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0839B1 - 모듈형 문어 산란 구조물 - Google Patents

모듈형 문어 산란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0839B1
KR101920839B1 KR1020180051455A KR20180051455A KR101920839B1 KR 101920839 B1 KR101920839 B1 KR 101920839B1 KR 1020180051455 A KR1020180051455 A KR 1020180051455A KR 20180051455 A KR20180051455 A KR 20180051455A KR 101920839 B1 KR101920839 B1 KR 101920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cattering
octopus
spawning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신산업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신산업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신산업개발
Priority to KR1020180051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08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01K61/78Arrangements for sinking or moor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01K61/77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of monolithic form, e.g. bloc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3Artificial seawe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60Fishing; Aquaculture; Aquafarming
    • Y02P60/64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형 문어 산란 구조물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기초바닥블록을 이용하여 평탄면을 조성한 후 산란블록이 조립 시공되므로 해저 경사지형 및 연약지반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문어 산란지가 구축됨과 더불어 산란블록의 하부 개방부가 기초바닥블록과의 조합에 의해 마감처리됨에 따라 폐쇄형 문어 산란공간 형성이 용이하고, 특히 문어 종 및 해류방향을 포함하는 해저생태 정보를 기반으로 산란블록 사이즈, 기초바닥블록 1개당 설치수량 및 출입구 배치방향을 조절하여 맞춤형 문어 산란공간을 제공하는 모듈형 문어 산란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듈형 문어 산란 구조물 {Module type octopus spawning structure}
본 발명은 모듈형 문어 산란 구조물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기초바닥블록을 이용하여 평탄면을 조성한 후 산란블록이 조립 시공되므로 해저 경사지형 및 연약지반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문어 산란지가 구축됨과 더불어 산란블록의 하부 개방부가 기초바닥블록과의 조합에 의해 마감처리됨에 따라 폐쇄형 문어 산란공간 형성이 용이하고, 특히 문어 종 및 해류방향을 포함하는 해저생태 정보를 기반으로 산란블록 사이즈, 기초바닥블록 1개당 설치수량 및 출입구 배치방향을 조절하여 맞춤형 문어 산란공간을 제공하는 모듈형 문어 산란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는 어종인 문어는, 거대한 시장을 형성하는 고급어종이나, 2010년 이후 문어의 자원량의 감소가 뚜렷한 반면 소비량은 증가해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어업적으로 매우 중요한 종이다.우리나라의 경우도 2009년 문어 생산량(16,000MT)이 고조에 달한 후 매년 급감하고 있는 상황이며, 특히 동해안에서 어획되는 대문어는 어민 소득 증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어종으로 주목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문어는 재생산력이 비교적 낮은 종으로서, 산란이 거의 평생 한번 이루어진다고 밝혀지고 있어 일찌기 일본, 칠레, 남유럽 등지에서 양식기술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큰 성과를 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일본의 경우, 특개평8-80139 발명은 산란에서 부화 및 성장에 이르는 문어어초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문어어초는 번식환경으로서 수질의 정화작용, 치(稚)문어, 유(幼)문어의 성장공간과 제공함과 동시에 기반 구조를 구비하여 해저에 매몰되지 않고, 조류나 저인망에 의해 위치가 이동치 않도록 하여 문어의 산란환경에 필수적인 밀폐성과 오염방지를 도모하고 있다. 상기 발명에서 기반 구조는 다리를 가지고 있고, 기반 상에 굴껍질을 충진한 보호소(shelter)를 마련하여, 그 보호소 주위에 관통 구멍을 갖는 문어 항아리를 관통 구멍이 막히지 않도록 복수 배치하는 구조이다. 문어 항아리는 여러 철근을 통해 기초 상에 복수 배치하고, 보호소는 하방외주의 플랜지를 기반 상의 앵글 프레임에 함몰시켜 몰타르 복설하여 고정하는 구조이다. 그런데 상기 발명은 문어항아리, 보호소 및 콘크리트구조물이 일체화된 구조를 가지므로 제작, 시공성이 까다롭고 다양한 해저환경에 맞추기 어렵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문어 관련 연구로서 문헌자료 1 (권인영,“해상 및 실내 수조 실험을 통한 개별 및 그룹형 문어(Octopusvulgaris) 양성 기구의 생물학적 성능 평가”(석사학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과 같이 특정 지역의 문어의 생태학적 연구에 관한 것이거나, 문헌자료 2(이성일 외 4인,“강원도 연안 대문어의 성숙과 산란”,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2014.)와 같이 특정 조건 하의 수조실험을 통한 생물학적 성능에 관한 연구가 수행된 바 있다. 그러나, 문어의 산란에서 부화, 초기단계 성장에서 우리나라와 해저 생태계와 적합한 문어 산란 어초 내지 구조물은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원 발명자는 해저 생태계 조성용 인공어초를 개발해온 경험과 문어 산란의 생태학적 연구를 통해 본원 발명을 하게 되었다. 본원 발명자는 선행 발명 (등록특허 10-1615887)에서 슬래그를 이용하게 종묘로프의 설치 및 양식생물의 수확이 용이한 해저 생태계 조성용 인공어초를 제공한 바 있고, 또 특허등록 (10-1692481)에서 슬래그를 이용한 해저생태계 조성을 위한 투석사업용 투석블록군을 제시한 바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자의 슬래그를 이용한 인공어초 기술을 바탕으로, 문어 자원의 지속적인 이용을 위해서 산란에서부터 성장에 이르기까지의 문어 생태계에 적합한 해양환경 조성을 위해 본 발명을 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문어의 산란 및 초기 성장단계에 적합한 생태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기초바닥블록을 이용하여 평탄면을 조성한 후 산란블록이 조립 시공되어 해저 경사지형 및 연약지반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문어 산란지가 구축되는 모듈형 문어 산란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의 모듈형 문어 산란 구조물은, 산란블록의 하부 개방부가 기초바닥블록과의 조합에 의해 마감처리됨에 따라 안전하고 독립적 공간으로서 폐쇄형 문어 산란공간 형성을 하는 동시에, 그 산란공간이 오염되지 않고 해류가 안정적으로 순환되도록 산란블록 사이즈, 기초바닥블록 1개당 설치수량 및 출입구 배치방향을 조절하여 모듈형 문어 산란공간을 제공하는 모듈형 문어 산란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복수개의 레그암(12)에 의해 해저바닥 상부로 이격 설치되어, 상면에 평탄면(14)이 구비되는 기초바닥블록(10); 상기 기초바닥블록(10)의 평탄면(14)에 조립 설치되고, 양측으로 출입구(24a)가 개방된 문어 산란공간부(21)를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산란블록(20); 상기 산란블록(20)은, 하부에 개방부(22a)가 형성되는 아치형 터널부(22)와, 터널부(22) 양측을 마감하면서 출입구(24a)가 형성되는 측벽부(24)와, 터널부(22) 천장에 문어 산란을 위해 형성되는 평면 착상부(26)와, 터널부(22)는 기초바닥블록(10)에 조립 설치시 평탄면(14)과 조합에 의해 개방부(22a)가 마감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산란블록(20)은 문어 종 및 해류방향을 포함하는 해저생태 정보를 기반으로 사이즈, 기초바닥블록 1개당 설치수량, 출입구 배치방향이 결정되어 맞춤형 문어 산란공간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기초바닥블록(10)과 산란블록(20)은 끼움홈부(30)와 끼움돌부(32)에 의해 맞물려 조립 설치되고, 기초바닥블록(10)에 형성되는 끼움홈부(30) 또는 끼움돌부(32)는 규칙적으로 반복 형성되어 산란블록(20)의 설치위치 변경 및 설치수량이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널부(22)는 외주면에 종묘로프(S)가 설치되도록 요철라인(22b)이 형성되고, 종묘로프(40)에 의해 각종 해양 동식물의 서식지인 바다숲이 조성되면서 산란기 문어의 서식장소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산란블록(20)에는 단일의 끼움돌부(32)가 형성되어 기초바닥블록(10)의 끼움홈부(30)에 맞물려 조립되고, 끼움홈부(30)에 맞물린 끼움돌부(32)를 축으로 산란블록(20) 선회각이 조절되어 출입구(24a) 배치방향이 변경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초바닥블록(10) 저면에 문어 산란을 위한 멀티 평면 착상부(1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평탄면(14)에는 요철라인(14a)이 형성되고, 요철라인(14a)에 종묘로프(S)를 삽입 설치한 상태로 산란블록(20)을 조립 설치하여, 문어 산란공간부(21) 바닥면에서 종묘로프(40)에 의해 각종 해양 식물로 이루어지는 바다숲이 조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초바닥블록(10)과 산란블록(20)은 슬래그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기초바닥블록을 이용하여 평탄면을 조성한 후 산란블록이 조립 시공되므로 해저 경사지형 및 연약지반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문어 산란지가 구축된다.
또 산란블록의 하부 개방부가 기초바닥블록과의 조합에 의해 마감처리됨에 따라 폐쇄형 문어 산란공간 형성이 용이하고, 특히 문어 종 및 해류방향을 포함하는 해저생태 정보를 기반으로 산란블록 사이즈, 기초바닥블록 1개당 설치수량 및 출입구 배치방향을 조절하여 맞춤식으로 모듈형 문어 산란공간을 제공하여, 우리나라 해저 지형에 부합한 어초환경을 제공하며 시공이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산물인 슬래그를 이용하여 제조원가 및 산업자원의 재활용에도 크게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문어 산란 구조물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문어 산란 구조물의 정방향 및 측방향으로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문어 산란 구조물의 산란블록을 배치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문어 산란 구조물의 외주면에 종묘로프가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문어 산란 구조물의 산란블록 선회방향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문어 산란 구조물의 문어 산란공간부에 바다숲이 조성된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모듈형 문어 산란 구조물에 관련되며, 이때 모듈형 문어 산란 구조물은 기초바닥블록을 이용하여 평탄면을 조성한 후 산란블록이 조립 시공되므로 해저 경사지형 및 연약지반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문어 산란지가 구축됨과 더불어 산란블록의 하부 개방부가 기초바닥블록과의 조합에 의해 마감처리됨에 따라 폐쇄형 문어 산란공간 형성이 용이하고, 특히 문어 종 및 해류방향을 포함하는 해저생태 정보를 기반으로 산란블록 사이즈, 기초바닥블록 1개당 설치수량 및 출입구 배치방향을 조절하여 맞춤형 문어 산란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기초바닥블록(10), 산란블록(20)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기초바닥블록(10)은 복수개의 레그암(12)에 의해 해저바닥 상부로 이격 설치되어, 상면에 평탄면(14)이 구비된다. 기초바닥블록(10)은 슬래그를 포함하는 성형물로서, 저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레그암(12)이 일체로 성형된다. 도 1에서 레그암(12)은 기초바닥블록(10) 저면에 4개소에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는바, 이때 레그암(12)은 해저바닥에 접지된 상태로 기초바닥블록(10) 저면이 해저바닥 상부로 이격되도록 지지하므로, 기초바닥블록(10)과 해저바닥 사이에 산란공간 및 서식공간이 제공된다.
즉, 도 2와 같이 상기 기초바닥블록(10) 저면에 문어 산란을 위한 멀티 평면 착상부(16)가 구비된다. 멀티 평면 착상부(16)는 기초바닥블록(10) 저면을 평면으로 형성하여 기초바닥블록(10)과 해저바닥 사이에 천장이 평면인 산란공간이 제공된다. 이에 알을 매다는 방식으로 산란하는 문어에게 넓은 평면 천장을 제공하므로 보다 많은 양의 알 착상이 가능하고, 또 격리된 구획으로 인해 천적들로부터 알이 안전하게 보호됨과 더불어 복수개의 레그암(12) 사이로 흐르는 해류에 의해 알들 사이로 신선한 해수가 유입되어 괴사없이 산란율이 증가되는 이점이 있다.
이처럼 상기 기초바닥블록(10)을 시공시 상면에 평탄면(14)이 조성되므로, 후술하는 산란블록(20)과의 조립에 의해 해저 경사지형 및 연약지반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이면서 광범위한 영역의 문어 산란지가 구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산란블록(20)은 기초바닥블록(10)의 평탄면(14)에 조립 설치되고, 양측으로 출입구(24a)가 개방된 문어 산란공간부(21)를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산란블록(20)은 슬래그를 포함하는 성형물로서, 기초바닥블록(10)과의 조립 시공에 의해 산란공간부(21)가 형성된다.
도 1에서, 상기 산란블록(20)은, 하부에 개방부(22a)가 형성되는 아치형 터널부(22)와, 터널부(22) 양측을 마감하면서 출입구(24a)가 형성되는 측벽부(24)와, 터널부(22) 천장에 문어 산란을 위해 형성되는 평면 착상부(26)와, 터널부(22)는 기초바닥블록(10)에 조립 설치시 평탄면(14)과 조합에 의해 개방부(22a)가 마감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터널부(22)는 도 2 (a)와 같이 외주면이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해류에 의한 저항이 감소되어 시공 후에도 조립구조의 안전성이 확보된다. 또 측벽부(24)는 터널부(22) 양측을 마감하도록 구비되어 도 2(b)처럼 터널부(22) 내부의 산란공간부(21) 보다 작은 사이즈로 개방되는 출입구(24a)가 형성되고, 이때 출입구(24a)은 산란블록(20) 양측으로 개방되어, 어느 일측 출입구(24a)로 해수가 투입되면 다른 일측 출입구(24a)로 해수 배출되는 방식으로 순환되어, 해류에 의해 알들 사이로 신선한 해수가 유입되어 산란율이 증가되는 이점이 있다.
이때, 상기 산란블록(20)은 평면 착상부(26)로 인해 알을 매다는 방식으로 산란하는 문어에게 넓은 평면 천장을 제공하므로 보다 많은 양의 알이 착상되고, 또 좁은 출입구(24a)로 인해 격리된 구획내에서 천적들로부터 알이 안전하게 보호된다.
또한, 상기 터널부(22)는 기초바닥블록(10)에 조립 설치시 평탄면(14)과 조합에 의해 개방부(22a)가 마감되는 구성으로서, 산란블록(20) 저면이 개방부(22a)에 의해 뚫린 구조를 가지므로, 금형을 이용한 성형시 언더컷부분이 삭제되어 터널부(22) 내부의 산란공간부(21) 형성에 따른 성형성 및 성형 시간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산란블록(20)은 문어 종 및 해류방향을 포함하는 해저생태 정보를 기반으로 사이즈, 기초바닥블록(10) 1개당 설치수량, 출입구 배치방향이 결정되어 맞춤형 문어 산란공간이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일실예로서 기초바닥블록(10)은 동일한 사이즈로 제작되고, 산란블록(20)은 사이즈별로 준비하여 시공 위치의 문어 종에 따른 사이즈를 고려하여 그에 적합한 산란블록(20)을 조합하여 문어 산란공간을 형성하거나, 다른 실시예로서 도 3과 같이 단일의 기초바닥블록(10) 상에 산란블록(20)을 1개 이상 설치하는바, 도 3(a)는 산란블록(20)이 1개 설치되는 구성도이고, 도 3(b)는 산란블록(20)이 사선방향으로 2개소에 설치된 구성도이며, 도 3(c)는 산란블록(20)이 좌우 대칭되는 위치에 2개가 설치되는 구성도이고, 이때 2개이상의 산란블록(20)을 적용시에는 출입구(24a) 방향을 동일 위치로 일치시켜 산란공간부(21)의 해수 순환이 원할하도록 한다.
한편 도 3 (b) 내지 (c)에서 2개의 산란블록(20)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여기서 산란블록(20)은 3개소 이상에 증설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산란블록(20)은 기초바닥블록(10) 상에서 선회되어 출입구(24a) 방향이 조절되는바, 이는 기초바닥블록(10)은 고중량으로 해저 바닥에 시공 후 인력으로 위치변경이 불가능하므로, 해류 방향을 포함하는 해저생태 정보를 기반으로 출입구(24a)를 통한 해수 순환이 용이하도록 산란블록(20)의 각도를 수중 작업자가 조절하여 해저생태 환경에 적합한 맞춤형 문어 산란지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기초바닥블록(10)과 산란블록(20)은 끼움홈부(30)와 끼움돌부(32)에 의해 맞물려 조립 설치되고, 기초바닥블록(10)에 형성되는 끼움홈부(30) 또는 끼움돌부(32)는 규칙적으로 반복 형성되어 산란블록(20)의 설치위치 변경 및 설치수량이 조절되도록 구비된다. 도 1에서 기초바닥블록(10) 평탄면(14)에 끼움홈부(30)가 형성되고 산란블록(20) 저면에 끼움돌부(32)가 형성되어 끼움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끼움홈부(30)와 끼움돌부(32)의 형성 위치 및 개수는 선택적으로 변경 가능하다.
이에 기초바닥블록(10)과 산란블록(20)이 끼움홈부(30)와 끼움돌부(32)에 의해 종방향으로 맞물려 조립 설치됨에 따라 해류에 의한 산란블록(20)의 유동이 방지되면서 수중에서 산란블록(20) 고정작업이 신속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도 5에서, 상기 산란블록(20)에는 단일의 끼움돌부(32)가 형성되어 기초바닥블록(10)의 끼움홈부(30)에 맞물려 조립되고, 끼움홈부(30)에 맞물린 끼움돌부(32)를 축으로 산란블록(20) 선회각이 조절되어 출입구(24a) 배치방향이 변경되도록 구비된다. 즉, 산란블록(20)의 끼움돌부(32)를 기초바닥블록(10)의 끼움홈부(30) 중 어느 하나에 끼움 결합한 상태로 산란블록(20)을 선회시키면 출입구(24a) 배치방향이 끼움돌부(32)를 축으로 변경된다.
이에 산란블록(20)를 설치 후 해류방향에 따라 출입구(24a)를 통한 해수 순환이 용이하도록 산란블록(20) 방향을 조절하므로 해저생태 정보 기반의 최적화된 맞춤형 문어 산란공간부(21)를 제공하게 된다.
도 4에서, 상기 터널부(22)는 외주면에 종묘로프(S)가 설치되도록 요철라인(22b)이 형성되고, 종묘로프(40)에 의해 각종 해양 동식물의 서식지인 바다숲이 조성되면서 산란기 문어의 서식장소를 제공한다. 종묘로프(40)는 해양 식물 종자가 포함된 로프로서, 종묘로프(40)에 의해 산란블록(20) 외주면에 바다숲이 조성되어 각종 해양 동식물이 모여들어 어장을 형성하고, 이때 산란기에 알을 지키기 위해 원거리를 이동하지 못하는 문어들이 바다숲에 서식하는 각종 해양 동식물을 먹이사냥하여 생존하면서 건강한 상태로 알을 보호하므로 알 부화율이 증가된다.
도 6에서, 상기 평탄면(14)에는 요철라인(14a)이 형성되고, 요철라인(14a)에 종묘로프(S)를 삽입 설치한 상태로 산란블록(20)을 조립 설치하여, 문어 산란공간부(21) 내측 바닥면에서 종묘로프(40)에 의해 각종 해양 식물로 이루어지는 바다숲이 조성되도록 구비된다. 즉 평탄면(14)에는 요철라인(14a)에 종묘로프(40)가 설치된 상태에서 산란블록(20)을 조립 설치됨에 따라 산란블록(20) 내부 공간과 대응하는 평탄면(14) 영역에서 생장하는 해양 식물이 산란블록(20)의 산란공간부(21) 내부에 바다숲이 조성되고, 이로 인해 산란공간부(21)이 바다숲에 의해 보다 은밀한 문어 산란공간이 제공됨과 더불어 해저 동굴, 바위틈과 같은 천연산란지에 가까운 문어 산란 환경이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10: 기초바닥블록 20: 산란블록
30: 끼움홈부 40: 종묘로프

Claims (7)

  1. 복수개의 레그암(12)에 의해 해저바닥 상부로 이격 설치되어, 상면에 평탄면(14)이 구비되는 기초바닥블록(10);
    상기 기초바닥블록(10)의 평탄면(14)에 조립 설치되고, 양측으로 출입구(24a)가 개방된 문어 산란공간부(21)를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산란블록(20);
    상기 산란블록(20)은, 하부에 개방부(22a)가 형성되는 아치형 터널부(22)와, 터널부(22) 양측을 마감하면서 출입구(24a)가 형성되는 측벽부(24)와, 터널부(22) 천장에 문어 산란을 위해 형성되는 평면 착상부(26)와, 터널부(22)는 기초바닥블록(10)에 조립 설치시 평탄면(14)과 조합에 의해 개방부(22a)가 마감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산란블록(20)은 문어 종 및 해류방향을 포함하는 해저생태 정보를 기반으로 사이즈, 기초바닥블록 1개당 설치수량, 출입구 배치방향이 결정되어 맞춤형 문어 산란공간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문어 산란 구조물.
    상기 평탄면(14)에는 요철라인(14a)이 형성되고, 요철라인(14a)에 종묘로프(S)를 삽입 설치한 상태로 산란블록(20)이 조립 설치되어, 문어 산란공간부(21) 내측 바닥면에서 종묘로프(40)에 의해 각종 해양 식물로 이루어지는 바다숲이 조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문어 산란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바닥블록(10)과 산란블록(20)은 끼움홈부(30)와 끼움돌부(32)에 의해 맞물려 조립 설치되고, 기초바닥블록(10)에 형성되는 끼움홈부(30) 또는 끼움돌부(32)는 규칙적으로 반복 형성되어 산란블록(20)의 설치위치 변경 및 설치수량이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문어 산란 구조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부(22)는 외주면에 종묘로프(S)가 설치되도록 요철라인(22b)이 형성되고, 종묘로프(40)에 의해 각종 해양 동식물의 서식지인 바다숲이 조성되면서 산란기 문어의 서식장소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문어 산란 구조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블록(20)에는 단일의 끼움돌부(32)가 형성되어 기초바닥블록(10)의 끼움홈부(30)에 맞물려 조립되고, 끼움홈부(30)에 맞물린 끼움돌부(32)를 축으로 산란블록(20) 선회각이 조절되어 출입구(24a) 배치방향이 변경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문어 산란 구조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바닥블록(10) 저면에 문어 산란을 위한 멀티 평면 착상부(1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문어 산란 구조물.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바닥블록(10)과 산란블록(20)은 슬래그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문어 산란 구조물.
KR1020180051455A 2018-05-03 2018-05-03 모듈형 문어 산란 구조물 KR101920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455A KR101920839B1 (ko) 2018-05-03 2018-05-03 모듈형 문어 산란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455A KR101920839B1 (ko) 2018-05-03 2018-05-03 모듈형 문어 산란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0839B1 true KR101920839B1 (ko) 2018-11-21

Family

ID=64602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455A KR101920839B1 (ko) 2018-05-03 2018-05-03 모듈형 문어 산란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08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335B1 (ko) * 2018-12-14 2019-07-23 주식회사 해건 문어·해삼 서식 블록
KR20200058057A (ko) * 2018-11-19 2020-05-27 주식회사 경봉기업 문어어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311B1 (ko) * 2007-11-29 2008-06-13 주식회사 그린코리아 계단형 인공어초
KR101615887B1 (ko) * 2015-07-24 2016-04-27 장현수 종묘로프의 설치 및 양식생물의 수확이 용이한 해저 생태계 조성용 인공어초
KR101784306B1 (ko) * 2016-11-10 2017-10-11 상록엔비텍(주) 산란장소를 제공하는 인공어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311B1 (ko) * 2007-11-29 2008-06-13 주식회사 그린코리아 계단형 인공어초
KR101615887B1 (ko) * 2015-07-24 2016-04-27 장현수 종묘로프의 설치 및 양식생물의 수확이 용이한 해저 생태계 조성용 인공어초
KR101784306B1 (ko) * 2016-11-10 2017-10-11 상록엔비텍(주) 산란장소를 제공하는 인공어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057A (ko) * 2018-11-19 2020-05-27 주식회사 경봉기업 문어어초
KR102171756B1 (ko) * 2018-11-19 2020-10-29 주식회사 경봉기업 문어어초
KR102002335B1 (ko) * 2018-12-14 2019-07-23 주식회사 해건 문어·해삼 서식 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0362B2 (en) Complex floating wetland equipment
KR101294897B1 (ko) 해조류 부착용 요철 홈을 갖는 사다리꼴 요철형 인공어초 및 제작방법
KR100913808B1 (ko) 삼각 패조류 인공어초
KR100762820B1 (ko) 석탑형 다기능 인공어초
KR200473631Y1 (ko) 해양생태 복원용 다기능 복합 인공어초
JP5746545B2 (ja) 稚魚保護育成礁
KR101868222B1 (ko) 벤치형 어초
KR101920839B1 (ko) 모듈형 문어 산란 구조물
KR102064925B1 (ko) 문어 산란용 어초
KR100541281B1 (ko) 인공어초 겸용 테트라포드
KR101120922B1 (ko) 삼곡면 해중림 어초
JP4851762B2 (ja) 栽培養殖漁業用魚礁
KR101596648B1 (ko) 아치형 인공어초
KR100998034B1 (ko) 해중림 조성용 인공 암초 구조물
KR101427538B1 (ko) 도루묵 산란 및 보육을 위한 어소
JP3836771B2 (ja) 池内生態系保全方法並びに同方法に用いる浮体構造及びその付属設備
KR101351792B1 (ko) 복합형 인공 어초
KR20090000182U (ko) 굴 패각 투석식 강제어초
KR102018638B1 (ko) 자리돔 산란과 해양저서생물의 서식처를 위한 콘크리트 블록
KR101252235B1 (ko) 돌기형 인공 어초
KR200456709Y1 (ko) 인공어초
KR20170006474A (ko) 토종물고기 보호용 인공어초
KR101125868B1 (ko) 인공어초 및 인공어초 복합체
KR200477377Y1 (ko) 바다숲 조성용 상자형 해중림초
KR100374747B1 (ko) 생물자원 육성을 위한 로프형 인공수초 및 이를 이용한 수질정화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