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3392B1 -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 설치공법 - Google Patents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 설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3392B1
KR101093392B1 KR1020090048782A KR20090048782A KR101093392B1 KR 101093392 B1 KR101093392 B1 KR 101093392B1 KR 1020090048782 A KR1020090048782 A KR 1020090048782A KR 20090048782 A KR20090048782 A KR 20090048782A KR 101093392 B1 KR101093392 B1 KR 101093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binding
fishery
support pipe
benth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0107A (ko
Inventor
곽태수
곽인실
Original Assignee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48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3392B1/ko
Publication of KR20100130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0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3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3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Abstract

본 발명은 보ㆍ댐 등의 하천횡단수공구조물과 같은 수문 배수부의 경사면에 설치되는 어도시스템의 설치공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보·댐 등의 하천횡단수공구조물과 같은 수문 배수부의 경사면에 설치되는 어도시스템의 설치공법에 있어서, 좌우 측벽(110a, 110b)과 일정한 공간부를 갖는 상판(120a) 및 하판(120b)으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상에 상기 좌우 측벽(110a, 110b)의 상하 선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어도시스템을 현장에서 조립ㆍ연결시키기 위하여 결속 턱(160a, 160b) 및 결속 홈(170a, 170b)과, 상기 상판(120a) 중앙에는 유수 통로를 두고 회유성어류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좌우 측벽(110a, 110b)에 밀착되며, 상기 상판(120a) 바닥에 지그재그로 조립ㆍ설치되어 수생식물이 식생 가능한 일정한 규격을 갖는 다수개의 어도블록(130)과, 상기 다수개의 어도블록(130) 하부에는 빛이 잘 관통하고 토사유입을 방지하며, 저어류와 저서생물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갖되, 통로 내부에는 우점생물종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지는 다수개의 어도블록(141, 151)이 지그재그로 형성되어 수생식물이 식생 가능한 복수개의 저어류와 저서생물용 통로(140, 150)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좌우 측벽(110a, 110b) 및 상기 다수개의 어도블록(130)과 나란한 일직선상에는 어도시스템(100)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일정한 규격을 갖는 다수개의 지지용 파이프 관통구(180)와, 상기 다수개의 지지용 파이프 관통구(180)에는 지지용 파이프(181)가 삽입되며 수문 배수부의 경사각에 따라 상기 지지용 파이프(181)의 높이 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고정ㆍ체결시키는 경사각가변조절장치(190)를 구비하는 어도시스템(100)을 제작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어도시스템(100)을 수문 배수부(300)와 상기 수문 배수부의 하류층 하상 바닥간에 완만한 경사각을 갖고 조립ㆍ연결시키기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510, 520)을 각각 형성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510, 520)에는 상기 어도시스템(100)을 조립ㆍ연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어도시스템의 결속 턱(160a, 160b) 및 결속 홈(170a, 170b)과 대응되는 결속 턱(511a, 511b) 및 결속 홈(521a, 521b)이 각각 형성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 설치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어도시스템에 어류와 저어류, 저서생물이 독립적으로 동시에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다수개의 어도블록 각각은 필터링 기능을 갖고 오염된 유수를 정화하며 수생식물의 활착과 생장을 촉진시키고 회유성어류, 저어류와 저서생물의 소상(遡上) 실효성을 높이게 된다. 그리고 어도시스템의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므로 현장으로 이동이 용이하고 설치 및 시공 작업이 간편하여 그에 따른 공사비를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는 독특한 효과를 갖는다.
회유성어류, 저어류, 저서생물, 어도블록, 통로, 결속 턱, 결속 홈, 지지용 파이프 관통구, 경사각가변조절장치, 콘크리트 구조물

Description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 설치공법{Method for Constructing Eco-bridge System of Combined moving way with Fish and Benthos}
본 발명은 보·댐 등의 하천횡단수공구조물과 같은 수문 배수부의 경사면에 설치되는 어도시스템의 설치공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부는 우리나라 ‘4대강 살리기 사업’과 관련해 물 부족과 해마다 반복되는 홍수·가뭄의 근본적인 해결 및 생태환경을 살린 하천 친수 공간 활용 등에 대한 프로젝트 추진 내용을 소개하면서 보·댐 건설, 농업용저수지 증고 등을 통해 충분한 용수확보 계획을 마련했다. 즉 4대강에 보 16개를 설치해 7억6000만㎥의 물을 확보할 계획이며 보(洑)는 주변경관을 고려한 다양한 디자인을 도입해 지역의 랜드 마크로 조성하고 어도(fish way: 魚道) 등 친환경시설을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18,000개소의 농업용 저수지 및 댐이 설치되어 있으나 어도가 설치된 댐이나 저수지가 많지 않으며 어도에 관한 연구 및 인식도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어도(fish way)란 하천을 횡단하는 보·댐 등의 수공구조물에 의하여 어류의 이동이 곤란하거나 불가능하게 되었을 때, 어류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수로 또는 장치를 총칭하며, 그 형태에 따라 계단식, Ice Habor type 어도인 pool식 어도와, vertical slot type, Denil type, 횡구배 돌붙임 어도인 수로식 어도와, 엘리베이터식, 갑문식, Borland type, Fishpump type, hybrid type 어도인 operation식 어도 등이 있다.
이 중에서 경사방식(vertical slot type)의 어도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연결하는 완만한 수로 상에 유로(流路)의 직각 또는 경사방향의 도류벽(導流壁)이 설치되어 경사면을 따라 급속하게 흐르는 물의 유속을 일정하게 흐르도록 감쇄시키며, 시공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여 주로 저낙차의 하천횡단수공구조물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또한, 어도의 설계지침(농어촌진흥공사, 1997)에 따른 어류의 돌진속도와 순항속도를 비교 검토한 소상능력 논문자료에 따르면, 도류벽(導流壁) 설치형 어도가 격벽 설치형 어도에 비해 어류의 유영력 발휘에 더 적합한 어도로 소개되고 있다. 또한, 어도 제작 설치와 관련하여서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 공법은 구조의 일체성은 있으나 거푸집 제작, 철근배근,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등에 많은 인력과 공사기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는 반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공법은 건설 현장의 합리화와 기계화를 통해 공기를 단축할 뿐만 아니라 건설폐자재의 저감 및 의장성의 장점을 가진 환경을 배려한 공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리캐스트는 초기 개발비용이 많은 단점은 있으나, 어도와 같이 자연 친화적 시공을 필요로 하고 유사한 시스템의 구조물을 반복 시공하는 공사에는 적극 고려할 가치가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하상경사 완화와 건천화 방지, 농업용수활용 등을 목적으로 설치되었던 기존의 보(洑)나 낙차공과 같은 하천횡단수공구조물은 산란을 위해 상류 또는 하류로 이동하는 생리적 특성을 갖는 어류, 회유성어류의 이동 및 소상을 거의 불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어족의 생존환경의 파괴로 인하여 어류의 개체수가 감소하거나 멸종될 수 있다. 특히 중소하천에서 상류에 댐을 건설하게 되면 하류의 하천유지유량이 급격히 감소하게 되어 다양한 물질의 이동을 단절하며 수질악화와 같이 하천생태계에 치명적인 교란을 발생시켜왔다.
이와 같은 하천수생생태환경의 파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하천횡단수공구조물 건설시 수산업법 79조와 수산자원 보호령 12조에 의하여 어도(Fish Way) 설치를 의무화 하고 있으나, 어도의 중요성이 수산자원의 보호라고 하는 경제적인 측면 뿐 만 아니라 하천 생태 환경보전 측면에서도 인식되지 못하였던 것이 현 실정이다.
한편, 국내외에 수많은 특허기술들이 이미 제안된 바 있으나, 이들은 모두 회유성어류에 국한된 어도 기술에 불과하며, 하나의 어도시스템에 회유성어류와 저어류, 저서생물(benthos, 底棲生物)까지 독립적으로 동시에 이동 가능하도록 한 어도시스템은 찾아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하천횡단수공구조물에 설치되어 있는 어도의 형태는 그 기능에 대한 충분한 연구검토 없이 선정된 경우가 많다. 그리고 어도에 대한 운영관리체계의 미흡으로 인하여 그 기능이 상실된 경우도 많다. 즉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어도는 그 하천의 수리수문학적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어도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시켜 회유성어류는 물론, 저어류와 저서생물의 소상실효성 및 수생식물까지 동시에 복원 가능한 새로운 어도시스템 설치공법을 고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보·댐 등의 하천횡단수공구조물과 같은 수문 배수부의 경사면에 설치되는 어도시스템의 설치공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천생태계복원 기능을 갖는 하나의 어도시스템에 회유성어류와 저어류, 저서생물(benthos, 底棲生物)이 독립적으로 동시에 이동 가능한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 설치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보·댐 등의 하천횡단수공구조물과 같은 수문 배수부의 경사면에 설치되는 어도시스템의 설치공법에 있어서,
좌우 측벽(110a, 110b)과 일정한 공간부를 갖는 상판(120a) 및 하판(120b)으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상에 상기 좌우 측벽(110a, 110b)의 상하 선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어도시스템을 현장에서 조립ㆍ연결시키기 위하여 결속 턱(160a, 160b) 및 결속 홈(170a, 170b)과,
상기 상판(120a) 중앙에는 유수 통로를 두고 회유성어류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좌우 측벽(110a, 110b)에 밀착되며, 상기 상판(120a) 바닥에 지그재그로 조립ㆍ설치되어 수생식물이 식생 가능한 일정한 규격을 갖는 다수개의 어도블록(130)과,
상기 다수개의 어도블록(130) 하부에는 빛이 잘 관통하고 토사유입을 방지하며, 저어류와 저서생물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갖되, 통로 내부에는 우점생물종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지는 다수개의 어도블록(141, 151)이 지그재그로 형성되어 수생식물이 식생 가능한 복수개의 저어류와 저서생물용 통로(140, 150)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좌우 측벽(110a, 110b) 및 상기 다수개의 어도블록(130)과 나란한 일직선상에는 어도시스템(100)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일정한 규격을 갖는 다수개의 지지용 파이프 관통구(180)와, 상기 다수개의 지지용 파이프 관통구(180)에는 지지용 파이프(181)가 삽입되며 수문 배수부의 경사각에 따라 상기 지지용 파이프(181)의 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고정ㆍ체결시키는 경사각가변조절장치(190)를 구비하는 어도시스템(100)을 제작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어도시스템(100)을 수문 배수부(300)와 상기 수문 배수부의 하류층 하상 바닥간에 완만한 경사각을 갖고 조립ㆍ연결시키기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510, 520)을 각각 형성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510, 520)에는 상기 어도시스템(100)을 조립ㆍ연결시 킬 수 있도록 상기 어도시스템의 결속 턱(160a, 160b) 및 결속 홈(170a, 170b)과 대응되는 결속 턱(511a, 511b) 및 결속 홈(521a, 521b)이 각각 형성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 설치공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도시스템(100) 상호간 및 상기 어도시스템(100)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510, 520)을 조립ㆍ연결 시 충격을 완화하고 연결부를 통해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방수 기능을 갖는 고무나 우레탄(urethane) 수지 등으로 패킹(packing)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510)은, “ㅠ”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어도시스템(100)의 결속 홈(170a, 170b)에 조립ㆍ연결시키기 위하여 결속 턱(511a, 511b)이 각각 형성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520)은, "ㅛ"자형으로 형성시키며, 상기 어도시스템(100)의 결속 턱(160a, 160b)을 조립ㆍ연결시키기 위하여 결속 홈(521a, 521b)이 각각 형성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도시스템(100)은, 상기 지지용 파이프(181) 대신에 콘크리트 받침대 혹은 자연석(600)으로 지지되는 제7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 설치공법은 어도시스템의 조립 및 분해는 물론 수생식물의 식재가 가능하며 일정한 규격을 갖고 지그재그로 조립ㆍ설치되는 다수개의 어도블록과, 상기 다수개의 어도블록 보다 작은 규격으로 다수개의 어도블록이 지그재그로 형성된 복수개의 저어류와 저서생물용 통로를 일체화함으로써,
(1) 하나의 어도시스템에 비교적 큰 물고기인 회유성어류와 저어류, 저서생물이 독립적으로 함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2) 다수개의 어도블록 각각은 필터링 기능을 갖고 오염된 유수를 정화하며 수생식물의 활착과 생장을 촉진시키고 회유성어류 및 저어류, 저서생물의 소상(遡上) 실효성을 높이게 된다.
(3) 유입구에서 유출구로 지그재그 방향으로 유도되는 경사면의 빠른 유속을 감쇄시켜 어류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4) 어도시스템의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므로 현장으로 이동이 용이하고 설치 및 시공 작업이 간편하여 그에 따른 공사비를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는 독특한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 설치공법에 있어 어도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 설치공법에 있어 어도블록을 그래픽으로 나타낸 입체도 및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 설치공법에 있어 어도블록을 조립 분해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 설치공법에 있어 어도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및 스틸그레이팅(steel-grating)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 설치공법에 있어 경사각가변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 설치공법에 있어 수문 배수부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 설치공법에 있어 수문 배수부의 하류층 하 상 바닥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 설치공법에 있어 수문 배수부와 수문 배수부의 하류층 하상 바닥간에 완만한 경사각을 갖고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어도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및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 설치공법에 대한 플로 챠트를 각각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100) 설치공법의 핵심 기술적 구성은, 다수개의 어도블록(130, 141, 151), 복수개의 저어류와 저서생물용 통로(140, 150), 결속 턱(160a, 160b) 및 결속 홈(170a, 170b), 다수개의 지지용 파이프 관통구(180), 경사각가변조절장치(190), 콘크리트 구조물(510, 520)로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은 종래의 회유성어류 중심으로 이동 통로를 갖는 단일구조의 어도와는 달리, 하천의 생태계를 복원할 수 있는 기능을 갖으며 하나의 어도시스템(100)에 회유성어류와 저어류, 저서생물이 독립적으로 함께 이동 가능하도록 한 보·댐 등의 하천횡단수공구조물과 같은 수문 배수부(300)의 경사면(200)에 설치되는 저어류와 저서생물용 통로를 갖는 이중구조의 어도시스템을 구성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다수개의 어도블록(130)은, 회유성어류가 경사면(200)을 따라 잠시 쉬어가면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통로 수단으로, 좌우 측벽(110a, 110b)과 일정한 공간부를 갖는 상판(120a) 및 하판(120b)으로 이 루어지는 어도시스템(100)의 상판(120a) 중앙에 유수 통로를 두고 비교적 큰 물고기들인 회유성어류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좌우 측벽(110a, 110b)에 밀착되어 상기 상판(120a) 바닥에 지그재그로 조립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다수개의 어도블록(130)은 (130a~130f)로 구성되며, 유입구와 유출구를 연결하는 완만한 수로 상에 유로(流路)의 직각 또는 경사방향에 사용되는 일종의 도류벽(導流壁)으로서, 경사면을 따라 급속하게 흘러내리는 물을 일정한 유속을 갖도록 감쇄하며, 또한, 현장 타설 콘크리트 공법보다 더 자연 친화적이고 유사한 시스템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반복 시공하는데 주로 유리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공법에 의해 제작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다수개의 어도블록(130)은 현장에서의 조립ㆍ설치가 가능하며, 어도시스템(100)의 상판(120a) 바닥에 지그재그로 분해ㆍ조립이 가능하도록 어도블록의 하부(132)에 복수개의 블록고정 홀(135)과 상기 블록고정 홀(135)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블록고정 핀(136)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다수개의 어도블록(130)을 고정시키는 블록고정 핀(136)은 상기 어도시스템(100)의 상판(120a) 바닥에 형성된 고정용 홈(121a, 121b)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복수개의 저어류와 저서생물용 통로(140, 150)는, 저어류 등의 저서생물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통로수단으로, 상기 어도시스템(100)의 상판(120a)과 하판(120b) 공간부, 즉 상기 다수개의 어도블록(130) 하부에는 저어류와 저서생물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갖되, 통로에는 우점생물종에 따라 조정되어 그 크기가 달라지는 다수개의 어도블록(141, 151)이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도 1의 확대부분 참조).
또한, 상기 다수개의 어도블록(141, 151)은 상기 다수개의 어도블록(130) 보다 그 크기를 1/3 ~ 1/10 규격으로 제작함으로써 우점생물종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어도블록(141, 151)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조정하여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복수개의 저어류와 저서생물용 통로(140, 150)는 상기 다수개의 어도블록(130)과 같이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도록 제작하거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타설 시에 고정되는 구조로 사전에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다수개의 어도블록(130, 141, 15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100)의 설계하중 등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콘크리트가 아닌 FRP(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 다공질의 바이오 스톤(Bio-stone) 등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저어류와 저서생물용 통로(140, 150)는 홍수 시에 수문 배수부(300)를 통해 토사나 나무뿌리 등의 쓰레기가 상기 복수개의 저어류와 저서생물용 통로(140, 150)로 투입되어 통로가 막히지 못하도록 어도시스템(100)의 유입구와 상판(120a) 개방부에는 스틸그레이팅(142, 152)을 설치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다수개의 어도블록(130, 141, 151)은 상부(131)와 하부(132) 사이에 일정한 r값을 갖고 라운드지는 좌우 측면(133)을 형성하되, 경사면에서 흘러내리는 유수가 상기 다수개의 어도블록(130, 141, 151) 내에서 와류되어 일정한 유수가 저장되도록 상기 하부(132) 및 좌우 측면(133)에 유수저장 턱(134)이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다수개의 어도블록(130)은 상기 어도시스템(100)의 좌우 측벽(110a, 110b)에 밀착되어 상기 상판(120a) 바닥에 지그재그로 조립ㆍ설치되는 모습과 앞서 전술한 다수개의 어도블록(130, 141, 151)의 형상을 이해하기 쉽게 그래픽으로 보여주고 있다(점선 확대도 참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개의 저어류와 저서생물용 통로(140, 150) 내부에는 빛이 잘 관통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다수개의 어도블록(130)이 설치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의 상판(120a)을 상기 복수개의 저어류와 저서생물용 통로(140, 150)의 면적 부분만큼 개방시켜 녹이 잘 슬지 않는 재질의 스틸그레이팅(steel-grating)(142, 152)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어도블록(130, 141, 151)의 유수저장 턱(134) 내부에는 필터링 기능을 갖고 오염된 유수를 정화하며 수생식물의 활착과 생장을 촉진시키고 회유성어류 및 저어류, 저서생물의 소상(遡上) 실효성을 높이도록 다공질의 바이오 스톤(137)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도 2 참조).
여기서 상기 바이오스톤(bio-stone)은, 제오라이트(Zeolite, 沸石)가 함유된 세라믹 다공체의 바이오토양을 충진한 것으로, 수중에서도 잘 분해가 되지 않고 식재된 수생식물에 충분한 영양분을 공급함은 물론 물고기나 저어류 등의 저서생물의 소상에 도움을 준다.
상기 결속 턱(160a, 160b) 및 결속 홈(170a, 170b)은, 하나 이상의 어도시스 템(100)을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ㆍ연결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좌우 측벽(110a, 110b)과 일정한 공간부를 갖는 상판(120a) 및 하판(120b)으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상에 상기 좌우 측벽(110a, 110b)의 상하 선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경사면의 기울기 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높은 강도를 갖는 것으로 한다.
도 1, 3, 5를 참조하면, 상기 다수개의 지지용 파이프 관통구(180)는, 본 발명의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100)을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어도시스템(100)의 좌우 측벽(110a, 110b)에 밀착되어 조립 설치되는 상기 다수개의 어도블록(130) 각각(130a~130f)과 나란하게 일직선상에 상기 다수개의 지지용 파이프 관통구(180)를 콘크리트 타설시 각각(180a~180f) 형성하되, 파이프가 삽입되는 관통구의 지름(Φ값)은 본 발명의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의 설계하중을 충분히 반영하여 정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지지용 파이프 관통구(180)는 일정한 규격을 갖으며 어도시스템(100)의 설치 장소나 시공 방법에 따라 원형, 사각형, 다각형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경사각가변조절장치(190)는, 수문 배수부(300) 경사면(200)의 기울기 값에 따라 어도시스템(100)에 형성된 상기 다수개의 지지용 파이프 관통구(180)에 삽입되는 지지용 파이프(181)의 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고정ㆍ체결시키는 수단이다.
여기서 상기 경사각가변조절장치(190)의 각각(190a~190f)은, 상기 어도시스템(100)의 좌우 측벽(110a, 110b) 및 상기 다수개의 어도블록(130)의 각 각(130a~130f)과 나란하게 일직선상에 형성된 다수개의 지지용 파이프 관통구(180) 각각(180a~180f)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시공현장 사정에 따라 독립적으로 지지용 파이프(181)의 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고, 또한, 어도시스템(100)의 기울기에 비례하여 좌우 마주보는 파이프를 하나의 그룹으로 하여 지지용 파이프(181)의 높이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특별히 제작 가능하다. 이하, 어도시스템(100)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장치에 대한 기술 사항은 여기서 더 이상 언급하지 않으며 공개된 기술들을 선택할 수도 있다.
여기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회유성어류 뿐만 아니라 저어류, 저서생물용이 독립적으로 동시에 이동 가능한 이중구조의 독특한 어도시스템을 설명하였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이하, 전술한 어도시스템(100)을 이용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 설치공법을 설명한다.
먼저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유성어류와 저어류, 저서생물이 독립적으로 동시 이동이 가능한 통로를 구비한 이중구조의 어도시스템(100)을 제작하는 S1 단계를 갖는다.
상기 어도시스템(100)을 수문 배수부(300)와 상기 수문 배수부(300)의 하류층 하상 바닥간에 완만한 경사각을 갖고 어도시스템(100)을 조립ㆍ연결하고 고정ㆍ지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510, 520)을 형성하는 S2 단계를 갖는다.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510, 520)에는 상기 어도시스템(100)을 조립ㆍ연결시 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어도시스템의 결속 턱(160a, 160b) 및 결속 홈(170a, 170b)과 대응되도록 결속 턱(511a, 511b) 및 결속 홈(521a, 521b)을 각각 형성시키는 S3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어도시스템(100) 상호간 및 상기 어도시스템(100)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510, 520)을 조립ㆍ연결 시 충격을 완화하고 연결부를 통해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방수 기능을 갖는 고무나 우레탄(urethane) 수지 등으로 패킹(packing)할 수도 있는 S4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510)은, “ㅠ”자형으로 형성시키며, 상기 어도시스템(100)의 결속 홈(170a, 170b)에 조립ㆍ연결시키기 위하여 결속 턱(511a, 511b)이 각각 형성되는 S5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520)은, "ㅛ"자형으로 형성시키며, 상기 어도시스템(100)의 결속 턱(160a, 160b)을 조립ㆍ연결시키기 위하여 결속 홈(521a, 521b)이 각각 형성되는 S6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어도시스템(100)은, 상기 지지용 파이프(181) 대신에 콘크리트 받침대 혹은 자연석(600)으로 지지되는 S7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 설치공법은 어도시스템의 조립 및 분해는 물론 수생식물이 식재 가능하며 일정한 규격을 갖고 지그재그로 조립ㆍ설치되는 다수개의 어도블록과, 상기 다수개의 어도블록보다 작은 규격의 다수개의 어도블록이 지그재그로 형성된 복수개의 저어류와 저서생물용 통로를 일체화함으로써, 하나의 어도시스템에 비교적 큰 물고기인 회유성어류와 저어류, 저서생물이 독립적으로 동시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다수개의 어도블록 각각은 필터링 기능을 갖고 오염된 유수를 정화하며 수생식물의 활착과 생장을 촉진시키고 회유성어류 및 저어류, 저서생물의 소상(遡上) 실효성을 높이게 된다. 그리고 어도시스템의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므로 현장으로 이동이 용이하고 설치 및 시공 작업이 간편하여 그에 따른 공사비를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는 독특한 특징을 갖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 설치공법에 있어 어도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 설치공법에 있어 어도블록을 그래픽으로 나타낸 입체도 및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 설치공법에 있어 어도블록을 조립 분해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 설치공법에 있어 어도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및 스틸그레이팅(steel-grating)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 설치공법에 있어 경사각가변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 설치공법에 있어 수문 배수부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 설치공법에 있어 수문 배수부의 하류층 하상 바닥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 설치공법에 있어 수문 배수부와 수문 배수부의 하류층 하상 바닥간에 완만한 경사각을 갖고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어도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 설치공법에 대한 플로 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어도시스템 110a, 110b: 좌우 측벽
120a, 120b: 상판 및 하판 130, 141, 151: 어도블록
131, 132: 상부 및 하부 133: 좌우 측면
134: 유수저장 턱 135: 블록고정 홀
136: 블록고정 핀 137: 바이오스톤(bio-stone)
140, 150: 저어류와 저서생물용 통로
160, 170, 511, 521: 결속 턱 및 결속 홈
180: 지지용 파이프 관통구 181: 지지용 파이프
190: 경사각가변조절장치 200: 경사면
300: 수문 배수부 510, 520: 콘크리트 구조물

Claims (6)

  1. 보·댐 등의 하천횡단수공구조물과 같은 수문 배수부의 경사면에 설치되는 어도시스템의 설치공법에 있어서,
    좌우 측벽(110a, 110b)과 일정한 공간부를 갖는 상판(120a) 및 하판(120b)으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상에 상기 좌우 측벽(110a, 110b)의 상하 선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어도시스템을 현장에서 조립ㆍ연결시키기 위하여 결속 턱(160a, 160b) 및 결속 홈(170a, 170b)과,
    상기 상판(120a) 중앙에는 유수 통로를 두고 회유성어류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좌우 측벽(110a, 110b)에 밀착되며, 상기 상판(120a) 바닥에 지그재그로 조립ㆍ설치되어 수생식물이 식생 가능한 일정한 규격을 갖는 다수개의 어도블록(130)과,
    상기 다수개의 어도블록(130) 하부에는 빛이 잘 관통하고 토사유입을 방지하며, 저어류와 저서생물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갖되, 통로 내부에는 우점생물종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지는 다수개의 어도블록(141, 151)이 지그재그로 형성되어 수생식물이 식생 가능한 복수개의 저어류와 저서생물용 통로(140, 150)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좌우 측벽(110a, 110b) 및 상기 다수개의 어도블록(130)과 나란한 일직선상에는 어도시스템(100)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일정한 규격을 갖는 다수개의 지지용 파이프 관통구(180)와, 상기 다수개의 지지용 파이프 관통구(180)에는 지지용 파이프(181)가 각각 삽입되며 수문 배수부의 경사각에 따라 상기 지지용 파이프(181)의 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고정ㆍ체결시키는 경사각가변조절장치(190)를 구비하는 어도시스템(100)을 제작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어도시스템(100)을 수문 배수부(300)와 상기 수문 배수부의 하류층 하상 바닥간에 완만한 경사각을 갖고 조립ㆍ연결시키기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510, 520)을 각각 형성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510, 520)에는 상기 어도시스템(100)을 조립ㆍ연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어도시스템의 결속 턱(160a, 160b) 및 결속 홈(170a, 170b)과 대응되는 결속 턱(511a, 511b) 및 결속 홈(521a, 521b)이 각각 형성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 설치공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도시스템(100) 상호간 및 상기 어도시스템(100)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510, 520)을 조립ㆍ연결 시 충격을 완화하고 연결부를 통해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방수 기능을 갖는 고무나 우레탄(urethane) 수지 등으로 패킹(packing)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 설치공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510)은, “ㅠ”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어도시스템(100)의 결속 홈(170a, 170b)에 조립ㆍ연결시키기 위하여 결속 턱(511a, 511b)이 각각 형성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 설치공법.
  4. 삭제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520)은, "ㅛ"자형으로 형성시키며, 상기 어도시스템(100)의 결속 턱(160a, 160b)을 조립ㆍ연결시키기 위하여 결속 홈(521a, 521b)이 각각 형성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 설치공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도시스템(100)은, 상기 지지용 파이프(181) 대신에 콘크리트 받침대 혹은 자연석(600)으로 지지되는 제7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 설치공법.
KR1020090048782A 2009-06-02 2009-06-02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 설치공법 KR101093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782A KR101093392B1 (ko) 2009-06-02 2009-06-02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 설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782A KR101093392B1 (ko) 2009-06-02 2009-06-02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 설치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107A KR20100130107A (ko) 2010-12-10
KR101093392B1 true KR101093392B1 (ko) 2011-12-14

Family

ID=43506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782A KR101093392B1 (ko) 2009-06-02 2009-06-02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 설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33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2678A (ko) * 2018-10-16 2020-04-24 안병찬 타원형 수문을 구비한 친환경 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60500B (zh) * 2018-04-10 2021-09-10 何明利 一种用于旅游观光的水闸挡水建筑结构
CN117144862B (zh) * 2023-10-25 2024-03-08 中交第一航务工程局有限公司 一种内河船闸生态鱼道结构施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727A (ja) 1996-07-12 1998-01-27 Tokukon Kk 魚巣ブロック及び魚巣護岸の構築方法
JPH10159070A (ja) 1996-12-04 1998-06-16 Yamatatsugumi:Kk 魚 道
KR100541631B1 (ko) 2002-04-06 2006-01-11 한상관 유속 안내판과 어도 덮게의 저항 작용에 의해 물고기의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어도의 구성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727A (ja) 1996-07-12 1998-01-27 Tokukon Kk 魚巣ブロック及び魚巣護岸の構築方法
JPH10159070A (ja) 1996-12-04 1998-06-16 Yamatatsugumi:Kk 魚 道
KR100541631B1 (ko) 2002-04-06 2006-01-11 한상관 유속 안내판과 어도 덮게의 저항 작용에 의해 물고기의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어도의 구성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2678A (ko) * 2018-10-16 2020-04-24 안병찬 타원형 수문을 구비한 친환경 보 시스템
KR102165953B1 (ko) 2018-10-16 2020-10-14 안병찬 타원형 수문을 구비한 친환경 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107A (ko) 2010-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0271B1 (ko) 멀티셀 및 멀티레인의 습지와 연못 및 침전지 구조를 활용한 생태적 수질정화 비오톱 시스템
KR101130237B1 (ko) 수생태 복원 및 수질개선을 위한 복합 서식장치
JP2001288731A (ja) 堰堤の構造お及び河川水の水質浄化工法
CN106277572B (zh) 一种生态与景观相结合的城市河道水体净化系统
CN110725233B (zh) 一种用于游荡性河流整治的生态护岸
JP2006144539A (ja) 河川の水中生態系復元工法
CN110284461A (zh) 一种面向中小河流水生生物栖息地改善的生态丁坝
KR20120112306A (ko) 친환경 저류형 농수로
CN109368796A (zh) 一种用于河道水质治理的生态景观护岸
KR101093392B1 (ko)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 설치공법
KR200441555Y1 (ko) 수질정화용 게비온
CN102635089B (zh) 一种生态河岸带的构建方法
KR200433035Y1 (ko) 하천 제방의 생태복원용 방틀 구조
KR101101899B1 (ko)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
KR101369456B1 (ko) 하천용 어도블럭
CN110627219A (zh) 一种自动升降水生植物生态浮岛
KR101210491B1 (ko) 어도블럭
JP2002112626A (ja) 植物育成ブロック構築構造
KR100762355B1 (ko) 소하천 어소블록 설치구조
CN211621506U (zh) 一种组合式生态排水渠结构
KR101447614B1 (ko) 친환경 어도블록 구조
CN209193641U (zh) 一种用于河道水质治理的生态景观护岸
KR20110117857A (ko) 여울목 및 수중 도랑을 구비한 다단 생태하천 수중보와 그의 시공방법
KR102224578B1 (ko) 뱀장어를 비롯한 저서성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어도시스템
CN212506090U (zh) 一种适用于低土坡的重力式生态挡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