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2335B1 - 문어·해삼 서식 블록 - Google Patents

문어·해삼 서식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2335B1
KR102002335B1 KR1020180161727A KR20180161727A KR102002335B1 KR 102002335 B1 KR102002335 B1 KR 102002335B1 KR 1020180161727 A KR1020180161727 A KR 1020180161727A KR 20180161727 A KR20180161727 A KR 20180161727A KR 102002335 B1 KR102002335 B1 KR 102002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topus
block
sea cucumber
block body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건
박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건, 박재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건
Priority to KR1020180161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3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01K61/77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of monolithic form, e.g. bloc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3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ponges, sea urchins or sea cucu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이 건 발명은 문어·해삼 서식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건 발명은 바닥판의 상부에 블록몸체가 구비된 문어·해삼 서식 블록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중심에서 외부를 향하여 3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각각의 지지부 하부도 다리부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블록몸체는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 얹혀지도록 중심에서 외부를 향하여 3개의 단위블록유닛이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블록몸체의 내부는 "
Figure 112018125732340-pat00012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의 상부면과 상기 블록몸체의 사이에 "
Figure 112018125732340-pat00013
"형태의 공간부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 건 발명은 문어가 낮에는 내부에 숨어 있다가 밤에 나와서 감각류, 조개류를 잡아 먹을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해삼 역시 밤에 나와서 바닥을 기어 다니면서 어패류 등의 썩은 유기물을 포식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문어·해삼 서식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문어·해삼 서식 블록{OCTOPUS SEA CUCUMBER INHABITATION BLOCK}
이 건 발명은 문어·해삼 서식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바닥판의 상부로 구비된 블록몸체의 내부로 칸박이 리브에 의하여 문어·해삼 산란공간부와 쉼공간부가 구분되어지는 공간부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중에 구비되는 블럭은 대상수역과 어종의 특성에 적합한 블럭 모형 개발, 수중 블럭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효율적인 추진 방안 등을 계속적으로 모색하고 있으며, 생태계 복원을 통한 생산성 증대 및 레져 산업 활성화 등의 방향으로 전환을 도모하고 있다.
수중 블럭은 대상생물에 대한 고려 없이 유수의 흐름이 유도될 수 있는 획일적인 육면체 골격의 형상만 제안되어 왔으며, 문어나 해삼의 대상생물은 수중바닥에 근접하여 생활하는 특성이 있어 안정적인 바닥공간이 제공되는 환경에서 서식하는 것에 적합하고, 과도한 유수의 흐름이 발생되는 곳은 기피하며 산란에 적합한 장소를 찾는 성질이 있으나, 관련 지식이나 투자의 부족으로 현실적인 제약이 있었다.
대상생물의 특성을 고려한 블럭으로서 등록특허 제10-1695682호 (2017.1.6.)의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과 이 제작방법이 제안되었으나, 공간이 좁고 긴 관형으로 제작되어 공간의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어 막히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협소한 공간으로 인하여 빠른 유속이 유도되어 문어 서식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703457호(2017. 1. 31.)의 문어집이 제안되었으나, 서식공간이 여전히 좁고 긴 관형에서 벗어나지 못하여 빠른 유속이 유도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안정적인 바닥공간이 제공되지 않아 문어도 서식공간으로 들어오도록 유도하는 것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등록특허공보 제10-1874483호(2018.6.28)의 문어 및 해삼 증식 다기능 블록이 제안되었고, 제안된 다기능 블록은 서식 본체의 내부에는 서식 공간이 형성되고, 서식 본체의 하단 외주면에는 외부와 서식 공간이 물리적으로 상호 연결되도록 복수의 관통부가 형성되어 유수에 의한 저항을 줄여 수중바닥에 블럭을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나, 내부의 공간이 협소하고, 하나의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음으로써, 문어의 산란공간과 쉼공간이 구분되어 있지 않아 문어가 서식할 수 없고, 해삼의 경우 은폐될 수 있는 공간이 없어 서식을 하지 못하게 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부가 반구형태를 가짐에 따라 해조류의 활착이 이루어지지 못해 블록의 상부를 포함하는 주변의 수중환경이 황폐해지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74483호(2018.6.28)
이 건 발명은 내부의 공간이 산란을 위한 산란공간과 쉼을 위한 쉼공간으로 구분되는 가운데 외부로부터 내부가 보이지 않는 은폐공간이 충분하게 확보될 수 있도록 하여 낮에는 내부에 숨어 있다가 밤에 나와서 감각류, 조개류를 잡아 먹거나, 어패류 등 썩은 유기물을 포식할 수 있도록 하고, 외부에 구비된 홈부에 해조류의 활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상부를 포함하는 주변의 수중환경이 복원되어 천연 바위같도록 하여 문어·해삼이 서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건 발명은 바닥판(10)의 상부에 블록몸체(20)가 구비된 문어·해삼 서식 블록(A)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0)은 중심에서 외부를 향하여 3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부(110)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각각의 지지부(110) 하부도 다리부(120)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블록몸체(20)는 상기 바닥판(10)의 상부에 얹혀지도록 중심에서 외부를 향하여 3개의 단위블록유닛(210)이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블록몸체(20)의 내부는 "
Figure 112018125732340-pat00001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10)의 상부면과 상기 블록몸체(20)의 사이에 "
Figure 112018125732340-pat00002
"형태의 공간부(30)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판(10)의 상부면 가장자리는 하부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문어 또는 해삼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이동경사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110)의 단부 모서리는 직각부가 각각 절단되어 모서리 보호부(140)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록몸체(20)의 단위블록유닛(210) 중 2개의 단위블록유닛(210)에는 길이 방향의 외측단부에 문어·해삼 출입구(211)가 형성되며, 양측벽 하단에는 이물질 배출구(212)가 형성되어지고, 나머지 1개의 단위블록유닛(210)에는 길이 방향의 외측단부가 폐쇄된 형태를 가지며, 폐쇄된 부분의 하단과 양측벽 하단에 각각 이물질 배출구(212)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록몸체(20)의 어느 일측 단위블록유닛(210)의 내측 내주면에는 칸막이 리브(213)가 하향 형성되어 문어·해삼 산란 공간부(310)가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록몸체(20)의 어느 일측 단위블록유닛(210)의 양측벽 상부에는 해수관통홀(214)이 형성되어 문어·해삼 서식공간부(320)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록몸체(20)의 단위블록유닛(210) 상부면에서 중심에서 외측 단부까지"
Figure 112018125732340-pat00003
"형태를 갖는 홈부(215)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10)과 블록몸체(20)는 철근콘크리트로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건 발명은 바닥판의 상부로 구비된 블록몸체의 내부로 칸박이 리브에 의하여 문어·해삼 산란공간부와 쉼공간부가 구분되도록 함으로써, 문어가 낮에는 내부에 숨어 있다가 밤에 나와서 감각류, 조개류를 잡아 먹을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해삼 역시 내부에 숨어 있다가 나와서 바닥을 기어 다니면서 어패류 등의 썩은 유기물을 포식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외부에 홈부에 구비됨으로써, 해조류의 활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상부를 포함하는 주변의 수중환경이 복원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문어·해삼 서식 블록이 천연 바위같도록 하여 서식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바닥판의 상부에 블록몸체가 얹혀져 문어·해삼 서식 블록이 일체로 구비된 형태를 갖는 과정에서 블록몸체의 하부로 돌출된 철근 앵커가 바닥판의 양생 과정에서 소정 깊이로 삽입된 상태로 양생됨에 따라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문어·해삼 서식 블록의 사시도.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문어·해삼 서식 블록의 분해 사시도.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문어·해삼 서식 블록의 저면 분해 사시도.
도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문어·해삼 서식 블록의 종단면도.
도5는 이 건 발명에 따른 문어·해삼 서식 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6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문어·해삼 서식 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저면 분해 사시도.
이 건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문어·해삼 서식 블록의 사시도이고,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문어·해삼 서식 블록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문어·해삼 서식 블록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문어·해삼 서식 블록의 종단면도이다.
이 건 발명에 따른 문어·해삼 서식 블록(A)은 문어가 낮에는 내부에 숨어 있다가 밤에 나와서 감각류, 조개류를 잡아 먹을 수 있도록 하고, 해삼 역시 낮에는 내부에 숨어 있다가 밤에 나와서 바닥을 기어 다니면서 어패류 등의 썩은 유기물을 포식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해조류의 활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주변의 수중환경이 복원되어 서식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건 발명은 바닥판(10)의 상부에 블록몸체(20)가 구비된 문어·해삼 서식 블록(A)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0)은 중심에서 외부를 향하여 3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부(110)가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각각의 지지부(110) 하부에는 다리부(120)가 하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블록몸체(20)는 상기 바닥판(10)의 지지부(110) 상부에 얹혀지도록 중심에서 외부를 향하여 "
Figure 112019052097502-pat00020
"형태의 단위블록유닛(210)이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블록몸체(20)의 단위블록유닛(210) 상부면에는 중심에서 외측 단부까지"
Figure 112019052097502-pat00021
"형태를 갖는 홈부(215)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블록몸체(20)의 내부는 "
Figure 112019052097502-pat00022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10)의 상부면과 상기 블록몸체(20)의 사이에 "
Figure 112019052097502-pat00023
"형태의 공간부(30)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블록몸체(20)의 단위블록유닛(210) 중 2개의 단위블록유닛(210)의 길이 방향 외측단부에는 문어·해삼 출입구(211)가 형성되고, 양측벽 하단에는 이물질 배출구(212)가 형성되며, 양측벽 상부에는 해수관통홀(214)이 형성되어 문어·해삼 서식공간부(320)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블록몸체(20)의 단위블록유닛(210) 중 나머지 1개의 단위블록유닛(210)의 길이 방향 외측단부는 폐쇄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폐쇄된 부분의 길이 방향 외측단부 하단과 양측벽 하단에 이물질 배출구(212)가 각각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판(10)과 블록몸체(20)로 구비된 것으로 상기 바닥판(10)의 상부로 "
Figure 112019052097502-pat00004
"형태의 공간부(30)를 갖는 블록몸체(20)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바닥판(10)은 철근콘크리트로 형성된 것으로 중심에서 외부를 향하여 3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부(110)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각각의 지지부(110) 하부도 다리부(120)가 일체로 돌출되는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해저의 바닥이 모래일 경우, 지지부(110)에 의하여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해저의 바닥이 암석일 경우, 다리부(120)에 의하여 수평이 유지될 수 있게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바닥판(10)의 상부면 가장자리는 하부 외측으로 경사진 형태를 갖는 이동경사부(130)가 형성되어 문어 또는 해삼의 이동이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110)의 단부 모서리는 직각부가 각각 절단되어 모서리 보호부(140)가 형성되어 제조와 보관, 운반 및 시공과정에서 접촉으로 인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블록몸체(20)는 바닥판(10)의 상부에 내,외부가 구획된 공간이 제공될 수 있게 철근콘크리트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바닥판(10)의 상부에 얹혀지도록 중심에서 외부를 향하여 3개의 단위블록유닛(21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블록몸체(20)의 내부는 "
Figure 112018125732340-pat00005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10)의 상부면과 상기 블록몸체(20)의 사이에 공간부(30)가 형성되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단위블록유닛(210) 중 2개의 단위블록유닛(210) 길이 방향의 외측단부에는 각각 문어·해삼 출입구(211)가 형성되고, 양측벽 하단에는 이물질 배출구(212)가 형성되어 문어·해삼이 공간부(30)내에서 서식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배설물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단위블록유닛(210) 중 나머지 1개의 단위블록유닛(210) 길이 방향의 외측단부는 폐쇄된 형태를 가지며, 폐쇄된 부분의 하단과 양측벽 하단에 각각 이물질 배출구(212)가 형성되어 문어·해삼의 산란을 위한 문어·해삼 산란 공간부(310)가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문어·해삼 출입구(211)로부터 가장 깊숙한 곳에 자리하여 천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건 발명에서는 3개의 단위블록유닛(210) 중 2개의 단위블록유닛(210) 길이 방향의 외측단부에 문어·해삼 출입구(211)가 형성되도록 하고, 나머지 하나의 단위블록유닛(210) 길이 방향의 외측단부에 이물질 배출구(212)가 형성되어지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단위블록유닛(210)의 단부에는 현장 상황에 따라 문어·해삼 출입구(211)와 이물질 배출구(212)가 더 형성되어지도록 하거나, 줄어 들 수 있도록 하는 형태를 갖도록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단위블록유닛(210)의 단부에 형성되는 문어·해삼 출입구(211)와 이물질 배출구(212)는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이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패널형태를 갖도록 하여 억지 끼워맞춤식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블록몸체(20)의 어느 일측 단위블록유닛(210)의 내측 내주면에는 "
Figure 112018125732340-pat00006
"형태를 갖는 칸막이 리브(213)가 하향 형성되어 문어·해삼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
Figure 112018125732340-pat00007
"형태를 갖는 단면이 좁아지도록 하여 어느 정도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문어·해삼 산란 공간부(310)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칸막이 리브(213)에서부터 길이방향 외측단부에 형성된 출입구(211)까지의 공간부(30)의 내부에서 문어·해삼이 서식하는 과정에서 은폐되어짐으로써, 천적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블록몸체(20)의 어느 일측 단위블록유닛(210)의 양측벽 상부에는 해수관통홀(214)이 형성된 문어·해삼 서식공간부(320)가 형성됨으로써, 내부에 있는 해수의 순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서식에 필요한 최적의 환경이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블록몸체(20)의 단위블록유닛(210) 상부에는 상부면의 중심에서 외측 단부까지"
Figure 112018125732340-pat00008
"형태를 갖는 홈부(215)가 형성되어짐으로써, 문어·해삼 활동공간이 되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다시마, 미역, 김, 우뭇가사리, 꼬시래기, 개우무 등의 해조류 활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식생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바닥판(10)과 블록몸체(20)의 결합은 1회 양생공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바닥판(10)의 형태를 갖도록 미도시한 거푸집의 내부로 철근이 배근되어지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블록몸체(20)의 형태를 갖도록 미도시한 거푸집의 내부로 철근이 배근되어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단위블록유닛(210)을 갖는 볼록몸체(20) 만이 먼저 양생되도록 한다.
상기 바닥판(10)에 얹혀지는 부분인 단위블록유닛(210)의 양측벽 하단부에는 10~20Cm의 길이를 갖는 앵커용 철근(220)이 하부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판(10)을 제조하기 위해 철근이 배근된 바닥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되기 전에 앵커용 철근(220)이 돌출된 부분이 타설된 콘크리트의 상부면에 얹혀지도록 함으로써, 블록몸체(20)의 자중에 의하여 소정 깊이로 상기 바닥판(10)의 상부면에 매립되어 양생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앵커용 철근(220)은 단위블록유닛(210)의 각측벽 하단부에 각각 2개씩 총 12개가 구비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작과 보관, 운반 및 시공과정에서 바닥판(10)과 블록몸체(20)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해저에 시공된 상태에서도 바닥판(10)과 블록몸체(20) 사이가 들뜨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5는 이 건 발명에 따른 문어·해삼 서식 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6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문어·해삼 서식 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이 건 발명에서 바닥판(10)과 블록몸체(20)가 중심에서 외부를 향하여 3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갖도록 하여 해류의 흐름의 변화를 주어 해류 속도가 줄어 들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0)은 삼각형태를 갖도록 하는 가운데 블록몸체(20) 만이 중심에서 외부를 향하여 3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바닥면(10)의 면적이 넓어지게 됨에 따라 해저 바닥에 더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블록몸체(20)를 구비하는 각각의 단위블록유닛(210)이 3방향으로 연장되는 시작부분의 내측 모서리에 각각 리브벽(216)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은폐를 위한 장애물이 구비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단위블록유닛(210)의 상부인 천장측 내측면에 각각 길이 방향을 갖는 2개의 착상돌부(217)가 구비되어 문어나 해삼을 포함하는 수중생물의 산란된 알이 안정적으로 착상될 수 있으므로 증식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게 된다. 이때, 상기 3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갖도록 구비된 단위블록유닛(210) 중 2개의 단위블록유닛(210)은 외측단부측이 완전히 개방된 형태를 갖도록 하여 문어·해삼의 입출입이 좀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나머지 하나의 단위블록유닛(210)은 외측단부측이 완전히 폐쇄된 상태에서 관통홀(218)만이 형성된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출입구로부터 가장 깊숙한 곳에 자리함에 따라 은폐할 수 있는 공간을 넓혀 천적으로부터 더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10:바닥판 20:블록몸체
30:공간부 110:지지부
120:다리부 130:이동경사부
140:모서리 보호부 210:단위블록유닛
211:문어·해삼 출입구 212:이물질 배출구
213:칸막이 리브 214:해수관통홀
215:홈부 310:문어·해삼 산란 공간부
320:문어·해삼 서식공간부

Claims (7)

  1. 바닥판(10)의 상부에 블록몸체(20)가 구비된 문어·해삼 서식 블록(A)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0)은 중심에서 외부를 향하여 3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부(110)가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각각의 지지부(110) 하부에는 다리부(120)가 하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블록몸체(20)는 상기 바닥판(10)의 지지부(110) 상부에 얹혀지도록 중심에서 외부를 향하여 "
    Figure 112019052097502-pat00024
    "형태의 단위블록유닛(210)이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블록몸체(20)의 단위블록유닛(210) 상부면에는 중심에서 외측 단부까지"
    Figure 112019052097502-pat00025
    "형태를 갖는 홈부(215)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블록몸체(20)의 내부는 "
    Figure 112019052097502-pat00026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10)의 상부면과 상기 블록몸체(20)의 사이에 "
    Figure 112019052097502-pat00027
    "형태의 공간부(30)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블록몸체(20)의 단위블록유닛(210) 중 2개의 단위블록유닛(210)의 길이 방향 외측단부에는 문어·해삼 출입구(211)가 형성되고, 양측벽 하단에는 이물질 배출구(212)가 형성되며, 양측벽 상부에는 해수관통홀(214)이 형성되어 문어·해삼 서식공간부(320)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블록몸체(20)의 단위블록유닛(210) 중 나머지 1개의 단위블록유닛(210)의 길이 방향 외측단부는 폐쇄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폐쇄된 부분의 길이 방향 외측단부 하단과 양측벽 하단에 이물질 배출구(212)가 각각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문어·해삼 서식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0)의 상부면 가장자리는 하부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문어 또는 해삼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이동경사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110)의 단부 모서리는 직각부가 각각 절단되어 모서리 보호부(140)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문어·해삼 서식 블록.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몸체(20)의 어느 일측 단위블록유닛(210)의 내측 내주면에는 칸막이 리브(213)가 하향 형성되어 문어·해삼 산란 공간부(310)가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문어·해삼 서식 블록.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0)과 블록몸체(20)는 철근콘크리트로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어·해삼 서식 블록.
KR1020180161727A 2018-12-14 2018-12-14 문어·해삼 서식 블록 KR102002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727A KR102002335B1 (ko) 2018-12-14 2018-12-14 문어·해삼 서식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727A KR102002335B1 (ko) 2018-12-14 2018-12-14 문어·해삼 서식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2335B1 true KR102002335B1 (ko) 2019-07-23

Family

ID=67439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727A KR102002335B1 (ko) 2018-12-14 2018-12-14 문어·해삼 서식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23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4925B1 (ko) * 2019-09-10 2020-01-10 주식회사 창신산업개발 문어 산란용 어초
KR20200058057A (ko) * 2018-11-19 2020-05-27 주식회사 경봉기업 문어어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099B1 (ko) * 2013-07-03 2013-12-20 옹 진 군 다기능성 해삼어초
KR101874483B1 (ko) 2017-10-17 2018-07-04 주식회사 해건 문어 및 해삼 증식 다기능 블럭
KR101920839B1 (ko) * 2018-05-03 2018-11-21 주식회사 창신산업개발 모듈형 문어 산란 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099B1 (ko) * 2013-07-03 2013-12-20 옹 진 군 다기능성 해삼어초
KR101874483B1 (ko) 2017-10-17 2018-07-04 주식회사 해건 문어 및 해삼 증식 다기능 블럭
KR101920839B1 (ko) * 2018-05-03 2018-11-21 주식회사 창신산업개발 모듈형 문어 산란 구조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057A (ko) * 2018-11-19 2020-05-27 주식회사 경봉기업 문어어초
KR102171756B1 (ko) * 2018-11-19 2020-10-29 주식회사 경봉기업 문어어초
KR102064925B1 (ko) * 2019-09-10 2020-01-10 주식회사 창신산업개발 문어 산란용 어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5893B1 (ko) 육각 콘크리트 어초
KR100913808B1 (ko) 삼각 패조류 인공어초
JP2006254880A (ja) カニ類等の池中養殖法
KR101784306B1 (ko) 산란장소를 제공하는 인공어초
KR102002335B1 (ko) 문어·해삼 서식 블록
KR100762820B1 (ko) 석탑형 다기능 인공어초
KR100541281B1 (ko) 인공어초 겸용 테트라포드
KR101598322B1 (ko) 다기능 계단형 인공어초
US20150321737A1 (en) Shark Barrier
KR100580081B1 (ko) 아치형 인공어초
KR102064925B1 (ko) 문어 산란용 어초
KR101596648B1 (ko) 아치형 인공어초
KR100948592B1 (ko) 원통 2단형 인공어초
KR100852935B1 (ko) 인공 어초
KR101103328B1 (ko) 거북형 인공어초
JP6617372B2 (ja) 稚ナマコの中間育成施設及び放流方法
KR100948590B1 (ko) 다기능 삼각형 인공어초
KR101196669B1 (ko) 다공성황토블럭을 이용한 다기능 인공어초
JP4851762B2 (ja) 栽培養殖漁業用魚礁
KR101050764B1 (ko) 인공어초
KR102144053B1 (ko) 구조안정성이 개선되고 서식 및 은신 공간이 증가된 다기능 삼각형 인공어초
KR101920839B1 (ko) 모듈형 문어 산란 구조물
JP2006288381A (ja) 蛸の産卵用漁礁
KR102218630B1 (ko) 낙지 양식 장치
KR102068220B1 (ko) 해삼 은신처용 인공어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