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8526B1 - 생태적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어류 통로 생태블록들의 결합체 및 이를 채용하는 어도를 갖는 어도보 - Google Patents

생태적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어류 통로 생태블록들의 결합체 및 이를 채용하는 어도를 갖는 어도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8526B1
KR101378526B1 KR1020130114470A KR20130114470A KR101378526B1 KR 101378526 B1 KR101378526 B1 KR 101378526B1 KR 1020130114470 A KR1020130114470 A KR 1020130114470A KR 20130114470 A KR20130114470 A KR 20130114470A KR 101378526 B1 KR101378526 B1 KR 101378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locks
ecological
fish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4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찬우
Original Assignee
변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찬우 filed Critical 변찬우
Priority to KR1020130114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85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8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8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도보에 산발식 어도를 형성하되, 이미 공장에서 제작된 여러 개의 어류 통로 생태블록들을 현장에서 결합하여 산발식 어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그러한 어류 통로 생태블록들의 결합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생태적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어류 통로 생태블록들의 결합체는, 자연형 어도의 1자형 본류에 위치하는 블록체로서, 바닥부(21;51)와 양 측면의 벽부(22;52)로 이루어지는 'U'자형의 블록체인 적어도 하나의 메인 블록(20;20';50); 및 상기 자연형 어도의 본류로부터 분리되거나 상기 본류로 합류되는 2개 이상의 지류에 위치하는 블록체로서, 바닥부(31)와 양 측면의 벽부(32)로 이루어지는 'U'자형의 블록체인 적어도 2개의 가지 블록(30); 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인 블록에는 적어도 2개의 가지 블록이 결합되며, 상기 가지 블록의 벽부(32)는 상이한 곡율의 곡면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물결 모양이고, 메인 블록에서 멀어질수록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미리 방향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생태적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어류 통로 생태블록들의 결합체 및 이를 채용하는 어도를 갖는 어도보{Blocks which fishes inhabit and a dam having fishways made therefrom}
본 발명은 생태적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어류 통로 생태블록들의 결합체 및 이를 채용하는 어도를 갖는 어도보에 관한 것이다.
'보'란 논에 물을 대기 위한 수리 시설의 하나로서 하천에 둑을 쌓아 흐르는 냇물을 막고 그 물을 담아 두는 곳인 바, 이러한 '보'는 갈수기에는 필연적으로 물의 흐름을 차단하게 되기 때문에, 물고기의 이동을 방해하여 생태적으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별도로 완경사의 어도를 조성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시멘트로 '보' 옆에 형식적으로 조성하기 때문에 물고기가 이용하기에 힘들어 그다지 사용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이상의 종래의 '보'는 시멘트로 이루어지는 인공적인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경관상으로도 좋지 못하였다.
최근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철근(2)을 내부에 삽입한 기존의 콘크리트 보(1)에 판석(3)을 덧대고, 모르타르(4)로 사이를 채우며, 하류에는 호박돌(5) 등으로 하상을 덮어서 자연스럽게 보이도록 하는 자연형 보가 개발되었으나, 이 역시 갈수기의 어도 확보가 안된다는 궁극적인 문제점이 있었으며, 경사도가 커서 홍수기에도 어류가 '보'를 뛰어 넘기가 매우 어려워 실제적인 어도 기능이 거의 전무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상의 어도 확보가 안되는 기존의 '보'는, 다양한 어류, 수서곤충, 양서류 등의 서식처를 파괴함으로써, 이에 따라 어류 등을 기반으로 하는 조류와 같은 전반적인 하천의 생태계가 파괴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상의 제1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하천의 하상 경사도를 고려하여 어도를 확보하고 여울과 소 등을 조성하며, 기존 하천보의 기능을 충족하면서 이수/치수적, 생태적, 경관적으로 향상된 친환경적인 자연형 어도를 갖는 어도보를 하천에 제공하고자, 본 발명자는 제2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 제839660호 "자연형 어도보를 갖는 하천"을 제안한 바 있다.
상기 제2 종래기술에 따른 자연형 어도보를 갖는 하천은, 하천의 하부에 형성되는 자연석이나 철근 콘크리트 등의 기초 다짐부와; 상기 기초 다짐부 위에 판석류의 상판을 사용하여, 하천의 길이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두둑부와; 상기 기초 다짐부 위에 상기 판석류의 상판을 사용하여, 하천의 길이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상기 두둑부와 평행하면서 하천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랑부; 를 포함하되, 상기 두둑부는 판석과 판석 사이에 모르타르로 틈을 메운 모르타르 구간을 형성하여, 하천수가 새어나가지 않으면서 위로 넘쳐 흐르게 조성하고, 상기 고랑부는 갈수기에도 저수가 가능하도록 오목하게 조성하여 어도 구간으로 조성되도록 하는 자연형 어도보를 갖는 하천으로서, 상기 자연형 어도보의 상류에는 소(pool)를 조성하여 보의 담수능력을 증대시키고, 상기 어도보의 소 주변에는 여울(riffle)을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자연형 어도보의 저부에 산발식 수로(76)를 설치하되, 상기 산발식 수로(76)는 최저 수위 저부에 있는 거석 등의 판석(71)으로 틀을 만들고 모르타르(72)를 이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통공형으로 산발식 수로(76)를 어도보(70)에 조성하여 자연적인 어도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조성하여, 상기 산발식 수로로는 평소에 저서성 소형 어류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종래기술에 의하면, 이수/치수적 특성에 있어, 기존 콘크리트보에 자연석, 호박돌 등을 보 전후로 쌓아 자연스럽게 월류될 수 있도록 하였고, 보 전면부에 소(pool)를 조성하여 자연형 취수보의 역할을 하며, 인근 대대천 생태적수질정화비오톱에 유량을 공급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으며, 생태적 특성에 있어, 자연형 어도보 전면부에 조성된 여울(riffle)과 소(pool)로 소생물 서식처의 기능을 수행하며, 거석, 자연석, 호박돌 등을 쌓음으로써 공극 사이에 어류산란장, 저서생물 서식처 등으로 활용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 산발식 어로를 갖는 복합기능의 어도보에 의하면, 기존 콘크리트보에 비교하여 구조물 성격을 띄지 않는 자연적 경관을 형성하며, 기존의 일반적인 보는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물의 깊이, 너비 등 생태적 측면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데 반해, 산발식 복합기능 어도보는 거석을 사용하여 깊이, 너비 등에서 물의 흐름을 원활히 하고 어류의 이동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제2 종래기술의 어도보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거석(71)과 모르타르(72)로 일일이 산발식 어도(76)를 현장에서 형성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시간도 많이 소요되고 게다가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어도의 곡률과 같은 형태나 품질에 차이가 많이 나서 균일성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또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제839660호 "자연형 어도보를 갖는 하천"
본 발명은 이상의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어도보에 산발식 어도를 형성하되, 이미 공장에서 제작된 여러 개의 어류 통로 생태블록들을 현장에서 결합하여 산발식 어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그러한 어류 통로 생태블록들의 결합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생태적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어류 통로 생태블록들의 결합체는, 자연형 어도의 1자형 본류에 위치하는 블록체로서, 바닥부(21;51)와 양 측면의 벽부(22;52)로 이루어지는 'U'자형의 블록체인 적어도 하나의 메인 블록(20;20';50); 및 상기 자연형 어도의 본류로부터 분리되거나 상기 본류로 합류되는 2개 이상의 지류에 위치하는 블록체로서, 바닥부(31)와 양 측면의 벽부(32)로 이루어지는 'U'자형의 블록체인 적어도 2개의 가지 블록(30); 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인 블록에는 적어도 2개의 가지 블록이 결합되며, 상기 가지 블록의 벽부(32)는 상이한 곡율의 곡면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물결 모양이고, 메인 블록에서 멀어질수록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미리 방향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블록(20)의 중앙에는, 메인 블록들 간의 결합시 정합위치를 잡아주며 유수의 유속을 감속시켜 주는 기능을 겸하는 중앙기둥부(23)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블록들과 가지 블록들을 결합하면, 'Y'자형, 역'Y'자형, 혹은 'Y'자형과 역'Y'자형의 결합형 산발식 자연형 어도(11)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블록들과 가지 블록들을 결합한 결합체들을 덮는 블록 덮개(40)를 별도로 형성하여 상기 블록들을 유개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40)는, 상기 메인 블록 및 가지 블록과 동일한 외형을 갖는 콘크리트판(41)의 중앙에 호박돌(42)을 군데군데 형성하여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자연형 산발식 수로에 최대한 가깝게 형성하도록 하며, 반대쪽에서 내측 자갈(43)을 군데군데 형성하여 수로의 마찰이 생기도록 함으로써, 유속을 조절하고 어느 정도 유수가 블록체 내에 고여있거나 습기가 형성되어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블록(50)과 상기 가지 블록(30)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메인 블록과 결합되는 쪽은 폭이 상대적으로 좁고, 상기 적어도 2개의 가지 블록과 결합되는 쪽은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광폭을 갖는 연결 블록(60;60';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블록(60;60')의 상기 적어도 2개의 가지 블록과 결합되는 쪽에는 양 가지부로의 분리대(63;63')가 형성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블록(60')의 분리대(63')는 메인 블록과의 결합부까지 길게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어도보는, 상기 생태적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어류 통로 생태블록들의 결합체로 이루어지는 어도를 갖는 어도보로서, 상기 어도보에는 하나 이상의 어도가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어류 통로 생태블록들은 이미 공장에서 대량생산하여 두고, 현장에서 조립만으로 자연형 어도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산발식 어도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게다가 균일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고 사후 관리에도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과 효과들은,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제1 종래기술의 자연형 보의 입단면도.
도 2는 제2 종래기술에 따른 산발식 수로를 갖는 자연형 어도보의 개념도.
도 3은 도 2의 산발식 수로를 갖는 자연형 어도보의 평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산발식 수로를 갖는 자연형 어도보의 입 단면도.
도 5a, 도 5b 및 도 5c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여러가지 어류 통로 생태블록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류 통로 생태블록들을 결합하여 어도를 형성한 결합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어류 통로 생태블록들을 결합하여 어도를 형성한 일예 (중앙 기둥부 생략).
도 8a, 도 8b 및 도 8c는 각각,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여러가지 어류 통로 생태블록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어류 통로 생태블록들을 결합하여 어도를 형성한 일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어류 통로 생태블록들을 결합하여 어도를 형성한 일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어류 통로 생태블록들을 결합하여 어도를 형성한 일예.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류 통로 생태블록들을 결합한 어도를 내부에 갖는 어도보 및 생태 하천의 일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생태적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어류 통로 생태블록들의 결합체 및 이를 채용하는 어도를 갖는 어도보를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제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 5a 내지 도 7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여러가지 어류 통로 생태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류 통로 생태블록들을 결합하여 어도를 형성한 결합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어류 통로 생태블록들을 결합하여 어도를 형성한 중앙 기둥부가 생략된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류 통로 생태블록들을 결합한 어도를 내부에 갖는 어도보 및 생태 하천의 일예이다.
우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류 통로 생태블록은 두 가지 타입의 블록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즉,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은 메인 블록(20)은, 일례로 'Y'자 형의 자연형 어도에서, 1자형 어도에 위치하는 블록체로서, 바닥부(21)와 양 측면의 벽부(22)로 이루어지는 'U'자형의 블록체로서, 다만 중앙에 메인 블록들 간의 결합시 정합위치를 잡아주며 유수의 유속을 감속시켜 주는 기능을 겸하는 중앙기둥부(23)가 추가로 형성되어 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중앙기둥부(23)에는 결합시 결합홈(23a)이 형성되어 질 수도 있다.
한편,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은 가지 블록(30)은, 일례로 'Y'자 형의 자연형 어도에서, 'V'자형 지류에 위치하는 블록체로서, 바닥부(31)와 양 측면의 벽부(32)로 이루어지는 'U'자형의 블록체이되, 다만 양 벽부는 민자형보다는 상이한 곡률을 갖는 연속된 곡면으로 이루어지며, 유수의 방향도 메인 블록에서 멀어질수록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미리 방향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메인 블록(20)들과 가지 블록(30)들을 결합하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은 'Y'자형의 산발식 자연형 어도(11)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도 6의 산발식 자연형 어도(11)의 상층에는, 역시 동일한 형상의 메인 블록(20)들과 가지 블록(30)들을 결합한 결합체들을 상하방향으로 뒤집어서 뚜껑을 형성할 수도 있으나, 그러한 경우 높이가 상당히 높아진다는 단점을 갖으므로, 도 5c에서 보는 바와 같은 블록 덮개(40)를 별도로 형성하여 도 5a 및 도 5b의 블록체를 유개화한다.
이때, 상기 덮개(40)는 메인 블록 또는 가지 블록과 동일한 외형을 갖는 콘크리트판(41)의 중앙에 호박돌(42)을 군데군데 형성하여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자연형 산발식 수로에 최대한 가깝게 형성하도록 하며, 반대쪽에서 내측 자갈(43)을 군데군데 형성하여 수로의 마찰이 생기도록 함으로써, 유속을 조절하고 어느 정도 유수가 블록체 내에 고여있거나 습기가 형성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어류 통로 생태블록들을 결합한 자연형 어도(11)에 의하면, 자연형 어도에 비해 어류의 통과 및 서식하는 것이 크게 다르지 않아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을 유지하면서도, 자연 상태의 산발식 어도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보수도 용이하다는 추가적인 장점이 있다.
이제, 이상의 본 발명의 생태적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어류 통로 생태블록들을 채용하는 산발식 어도(11)의 응용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류의 침전지(74)와 하류의 습지 연못(75) 사이에 어도보를 형성할 때에, 자갈(12)이나 모르타르로 하천의 바닥을 다지고,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생태적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어류 통로 생태블록들을 결합하여 산발식 어도(11)를 형성하고, 산발식 어도 이외의 부분은 거석(13) 및 모르타르로 마감하여 자연형 어도보(10)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자연형 어도보(10)에 의하면, 자연형 어도에 비해 어류의 통과 및 서식하는 것이 크게 다르지 않아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게다가 균일한 곡률 및 경사도와 크기를 지니게 되므로, 오염의 정화 및 어류의 관리를 계량화할 수 있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무관하게 시공이 가능하므로 시공성 및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메인 블록들과 가지 블록들을 결합하여 어도를 형성할 때에,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지부가 하류와 상류에 모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기는 하나, 가지부가 상류에만 존재하는 'Y'자형, 혹은 가지부가 하류에만 존재하는 역'Y'자형도 가능하며, 하나의 본부에 반드시 2개의 가지부만 존재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폭의 차이가 클 경우, 하나의 본류에 3개 이상의 가지부가 결합되어질 수도 있다.
(변형예)
한편, 도 7에는 상기 제1 실시예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는바, 본 변형예에 의한 어도와 제1 실시예의 어도의 차이점은, 제1 실시예의 어도의 메인 블록(20)은 중앙에 중앙 기둥부(23)를 갖는데 반해, 본 변형예의 어도의 메인 블록(20')은 그러한 중앙 기둥부(23)를 갖지 않는다는 것인바, 메인 어도가 좁거나 경사도가 높지않아 굳이 유속을 경감시킬 필요가 없을 경우에, 적합한 방식이다.
(제2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 8a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각각,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여러가지 어류 통로 생태블록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어류 통로 생태블록들을 결합하여 어도를 형성한 일예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어류 통로 생태블록들을 결합하여 어도를 형성한 일예이다.
한편, 도 8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인 블록(50)의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경우에는, 도 8a에서의 메인 블록(50)과 도 8c에서의 가지 블록(30) 사이에, 도 8b에서 보는 바와 같은 연결 블록(60)을 개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결 블록(60)의 바닥부(61)의 일측은 메인 블록(50)의 바닥부(51)의 너비와 같으며, 연결 블록(60)의 벽부(62)도 메인 블록의 벽부(52)와 연장되어지나, 상기 연결 블록(60)의 바닥부(61)의 타측은 가지 블록(30)의 바닥부(31)의 너비와 같으며, 연결 블록(60)의 벽부(62)도 가지 블록의 벽부(32)와 연장되어 지도록, 일측은 소폭의 그리고 타측은 광폭으로 형성되어지면서, 더욱이 광폭의 타측에는 양 가지부로의 분리대(63)가 형성되어 지도록 한다.
도 9에는, 상기 제2 실시예의 연결 블록을 포함하는 어도의 형성 예가 도시되어 있다.
(변형예)
한편, 도 10에는 상기 제2 실시예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는바, 본 변형예에 의한 어도와 제2 실시예의 어도의 차이점은, 제2 실시예의 어도의 연결 블록(60)은 분리대(63)가 광폭의 가지부 연결측에만 형성되어 있는데 반해, 본 변형예의 어도의 연결 블록(60')은 그러한 분리대(63')가 메인 블록과의 결합부까지 길게 연장되어 있다는 것인바, 메인 어도가 상대적으로 더 좁거나 어도의 가지부가 보다 넓게 확개되는 산발식 어도의 형성시에 적합한 방식이다.
(제3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어류 통로 생태블록들을 결합하여 어도를 형성한 일예이다.
본 제3 실시예의 어도 역시, 제2 실시예의 어도와 거의 대동소이하나, 다만,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인 블록(50)의 폭이 상대적으로 좁기는 하나 큰 차이가 없을 경우, 도 11에서의 메인 블록(80)과 가지 블록(30) 사이에 제2 연결 블록(80)을 개재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제2 연결 블록(80)의 바닥부(81)의 일측은 메인 블록(50)의 바닥부(51)의 너비와 같으며, 연결 블록(80)의 벽부(82)도 메인 블록의 벽부(52)와 연장되어지나, 상기 제2 연결 블록(80)의 바닥부(81)의 타측은 양측 가지 블록(30)들의 바닥부(31)의 너비의 합과 같으며, 연결 블록(80)의 벽부(82)도 양쪽 가지 블록의 외측 벽부(32)와 연장되어 지도록, 일측은 소폭의 그리고 타측은 광폭으로 형성되어지면서도, 광폭의 타측에 별도의 분리대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예들 및 변형예들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상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
10 : 자연형 어도보 11 : 본 발명의 산발식 어도
12 : 자갈 13 : 거석
20, 20' : 메인 블록 21 : 바닥부
22 : 벽부 23 : 중앙 기둥부
23a : 결착홈
30 : 가지 블록 31 : 바닥부
32 : 벽부
40 : 블록 덮개 41 : 콘크리트판
42 : 호박돌 43 : 내측 자갈
50 : 메인 블록 51 : 바닥부
52 : 벽부
60, 60' : 연결 블록 61 : 바닥부
62 : 벽부 63, 63' : 분리대
80 : 연결 블록 81 : 바닥부
83 : 확관부
(제2 종래기술)
70 : 산발식 수로를 갖는 자연형 어도보 71 : 판석
72 : 모르타르 74 : 침전지
75 : 습지 연못 76 : 산발식 수로

Claims (9)

  1. 자연형 어도의 1자형 본류에 위치하는 블록체로서, 바닥부(21;51)와 양 측면의 벽부(22;52)로 이루어지는 'U'자형의 블록체인 적어도 하나의 메인 블록(20;20';50); 및
    상기 자연형 어도의 본류로부터 분리되거나 상기 본류로 합류되는 2개 이상의 지류에 위치하는 블록체로서, 바닥부(31)와 양 측면의 벽부(32)로 이루어지는 'U'자형의 블록체인 적어도 2개의 가지 블록(30);
    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인 블록에는 적어도 2개의 가지 블록이 결합되며,
    상기 가지 블록의 벽부(32)는 상이한 곡율의 곡면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물결 모양이고, 메인 블록에서 멀어질수록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미리 방향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적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어류 통로 생태블록들의 결합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블록(20)의 중앙에는, 메인 블록들 간의 결합시 정합위치를 잡아주며 유수의 유속을 감속시켜 주는 기능을 겸하는 중앙기둥부(23)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적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어류 통로 생태블록들의 결합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블록들과 가지 블록들을 결합하면, 'Y'자형, 역'Y'자형, 혹은 'Y'자형과 역'Y'자형의 결합형 산발식 자연형 어도(11)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적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어류 통로 생태블록들의 결합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블록들과 가지 블록들을 결합한 결합체들을 덮는 블록 덮개(40)를 별도로 형성하여 상기 블록들을 유개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적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어류 통로 생태블록들의 결합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40)는, 상기 메인 블록 및 가지 블록과 동일한 외형을 갖는 콘크리트판(41)의 중앙에 호박돌(42)을 군데군데 형성하여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자연형 산발식 수로에 최대한 가깝게 형성하도록 하며, 반대쪽에서 내측 자갈(43)을 군데군데 형성하여 수로의 마찰이 생기도록 함으로써, 유속을 조절하고 어느 정도 유수가 블록체 내에 고여있거나 습기가 형성되어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적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어류 통로 생태블록들의 결합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블록(50)과 상기 가지 블록(30)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메인 블록과 결합되는 쪽은 폭이 상대적으로 좁고, 상기 적어도 2개의 가지 블록과 결합되는 쪽은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광폭을 갖는 연결 블록(60;60';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적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어류 통로 생태블록들의 결합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블록(60;60')의 상기 적어도 2개의 가지 블록과 결합되는 쪽에는 양 가지부로의 분리대(63;63')가 형성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적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어류 통로 생태블록들의 결합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블록(60')의 분리대(63')는 메인 블록과의 결합부까지 길게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적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어류 통로 생태블록들의 결합체.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생태적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어류 통로 생태블록들의 결합체로 이루어지는 어도를 갖는 어도보로서,
    상기 어도보에는 하나 이상의 어도가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보.
KR1020130114470A 2013-09-26 2013-09-26 생태적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어류 통로 생태블록들의 결합체 및 이를 채용하는 어도를 갖는 어도보 KR101378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470A KR101378526B1 (ko) 2013-09-26 2013-09-26 생태적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어류 통로 생태블록들의 결합체 및 이를 채용하는 어도를 갖는 어도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470A KR101378526B1 (ko) 2013-09-26 2013-09-26 생태적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어류 통로 생태블록들의 결합체 및 이를 채용하는 어도를 갖는 어도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8526B1 true KR101378526B1 (ko) 2014-03-27

Family

ID=50649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4470A KR101378526B1 (ko) 2013-09-26 2013-09-26 생태적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어류 통로 생태블록들의 결합체 및 이를 채용하는 어도를 갖는 어도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85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3826A (ko) * 2014-03-04 2015-09-14 변찬우 산발식 어도를 갖는 자연형 어도보 겸용 습지용 유지용수 공급 시스템 및 그러한 시스템을 갖는 하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6355A (ko) * 2008-05-07 2009-11-11 에스케이임업 주식회사 수로블록을 이용한 사면의 보호공법 및 생분해성수로블록용 조성물
KR20130023469A (ko) * 2011-08-29 2013-03-08 주식회사 토암에코텍 조립형 어도블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6355A (ko) * 2008-05-07 2009-11-11 에스케이임업 주식회사 수로블록을 이용한 사면의 보호공법 및 생분해성수로블록용 조성물
KR20130023469A (ko) * 2011-08-29 2013-03-08 주식회사 토암에코텍 조립형 어도블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3826A (ko) * 2014-03-04 2015-09-14 변찬우 산발식 어도를 갖는 자연형 어도보 겸용 습지용 유지용수 공급 시스템 및 그러한 시스템을 갖는 하천
KR101632049B1 (ko) 2014-03-04 2016-06-20 변찬우 산발식 어도를 갖는 자연형 어도보 겸용 습지용 유지용수 공급 시스템 및 그러한 시스템을 갖는 하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090471U (zh) 一种适用于城市河道生态护砌的护坡连锁砖
JP2001288731A (ja) 堰堤の構造お及び河川水の水質浄化工法
US11952734B2 (en) Ecological revetment for regulating wandering rivers
KR101360240B1 (ko) 친환경 저류형 농수로
KR101660462B1 (ko) 지그재그형 월류식 어도보 및 그 시공 방법
KR101632049B1 (ko) 산발식 어도를 갖는 자연형 어도보 겸용 습지용 유지용수 공급 시스템 및 그러한 시스템을 갖는 하천
KR101378526B1 (ko) 생태적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어류 통로 생태블록들의 결합체 및 이를 채용하는 어도를 갖는 어도보
KR100839660B1 (ko) 자연형 어도보를 갖는 하천
CN110016887A (zh) 一种营造水生态系统生境的筑堤方法
KR101376116B1 (ko) 생물이동통로를 겸한 수변 생태습지
KR101816075B1 (ko) 바이오폴리머를 이용한 투수성 식생 어소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어소 시공방법
KR100925894B1 (ko) 생태어도 사방댐
JP6853931B1 (ja) 河川の護岸用魚礁ブロック
KR101050764B1 (ko) 인공어초
KR101093392B1 (ko)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 설치공법
KR100930321B1 (ko) 삼각 돌벽을 구비한 하천 어도
CN108193652A (zh) 涧流式鱼道
KR101282777B1 (ko) 수초가 식재된 친환경 블록식 이중 구조의 어도장치
KR100979662B1 (ko) 다기능 세굴방지 어도블록
CN107059770A (zh) 栖息地型生态堤岸系统
KR100478900B1 (ko) 조립식 어도 및 그의 시공방법
CN210049185U (zh) 具有生态保护和修复功能的自然水体层级式景观驳岸
KR101447614B1 (ko) 친환경 어도블록 구조
KR101101899B1 (ko)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
KR200418616Y1 (ko) 복단면어도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