이 상기 한 쌍의 덧댐부재에 의해 적절히 분산되어 지지되고, 이에 따라 어느 일 부위에 하중이 집중되어 파손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0)와 측면망체(30)는 잠제 유닛(10)의 내부 공간(A)을 규정한다. 상기 내부 공간(A)은 사각뿔대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덧댐부재(31)는 베이스(20)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측면망체(30)의 중첩부(303)를 지지하므로, 상기 사각뿔대 형상은 특히 측면 구조가 어느 정도 플렉시블할 수 있다.
[종패함]
도 1 내지 도 3,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내부 공간(A)의 중앙부에는 종패함(40)이 설치된다. 종패함(40)은 치삼이 서식하는 안전한 공간을 제공하여 치삼의 생존율을 높인다. 상기 종패함(40)은 금속 판재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종패함(40)의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20)에 고정될 수 있다. 종패함(40)의 하단부는 프레임(21)에, 보다 구체적으로 내부프레임(212)에, 용접 및/또는 볼트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종패함(40)은 상하로 길게 연장된 중공의 정사각 기둥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종패함(40)은 상하로 연장되는 측벽부(4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측벽부(41)는 정사각 관을 세운 형태와 같다. 상기 측벽부(41)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개구는 상면부(42)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면부(42)에는 상기 종패함(40) 내부 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422)가 설치될 수 있다. 도어(422)를 개방하면 상기 종패함(40)의 중공부는 상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벽부(41)에는 해삼 등의 해양 생물이 드나들 수 있는 서로 다른 크기 및/또는 형상의 홀들(411, 412, 4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벽부(41)의 상부에는 제1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제1홀(411)들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벽부(41)의 하부에는 상기 제1면적보다 큰 제2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제2홀(412)들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벽부(41)의 중앙부에는 측방으로 연장되는 장공 형태의 제3홀(413)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상면부(42)에는 상기 제1홀(411)과 대응하는 크기의 제4홀(421)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홀(411)과 제4홀(421)의 크기는 치삼이 드나들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일 수 있다. 상기 제3홀(413)은 성체인 해삼도 드나들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일 수 있다.
상기 제2홀(412)은 해류가 종패함(40)의 중공부로 원활하게 드나들 수 있는 크기일 수 있다.
[석재]
도 1과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잠제 유닛(10)의 내부 공간(A)에는 석재가 채워진다. 석재의 크기는 측면망체(30)와 바닥망체(22)를 빠져나가지 않을 정도의 크기일 수 있다. 상기 석재의 크기는 0.00001 m3/EA(한 변의 길이가 약 2cm 정도인 입방 체적) 이상일 수 있다. 석재의 크기가 이보다 더 작으면 공극이 충분히 형성되지 않아 석재들이 해삼의 먹이를 보유하기 쉽지 않고, 해삼이 이동하기에 쉽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석재의 크기는 0.05 m3/EA(한 변의 길이가 약 35cm 정도인 입방 체적) 이하일 수 있다. 석재의 크기가 이보다 더 크면 공극이 필요 이상으로 커져 해삼을 해할 수 있는 해양 생물의 접근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석재(50)는 상기 종패함을 제외한 나머지 내부 공간(A)에 채워진다. 그리고 상기 석재(50)는 상기 내부 공간(A)의 일부를 채울 수 있다.
상기 석재(50)는 상기 내부 공간(A)의 높이의 1/3 내지 2/3 만큼 채워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석재(50)는 상기 내부 공간(A)의 높이의 1/2 만큼 채워질 수 있다.
상기 내부 공간(A)에 채워진 석재(50)들은, 외측으로는 상기 측면망체(30)에 접하고, 중앙부는 상기 종패함(40)에 접한다. 복수 개의 석재(50)들은 해류에 의해 외력을 받더라도 그 자체로 하중이 분산되며, 아울러 덧댐부재(31)로 측면의 모서리 부분이 플렉시블하게 고정된 측면망체(30)에 의해 하중이 더욱 분산될 수 있다. 이처럼 석재(50)는 해류를 분산시키거나 소산시키면서 상기 종패함(40)의 하부를 지지하므로, 종패함(40)의 하단부만 베이스(20)에 고정하더라도 종패함(40)이 파손되는 현상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석재(50)는 상기 덧댐부재(31)의 하부의 소정 구간을 지지한다. 이에 따라 덧댐부재(31)는 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가령 덧댐부재(31)가 내부공간 쪽으로 눕는 방향의 외력이 가해지거나, 반대로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석재(50)의 지지력과 측면망체(30)의 장력에 의해, 덧댐부재(31)가 자세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측면망체(30)는, 베이스(20)에 고정되지 않은 덧댐부재(31)에 의해, 플렉시블하게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홀(411)과 제3홀(413)은 상기 내부 공간에 채워진 석재보다 상부에 위치하여 석재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상기 제2홀(412)은 상기 내부 공간에 채워진 석재 하부에 배치되어 석재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내부 공간(A)에서 상기 석재(50)가 채워지지 않은 상부 공간(a)은 종패함(40)에서 빠져 나온 해삼이 석재 위에서 일정 기간 생육할 수 있는 공간이 된다.
해류는 소정이 공극을 가지는 석재(50)들 사이의 공간을 지나며 유속이 낮아지고, 이에 따라 상기 해류에 섞여 있는 표류사 등은 철망을 통과하여 상기 석재의 공극에서 가라앉게 된다.
상기 측면망체(30)는 내측으로 기울어진 형태이므로, 두 잠제 유닛(10)을 서로 이웃하여 설치하더라도 두 잠제 유닛(10) 사이에 해류가 흐를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복수 개의 잠제 유닛(10)을 군집하여 거치하더라도 내부에 있는 잠제 유닛(10)까지 해수가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다.
[로프]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측면망체(30)에는 해초를 이식할 수 있는 로프(7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로프(70)는 망목을 가진 네트 형태일 수 있으며, 밧줄 형태일 수도 있다. 로프(70)는 장력에 매우 강하면서도 해초를 이식하기 용이하다.
따라서 상기 잠제 유닛(10)들을 해저면에 거치하여 형성하되, 이웃하는 잠제 유닛들의 측면망체(30)들을 상기 로프(70)로 상호 연결하면, 전체적으로 견고한 잠제 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다. 상기 잠제 유닛(10)들은 네트 형태의 로프(70)로 연결되고(되거나),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 개의 밧줄 형태의 로프(70)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측면망체(30)는 상단부가 별도의 강체 구조에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플렉시블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두 잠제 유닛(10)의 측면망체(30)의 상단부 중앙을 서로 로프(70)로 연결할 경우 측면망체가 바깥쪽으로 벌어질 우려가 있다. 그렇다고 하나의 잠제 유닛(10)의 두 측면망체(30)까지 함께 연결하면 잠수부가 잠제 유닛의 종패함(40)이나 내부 공간(A)에 접근하기 쉽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상기 로프(70)는, 상기 중첩부(303)에 연결될 수 있다. 물론 망체 형태이므로, 중첩부(303)에는 상기 로프(70)가 연결될 수 있는 부위가 마련된다. 도 8에는 로프(70)가 상기 중첩부(303)의 상부에 연결된 구조가 예시된다. 중첩부(303)는 적어도 2개의 측면망체(30)가 중첩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강하고, 덧댐부재(31)가 추가적인 지지력을 제공하므로, 로프(7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두 잠제 유닛(10)의 측면망체(30)의 상단부 중앙을 서로 로프(70)로 연결하는 것과, 하나의 잠제 유닛(10)의 두 측면망체(30)를 함께 연결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살아있는 해초 모종을 직접 망에 실 등으로 묶어 이식하거나, 측면망체(30)에 붙여 놓으면, 부착이 잘 되고 성장이 잘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잠제 유닛(10)을 복수 개 거치하여 형성되는 해저 구조물은 해중림으로 조성될 수 있어 전복이나 치어들도 잘 살수 있는 목장이 형성될 수 있다.
[연장베이스]
한편, 서해안과 같이 뻘이 형성된 해저면에 잠제 유닛을 설치하면, 잠제 유닛이 침강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잠제 유닛(10)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베이스(6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연장베이스(60)는 상기 베이스(20)의 가장자리로부터 소정 깊이만큼 하향 연장되는 직육면체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연장베이스(60)의 높이(깊이)는 해저면의 토사의 질의 평가 결과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잠제 유닛이 침강할 깊이를 미리 예측하여 연장베이스(60)를 구성하면, 잠제 유닛들이 침강하더라도 베이스(20)보다 상부는 외부로 노출되므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연장베이스(60)는 내부에 석재가 채워진 직육면체 형태의 개비온 내지 돌망태일 수 있다. 상기 개비온 형태의 연장베이스(60)는 상기 베이스(20)의 프레임(21)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장베이스(60)의 상부 틀은 상기 베이스(20)의 프레임(21)을 공유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20)의 프레임(21)이 연장베이스(60)의 상부 틀이 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연장베이스(60)는 콘크리트 블록일 수 있다. 연장베이스(60)를 콘크리트 블록으로 구성할 경우, 상기 연장베이스(60)의 상단부가 상기 베이스(20)를 이룰 수 있다. 즉 연장베이스(60)를 콘크리트 블록으로 제작할 경우, 상기 베이스(20)의 프레임(21)과 바닥망체(22)를 생략하고, 연장베이스(60)의 상부면을 프레임처럼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측면망체(30)의 하단부와 종패함(40)의 하단부는 상기 연장베이스(60)의 상부면에 앵커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콘크리트 블록을 양생하는 과정에서 상기 측면망체(30)의 하단부나 종패함(40)의 하단부가 매립되도록 하여 일체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종패함(40)은 바닥부를 별도로 구비하거나, 상기 연장베이스(60)가 상기 종패함(40)의 바닥부를 이룰 수 있다.
상술한 발명에 따르면, 종패함(40)이 치삼의 방류 장소가 되고, 잠제 유닛(10)의 내부 공간(A)과 상부 공간(a)이 해삼의 서식지가 되며, 잠제의 기능으로 인해 해삼의 먹이가 자연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종패함(40)에는 주기적으로 양분이나 먹이를 투입하여 치삼의 생육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잠제 유닛(10)이 로프(70)로 연결됨에 따라 해중 구조물을 이룰 수 있고, 로프(70)와 측면망체(30)에 해조류를 부착하고 이식하여 해중림을 이룰 수 있다. 해중림은 치어나 전복이 살기에 좋은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프(70)는 해안 구조물에서 다시마와 같은 해조류를 양식할 수 있는 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토질에 따라 연장베이스(60)의 기초 크기를 조절하여 제작할 수 있으므로 침강의 문제가 없어 잠제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잠제 구조물은 어촌계의 경계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안류의 이동경로를 차단하여 해빈 침식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잠제 유닛
A: 내부 공간
a: 상부 공간
20: 베이스
21: 프레임
211: 외부프레임
212: 내부프레임
22: 바닥망체(메탈라스)
23: 고정부재(볼트, 와셔, 너트)
29: 인양고리
30: 측면망체
30-1: 제1측면망체
30-2: 제2측면망체
303: 중첩부
31: 덧댐부재
311: 체결홀
32: 체결부재(볼트, 와셔, 너트)
40: 종패함
41: 측벽부
411: 제1홀
412: 제2홀
413: 제3홀
42: 상면부
421: 제4홀
422: 도어
50: 석재
60: 연장베이스(침하대응)
70: 로프

Claims (10)

  1. 평평한 형태의 베이스(20);
    상기 베이스(20)의 가장자리로부터 베이스 쪽으로 경사지도록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면망체(30);
    이웃하는 두 측면망체(30-1. 30-2)의 가장자리를 중첩시키어 형성되는 중첩부(303);
    상기 측면망체가 중첩되지 않은 부위와 중첩부(303)의 경계 부근에서 상기 중첩부(303)의 양면을 개재하여 고정하는 체결부재(32);
    상기 베이스(20)와 측면망체(30)에 의해 규정되는 잠제 유닛(10) 내부 공간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그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20)에 고정되는 종패함(40); 및
    상기 종패함(40)이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종패함을 제외한 나머지 내부 공간의 일부에 채워지는 석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제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0)는:
    상기 베이스(20)의 가장자리를 규정하는 외부프레임(211);
    상기 외부프레임(211)의 내측에서 상기 외부프레임(211)을 서로 연결하는 내부프레임(212); 및
    상기 내부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프레임(212)에 의해 지지되고, 가장자리가 상기 외부프레임(211)에 고정되는 바닥망체(22);를 포함하고,
    상기 종패함(40)의 하단부는 상기 내부프레임(212)에 고정되고,
    상기 측면망체(30)의 하단부는 상기 외부프레임(21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제 유닛.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부프레임(211)에는 인양고리(29)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제 유닛.
  4. 평평한 형태의 베이스(20);
    상기 베이스(20)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면망체(30);
    이웃하는 두 측면망체(30-1. 30-2)의 가장자리를 중첩시키어 형성되는 중첩부(303);
    상기 측면망체가 중첩되지 않은 부위와 중첩부(303)의 경계 부근에서 상기 중첩부(303)의 양면을 개재하여 압착하는 덧댐부재(31);
    상기 덧댐부재(31)를 고정하는 체결부재(32);
    상기 베이스(20)와 측면망체(30)에 의해 규정되는 잠제 유닛(10) 내부 공간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그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20)에 고정되는 종패함(40); 및
    상기 종패함(40)이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종패함을 제외한 나머지 내부 공간의 일부에 채워지는 석재(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첩부(303)는 베이스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중첩되는 폭이 커지도록 하여 상기 측면망체(30)가 베이스 쪽으로 경사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제 유닛.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덧댐부재(31)는 상하로 연장되되 상기 베이스(20)에 고정되지 아니하고,
    상기 석재(50)가 상기 측면망체(30)를 통해 상기 덧댐부재(31)의 하부의 소정 구간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덧댐부재(31)가 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제 유닛.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0)의 가장자리로부터 소정 깊이만큼 하향 연장되는 연장베이스(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베이스(60)는 내부에 석재가 채워진 직육면체 형태의 개비온 또는 콘크리트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제 유닛.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패함(40)은:
    상하로 연장되는 측벽부(41);
    상기 측벽부(41)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종패함의 상부를 덮는 상면부(42); 및
    상기 종패함(40) 내부 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상면부(42)에 설치되는 도어(422);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41)에는 서로 다른 크기 또는 형상의 홀들(411, 412, 4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제 유닛.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41)의 상부에는 제1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제1홀(411)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41)의 하부에는 상기 제1면적보다 큰 제2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제2홀(412)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41)의 중앙부에는 측방으로 연장되는 장공 형태의 제3홀(413)이 형성되며,
    상기 제1홀(411)과 제3홀(413)은 상기 내부 공간에 채워진 석재보다 상부에 위치하여 석재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2홀(412)은 상기 내부 공간에 채워진 석재 하부에 배치되어 석재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제 유닛.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측면망체(30)의 중첩부(303) 상부에는, 해초를 이식할 수 있는 로프(70)가 연결될 수 있는 부위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제 유닛.
  10. 청구항 9의 잠제 유닛(10)들을 해저면에 거치하여 형성하되, 이웃하는 잠제 유닛들의 측면망체(30)들이 서로 로프(70)로 연결된 잠제 구조물.
KR1020190061382A 2019-05-24 2019-05-24 해삼을 포함한 바다생물 서식장 기능을 겸비한 잠제 KR102149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382A KR102149503B1 (ko) 2019-05-24 2019-05-24 해삼을 포함한 바다생물 서식장 기능을 겸비한 잠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382A KR102149503B1 (ko) 2019-05-24 2019-05-24 해삼을 포함한 바다생물 서식장 기능을 겸비한 잠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6387A Division KR102225234B1 (ko) 2020-08-24 2020-08-24 해삼 중간육성 및 수산생물 성육 다기능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9503B1 true KR102149503B1 (ko) 2020-08-28

Family

ID=72292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382A KR102149503B1 (ko) 2019-05-24 2019-05-24 해삼을 포함한 바다생물 서식장 기능을 겸비한 잠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5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41092A (zh) * 2021-01-04 2021-05-28 烟台市海洋经济研究院 一种刺参网箱养殖装置及其养殖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009Y1 (ko) * 2004-10-27 2005-01-21 주식회사 해중 전복 보육어초
KR200379995Y1 (ko) * 2004-12-29 2005-03-24 박종명 개비온을 이용한 인공 어초
KR100953619B1 (ko) * 2009-03-09 2010-04-20 (주)나우앤하우 바다숲 조성용 터널형 다기능 인공어초
KR20140056687A (ko) * 2012-10-31 2014-05-12 박송범 해삼 양식용 인공어초
KR101728423B1 (ko) * 2016-09-26 2017-04-21 대한민국 경량형 해삼증식용 해삼집
KR101829234B1 (ko) 2017-10-13 2018-02-14 배종태 해삼의 종묘 증식 및 보호와 문어 서식이 가능한 개비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009Y1 (ko) * 2004-10-27 2005-01-21 주식회사 해중 전복 보육어초
KR200379995Y1 (ko) * 2004-12-29 2005-03-24 박종명 개비온을 이용한 인공 어초
KR100953619B1 (ko) * 2009-03-09 2010-04-20 (주)나우앤하우 바다숲 조성용 터널형 다기능 인공어초
KR20140056687A (ko) * 2012-10-31 2014-05-12 박송범 해삼 양식용 인공어초
KR101728423B1 (ko) * 2016-09-26 2017-04-21 대한민국 경량형 해삼증식용 해삼집
KR101829234B1 (ko) 2017-10-13 2018-02-14 배종태 해삼의 종묘 증식 및 보호와 문어 서식이 가능한 개비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41092A (zh) * 2021-01-04 2021-05-28 烟台市海洋经济研究院 一种刺参网箱养殖装置及其养殖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925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owing oyster reef
US99266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rosion control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JP6709937B2 (ja) アワビ類育成用海底設置型網生け簀
KR101829234B1 (ko) 해삼의 종묘 증식 및 보호와 문어 서식이 가능한 개비온
KR101657439B1 (ko) 해중림 조성용 해중림초
KR101728423B1 (ko) 경량형 해삼증식용 해삼집
JP4489706B2 (ja) 藻場増殖礁
KR102149503B1 (ko) 해삼을 포함한 바다생물 서식장 기능을 겸비한 잠제
KR20130006396U (ko) 해양생태 복원용 다기능 복합 인공어초
KR102225234B1 (ko) 해삼 중간육성 및 수산생물 성육 다기능 모듈
JP4851762B2 (ja) 栽培養殖漁業用魚礁
KR100906601B1 (ko) 인공어초
JP2002330651A (ja) 藻場造成方法と藻草育成ネット
KR20190025119A (ko) 중량체와 결합되는 잠제(潛堤)형 해양침식방지 개비온
KR100734466B1 (ko) 해중림 조성용 하우스형 인공어초
KR101748240B1 (ko) 계단식 피라미드형 해중림초
JP6268637B2 (ja) 水中構造体、底質改善方法、並びにアマモ場造成方法
KR20150029107A (ko) 바다숲 조성용 상자형 해중림초
KR100838311B1 (ko) 계단형 인공어초
KR200392536Y1 (ko) 해중림 조성용 하우스형 인공어초
KR101871829B1 (ko) 사각 돔형 강제어초
KR101841956B1 (ko) 터널형 강제어초
KR101652211B1 (ko) 강제 테트라포드 어초
JP2000316414A (ja) 藻場型魚礁及びその設置方法
KR200477377Y1 (ko) 바다숲 조성용 상자형 해중림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