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3099B1 - 다기능성 해삼어초 - Google Patents

다기능성 해삼어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3099B1
KR101343099B1 KR1020130078032A KR20130078032A KR101343099B1 KR 101343099 B1 KR101343099 B1 KR 101343099B1 KR 1020130078032 A KR1020130078032 A KR 1020130078032A KR 20130078032 A KR20130078032 A KR 20130078032A KR 101343099 B1 KR101343099 B1 KR 101343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 cucumber
reef
space
habitat
s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8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국현
Original Assignee
옹 진 군
오국현
주식회사 벤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옹 진 군, 오국현, 주식회사 벤토스 filed Critical 옹 진 군
Priority to KR1020130078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30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01K61/77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of monolithic form, e.g. bloc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3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ponges, sea urchins or sea cucu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3Artificial seawe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삼어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삼의 서식공간이 제공된 어초본체와 상기 어초본체를 하부측에서 지지하는 어초다리를 콘크리트 재질로 하여 일체로 형성시키고, 하면기능이 부여된 벤츄리형 통로공간 또는 부유물의 퇴적이 가능한 다층식 공간을 상기 서식공간으로 하여 어초본체상에 관통 형성시키며, 어초다리 부분에는 직사각홈 형태의 하면공간을 형성시킴으로서, 해삼의 먹이활동과 휴식 및 여름철 하면에 필요한 공간을 어초상에 합리적으로 배치시키는 동시에, 어초본체에 제공된 서식공간으로 해수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면서 해당 공간에 해삼의 먹이가 되는 해조류 조각이나 어패류 찌꺼기 또는 뻘 등의 각종 부유물이 용이하게 누적되도록 함에 따라, 해삼의 먹이활동과 생장에 적합한 최적의 어초구조물을 제공하여 해삼의 효과적인 위집과 보호 및 신속한 성장을 도모하며, 연약지반을 통한 어초본체의 침하를 방지하여 어초의 고유기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해당 수역으로의 어초 투입량을 최소화시키더라도 요구하는 수준의 해삼 자원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어초를 제공함은 물론, 수확시기에는 어초로부터 해삼을 보다 손쉽게 채취토록 하여 해삼의 어획량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며, 필요시 해삼 이외에 전복 등의 패류양식이나 해중림 조성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토록 한 다기능성 해삼어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성 해삼어초{Sea-cucumber habitat reef with multi-function}
본 발명은 해삼의 서식공간이 제공된 어초본체와 상기 어초본체를 하부측에서 지지하는 어초다리를 콘크리트 재질로 하여 일체로 형성시키는 한편, 하면기능이 부여된 벤츄리형 통로공간 또는 부유물의 퇴적이 가능한 다층식 공간을 상기 서식공간으로 하여 어초본체상에 관통 형성시키고, 어초다리 부분에는 직사각홈 형태의 하면(夏眠)공간을 형성시킴으로서, 해삼의 먹이활동과 휴식 및 생장에 적합하고 20m 내외의 깊은 수심에도 적용이 가능한 최적의 어초구조물을 제공토록 하며, 이로 인하여 해삼종묘로부터 해삼성체에 이르기까지 해삼의 효과적인 위집과 보호 및 신속한 성장을 토대로 해삼의 어획량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필요시 해삼 이외에 전복 등의 패류양식이나 해중림(海中林:바다숲) 조성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토록 한 다기능성 해삼어초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 구제역이나 조류독감 또는 광우병과 같은 가축의 질병으로 인하여 육류의 소비는 점차 줄어드는 추세인 데 반하여, 우수한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건강-웰빙 식품인 생선이나 수산물의 소비는 뚜렷한 증가추세에 있다.
이러한 수산물 중에서 해삼의 경우는, 국내에서도 건강식품으로 인기가 있을 뿐만 아니라, 중국 국민들(약 12억 명)이 가장 선호하는 수산물로서 매년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2013년에는 4억불, 2020년에는 10억불의 수출을 목표로 해삼방류사업과 양식사업을 국가정책의 일환으로 추진하고 있다.
해삼은 극피동물 스티코프스과에 속하며 10~20m 정도의 수심에서 서식하고, 낮에는 주로 바위 같은 곳에 숨어 있다가 밤에 활동하기 때문에 바닷쥐라는 의미의 해서(海鼠)라고도 불리우며, 오이와 유사한 생김새로 인하여 서양에서는 바다오이(Sea-cucumber)라고 불리운다.
또한, 해삼은 10~20m의 수심에서 주로 서식하다가 수온이 20℃ 이상으로 상승하면 깊은 바다속으로 들어가거나 해저로 깊이 파고 들어가 그 속에서 여름잠(하면:夏眠)을 자는 습성이 있고, 해수중에서 조류를 타고 떠다니는 유기성 부유물(해조류 조각이나 어패류 찌꺼기 또는 뻘 등)을 먹이로 하며, 해저의 표층에 엷게 쌓인 퇴적물을 섭취하여 살아가기도 한다.
그리고, 늦은 봄에서 초여름에 걸쳐 산란을 하고, 산란 직후 하면에 들어가므로, 해삼의 어획시기는 4~6월이 적기이지만, 산란 직전인 6월달은 해삼의 금어기간으로 지정되어 채취가 금지되어 있는 바, 이와 같은 생태적인 특성과 더불어 무분별한 채취와 연안해역의 환경오염 등으로 말미암아 자연상태에서의 해삼 어획량이 급감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하여, 최근에 들어서는 해삼을 인공적으로 양식 및 육성코자 하는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서 채롱에 의한 수하양식이나 가두리양식 또는 인공어초의 설치 등을 들 수 있으나, 인공어초를 설치한 수역(水域)에 해삼종묘를 대량 방류하여 일정 기간동안 자연상태에서 육성시키는 것이 우수한 상품성을 가지는 해삼을 얻어낼 수 있는 방식이 된다.
상기와 같이 해삼의 양식에 사용되는 인공어초는, 구석이나 모서리 등을 선호하는 해삼의 서식생태를 고려하여 이에 적합한 서식공간 및 하면에 필요한 공간이 제공되어야 하고, 어초를 통한 해수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여 해삼의 먹이가 되는 각종 부유물이나 해조류 등을 충분히 확보토록 함은 물론, 해삼의 수확시기에는 어초로부터 해삼을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는 구조가 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해삼어초는 그물망이나 로프 또는 프레임이나 판형구조물 등을 매우 복잡한 형태로 혼용 배치하여 해삼의 서식공간 및 하면공간을 제공토록 함으로서, 해수의 원활한 소통 및 이를 기초로 한 먹이의 확보와 수확시의 용이한 채취 측면을 고려할 경우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점을 야기시키는 것이었고, 어초의 제작비용 또한 비교적 고가인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한편으로, 물과 함께 반죽된 황토를 성형틀에 넣고 압력을 가한 후 실온의 그늘에서 일차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하고, 이를 80℃ 내지 100℃의 온도에서 가열하여 고형화시킨 황토블록어초가 알려져 있으나, 황토반죽을 이용하는 성형작업의 특성상 어초다리와 같은 돌출구조나 하면공간과 같은 좁은 공간의 정확한 성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종래의 황토블록어초는 단순한 육면체 또는 사면체의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종래의 황토블록어초를 니질(泥質)이나 사니질(沙泥質)과 같은 연약한 해저 표면에 설치할 경우, 어초의 상당 부분이 해저 표면으로 침하되어 어초 기능의 대부분을 상실하게 되므로, 이를 보완할 수 있도록 강제프레임을 이용하여 별도의 침하방지용 바닥구조물을 제작한 다음, 그 위에 다수 개의 황토블록어초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 및 고정시키도록 함에 따라, 어초의 제작으로부터 설치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이 매우 번거롭게 될 뿐만 아니라, 어초의 제작 및 설치비용 또한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기존의 해삼어초는 그 크기가 대부분 소형이기 때문에, 해삼종묘로부터 최대 30cm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해삼성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크기의 해삼을 하나의 어초상에 골고루 양식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기존의 해삼어초는 10m 이내의 얕은 수심에서는 적용이 가능하지만, 20m 내외의 깊은 수심에서는 그 적용성이 저하됨은 물론이고, 해삼 이외의 전복과 같은 다른 패류의 양식이나 해중림(海中林:바다숲) 조성과 같은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017161호(공고일자: 2011년 02월 25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3-0039160호(공개일자: 2013년 04월 19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성 해삼어초는 해삼의 서식공간이 제공된 어초본체와 상기 어초본체를 하부측에서 지지하는 어초다리를 콘크리트 재질로 하여 일체로 형성시키고, 하면기능이 부여된 벤츄리형 통로공간 또는 부유물의 퇴적이 가능한 다층식 공간을 상기 서식공간으로 하여 어초본체상에 관통 형성시키며, 어초다리 부분에는 직사각홈 형태를 가지는 해삼의 하면공간을 형성시킴으로서, 해삼의 먹이활동과 휴식 및 여름철 하면(夏眠)에 필요한 공간을 어초상에 합리적으로 배치시키는 동시에, 어초본체에 제공된 서식공간으로 해수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면서 해당 공간에 해삼의 먹이가 되는 해조류 조각이나 어패류 찌꺼기 또는 뻘 등의 각종 부유물이 용이하게 누적되도록 함에 따라, 해삼의 먹이활동과 생장에 적합한 최적의 어초구조물을 제공하여 해삼의 효과적인 위집과 보호 및 신속한 성장을 도모하며, 연약지반을 통한 어초본체의 침하를 방지하여 어초의 고유기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해당 수역으로의 어초 투입량을 최소화시키더라도 해삼종묘로부터 해삼성체에 이르기까지 요구하는 수준의 해삼 자원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20m 내외의 깊은 수심에도 적용이 가능한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어초를 제공함은 물론, 수확시기에는 어초로부터 해삼을 보다 손쉽게 채취토록 하여 해삼의 어획량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며, 필요시 해삼 이외에 전복 등의 패류양식이나 해중림(海中林:바다숲) 조성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토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기능성 해삼어초는, 육면체 형상의 콘크리트 블록으로 형성되는 어초본체와, 상기 어초본체의 하단측 외곽 모서리 부분에서 어초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한편, 어초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콘크리트 재질의 어초다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어초본체에는 벤츄리관 형태를 가지는 다수 개의 서식 및 하면통로 또는 다층식 서식공간이 어초본체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서식공간의 바닥면은 접시 형태를 가지는 부유물퇴적홈을 형성하며, 상기 각각의 어초다리에는 다수 개의 하면공간이 제공되고, 상기 각각의 하면공간은 어초다리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갈수록 공간이 좁아지는 형태의 직사각홈으로 하여 어초다리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어초본체의 좌,우 측면부에는 측면서식공간 또는 측면통로가 추가로 제공되고, 상기 측면서식공간은 칸막이벽에 의하여 다수 개의 층으로 나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어초본체의 상부 표면에는 해조류활착홈이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의 타설 및 경화를 통하여 어초본체와 어초다리를 일체로 형성시키는 한편, 이 과정에서 해삼의 먹이활동과 휴식 및 여름철 하면에 필요한 공간 역시 어초본체와 어초다리상에 정확한 치수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해삼의 생태적 특성에 부합된 우수한 기능의 어초를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손쉽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하나의 어초만으로도 해삼종묘로부터 해삼성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해삼을 생육시킬 수 있는 한편, 20m 내외의 깊은 수심에도 적용이 가능한 해삼어초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니질이나 사니질과 같은 연약지반에 어초를 설치할 경우에도, 어초본체와 일체로 형성된 어초다리 부분이 침하깊이에 대한 완충역할을 함으로서, 어초본체가 연약지반으로 침하되어 어초의 고유기능이 저하되는 현상을 미연에 차단시키는 동시에, 어초본체의 바닥면과 해저 표면의 사이에도 추가적인 서식 및 휴식공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해당 수역으로의 어초 투입량을 최소화시키더라도 요구하는 수준의 해삼 자원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어초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더불어, 어초본체에 형성된 서식 및 하면통로 또는 다층식 서식공간으로 해수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면서, 해당 공간에 해삼의 먹이가 되는 해조류 조각이나 어패류 찌꺼기 또는 뻘 등의 각종 부유물이 용이하게 누적되도록 함에 따라, 해삼의 먹이활동과 생장에 적합한 최적의 어초구조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어초가 설치된 수역으로 방류된 해삼종묘 뿐만 아니라 그 주변에 서식하는 자연상태의 해삼 또한 어초가 설치된 지역으로 모여들도록 함으로서, 해삼의 효과적인 위집과 보호 및 신속한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해삼의 서식 및 하면통로 또는 다층식 서식공간을 어초본체에 관통식으로 형성시키는 한편, 입구가 넓고 내부측이 좁은 직사각홈 형태의 하면공간을 어초다리의 외측표면에 배치시킴으로서, 해삼의 수확시기에는 어초본체와 어초다리에 부착되어 있는 해삼의 위치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하여 어초로부터 해삼을 보다 손쉽게 채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궁극적으로는 해삼의 어획량을 크게 증대시켜 어업인들의 소득향상 및 해삼의 수출물량 확보에 기여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해삼어초는 해삼의 양식을 그 주된 기능으로 하지만, 어초본체에 제공된 서식공간과 어초다리에 제공된 하면공간 및 어초본체의 상부면에 제공된 해조류활착홈 등이 전복과 같은 다양한 패류나 각종 해조류의 활착 및 생장 측면에도 매우 유용한 구조를 제공하기 때문에, 해삼의 양식 이외에도 전복과 같은 패류의 양식이나 연안목장화의 기초가 되는 해중림 조성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한 추가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해삼어초의 외관사시도.
도 2는 해삼의 서식 및 하면통로를 나타내는 도 1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1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해삼어초의 외관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정면도.
도 7은 도 5의 평단면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해삼어초(10)는 도 1 내지 도 4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 형상의 콘크리트 블록으로 형성되는 어초본체(1)와, 상기 어초본체(1)의 하단측 외곽 모서리 부분에서 어초본체(1)와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재질의 어초다리(2)로 이루어지며, 상기 어초다리(2)는 어초본체(1)의 하측에 총 4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어초다리(2)는 도면에서와 같이 어초본체(1)의 외측 방향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30~60도 정도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함으로서, 본 발명의 해삼어초(10)가 전도나 이탈없이 해저 표면상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해삼이 어초다리(2)를 타고 어초본체(1)와 해저 표면 사이를 용이하게 기어다닐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각각의 어초다리(2)는 도면상 하부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넓어지는 형태의 사다리꼴 기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어초다리(2) 바닥면에는 해저 표면으로 어초다리(2) 부분이 일정 깊이만큼 용이하게 침투하여 해삼어초(10)의 설치상태를 보다 더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침투단부(2a)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해삼어초(10)를 이루는 상기 어초본체(1)에는 해삼의 먹이활동과 생장에 필요한 다수 개의 서식 및 하면통로(4)가 제공되며, 상기 각각의 서식 및 하면통로(4)는 도 2 내지 도 4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 입구측이 넓고 내측 중앙부가 좁은 벤츄리관(Venturi pipe) 형태로 하여 어초본체(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어초본체(1)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해삼의 서식 및 하면통로(4)를 벤츄리관 형태로 형성시키는 이유는, 각각의 서식 및 하면통로(4)를 통과하는 방식으로 어초본체(1)를 통한 해수의 소통을 충분히 보장토록 한 상태에서, 해수중에 안개식으로 떠다니는 해조류 조각이나 어패류 찌꺼기 또는 뻘 성분과 같은 해삼의 먹이가 각각의 서식 및 하면통로(4)의 중앙에 형성된 좁은 통로로서의 목부(8) 주변에 모일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여름철에는 해삼이 해당 통로의 좁은 목부(8)측으로 기어 들어가 하면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을 추가로 제공토록 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도면상 어초본체(1)의 전방면 또는 후방면으로 유입되는 해수의 흐름이 서식 및 하면통로(4)의 넓은 입구로부터 중앙측의 좁은 목부(8) 통로를 거쳐 어초본체(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해수중에 포함된 해조류 조각이나 어패류 찌꺼기 또는 뻘 성분 등은 수류(水流)의 일시 정체구역이 되는 서식 및 하면통로(4)의 중앙부측 바닥으로 가라앉게 된다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서식 및 하면통로(4)를 따라 해수가 통과되는 과정에서 서식 및 하면통로(4)의 내부에 해삼의 먹이성분이 용이하게 누적될 수 있음은 물론, 좁고 협소한 공간을 선호하는 해삼의 생태적 습성에 따라 중앙측의 좁은 목부(8) 공간이 추가적인 하면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각각의 서식 및 하면통로(4)는 해삼어초(10)용 거푸집을 제작할 시, 어초본체(1)의 성형이 요구되는 부위에 2개의 깔때기형 파이프를 서로 마주보게 배치시킨 다음, 콘크리트의 타설 및 경화 후 각각의 깔때기형 파이프를 콘크리트 블록(어초본체)으로부터 빼내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서식 및 하면통로(4)는 좁은 모서리 공간을 선호하는 해삼의 특성에 맞추어 직사각 형태의 통로공간으로 형성시키되, 서식 및 하면통로(4)의 성형에 사용되는 깔때기형 파이프를 용이하게 빼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해삼의 형태학적인 측면에도 부합될 수 있도록, 직사각 단면을 기준으로 내측 모서리 부분이 모따기 형식으로 잘려나간 형태 또는 내측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Round)지게 형성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도면상 어초본체(1)의 폭 방향과 높이 방향에 걸쳐 3개씩, 총 9개의 서식 및 하면통로(4)가 제공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어초본체(1)의 치수에 맞추어 서식 및 하면통로(4)의 설치갯수는 임의대로 조정이 가능하며, 각각의 서식 및 하면통로(4)는 전,후방 입구측이 10~20cm(가로,폭)×5~10cm(세로,높이) 정도의 치수를 가지도록 하고, 중앙측 목부(8) 통로는 5~10cm(가로,폭)×3~5cm(세로,높이) 정도의 치수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치수범위는 해수의 소통에 크게 지장을 초래하지 않으면서도 해삼종묘로부터 약 10~30cm의 길이로 성장하는 해삼성체에 이르기까지 각각의 서식 및 하면통로(4) 내부에서 수 마리 내지 수십 마리가 용이하게 서식 및 하면할 수 있는 범위가 되며, 이러한 서식 및 하면통로(4)의 치수에 맞추어, 어초본체(10)의 폭과 길이는 60~100cm, 어초다리(2)를 포함하는 해삼어초(10)의 높이는 50~80cm 정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각각의 어초다리(2)에는 다수 개의 하면공간(7)이 제공되는 바, 상기 각각의 하면공간(7)은 해수의 수온이 20℃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나 늦은 봄에서 초여름에 걸쳐 산란을 행한 후에 해삼이 들어가서 여름잠을 잘 수 있도록 제공되는 공간이며, 하면을 위하여 해저 표면을 파고 들어가는 해삼의 특성에 부합되도록 상기 하면공간(7)을 어초다리(2)에 형성시킨 것이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해삼어초(10)를 니질이나 사니질과 같은 연약지반에 설치함에 따라 어초다리(2)의 일부분 또는 대부분이 해저 표면으로 침하되더라도, 하면을 위하여 해저 표면을 파고 들어간 해삼이 해저 표면으로 침하된 어초다리(2)의 하면공간(7)을 찾아 들어가도록 한다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어초다리(2) 부분이 해저 표면으로 침하되더라도 어초본체(1)를 포함하는 어초의 고유기능이 저하되지 않는 최적 배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각각의 하면공간(7)은 어초다리(2)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갈수록 공간이 좁아지는 형태의 직사각홈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해삼의 형태학적인 측면에 맞추어 하면시기에는 해삼이 하면공간(7)의 내부로 용이하게 기어들어 갈 수 있도록 하고, 하면이 끝난 시기에는 해삼이 외부로 용이하게 기어나올 수 있도록 하며, 수확시기에는 하면공간(7)에 들어가 있는 해삼을 외부로 용이하게 빼낼 수 있는 최적의 구조이기 때문이다.
상기 각각의 하면공간(7)은 가로 10~30cm, 세로 3~5cm, 깊이 5cm 정도의 직사각홈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해삼종묘로부터 해삼성체에 이르기까지의 하면공간(7)을 제공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고, 해삼의 채취작업에 따른 편의성을 위하여 외측 방향으로 노출되는 어초다리(2)의 표면상에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도면상 3개)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다리꼴 기둥 형태를 가지는 어초다리(2)의 특성상 하부측에 위치하는 하면공간(7)의 길이가 상부측에 위치하는 하면공간(7)의 길이보다 길게 된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상기 어초본체(1)의 좌,우 측면부에도 측면서식공간(5)이 제공되는 바, 상기 측면서식공간(5)의 경우도 좁은 모서리 공간을 선호하는 해삼의 특성에 부합되도록 칸막이벽(6)에 의하여 다수 개(도면상 3개)의 층으로 나뉘어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측면서식공간(5)의 적용은 어초본체(1)의 한정된 체적상에 해삼의 먹이활동과 휴식에 필요한 공간을 보다 충분하고 다양하게 분포시킨다는 유리한 잇점을 제공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해삼어초(10)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어초본체(1)상에 해삼의 서식공간(9)을 다층(도면상 2층) 형태로 구획시키고, 어초본체(1)의 좌,우 측면부에는 각각의 서식공간(9)과 연통되는 다수 개의 측면통로(12)를 형성시킨 것이며, 그 이외의 나머지 주요 구성은 앞선 일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각각의 서식공간(9) 역시 마찬가지로 어초본체(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어초본체(1)를 관통하도록 형성시킴으로서, 해당 서식공간(9)을 통하여 해수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한편, 각 서식공간(9)의 바닥면은 접시 형태를 가지는 부유물퇴적홈(11)으로 형성시킴으로서, 해수중에 떠다니는 해조류 조각이나 어패류 찌꺼기 또는 뻘 성분 등이 해당 서식공간(9)의 바닥면에 퇴적부유물(14)로 누적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해삼어초(10) 역시 마찬가지로, 주간에는 음영(陰影: 그림자)이 드리워진 각 서식공간(9)의 내측 벽체와 내측 모서리 부분에 해삼이 주로 부착하여 서식토록 한 상태에서, 야간에는 서식공간(9)의 바닥면으로 기어 내려와 부유물퇴적홈(11)에 누적된 퇴적부유물(14)을 기초로 먹이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합리적인 어초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 서식공간(9)의 전,후방측 개구부 및 어초본체(11)의 측면부에 형성된 측면통로(12)를 통하여 해저 표면에 서식하는 해삼이 어초다리(2)를 타고 각 서식공간(9)의 내부로 용이하게 기어 들어 갈 수 있고, 서식공간(9)에 있던 해삼들이 하면을 위하여 해당 개구부와 측면통로(12)를 따라 어초다리(2)에 제공된 하면공간(7)으로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서식공간(9)은 어초본체(1)의 치수를 고려하여 어초본체(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최소 2개에서 최대 4개 범위내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측면통로(12)는 각각의 서식공간(9)을 이루는 좌,우측 벽체상에 길이가 길게 되는 장공 형태로 하여 1개소로 형성시킬 수도 있고, 짧은 길이의 구멍으로 하여 최대 4개 정도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도 5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어초본체(1)의 상부 표면에 해조류활착홈(13)을 형성시킬 수도 있는 바, 상기 해조류활착홈(13)은 해삼의 실질적인 먹이가 되는 해조류가 용이하게 활착하여 생장할 수 있는 표면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해삼의 위집과 보호 및 신속한 성장을 도모하는 보다 적극적인 수단이 될 수 있다.
도면상 어초본체(1)의 상부 표면 가장자리에 걸쳐 해조류활착홈(13)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해조류활착홈(13)의 배치형태는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삼어초(10)에도 해조류활착홈(13)의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기능성 해삼어초(10)에 따르면,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의 타설 및 경화를 통하여 어초본체(1)와 어초다리(2)를 일체로 형성시키는 한편, 이 과정에서 해삼의 먹이활동과 휴식 및 여름철 하면에 필요한 공간 역시 어초본체(1)와 어초다리(2)상에 정확한 치수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해삼의 생태적 특성에 부합된 우수한 기능의 어초를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손쉽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니질이나 사니질과 같은 연약지반에 어초를 설치할 경우에도, 어초본체(1)와 일체로 형성된 어초다리(2) 부분이 침하깊이에 대한 완충역할을 함으로서, 어초본체(1)가 연약지반으로 침하되어 어초의 고유기능이 저하되는 현상을 미연에 차단시키는 동시에, 어초본체(1)의 바닥면과 해저 표면의 사이에도 추가적인 서식 및 휴식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어초다리(2)에 제공된 하면공간(7)은 어초다리(2)의 침하여부에 관계없이 고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단위어초 마다의 어초기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기존의 해삼어초와 비교할 경우 해당 수역으로의 어초 투입량을 최소화시키더라도 요구하는 수준의 해삼 자원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어초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어초본체(1)에 형성된 벤츄리형 서식 및 하면통로(4) 또는 다층식 서식공간(9)으로 해수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면서, 해당 공간에 해삼의 먹이가 되는 각종 부유물이 용이하게 누적되도록 함에 따라, 해삼의 먹이활동과 생장에 적합한 최적의 어초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서식 및 하면통로(4)는 어초다리(2)의 하면공간(7)과 함께 해삼의 여름철 하면에 필요한 공간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어초가 설치된 수역으로 방류된 해삼종묘 뿐만 아니라 그 주변에 서식하는 자연상태의 해삼 또한 어초가 설치된 지역으로 모여들도록 할 수 있고, 해삼종묘로부터 최대 30cm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해삼성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크기의 해삼을 하나의 어초상에 골고루 양식할 수 있으며, 20m 내외의 깊은 수심에도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하게 되는 등, 해삼의 효과적인 위집과 보호 및 신속한 성장을 도모하여 해삼의 어획량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를 통한 어업인들의 소득향상 및 해삼의 수출물량 확보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해삼의 서식 및 하면통로(4) 또는 다층식 서식공간(9)을 어초본체(1)에 관통식으로 형성시키는 한편, 입구가 넓고 내부측이 좁은 직사각홈 형태의 하면공간(7)을 어초다리(2)의 외측표면에 배치시킴으로서, 해삼의 수확시기에는 어초본체(1)와 어초다리(2)에 부착되어 있는 해삼의 위치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하여 어초로부터 해삼을 보다 손쉽게 채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해삼의 어획량 증대 측면에 한층 더 기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 내지 도 4에서는 각각의 어초다리(2)가 어초테이블(3)에 의하여 연결되는 형태로 해삼어초(10)가 제작되었고, 도 5 내지 도 7에서는 어초본체(1)의 하단측 모서리 부분에 어초다리(2)가 직접 연결된 형태로 해삼어초(10)가 제작되었는 바, 어초본체(1)에 어초다리(2)가 연결되는 형태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조정이 가능하다.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하여 위에서 설명되어진 내용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한 최적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추구하고자 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예시된 구조를 기초로 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사항이며,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에 기재된 기술적 내용을 기초로 평가되어져야 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해삼어초(10)는 해삼의 위집과 보호 및 생장을 목적으로 제공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해삼어초(10)를 전복양식 등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해조류활착홈(1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해삼어초(10)를 해중림 조성용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해삼어초(10)는 해삼의 양식을 그 주된 기능으로 하지만, 어초본체(1)에 제공된 서식공간과 어초다리(2)에 제공된 하면공간(7) 및 어초본체(1)의 상부면에 제공된 해조류활착홈(13) 등이 전복과 같은 다양한 패류나 각종 해조류의 활착 및 생장 측면에도 매우 유용한 구조를 제공하기 때문에, 해삼의 양식 이외에도 전복과 같은 패류의 양식이나 연안목장화의 기초가 되는 해중림(海中林:바다숲) 조성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1 : 어초본체 2 : 어초다리 2a : 침투단부
3 : 어초테이블 4 : 서식 및 하면통로 5 : 측면서식공간
6 : 칸막이벽 7 : 하면공간 8 : 목부
9 : 서식공간 10 : 해삼어초 11 : 부유물퇴적홈
12 : 측면통로 13 : 해조류활착홈 14 : 퇴적부유물

Claims (5)

  1. 연안해역의 해저 표면에 설치되어 해삼의 서식공간을 제공토록 한 해삼어초에 있어서,
    상기 해삼어초(10)는, 육면체 형상의 콘크리트 블록으로 형성되는 어초본체(1)와, 상기 어초본체(1)의 하단측 외곽 모서리 부분에서 어초본체(1)와 일체로 형성되는 한편, 어초본체(1)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콘크리트 재질의 어초다리(2)로 이루어지며,
    상기 어초본체(1)에는 다수 개의 서식 및 하면통로(4)가 제공되고, 상기 각각의 서식 및 하면통로(4)는 전,후방 입구측이 넓고 내측 중앙부가 좁은 벤츄리관(Venturi pipe) 형태로 하여 어초본체(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어초본체(1)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어초다리(2)에는 다수 개의 하면공간(7)이 제공되고, 상기 각각의 하면공간(7)은 어초다리(2)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갈수록 공간이 좁아지는 형태의 직사각홈으로 하여 어초다리(2)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해삼어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초본체(1)의 좌,우 측면부에는 측면서식공간(5)이 추가로 제공되고, 상기 측면서식공간(5)은 칸막이벽(6)에 의하여 다수 개의 층으로 나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해삼어초.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30078032A 2013-07-03 2013-07-03 다기능성 해삼어초 KR101343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032A KR101343099B1 (ko) 2013-07-03 2013-07-03 다기능성 해삼어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032A KR101343099B1 (ko) 2013-07-03 2013-07-03 다기능성 해삼어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3099B1 true KR101343099B1 (ko) 2013-12-20

Family

ID=49988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8032A KR101343099B1 (ko) 2013-07-03 2013-07-03 다기능성 해삼어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309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60491A (zh) * 2016-03-24 2016-06-15 浙江大学 人工下降流装置
CN105918230A (zh) * 2016-04-26 2016-09-07 浙江大学 潮流泵式人工下降流装置
CN109892262A (zh) * 2019-04-23 2019-06-18 大连海洋大学 一种调温海参礁
KR102002335B1 (ko) * 2018-12-14 2019-07-23 주식회사 해건 문어·해삼 서식 블록
KR102005017B1 (ko) 2019-01-23 2019-07-30 강신중 해삼 어초
KR102005020B1 (ko) 2019-01-23 2019-07-31 김진호 전복 어초
CN115005141A (zh) * 2022-07-27 2022-09-06 海南正永生态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预防珊瑚苗被啃食的人造礁
KR102444810B1 (ko) * 2022-04-08 2022-09-19 에스비비 주식회사 친환경 다공성 복합 생태블록을 이용한 해양생물 산란서식장 조성방법
IT202100023006A1 (it) 2021-09-06 2023-03-06 Neogeo Soc A Responsabilita Limitata Semplificata Prefabbricato per la biodiversità acquatica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590B1 (ko) * 2006-03-22 2006-07-31 김기왕 피라미드형 인공어초
KR200448190Y1 (ko) * 2007-11-29 2010-03-26 대한민국 정자형 다목적 인공어초
KR101196669B1 (ko) 2012-04-30 2012-11-05 21세기해양개발주식회사 다공성황토블럭을 이용한 다기능 인공어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590B1 (ko) * 2006-03-22 2006-07-31 김기왕 피라미드형 인공어초
KR200448190Y1 (ko) * 2007-11-29 2010-03-26 대한민국 정자형 다목적 인공어초
KR101196669B1 (ko) 2012-04-30 2012-11-05 21세기해양개발주식회사 다공성황토블럭을 이용한 다기능 인공어초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60491A (zh) * 2016-03-24 2016-06-15 浙江大学 人工下降流装置
CN105918230A (zh) * 2016-04-26 2016-09-07 浙江大学 潮流泵式人工下降流装置
KR102002335B1 (ko) * 2018-12-14 2019-07-23 주식회사 해건 문어·해삼 서식 블록
KR102005017B1 (ko) 2019-01-23 2019-07-30 강신중 해삼 어초
KR102005020B1 (ko) 2019-01-23 2019-07-31 김진호 전복 어초
CN109892262A (zh) * 2019-04-23 2019-06-18 大连海洋大学 一种调温海参礁
IT202100023006A1 (it) 2021-09-06 2023-03-06 Neogeo Soc A Responsabilita Limitata Semplificata Prefabbricato per la biodiversità acquatica
KR102444810B1 (ko) * 2022-04-08 2022-09-19 에스비비 주식회사 친환경 다공성 복합 생태블록을 이용한 해양생물 산란서식장 조성방법
CN115005141A (zh) * 2022-07-27 2022-09-06 海南正永生态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预防珊瑚苗被啃食的人造礁
CN115005141B (zh) * 2022-07-27 2024-04-02 海南正永生态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预防珊瑚苗被啃食的人造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3099B1 (ko) 다기능성 해삼어초
Dankers et al. The role of the mussel (Mytilus edulis L.) and mussel culture in the Dutch Wadden Sea
Sifa et al. Culture and capture of fish in Chinese reservoirs
CN102106315B (zh) 一种池塘养殖方格星虫的方法
JP2006254880A (ja) カニ類等の池中養殖法
CN104855310A (zh) 一种光唇鱼仿生态工厂规模化繁育驯养方法
CN101828538A (zh) 一种箱式生物浮床及其使用方法
JP2005065562A (ja) ドジョウの養殖方法
Junk et al. Flood pulsing and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biodiversity in floodplains
CN105994101A (zh) 一种鱼菜共生系统
KR101104776B1 (ko) 바다 생물의 서식 및 은신용 구조물
CN206024919U (zh) 一种平胸龟的规模化仿生态繁殖驯养池
CN105145472A (zh) 成年灰鼠蛇的繁殖方法
Tampi Ecological and fisheries characteristics of a salt water lagoon near Mandapam
CN105309343A (zh) 一种利用林下沟渠围网养殖龙虾的方法
CN209345828U (zh) 一种新型养殖水箱
Lehtonen Does global warming threat the existence of Arctic charr, Salvelinus alpinus (Salmonidae), in northern Finland?
KR200406763Y1 (ko) 참게 양식장
KR101809351B1 (ko) 갯벌을 이용한 가리맛조개 인공종묘 중간 육성방법
KR100938668B1 (ko) 꼬마잠자리의 자연적 생태복원 사육장치
KR101460941B1 (ko) 가재해삼어초
KR20150063273A (ko) 전복 가두리 양식장을 이용한 해삼 양식기
KR20180119370A (ko) 전복 양식용 쉘터
KR102200440B1 (ko) 해상용 해삼 양식장치
KR101968913B1 (ko) 해삼 혼합 양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