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1829B1 - 사각 돔형 강제어초 - Google Patents
사각 돔형 강제어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1829B1 KR101871829B1 KR1020180005415A KR20180005415A KR101871829B1 KR 101871829 B1 KR101871829 B1 KR 101871829B1 KR 1020180005415 A KR1020180005415 A KR 1020180005415A KR 20180005415 A KR20180005415 A KR 20180005415A KR 101871829 B1 KR101871829 B1 KR 1018718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horizontal frame
- coupled
- horizontal
- algae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1
- 235000014676 Phragmites commun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10000004373 mandible Anatomy 0.000 claims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3031 feed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41000270322 Lepidosau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3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10000003101 oviduct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44000273256 Phragmites communi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1000938605 Crocodyl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238424 Crust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31 aggre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82 swimm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43 water by ty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3—Artificial seawee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해에서 해양생물의 착생과 어족자원을 늘리기 위하여 수중에 설치되어 조류의 흐름을 분산시켜 정온영역의 확대로 어류의 서식공간을 확장시키는 사각 돔형 강제어초에 관한 것으로, 1단구조물(10)이 사각기둥 형상의 육면체로 안정성을 높이고, 2단구조물(20), 3단구조물(30) 및 4단구조물(40)은 대략 구 형상으로 안정적인 조류의 흐름을 유도하며, 바다 속의 지면 위에 안전한 설치가 가능해지고, 강제어초(1) 내에 평판의 철판과 가로방향과 세로방향 또는 대각선방향으로 H빔을 결합하여 어류의 휴식공간의 제공과 먹이활동이 원활한 공간을 제공하고, 강제어초는 내부의 공간의 용승류를 이용하여 정온현상을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어류의 서식이 쉽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강제어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근해에서 해양생물의 착생과 어족자원을 늘리기 위하여 수중에 설치되어 조류의 흐름을 분산시켜 정온영역의 확대로 어류의 서식공간을 확장시키는 사각 돔형 강제어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공어초는 수산자원 증강을 위해 인공적으로 해저나 해중에 구조물을 설치하여 수산생물의 산란, 서식장소를 조성하고 어린 고기와 정착성 생물의 보호와 은신처 제공, 그리고 물고기의 산란이나 생활을 돕기 위한 어초로 주로 수심 10~50m의 해역에 설치한다.
인공어초는 구조물에 해조류 등의 수중생물이 부착하여 번식하면, 그 곳에 어류들이 숨어살거나 산란장이 된다. 또한, 인공어초에는 해조류를 뜯어먹고 사는 전복이나 소라 등과 해조에 붙어사는 수중생물이나 플랑크톤 등과 같은 미세한 동물을 먹이로 하는 다른 수산동물이 많이 자랄 수 있다. 또한, 연안어업의 대상이 되는 수산자원이 남획되기도 하는데, 인공어초는 그물을 끌 때 장애물로 작용하기 때문에 어획효율이 높은 끌그물어업으로부터 새끼를 보호하는 효과도 있다.
종래의 인공어초는 대략 블록 형상으로 인공어초를 전후좌우 및 상하로 배치 및 연결하여 인공어초 사이에 해조류 등의 수중생물, 플랑크톤이나 치어 또는 갑각류 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인공어초는 제작할 때에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강성을 도모하고 있지만, 물살이나 파도 등 외부의 충격으로 인공어초가 파손될 경우에 2차적인 피해가 노출되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인공어초는 해양 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 확보가 충분하지 않아 인공어초 고유의 효과를 향상시키지 못했던 문제가 있었고, 해저면에 인공어초의 배열이나 상적 때에 결합력이 낮아 쉽게 분리되어 인공어초 고유의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도 있었다.
한편, 종래의 인공어초의 하나로 강재로 제작된 강제어초는 철근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어초와는 달리 연안어장의 확대를 위하여 시설수심의 확대와 더불어 단위면적당 강도가 강한 특징이 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특허문헌1은 강철재 프레임이 골조 형상으로 조립되어 다수 개의 층을 가지는 층상구조물로 제조된 강제어초(1)에 있어서, 상기 강제어초(1)의 바닥부를 형성하는 기저층(10)에는 강제어초(1)의 지지다리(11)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다리(11)의 하단에는 연약지반용 해저접지부(12)가 설치되며, 상기 강제어초(1)의 각 층은 다수 개의 나팔관(21)이 해당 층의 외주연부를 따라 방사상으로 고정 설치되는 고기굴층(20)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기굴층(20)의 내측 중앙부에는 어류의 위집공간(26)이 형성되며, 상기 나팔관(21)에는 다수 개의 유동구멍(22)이 형성되고, 나팔관(21)의 중앙부 내주면에는 내부은폐링(23)이 돌출 형성되는 나팔관 고기굴층이 구비된 연약지반용 강제어초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선행기술로서, 특허문헌2는 다수개의 수평 강제빔(11)과 수직 강제빔(12)이 연결 설치되어 소형 육면체를 이루고 이 소형 육면체가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2단 이상 연속 배열되어 전체적으로 육면체 격자구조를 이루는 하부어초(10), 이 하부어초(10)의 상부에 다수개의 강제빔(21,22,23,24,25)이 연결 설치되어 하부어초(10)와 소정의 각도를 갖는 다수개의 경사면이 구비된 절두형 다각뿔 형상을 이루고 그 둘레에는 스크린 망체(26)가 그 내부에는 모형 해초(30)가 각각 설치된 상부어초(20), 및 상기 하부어초(10)의 하단에 설치되고 가로 강판(43)이 장착된 경사면을 구비한 경사 받침대(40)로 이루어진 돔형 경사받침 강제어초에 있어서, 상기 경사 받침대(40)의 저면에는 해저면의 굴곡에 따라 어초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높이 조절대(60)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어초(10)의 내부에는 스크린 망체(72)로 둘러싸여 그 내부에 사석(71)이 저장되는 사석 저장소(70)가 설치된 돔형 경사받침 강제어초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바다 생물의 번식 활성화와 안식처를 제공하고 정온영역의 증대로 플랑크톤이 군집되도록 하여 넓은 공간을 제공하여 어류의 서식공간을 확장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강제어초의 구조에 따른 해양 생물의 넓은 서식공간을 확보하여 보다 많은 어류가 모여 서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근해의 수산자원을 늘리고 보호하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격자 모양으로 복수의 프레임이 수평 결합된 정방형의 제1수평프레임과, 상기 제1수평프레임 가장자리 외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고 측면 모서리와 중앙부에 수평으로 침하방지판이 결합된 확장프레임과, 격자 모양으로 복수의 프레임이 수평 결합된 정방형의 제2수평프레임과, 상기 제1수평프레임과 제2수평프레임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격자 모양으로 복수의 프레임이 수직 결합된 제1수직프레임과, 상기 제1수평프레임 모서리 부분에 각각 인접하는 측면을 향하여 어류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가 형성된 곡관과, 상기 제1수직프레임 중에서 외곽에 설치된 제1수직프레임에 수평으로 결합된 제1지지프레임 상단과 제2수평프레임 하단 사이에 각각 4면을 향하여 일정 각도의 기울기로 결합된 복수의 판이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된 제1용승판과, 상기 제1수직프레임의 모서리프레임 중심과 제2수평프레임 하단 사이에 일정 각도로 결합된 제1경사프레임과, 상기 제1수직프레임 중에서 외곽에 설치된 제1수직프레임과 확장프레임 표면, 그리고 제2수평프레임의 모서리와 확장프레임의 모서리 사이에 결합된 제1조류감소판을 포함하는 1단구조물; 격자 모양으로 복수의 프레임이 수평 결합되고 상기 제2수평프레임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 정방형의 제3수평프레임과, 상기 제2수평프레임과 제3수평프레임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격자 모양으로 복수의 프레임이 수직 결합된 제2수직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 중에서 외곽에 설치된 제2수직프레임에 수평으로 결합된 제2지지프레임 상단과 제3수평프레임 하단 사이에 각각 4면을 향하여 일정 각도의 기울기로 결합된 복수의 판이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된 제2용승판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의 모서리프레임 중심과 제3수평프레임 하단 사이에 일정 각도로 결합된 제2경사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 중에서 외곽에 설치된 제2수직프레임과 제3수평프레임의 모서리 사이에 결합된 제2조류감소판을 포함하는 2단구조물; 격자 모양으로 복수의 프레임이 수평 결합되고 상기 제3수평프레임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 정방형의 제4수평프레임과, 상기 제3수평프레임과 제4수평프레임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격자 모양으로 복수의 프레임이 수직 결합된 제3수직프레임과, 상기 제3수직프레임의 모서리프레임과 제4수평프레임 하단 사이에 일정 각도로 결합된 제3경사프레임과, 상기 제3수직프레임 중에서 외곽에 설치된 제3수직프레임과 제3수평프레임의 모서리 사이에 결합된 제3조류감소판을 포함하는 3단구조물; 상기 제4수평프레임 중에서 외곽에 설치된 제4수평프레임 상단에서 축프레임 상단까지 연결된 호 형상의 원호프레임과, 상기 원호프레임 내측에 결합된 제3조류분산판을 포함하는 4단구조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사각 돔형 강제어초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2단구조물 내측 중심을 지나는 축프레임으로부터 90도 각도로 방사상으로 설치된 제1조류분산판과, 상기 3단구조물 내측 중심을 지나는 축프레임으로부터 90도 각도로 방사상으로 설치된 제2조류분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조류감소판, 제2조류감소판, 제3조류감소판에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2단구조물, 3단구조물 및 4단구조물은 육면체의 1단구조물 위로 외관상 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수평프레임 하단에 다리가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다리와 침하방지판에 의하여 연약지반이나 암반 또는 굴곡이 있는 지형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조류의 흐름이나 천적으로부터 유영생물의 은신공간을 제공하며, 강제어초의 주변에서 어초 안쪽과 주변으로 조류를 감소시키고, 강제어초 내부로 유입된 조류의 흐름이 상부로 이동 및 분산되도록 하여 조류를 감소시키며, 용승판과 조류분산판 사이에 어류의 휴식 및 먹이활동 공간을 제공하는 등 정온영역의 증대로 플랑크톤 및 어류의 서식을 확대시켜 안정적인 연근해 어자원의 확보가 가능하고, 강제어초의 구조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도모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 사각 돔형 강제어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각 돔형 강제어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각 돔형 강제어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각 돔형 강제어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각 돔형 강제어초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각 돔형 강제어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각 돔형 강제어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각 돔형 강제어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각 돔형 강제어초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사각 돔형 강제어초에 관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서, 인공어초로서 강제어초(1)는 금속의 강재, 예컨대, H빔이나 다각형의 봉, 원통형 관 및 평판이나 및 금속판재를 용접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나사 결합하여 제작한 것이다. 강제어초(1)의 용적은 대략 820㎥ 내외이고, 크기는 대략 가로, 세로 및 높이가 12x12x11m 내외이며, 무게는 대략 34.6톤 내외이고, 설치 물량은 1개 단지, 예컨대, 대략 8헥타르(ha) 당 1개가 설치된다.
강제어초(1)는 대략 1단 내지 4단의 구조물로 적층되어 일체 결합된다. 1단구조물(10)은 대략 직육면체이고, 2단구조물(20) 및 3단구조물(30)은 대략 직육면체이되 외측면은 대략 호 형상이며, 4단구조물(40)은 대략 반구형이다.
강제어초(1)의 1단구조물(10)로서, 제1수평프레임(11)은 격자 모양으로 복수의 정방형 프레임이 수평 결합된 형상이다. 제1수평프레임(11)에는 십자형 및 대각선의 프레임이 중심의 축프레임(44)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결된다.
도 5에서, 확장프레임(16)은 제1수평프레임(11) 가장자리 외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된다. 확장프레임(16) 측면 모서리와 중앙부에는 수평으로 침하방지판(17)이 결합된다. 침하방지판(17)은 강제어초(1)가 지반이 약한 해저로 쉽게 침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제1수평프레임(11)과 확장프레임(16) 하단에는 일정 길이의 다리(45)가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된다.
제2수평프레임(21)은 격자 모양으로 복수의 프레임이 정방형으로 수평 결합된 것으로, 제1수평프레임(11) 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제1수직프레임(12)은 제1수평프레임(11)과 제2수평프레임(21)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격자 모양으로 복수의 프레임이 수직 결합된다.
곡관(52)은 제1수평프레임(11) 모서리 부분에 각각 인접하는 측면을 향하여 대략 90도 각도로 형성되고, 양단에는 어류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가 형성된 것이다. 곡관(52)은 복수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제1수평프레임(11) 표면에 고정 결합된다.
제1용승판(14)은 제1수직프레임(12) 중에서 외곽에 설치된 제1수직프레임(12)에 수평으로 결합된 제1지지프레임(19) 상단과 제2수평프레임(21) 하단 사이에 각각 4면을 향하여 일정 각도의 기울기로 결합된 복수의 판이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된다. 제1용승판(14)은 1단구조물(10) 내로 유입된 조류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정면에서 밀려오는 조류의 힘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한다.
제1경사프레임(18)은 제1수직프레임(12) 중에서 외곽에 설치된 제1수직프레임(12) 중심과 제2수평프레임(21) 하단 사이에 일정 각도로 결합된다. 제1조류감소판(15)은 제1수직프레임(12) 중에서 외곽에 설치된 제1수직프레임(12)과 확장프레임(16) 표면, 그리고 제2수평프레임(21)의 모서리와 확장프레임(16)의 모서리 사이에 결합된다. 또한, 제1조류감소판(15)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조류의 흐름을 분산시킨다.
더욱이 1단구조물 내측 중심을 지나는 축프레임(44)으로부터 90도 각도로 방사상으로 제1조류분산판(13)이 설치된다. 제1조류분산판(13)은 1단구조물(10)로 유입되는 조류를 사방으로 분산시키는 것이다. 또한, 제1용승판(14)과 제1조류분산판(13)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어류의 휴식이나 먹이활동이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1단구조물(10)은 제1수평프레임(11)과 제2수평프레임(21) 사이에 제1수직프레임(12)이 설치되고, 제1수평프레임(11)에는 침하방지판(17)이 구비된 확장프레임(16)과 더불어 어류의 은신처 기능을 갖는 곡관(52)이 설치된다. 그리고 제1수평프레임(11)과 제2수평프레임(21) 사이에는 제1용승판(14)이 사면을 향하여 설치된다. 또한, 제1수직프레임(12)의 가장자리와 모서리에는 제1경사프레임(18)이 형성되며, 제1경사프레임(18)에는 제1조류감소판(15)이 선택적으로 설치된다.
다음으로, 강제어초(1)의 2단구조물(20)로서, 상기 1단구조물(10)의 제2수평프레임(21)을 공유한다. 제3수평프레임(31)은 격자 모양으로 복수의 정방형 프레임이 수평 결합된 형상이다. 제3수평프레임(31)에는 십자형 및 대각선의 프레임이 중심의 축프레임(44)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결된다.
제2수직프레임(22)은 제2수평프레임(21)과 제3수평프레임(31)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격자 모양으로 복수의 프레임이 수직 결합된다.
제2용승판(24)은 제2수직프레임(22) 중에서 외곽에 설치된 제2수직프레임(22)에 수평으로 결합된 제2지지프레임(27) 상단과 제3수평프레임(31) 하단 사이에 각각 4면을 향하여 일정 각도의 기울기로 결합된 복수의 판이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된다. 제2용승판(24)은 2단구조물(20) 내로 유입된 조류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정면에서 밀려오는 조류의 힘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한다.
제2경사프레임(26)은 제2수직프레임(22) 중에서 외곽에 설치된 제2수직프레임(22) 중심과 제3수평프레임(31) 하단 사이에 일정 각도로 결합된다. 제2조류감소판(25)은 제2수직프레임(22) 중에서 외곽에 설치된 제2수직프레임(22)과 제3수평프레임(31)의 모서리 사이에 결합된다. 또한, 제2조류감소판(25)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조류의 흐름을 분산시킨다.
더욱이 2단구조물 내측 중심을 지나는 축프레임(44)으로부터 90도 각도로 방사상으로 제2조류분산판(23)이 설치된다. 제2조류분산판(23)은 2단구조물(20)로 유입되는 조류를 사방으로 분산시키는 것이다. 또한, 제2용승판(24)과 제2조류분산판(23)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어류의 휴식이나 먹이활동이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2단구조물(20)은 제2수평프레임(21)과 제3수평프레임(31) 사이에 제2수직프레임(22)이 설치되고, 제2수평프레임(21)과 제3수평프레임(31) 사이에는 제2용승판(24)이 사면을 향하여 설치된다. 또한, 제2수직프레임(22)의 가장자리와 모서리에는 제2경사프레임(26)이 형성되며, 제2경사프레임(26)에는 제2조류감소판(25)이 선택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강제어초(1)의 3단구조물(30)로서, 상기 2단구조물(20)의 제3수평프레임(31)을 공유한다. 제4수평프레임(41)은 격자 모양으로 복수의 정방형 프레임이 수평 결합된 형상이다. 제4수평프레임(41)에는 십자형의 프레임이 중심의 축프레임(44)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결된다.
제3수직프레임(32)은 제3수평프레임(31)과 제4수평프레임(41)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격자 모양으로 복수의 프레임이 수직 결합된다.
제3조류감소판(35)은 제3수직프레임(32) 중에서 외곽에 설치된 제3수직프레임(32)과 제3수평프레임(31)의 모서리 사이에 결합된다. 또한, 제3조류감소판(35)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조류의 흐름을 분산시킨다.
더욱이 3단구조물 내측 중심을 지나는 축프레임(44)으로부터 90도 각도로 방사상으로 제3조류분산판(33)이 설치된다. 제3조류분산판(33)은 3단구조물(30)로 유입되는 조류를 사방으로 분산시키는 것이다. 또한, 제3수직프레임(32) 사이에 X자 모양으로 X자 프레임(34)이 결합된다.
따라서 3단구조물(30)은 제3수평프레임(31)과 제4수평프레임(41) 사이에 제3수직프레임(32)이 설치되고, 제3수직프레임(32) 중에서 외곽에 설치된 제3수직프레임(32) 사이에는 X자 프레임(34)이 결합된다. 또한, 제3수직프레임(32) 중에서 외곽에 설치된 제3수직프레임(32)과 제3수평프레임(31)의 모서리 사이에 관통공이 형성된 제3조류감소판(35)이 결합되어 조류의 흐름을 분산시킨다.
다음으로, 강제어초(1)의 4단구조물(40)로서, 상기 3단구조물(30)의 제4수평프레임(41)을 공유한다. 원호프레임(42)은 대략 호 형상으로 제4수평프레임(41) 중에서 외곽에 설치된 제4수평프레임(41) 상단에서 축프레임(44) 상단까지 연결된다. 그리고 원호프레임(42) 내측에 제4조류분산판(43)이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제4조류분산판(43)은 강제어초(1) 상층으로 상승하는 조류를 사방으로 분산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사각 돔형 강제어초(1)는 2단구조물(20), 3단구조물(30) 및 4단구조물(40)은 육면체의 1단구조물(10) 위로 외관상 돔 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1수평프레임(11) 하단에 일정 길이를 갖는 복수의 다리(45)를 설치하여 일반적인 바다 속의 지표면이나 모래 또는 펄 지역 등에서도 설치가 용이하다. 더욱이 제1수평프레임(11) 외측의 확장프레임(16)에 침하방지판(17)이 구비되어 강제어초(1)의 침하를 방지한다.
또한, 1단구조물(10)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된 곡관(52)으로 사방에서 어류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여 어류의 휴식이나 은신처로 기능을 한다. 강제어초(1)의 1단구조물(10) 내지 4단구조물(40) 내부에는 어류가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이 최대화된 구조이다.
1단구조물(10) 내지 3단구조물(30) 외곽으로 복수의 제1조류감소판(15) 내지 제3조류감소판(35)이 설치되어 조류의 영향을 감소시켜 어류의 서식환경을 향상시키고, 제1조류감소판(15) 내지 제3조류감소판(35) 사이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어류에 의한 강제어초(1)의 저항을 최소화시켰다. 그리고 1단구조물(10)과 2단구조물(20) 내측에 사방으로 복수의 제1용승판(14) 및 제2용승판(24)이 각각 일정한 각도로 고정 설치되어 1단구조물(10)과 2단구조물(20)에 유입된 조류가 위로 상승되도록 분산시킴으로써 주변조류를 최소화하여 정온현상을 극대화하였다. 또한, 강제어초(1)의 1단구조물(10), 2단구조물(20), 그리고 3단구조물(30) 중심의 축프레임(44)에 대략 십자형으로 제1조류분산판(13), 제2조류분산판(23) 및 제3조류분산판(33)이 각각 설치되어 한 번 더 조류의 흐름을 차단 및 감소시켜 어류의 서식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4단구조물(40) 상단이 곡면의 제4조류분산판(43)이 설치되어 상부로부터 유입되거나 지나가는 조류 흐름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시키고, 제4조류분산판(43)과 제4수평프레임(41) 사이에 어류가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사각 돔형 강제어초는 1단구조물(10)이 사각기둥 형상의 육면체로 안정성을 높이고, 2단구조물(20), 3단구조물(30) 및 4단구조물(40)은 대략 구 형상으로 안정적인 조류의 흐름을 유도하고, 바다 속의 지면 위에 안전한 설치가 가능해진다. 더욱이 강제어초(1) 내에 평판의 철판과 가로방향과 세로방향 또는 대각선방향으로 H빔을 결합하여 어류의 휴식공간의 제공과 먹이활동이 원활한 공간을 제공한다. 강제어초는 내부의 공간의 용승류를 이용하여 정온현상을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어류의 서식이 쉽도록 한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강제어초 10: 1단구조물 11: 제1수평프레임 12: 제1수직프레임 13: 제1조류분산판 14: 제1용승판 15: 제1조류감소판 16: 확장프레임 17: 침하방지판 18: 제1경사프레임 19: 제1지지프레임 20: 2단구조물 21: 제2수평프레임 22: 제2수직프레임 23: 제2조류분산판 24: 제2용승판 25: 제2조류감소판 26: 제2경사프레임 27: 제2지지프레임 30: 3단구조물 31: 제3수평프레임 32: 제3수직프레임 33: 제3조류분산판 34: X자 프레임 35: 제3조류감소판 40: 4단구조물 41: 제4수평프레임 42: 원호프레임 43: 제4조류분산판 44: 축프레임 45: 다리 52: 곡관
Claims (5)
- 격자 모양으로 복수의 프레임이 수평 결합된 정방형의 제1수평프레임(11)과,
상기 제1수평프레임(11) 가장자리 외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고 측면 모서리와 중앙부에 수평으로 침하방지판(17)이 결합된 확장프레임(16)과,
격자 모양으로 복수의 프레임이 수평 결합된 정방형의 제2수평프레임(21)과,
상기 제1수평프레임(11)과 제2수평프레임(21)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격자 모양으로 복수의 프레임이 수직 결합된 제1수직프레임(12)과,
내측 중심을 지나는 축프레임(44)으로부터 90도 각도로 방사상으로 설치된 제1조류분산판(13)과,
상기 제1수평프레임(11) 모서리 부분에 각각 인접하는 측면을 향하여 어류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가 형성된 곡관(52)과,
상기 제1수직프레임(12) 중에서 외곽에 설치된 제1수직프레임(12)에 수평으로 결합된 제1지지프레임(19) 상단과 제2수평프레임(21) 하단 사이에 각각 4면을 향하여 일정 각도의 기울기로 결합된 복수의 판이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된 제1용승판(14)과,
상기 제1수직프레임(12) 중에서 외곽에 설치된 제1수직프레임(12) 중심과 제2수평프레임(21) 하단 사이에 일정 각도로 결합된 제1경사프레임(18)과,
상기 제1수직프레임(12) 중에서 외곽에 설치된 제1수직프레임(12)과 확장프레임(16) 표면, 그리고 제2수평프레임(21)의 모서리와 확장프레임(16)의 모서리 사이에 결합된 제1조류감소판(15)을 포함하는 1단구조물(10);
격자 모양으로 복수의 프레임이 수평 결합되고 상기 제2수평프레임(21)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 정방형의 제3수평프레임(31)과,
상기 제2수평프레임(21)과 제3수평프레임(31)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격자 모양으로 복수의 프레임이 수직 결합된 제2수직프레임(22)과,
상기 내측 중심을 지나는 축프레임(44)으로부터 90도 각도로 방사상으로 설치된 제2조류분산판(23)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22) 중에서 외곽에 설치된 제2수직프레임(22)에 수평으로 결합된 제2지지프레임(27) 상단과 제3수평프레임(31) 하단 사이에 각각 4면을 향하여 일정 각도의 기울기로 결합된 복수의 판이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된 제2용승판(24)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22) 중에서 외곽에 설치된 제2수직프레임(22) 중심과 제3수평프레임(31) 하단 사이에 일정 각도로 결합된 제2경사프레임(26)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22) 중에서 외곽에 설치된 제2수직프레임(22)과 제3수평프레임(31)의 모서리 사이에 결합된 제2조류감소판(25)을 포함하는 2단구조물(20);
격자 모양으로 복수의 프레임이 수평 결합되고 상기 제3수평프레임(31)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 정방형의 제4수평프레임(41)과,
상기 제3수평프레임(31)과 제4수평프레임(41)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격자 모양으로 복수의 프레임이 수직 결합된 제3수직프레임(32)과,
내측 중심을 지나는 축프레임(44)으로부터 90도 각도로 방사상으로 설치된 제3조류분산판(33)과,
상기 제3수직프레임(32) 사이에 X자 모양으로 결합된 X자 프레임(34)과,
상기 제3수직프레임(32) 중에서 외곽에 설치된 제3수직프레임(32)과 제3수평프레임(31)의 모서리 사이에 결합된 제3조류감소판(35)을 포함하는 3단구조물(30);
상기 제4수평프레임(41) 중에서 외곽에 설치된 제4수평프레임(41) 상단에서 축프레임(44) 상단까지 연결된 호 형상의 원호프레임(42)과,
상기 원호프레임(42) 내측에 결합된 제4조류분산판(43)을 포함하는 4단구조물(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사각 돔형 강제어초.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류감소판(15), 제2조류감소판(25), 제3조류감소판(35)에 관통공이 형성된, 사각 돔형 강제어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구조물(20), 3단구조물(30) 및 4단구조물(40)은 육면체의 1단구조물(10) 위로 외관상 돔 형상으로 이루어진, 사각 돔형 강제어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프레임(11)과 확장프레임(16) 하단에 일정 길이의 다리(45)가 복수로 설치된, 사각 돔형 강제어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5415A KR101871829B1 (ko) | 2018-01-16 | 2018-01-16 | 사각 돔형 강제어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5415A KR101871829B1 (ko) | 2018-01-16 | 2018-01-16 | 사각 돔형 강제어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71829B1 true KR101871829B1 (ko) | 2018-07-31 |
Family
ID=63078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05415A KR101871829B1 (ko) | 2018-01-16 | 2018-01-16 | 사각 돔형 강제어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7182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594351A (en) * | 2020-02-14 | 2021-10-27 | Build The Reef Ltd | Trawlable artificial reef element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45449U (ja) * | 1992-11-28 | 1994-06-21 | 佐伯鉄工業協同組合 | 人工魚礁 |
KR100543688B1 (ko) * | 2005-03-14 | 2006-01-20 | 대한민국 | 다기능성 고층어초 |
KR200411512Y1 (ko) | 2005-12-29 | 2006-03-15 | 제주도(관리부서:제주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 | 돔형 경사받침 강제어초 |
KR100831748B1 (ko) | 2008-02-01 | 2008-05-23 | 해주이엔씨 (주) | 나팔관 고기굴층이 구비된 연약지반용 강제어초 |
KR100852935B1 (ko) * | 2007-11-16 | 2008-08-19 | 우창종합건설 주식회사 | 인공 어초 |
KR20090006338U (ko) * | 2007-12-21 | 2009-06-25 |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 어패류용 세라믹 인공어초 |
KR101375558B1 (ko) * | 2013-08-09 | 2014-03-26 | 주식회사 우미 | 다단 대형 파이프형 인공어초 |
-
2018
- 2018-01-16 KR KR1020180005415A patent/KR10187182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45449U (ja) * | 1992-11-28 | 1994-06-21 | 佐伯鉄工業協同組合 | 人工魚礁 |
KR100543688B1 (ko) * | 2005-03-14 | 2006-01-20 | 대한민국 | 다기능성 고층어초 |
KR200411512Y1 (ko) | 2005-12-29 | 2006-03-15 | 제주도(관리부서:제주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 | 돔형 경사받침 강제어초 |
KR100852935B1 (ko) * | 2007-11-16 | 2008-08-19 | 우창종합건설 주식회사 | 인공 어초 |
KR20090006338U (ko) * | 2007-12-21 | 2009-06-25 |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 어패류용 세라믹 인공어초 |
KR100831748B1 (ko) | 2008-02-01 | 2008-05-23 | 해주이엔씨 (주) | 나팔관 고기굴층이 구비된 연약지반용 강제어초 |
KR101375558B1 (ko) * | 2013-08-09 | 2014-03-26 | 주식회사 우미 | 다단 대형 파이프형 인공어초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594351A (en) * | 2020-02-14 | 2021-10-27 | Build The Reef Ltd | Trawlable artificial reef element |
GB2594351B (en) * | 2020-02-14 | 2024-03-27 | Build The Reef Ltd | Trawlable artificial reef eleme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13808B1 (ko) | 삼각 패조류 인공어초 | |
KR200411512Y1 (ko) | 돔형 경사받침 강제어초 | |
KR200473631Y1 (ko) | 해양생태 복원용 다기능 복합 인공어초 | |
KR100762820B1 (ko) | 석탑형 다기능 인공어초 | |
KR101868222B1 (ko) | 벤치형 어초 | |
KR200477010Y1 (ko) | 해삼 등의 어패류 및 해조류용 인공어초 | |
KR100950657B1 (ko) | 인공어초 | |
AU2012201758A1 (en) | Artificial Reef for Seaweed | |
JP4851762B2 (ja) | 栽培養殖漁業用魚礁 | |
KR101213624B1 (ko) | 콘크리트 인공어초 | |
KR101871829B1 (ko) | 사각 돔형 강제어초 | |
KR20050032088A (ko) | 다기능성 고층어초 | |
KR200381941Y1 (ko) | 증식용 강제어초 | |
KR101841956B1 (ko) | 터널형 강제어초 | |
KR102225234B1 (ko) | 해삼 중간육성 및 수산생물 성육 다기능 모듈 | |
KR20090000182U (ko) | 굴 패각 투석식 강제어초 | |
KR101767465B1 (ko) | 부력식 인공어초 | |
KR200392536Y1 (ko) | 해중림 조성용 하우스형 인공어초 | |
KR101011766B1 (ko) | 다면체 인공어초 | |
JP2022090823A (ja) | 生簀 | |
KR20090047911A (ko) | 조립식 인공어초 | |
KR200271905Y1 (ko) | 피라미드형 강제어초 | |
AU2012100285A4 (en) | Steel Hexagonal Frame Reef | |
KR101366667B1 (ko) | 장구형상 어초 | |
KR20150078183A (ko) | 육면체 뼈대타입 콘크리트 인공어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