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7600Y1 - 어도 블록 - Google Patents

어도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7600Y1
KR200427600Y1 KR2020060018470U KR20060018470U KR200427600Y1 KR 200427600 Y1 KR200427600 Y1 KR 200427600Y1 KR 2020060018470 U KR2020060018470 U KR 2020060018470U KR 20060018470 U KR20060018470 U KR 20060018470U KR 200427600 Y1 KR200427600 Y1 KR 2004276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fish
transverse
vegetation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84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종선
Original Assignee
백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종선 filed Critical 백종선
Priority to KR20200600184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76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76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76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02B8/085Devices allowing fish migration, e.g. fish tra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천의 보에 물고기의 이동 통로로서 제공되는 어도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어도 블록은, 베이스 블록과, 상기 베이스 블록의 상면에 베이스 블록의 횡방향 일측 단부에서 최대 정점을 이루면서 그의 능선이 반대측 단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는 형태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횡향 돌출턱과, 상류로부터 흘러내려오는 물의 일부가 상기 횡향 돌출턱에서 월류하지 않고 곧바로 통과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횡향 돌출턱의 최대 정점에 인접한 부분에 상, 하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급속류 유도용 관통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고안의 어도 블록은 급류와 저속류가 구분되면서 저속류가 단절 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물고기가 더욱 쉽게 이동할 수 있는 어도를 제공하게 된다.
어도, 블록, 하천, 저속류, 식생

Description

어도 블록{FISHWAY BLOCK}
도 1a 내지 도 1d는 본 고안에 따른 어도 블록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1a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정면도이고, 도 1c는 측면도이며, 도 1d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어도 블록의 체결 구조를 보여주는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어도 블록의 바람직한 시공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도 블록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어도 블록을 사용하여 어도를 시공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어도 블록을 적재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어도 블록 110 : 베이스 블록
111 : 체결홈 112 : 체결공
120 : 횡향 돌출턱 121 : 급속류 유도용 관통공
122 : 식생용 홈 130 : 식생 공간
131 : 식생용 홈
본 고안은 하천의 보에 물고기의 이동 통로로서 제공되는 어도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급류와 저속류가 구분되면서 저속류가 단절됨이 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물고기가 더욱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어도 블록에 관한 것이다.
주로 치수(治水)의 용도로 하천을 횡단하여 설치되는 보(洑)나 낙차공(落差工)과 같은 구조물에는 물고기의 이동 통로의 역할을 하는 어도(魚道)를 병설하여 물고기가 보나 낙차공을 쉽게 극복하여 상류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도록 한다.
어도 블록은 이러한 어도를 구성하는 개별 요소로서, 어도는 개별 단위의 어도 볼록을 완만한 경사로 형태로 연속적으로 쌓아 유속을 감소시켜 물고기가 물살을 헤치고 올라갈 수 있도록 하는 통로를 구성하게 된다.
종래에 알려진 어도 블록들은, 단순히 월류에 의해 유속이 감소되도록 하면서, 오목한 홈 형태로 이루어지는 이른바 '휴식 공간부' 또는 '대기 공간부'(이하, 이들을 '대기 공간부'로 칭한다)를 형성하여 물살을 거슬러 올라가는 물고기가 쉬어갈 수 있도록 하는 형태 또는 시공상의 유리한 형태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어도 블록에 상기와 같은 대기 공간부를 둘 수밖에 없는 이유는, 다름이 아니라 어도 블록에 돌출시킨 월류 부위 만으로는 물고기가 헤쳐가기에 충분한 정도의 유속 감소 효과를 얻지 못하기 때문에 어도의 중간에 물고기가 쉬어 갈 수 있는 공간만이라도 형성해 두고자 함에 있다. 그러나, 대기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더라도 대기 공간부를 떠나면 다시 거센 물살을 만나기 때문에 물고기의 이동은 여전히 어려울 수밖에 없었다. 또한, 유속이 월류 부위에서는 하늘로 치솟았다가 대기 공간부로 폭포수처럼 떨어지므로, 저속류가 단속적으로 형성되고 급류와 저속류 간의 변동폭이 크며 대기 공간부에서 휴식이 효과를 거두기 어려웠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급류와 저속류가 구분되도록 함과 더불어 저속류가 단절됨이 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물고기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저속류를 따라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어도 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어도 블록은, 베이스 블록의 상면에 베이스 블록의 횡방향 일측 단부에서 최대 정점을 이루면서 그의 능선이 반대측 단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는 형태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횡향 돌출턱과, 상류로부터 흘러내려오는 물의 일부가 상기 횡향 돌출턱에서 월류하지 않고 곧바로 통과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횡향 돌출턱의 최대 정점에 인접한 부분에 상, 하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급속류 유도용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횡향 돌출턱은, 그의 횡단면상의 폭은 상기 베이스 블록의 상면으로부터 정상을 향해 갈수록 좁아짐과 더불어, 평단면상의 폭은 상기 최대 정점 을 이루는 부분에서 가장 넓고 반대측 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블록의 측방 모서리의 양쪽 측면에는 해당 어도 블록과 맞대어지는 또 하나의 어도 블록의 베이스 블록과 체결하기 위한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에는 인접하는 또 하나의 어도 블록의 체결홈과 연통하는 체결공이 형성된 구성으로 하면, 볼트/너트나 와이어 또는 체인들을 상기 체결공에 통과시켜 인접한 어도 블록끼리 체결할 수 있다.
상기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블록의 상류측 단부 상면과 하류측 단부 상면 각각에는 외향 개방된 하나 이상의 식생용 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식생용 홈들은 상, 하류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또 하나의 어도 블록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식생용 홈과 합하여 상류측과 하류측에 각각 하나 이상의 식생 공간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어도 블록의 횡향 돌출턱 상면에 식생용 홈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블록의 횡향 돌출턱의 최대 정점 반대쪽에 상기 횡향 돌출턱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는 2개 이상의 돌출부를 구비된 구성으로 하면, 상기 2개 이상의 돌출부에 의하여 유속이 감소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2개 이상의 돌출부와 상기 횡향 돌출턱의 지지에 의하여 상부에 또 하나의 동일한 어도 블록을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가 있다.
상기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블록 상면에는 상기 식생용 홈 보다 더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는 어소용 홈을 다수개 형성하여, 상기 어소용 홈에 작은 물고기나 수생 생물이 들어가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1a 내지 도 1d는 본 고안에 따른 어도 블록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1a에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b에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이고, 도 1c에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d에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어도 블록의 체결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 도면에 도시된 어도 블록들은 모두 본 고안에 따른 동일한 형태의 어도 블록을 나타낸 것이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참조 부호를 100, 100a, 100b 등으로 각각 다르게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어도 블록(100)은, 베이스 블록(110)의 상면에 베이스 블록(110)을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횡향 돌출턱(120)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횡향 돌출턱(120)은 상기 베이스 블록(110)의 횡방향 일측 단부에서 최대 정점(頂点)을 이루면서 그의 능선(稜線)이 반대측 단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는 형태로 연장된다(도 1b에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형태). 이러한 횡향 돌출턱(120)은 횡방향 즉 상, 하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하천수의 흐름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횡향 돌출턱(120) 부위에서 월류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횡향 돌출턱(120)은 일측으로 경사진 형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월류의 크기(높이)는 횡향 돌출턱(120)의 최대 정점 부분에서 가장 크고(높고), 반대측으로 갈수록 작아(낮아)진다. 이러한 횡향 돌출턱(120)의 횡방향 연장 길이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대측 단부 끝까지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그렇지 않으면 반대측 단부에 이르기 전까지만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횡향 돌출턱(120)의 연장 길이는 어도에서 요구되는 유속, 하천의 유속, 유량, 서식 물고기 등의 조건에 알맞은 길이로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횡향 돌출턱(120)의 횡단면상의 폭은 상기 베이스 블록(110)의 상면으로부터 정상을 향해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따라서,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산 모양을 이룬다)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평단면상의 폭은 상기 최대 정점을 이루는 부분에서 가장 넓고 반대측 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따라서,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횡향 돌출턱(120)의 최대 정점에 인접한 부분에는 급속류 유도용 관통공(121)이 상, 하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급속류 유도용 관통공(121)은 상류로부터 흘러 내려오는 물의 일부가 상기 횡향 돌출턱(120)에서 월류하지 않고 곧바로 통과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급속류 유도용 관통공(121)는, 유속, 수량, 어류의 서식 환경 등 하천의 특성에 따라 하나 이상의 개수로 배치할 수 있는 한편, 크기도 변화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횡향 돌출턱(120)에 의하면, 최대 정점 부근에서 일부의 물은 급속류 유도용 관통공(121)을 직접적으로 통과하기 때문에, 유속은 최대 정점 부근에서는 빠르고, 최대 정점 부근에서 멀어질수록 느리다.
그리고,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블록(110)의 측방 모서리의 양쪽 측면에는 체결홈(111)과 체결공(112)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111)은 하나의 어도 블록(100)과 맞대어 설치되는 인접하는 또 하나의 어도 블록(100a, 100b)의 베이스 블록(110a, 110b)과 체결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체결공(112)은 인접하는 또 하나의 어도 블록(100a, 100b)의 체결홈(111a, 111b)과 연통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홈(111)(111a, 111b)과 체결공(112)(112a, 112b)에 볼트(200, 도 2 참조)와 너트(210, 도 2 참조)와 같은 체결구를 삽입하여 체결하거나, 와이어 또는 체인들을 통과시켜 결속함으로써 어도 블록(100)의 좌우 측면이나 상, 하류 방향에 배치되는 동일 형태의 어도 블록들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어도 블록(100)에 있어서는, 베이스 블록(110)의 상류측 단부 상면과 하류측 단부 상면 각각에 하나 이상의 식생용 홈(13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식생용 홈(131)들은 외향 개방된 형태를 가져 상, 하류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또 하나의 어도 블록(100a)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식생용 홈(131a)과 합하여 상류측과 하류측에 각각 하나 이상의 식생 공간(130)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상, 하류 방향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2개의 어도 블록(100, 100a)의 식생용 홈(131, 131a)에 의하여 형성된 식생 공간(130)에는 잡석, 흙, 모래 등을 적당히 채우고 수초를 심어 놓는다. 그러면 자연 친화적인 어도가 확보되고 물 고기가 수초를 의지하여 쉬어 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어도 블록(100)에 있어서는, 그의 횡향 돌출턱(120) 상면에도 식생용 홈(122)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첨부 도면 도 3에는 상술한 어도 블록(100)을 사용하여 시공된 바람직한 어도의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어도 블록들은 모두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형태의 어도 블록(100)이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배치 상태에 따라 참조 부호를 100a, 100b, 100c, 100d 등으로 각각 다르게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어도(FW)는 전술한 어도 블록(100)들을 여러 개 배치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어도 블록(100a, 100b)의 횡향 돌출턱(120)을 서로 맞대어 횡방향으로 배치한 형태로 하나의 열(列)(R1)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하나의 열(R1)의 상류 또는 하류에 인접하여서는 2개의 어도 블록(100c, 100d)의 횡향 돌출턱(120c, 120d)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한 형태로 또 하나의 열(R2)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하나의 열(R1)과 상기 또 하나의 열(R2)을 상, 하류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하여 어도(FW)를 완성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여러 개의 어도 블록(100a, 100b, 100c, 100d)들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접한 어도 블록끼리 볼트(200, 도 2 참조)와 너트(210, 도 2 참조) 등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결속함으로써 견고한 시공 상태를 유지하고 유실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어도(FW)에 있어서, 하천을 흐르는 물이 어 도(FW)로 진입한 이후에는 서로 엇갈려 설치되어 있는 횡향 돌출턱(120)에 부딪힘과 더불어 월수를 형성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유속이 감소 된다. 따라서, 어도(FW) 전체에 걸쳐 하천의 주류에 비하여 속도가 현저히 낮은 유속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어도(FW) 전체에 걸쳐 낮은 유속이 형성되는 것이 전제되는데, 어도(FW)의 횡방향 가운데 부분에는 2개의 횡향 돌출턱(120)의 최대 정점 부분이 맞닿아 있기는 하지만 2개의 급속류 유도용 관통공(121)이 집중적으로(가장 근접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횡향 돌출턱(120)에 부딪히지 않고 곧바로 통과하는 유량이 가장 많게 되어 유속이 가장 빠르게 된다(유속의 감소가 가장 적다). 따라서, 어도(FW)의 횡방향 가운데 부분에서는 어도(FW) 전체에 걸쳐 가장 유속이 빠른 급(속)류가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어도(FW)의 횡방향 가운데 부분에서 가장 먼 부위 즉, 어도(FW)의 측벽(W)에 인접한 부분에서는 하나 건너 하나씩 횡향 돌출턱(120)의 정상 부분이 배치되어 있고, 각 횡향 돌출턱(120)에는 1개의 급속류 유도용 관통공(12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횡향 돌출턱(120)에 부딪히지 않고 상기 1개의 급속류 유도용 관통공(121)을 곧바로 통과하는 유량은 어도(FW)의 횡방향 가운데 부분에서 2개의 급속류 유동용 관통공(121)을 통과하는 유량보다 적게 되고, 그에 따라 어도(FW)의 횡방향 가운데 부분에서 형성되는 급속류에 비하여 속도가 좀더 느린 중속류가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어도(FW)의 횡방향 가운데 부분에서 상기 2개의 급속류 유도용 관통공(121)을 통과하지 못한 일부의 물은 2개의 횡향 돌출턱(120)에 부딪혀 일부는 횡 향 돌출턱(120)의 정상 부분을 그대로 타고 넘고 나머지 일부분은 횡향 돌출턱(120)의 경사진 능선에 의하여 횡방향 바깥쪽으로 굴절되면서 흐르게 된다. 유속은 이와 같이 횡향 돌출턱(120)에 부딪히면서 횡향 돌출턱(120)의 경사진 능선을 따라 횡방향 바깥쪽으로 굴절되어 흐르는 과정에서 감소한다. 따라서, 어도(FW)의 횡방향 가운데 부분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유속은 더 많이 감소하게 되어 어도(FW)의 측벽(W)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되는 중속류에 근접하여서는 유속이 가장 느린 저속류가 형성된다. 이러한 저속류는 상기한 어도(FW)의 횡방향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는 급속류와 어도(FW)의 측벽(W)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되는 중속류 사이에서 상, 하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형태를 이룬다. 물고기는 이와 같은 연속적인 흐름을 가지는 저속류를 따라 하류로부터 상류로 쉽게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한편, 상, 하류 방향으로 배치된 횡향 돌출턱(120)들 사이에 형성되는 식생 공간(130)과 횡향 돌출턱(120)의 상면에 형성되는 식생용 홈(122)의 위치는 전술한 저속류가 형성되는 부분과 거의 일치하게 된다. 상기한 식생 공간(130) 및 식생용 홈(122)에 수초가 잘 발달되어 있으면 유속은 더욱 감소되어, 물고기의 이동시 물살에 의한 저항은 더욱 감소된다. 또한 물고기가 의지하거나 은신할 수 있는 수초에 의하여 물고기는 더욱 쉽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 도면 도 4 내지 도 6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도 블록 및 상기 어도 불록을 사용하여 시공된 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어도 블록(100x)은, 전술한 도 1a 내지 도 3에 도 시된 어도 블록(100)에 비하여, 식생용 홈(131x)이 다른 형태로 이루어지고, 돌출부(200), 감속용 돌출부(210) 및 어소용 홈(300)이 더 구비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의 어도 블록(100)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어도 블록(100x)을 이용한 어도의 시공 방법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어도 블록(100)을 이용한 어도의 시공 방법과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어도 블록(100x)의 식생용 홈(131x)은 둥근 모양을 취하면서 상, 하 방향으로 완전히 절취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어도 블록(100x)으로 어도를 시공하면 인접하는 어도 블록(100x) 사이에 타원형 또는 원형의 식생 공간(130x, 도 5 참조)이 형성된다. 이는 본 고안에 따른 식생용 홈이 전술한 실시예의 식생용 홈(131)과 같이 각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본 실시예의 식생용 홈(131x)과 같이 둥근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는 것을 말해주고, 본 고안에 따른 식생용 홈이 전술한 실시예의 식생용 홈(131)과 같이 상, 하 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본 실시예의 식생용 홈(131x)과 같이 상, 하 방향으로 완전히 절취된(관통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는 것을 말해 준다. 결국 식생용 홈은 그의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매우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어도 블록(100x)은, 2개 이상의 돌출부(200)를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2개 이상의 돌출부(200)는 횡향 돌출턱(120)의 최대 정점 반대쪽 양측(상, 하류 방향 양측)에 상기 횡향 돌출턱(120)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이러한 2개 이상의 돌출부(200)는 베이스 블록과 동일한 콘크리트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자연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자연석인 경우에는 베이스 블록 타설시 자연석을 박아 놓고 양생하여 일체화한다.
이러한 돌출부(200)는 유속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함과 더불어, 상부에 또 하나의 동일한 어도 블록(100x)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점의 역할을 한다. 야적장에 적재해 두거나 또는 시공 현장으로 운송할 때, 어도 블록(100x) 위에 또 하나의 어도 블록(100x)을 올려놓으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한 2개 이상의 돌출부(200)와 상기한 횡향 돌출턱(120)이 지지점이 되어 안정적인 적재가 가능해진다. 2개의 돌출부(200)를 가진다면, 상기 2개의 돌출부(200)와 하나의 횡향 돌출턱(120)을 모두 3개의 지점에서 지지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어도 블록(100x)은, 하나 이상의 감속용 돌출부(2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감속용 돌출부(210)는 상기한 돌출부(20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이러한 감속용 돌출부(210)도 콘크리트 또는 자연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의 설치 위치와 개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어도 블록(100x)은, 전술한 식생용 홈(131x) 보다 더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어소용 홈(3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어소용 홈(300)은 작은 물고기나 수생 생물들이 은신할 수 있는 휴식 공간을 제공하고, 부수적으로는 유속을 감소시키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어소용 홈(300)들의 설치 위치와 개수에도 특별한 제한은 없다.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나, 이는 바람직한 형태에 대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고안의 보호 범 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어도 블록을 이용하여 어도를 시공하게 되면, 급류와 저속류가 적절히 구분되어 형성됨과 더불어, 특히 저속류가 단절 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됨으로써, 물고기의 이동이 매우 쉬운 어도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식생 공간이나 식생용 홈의 위치가 저속류가 형성되는 부분과 일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식생 공간이나 식생용 홈에서 자라는 수초에 의해 유속은 더욱 감소되고, 물고기는 수초에 의지하거나 은신할 수 있으므로, 물고기의 이동이 더욱 쉬우면서도 자연 친화적인 어도가 제공된다.

Claims (7)

  1. 베이스 블록과,
    상기 베이스 블록의 상면에 베이스 블록의 횡방향 일측 단부에서 최대 정점을 이루면서 그의 능선이 반대측 단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는 형태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횡향 돌출턱과,
    상류로부터 흘러내려오는 물의 일부가 상기 횡향 돌출턱에서 월류하지 않고 곧바로 통과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횡향 돌출턱의 최대 정점에 인접한 부분에 상, 하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급속류 유도용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향 돌출턱은, 그의 횡단면상의 폭은 상기 베이스 블록의 상면으로부터 정상을 향해 갈수록 좁아짐과 더불어, 평단면상의 폭은 상기 최대 정점을 이루는 부분에서 가장 넓고 반대측 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 블록.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블록의 상류측 단부 상면과 하류측 단부 상면 각각에는 ㅇ오외외향 개방된 하나 이상의 식생용 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식생용 홈들은 상, 하류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또 하나의 어도 블록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식생용 홈과 합하여 상류측과 하류측에 각각 하나 이상의 식생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 블록.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횡향 돌출턱의 상면에 식생용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 블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블록의 측방 모서리의 양쪽 측면에는 해당 어도 블록과 맞대어지는 또 하나의 어도 블록의 베이스 블록과 체결하기 위한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에는 인접하는 또 하나의 어도 블록의 체결홈과 연통하는 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 블록.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블록의 횡향 돌출턱의 최대 정점 반대쪽에는 상기 횡향 돌출턱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는 2개 이상의 돌출부가 구비되어, 상기 2개 이상의 돌출부에 의하여 유속이 감소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2개 이상의 돌출부와 상기 횡향 돌출턱의 지지에 의하여 상부에 또 하나의 동일한 어도 블록의 적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 블록.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블록 상면에는 상기 식생용 홈 보다 더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는 어소용 홈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 블록.
KR2020060018470U 2006-07-07 2006-07-07 어도 블록 KR2004276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470U KR200427600Y1 (ko) 2006-07-07 2006-07-07 어도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470U KR200427600Y1 (ko) 2006-07-07 2006-07-07 어도 블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3886 Division 2006-07-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7600Y1 true KR200427600Y1 (ko) 2006-09-27

Family

ID=41776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470U KR200427600Y1 (ko) 2006-07-07 2006-07-07 어도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760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391B1 (ko) 2007-01-31 2007-08-21 (주)대흥엔지니어링 하천 생태 보호를 위한 낙차 감속시설
KR101369456B1 (ko) 2012-10-12 2014-03-04 수생태복원(주) 하천용 어도블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391B1 (ko) 2007-01-31 2007-08-21 (주)대흥엔지니어링 하천 생태 보호를 위한 낙차 감속시설
KR101369456B1 (ko) 2012-10-12 2014-03-04 수생태복원(주) 하천용 어도블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7600Y1 (ko) 어도 블록
KR20120015557A (ko) 수중생태계 보호를 위한 어도 블록
KR101119972B1 (ko) 친환경 어도구조물
KR100925894B1 (ko) 생태어도 사방댐
JP2000080628A (ja) 粗石魚道ブロックおよび粗石式魚道
JP2951263B2 (ja) 魚道用ブロック
KR200413723Y1 (ko) 어도 구조물
CN107059770B (zh) 栖息地型生态堤岸系统
KR100741371B1 (ko) 횡단어도 사방댐
KR100762355B1 (ko) 소하천 어소블록 설치구조
JP2006063656A (ja) 魚道ブロック及びこの魚道用ブロックを使用した魚道施工工法
KR100954218B1 (ko) 갈수위에도 어류 이동이 가능한 어도시설물
RU2263743C1 (ru) Рыбоходный канал (варианты)
JPH10276598A (ja) 浮きプランター及びその固定方法
JP2739561B2 (ja) 魚巣ブロック
KR200395563Y1 (ko) 배수로의 생태통로
CN214168958U (zh) 一种景观坝结构
KR101378526B1 (ko) 생태적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어류 통로 생태블록들의 결합체 및 이를 채용하는 어도를 갖는 어도보
RU2272863C1 (ru) Рыбоходный канал
KR200364508Y1 (ko) 어도 블록
KR200318234Y1 (ko) 어도 블럭
KR20120001579U (ko) 식생구역이 형성된 친환경 수로블록
KR100381364B1 (ko) 하천용 어도(魚道)블록
CN219470833U (zh) 一种带有景观灯光的小型景观拦水坝
KR200235671Y1 (ko) 어도 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