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0020B1 - 상단월류와 중단방류 및 하단방류가 가능한 다단 수위조절 수문구조 - Google Patents
상단월류와 중단방류 및 하단방류가 가능한 다단 수위조절 수문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00020B1 KR102400020B1 KR1020210123990A KR20210123990A KR102400020B1 KR 102400020 B1 KR102400020 B1 KR 102400020B1 KR 1020210123990 A KR1020210123990 A KR 1020210123990A KR 20210123990 A KR20210123990 A KR 20210123990A KR 102400020 B1 KR102400020 B1 KR 1024000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uice gate
- main
- auxiliary
- discharge
- main sluice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1363 water suppression through gradient tailored excit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424 Flood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73 irr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2 irri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2—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with racks actuated by pin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05D9/12—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96—Screw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단월류와 중단방류 및 하단방류가 가능한 다단 수위조절 수문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우기철에 관리수위에서 수위가 조금씩 상승할 경우 편리하게 수위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호우 등과 같은 비상시에도 긴급 유량조절이 가능하고, 나아가, 상단과 중단 및 하단에서의 물관리가 가능하여 수질관리에 유리함은 물론 권양기 1대로 동시작동이 가능 및 상단 원류와 중단방류를 통해 효과적인 관리수위 운영이 가능하면서 1cycle로 모든 작동 시스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우기철에 관리수위에서 수위가 조금씩 상승할 경우 편리하게 수위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호우 등과 같은 비상시에도 긴급 유량조절이 가능하고, 나아가, 상단과 중단 및 하단에서의 물관리가 가능하여 수질관리에 유리함은 물론 권양기 1대로 동시작동이 가능 및 상단 원류와 중단방류를 통해 효과적인 관리수위 운영이 가능하면서 1cycle로 모든 작동 시스템이 가능한 상단월류와 중단방류 및 하단방류가 가능한 다단 수위조절 수문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문은 수로에 수문지지체를 설치하고 상기 수문지지체에 문짝을 개폐가능하게 설치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문은 주로 강이나 하천, 저수지, 댐, 방조제, 발전소, 취수장, 정수장, 양수장, 배수장, 관개수로 등에 많이 설치되며, 최근에는 기존 수문의 일정높이에 수압에 의해(무동력) 자동으로 개폐되는 자동수문을 설치하여 현장여건에 따라 자동으로 담수 및 배수가 가능케한 수위 자동조절형 수문이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3-0063258로 제안된 바 있다.
상기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3-0063258 등으로 제안된 수문에 있어서는 호우시 홍수, 범람 등을 막고 가뭄시 저수량을 확보하는 등 상황에 따라 저수량을 조절하기 위해 일정 관리수위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호우 등과 같은 비상시 수문의 고장 등의 안전사고 발생의 이유로 수문 작동이 불가할 때에는 수문을 이용한 긴급 유량조절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우기철에 관리수위에서 수위가 조금씩 상승할 경우 편리하게 수위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호우 등과 같은 비상시에도 긴급 유량조절이 가능하고, 나아가, 상단과 중단 및 하단에서의 물관리가 가능하여 수질관리에 유리함은 물론 권양기 1대로 동시작동이 가능 및 상단 원류와 중단방류를 통해 효과적인 관리수위 운영이 가능하면서 1cycle로 모든 작동 시스템이 가능한 상단월류와 중단방류 및 하단방류가 가능한 다단 수위조절 수문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 방류홈이 형성되고, 상부에 각각 상부 스토퍼가 형성되는 메인 수문과; 상기 메인 수문의 방류홈의 상부를 통한 상단월류 및 상기 메인 수문의 방류홈의 하부를 통한 중단방류를 위해 상기 메인 수문의 상부에서 권양기에 의해 승강운동하여 상기 방류홈을 개폐하고, 상기 메인 수문의 상부 스토퍼 방향으로 상승하여 상기 메인 수문의 상부 스토퍼에 상단부가 접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 수문의 하부 방향의 하단방류를 위해 상기 권양기에 의해 상기 메인 수문과 함께 승강운동하는 보조 수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월류와 중단방류 및 하단방류가 가능한 다단 수위조절 수문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 수문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보조 수문의 승강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이 각각 상기 메인 수문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보조 수문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가이드레일과 접하여 구름운동하는 가이드롤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롤러와 마주보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측면부위에 상기 가이드롤러의 홈에 수용되는 보조가이드레일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 수문의 방류홈의 하부방향의 상기 메인 수문 부위에 상기 보조 수문의 하강을 제한하는 하부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보조 수문의 상하길이는 상기 방류홈의 상하깊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보조 수문이 상기 권양기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보조 수문의 상단부가 상기 메인 수문의 상부 스토퍼의 하부에 접할 때 상기 메인 수문의 방류홈의 하부가 개방되어 중단방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메인 수문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상기 상부 스토퍼가 일정높이로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부 스토퍼는 상기 메인 수문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지지프레임의 후면에 상기 지지프레임의 후방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된 상태로 일정높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관리 수위 유지를 위해 상기 메인 수문의 상부와 상기 보조 수문의 상부의 동일 수평선상 위치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권양기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는 알림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 수문이 수로의 바닥면에 안착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메인 수문 및 상기 메인 수문의 방류홈을 개폐하는 보조 수문을 통해 상단월류, 중단방류 및 하단방류가 가능하기 때문에 우기철에 관리수위에서 수위가 조금씩 상승할 경우 편리하게 수위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호우 등과 같은 비상시에 고장 등의 이유로 메인 수문의 작동이 불가능하여도 상기 보조 수문을 통해 긴급 유량조절이 가능하고, 나아가, 상단과 중단 및 하단에서의 물관리가 가능하여 수질관리에 유리하며, 더불어, 권양기 1대로 상기 메인 수문과 상기 보조 수문의 동시작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단월류와 중단방류를 통해 효과적인 관리수위 운영이 가능하고, 아울러, 1cycle로 모든 작동 시스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상단월류와 중단방류 및 하단방류가 가능한 다단 수위조절 수문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배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분리배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보조 수문에 구비된 지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사시도이고,
도 7은 상단월류를 위해 메인 수문의 방류홈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단면도이고,
도 9는 상단월류를 위한 보조 수문의 하강이 하부 스토퍼에 의해 제한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중단방류를 위해 메인 수문의 방류홈의 하부가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하단방류를 위해 보조 수문과 함께 메인 수문이 상승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단면도이고,
도 15는 감지부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16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17은 일예의 감지부가 메인 수문의 상부와 보조 수문의 상부가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하였음을 감지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18은 보조 수문의 상부가 일예의 감지부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19는 보조수문의 상부가 일예의 감지부의 상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20은 검출부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리배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분리배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보조 수문에 구비된 지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사시도이고,
도 7은 상단월류를 위해 메인 수문의 방류홈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단면도이고,
도 9는 상단월류를 위한 보조 수문의 하강이 하부 스토퍼에 의해 제한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중단방류를 위해 메인 수문의 방류홈의 하부가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하단방류를 위해 보조 수문과 함께 메인 수문이 상승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단면도이고,
도 15는 감지부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16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17은 일예의 감지부가 메인 수문의 상부와 보조 수문의 상부가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하였음을 감지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18은 보조 수문의 상부가 일예의 감지부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19는 보조수문의 상부가 일예의 감지부의 상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20은 검출부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상단월류와 중단방류 및 하단방류가 가능한 다단 수위조절 수문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배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분리배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상단월류와 중단방류 및 하단방류가 가능한 다단 수위조절 수문구조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메인 수문(10)과 보조 수문(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메인 수문(10)의 상부 중간부에 방류홈(110)이 일정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수문(10)의 방류홈(110)의 상부 일측과 인접한 상기 메인 수문(10)의 상부 일측 및 상기 메인 수문(10)의 방류홈(110)의 상부 타측과 인접한 상기 메인 수문(10)의 상부 타측에 각각 판상의 상부 스토퍼(120)가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메인 수문(10)은 수로에 형성된 문틀의 내측에 승강운동가능하게 수직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보조 수문(20)은 상기 메인 수문(10)의 방류홈(110)의 상부를 통한 상단월류 및 상기 메인 수문(10)의 방류홈(110의 하부를 통한 중단방류를 위해 상기 메인 수문(10)의 전면의 반대측인 후면 상부에서 권양기(3)에 의해 승강운동하여 상기 방류홈(110)의 상부와 하부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권양기(3)는 와이어, 피니언랙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보조 수문(20)을 승강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보조 수문(20)의 수밀성 향상을 위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수문(20)의 전면에는 상기 보조 수문(20)의 후측에서 전측방향으로 흐르는 물(W)의 수압에 의해 상기 방류홈(110)과 인접한 상기 메인 수문(10) 후면 상부 부위에 밀착되는 지수부(21)가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보조 수문에 구비된 지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사시도이다.
일예로, 상기 지수부(21)는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수문(20)의 전면 일측과 전면 타측에 각각 수직형성 및 상기 보조 수문(20)의 전면 하측에 수평형성되어 상기 방류홈(110)의 일측방향, 타측방향 및 하측방향의 상기 메인 수문(10)의 후면 부위에 각각 밀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수문(20)의 일측 상부와 타측 상부에는 상기 보조 수문(20)을 따라 승강운동하는 승강몸체(200)가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상단월류를 위해 메인 수문의 방류홈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단면도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권양기(3)에 의해 상기 보조 수문(20)이 상기 메인 수문(10)의 방류홈(110)의 하부방향으로 하강하게 될 경우, 상기 메인 수문(10)과 상기 보조 수문(20)에 의해 일정높이로 관리수위를 유지하는 물(W)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강된 상기 보조 수문(20)의 상부와 상기 메인 수문(10)의 방류홈(110)의 상부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상단월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방류홈(110)의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도 9는 상단월류를 위한 보조 수문의 하강이 하부 스토퍼에 의해 제한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단면도이다.
상기 보조 수문(20)이 상기 메인 수문(10)의 방류홈(110)의 하부방향으로 하강할 수록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메인 수문(10)의 방류홈(110)의 상부의 상하개방폭이 점차 커질 수 있고, 이로 인해 하강된 상기 보조 수문(20)의 상부와 상기 메인 수문(10)의 방류홈(110)의 상부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물(W)의 통과량 또한 점차 커질 수 있다.
도 11은 중단방류를 위해 메인 수문의 방류홈의 하부가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단면도이다.
상기 권양기(3)에 의해 상기 보조 수문(20)이 상기 메인 수문(10)의 방류홈(110)의 상부방향으로 상승하게 될 경우, 상기 메인 수문(10)과 상기 보조 수문(20)에 의해 일정높이로 관리수위를 유지하는 물(W)이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승된 상기 보조 수문(20)의 하부와 상기 메인 수문(10)의 방류홈(110)의 하부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중단방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방류홈(110)의 하부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수문(20)이 상기 메인 수문(10)의 방류홈(110)의 상부방향으로 상승할 수록 상기 메인 수문(10)의 방류홈(110)의 하부의 상하개방폭은 점차 커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상승된 상기 보조 수문(20)의 하부와 상기 메인 수문(10)의 방류홈(110)의 하부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물(W)의 통과량 또한 점차 커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메인 수문(10)의 방류홈(110)의 상하방향으로 상기 보조 수문(20)의 원활한 승강운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메인 수문(10)에 가이드레일(130)이 형성 및 상기 보조 수문(20)에 가이드롤러(2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130)은 상기 보조 수문(20)의 일측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메인 수문(10)의 후면 일측에 상기 메인 수문(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130)은 상기 보조 수문(20)의 타측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메인 수문(10)의 후면 타측에 상기 메인 수문(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롤러(210)는 상기 승강몸체(20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보조 수문(20)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보조 수문(20)의 상하방향으로 복수개로 일정간격으로 각각 축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30)과 접한 상태에서 상기 보조 수문(20)의 승강운동과정 중에 구름운동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롤러(210)가 상기 상기 가이드레일(1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2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롤러(210)와 마주보는 상기 가이드레일(130)의 측면부위에 보조가이드레일(131)이 형성 및 상기 가이드롤러(210)의 중간부에 환형의 홈(211)이 일정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가이드레일(131)은 상기 가이드롤러(210)와 마주보는 상기 가이드레일(130)의 측면부위에 상기 가이드레일(130)을 따라 일정길이로 상하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롤러(210)의 환형의 홈(211)에 상기 보조가이드레일(131)이 수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보조 수문(20)이 필요이상으로 상기 메인 수문(10)의 방류홈(110)의 하부방향으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메인 수문(10)의 방류홈(110)의 하부방향의 상기 메인 수문(10)의 후면 중간부위에는 하강하는 상기 보조 수문(20)의 하단부와 접하여 상기 보조 수문(20)의 하강을 제한하는 판상의 하부 스토퍼(140)가 용접고정,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스토퍼(140)는 상기 메인 수문(10)의 방류홈(110)의 하부방향의 상기 메인 수문(10)의 후면 중간부위에 상기 메인 수문(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보조 수문(20)의 수밀성이 더욱 형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수문(20)의 상하길이(L1)는 상기 방류홈(110)의 상하깊이(D)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수문(20)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길이(L2)는 상기 방류홈(110)의 좌우길이(L3)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하단방류를 위해 보조 수문과 함께 메인 수문이 상승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권양기(3)에 의해 상기 보조 수문(20)이 상기 상부 스토퍼(120) 방향으로 상승하여 상기 보조 수문(20)의 승강몸체(200)의 상단부가 각각 상기 상부 스토퍼(120)의 하부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보조 수문(20)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될 경우, 상기 보조 수문(20)과 함께 상기 메인 수문(10)이 도 13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승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메인 수문(10)과 상기 보조 수문(20)에 의해 일정높이로 관리수위를 유지하는 물(W)이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메인 수문(10)의 하부를 통과하는 하단방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도 13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메인 수문(10)의 방류홈(110)의 하부가 개방되어 중단방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메인 수문(10)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상기 상부 스토퍼(120)를 일정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121)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스토퍼(120)는 상기 지지프레임(121)의 전면의 반대측은 후면 상부에 일정높이로 상기 지지프레임(121)의 후방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어 상승하는 상기 보조 수문(20)의 승강몸체(200)의 상단부와 접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메인 수문(10) 및 상기 메인 수문(10)의 방류홈(110)을 개폐하는 보조 수문(20)을 통해 상단월류, 중단방류 및 하단방류가 가능하기 때문에 우기철에 관리수위에서 수위가 조금씩 상승할 경우 편리하게 수위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호우 등과 같은 비상시에 고장 등의 이유로 상기 메인 수문(10)의 작동이 불가능하여도 상기 보조 수문(20)을 통해 긴급 유량조절이 가능하고, 나아가, 상단과 중단 및 하단에서의 물관리가 가능하여 수질관리에 유리하며, 더불어, 권양기 1대로 상기 메인 수문(10)과 상기 보조 수문(20)의 동시작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단월류와 중단방류를 통해 효과적인 관리수위 운영이 가능하고, 아울러, 1cycle로 모든 작동 시스템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5는 감지부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16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다음으로, 도 15 및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지부(30), 알림부(31) 및 제어부(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30)는 상기 메인 수문(10)과 상기 보조 수문(20)에 의한 관리 수위 유지를 위해 상기 메인 수문(10)의 상부와 상기 보조 수문(20)의 상부의 동일 수평산상 위치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알림부(31)는 상기 감지부(3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보조 수문(20)의 승강여부를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다.
상기 알림부(31)는 관리실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알림부(31)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빛을 발광하는 LED 등의 발광부재 또는 경고멘트를 음성출력하는 스피커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발광부재와 상기 스피커 모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 또한 관리실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감지부(3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권양기(3)를 제어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어부(40)에는 상기 메인 수문(10) 및 상기 보조 수문(20)의 승강운동을 위한 상승버튼 및 하강버튼이 누름식 버튼, 다이얼 버튼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감지부(30)는 상기 메인 수문(10)의 가이드레일(13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상부에 구비되는 레이저센서, 근접센서, 리미트 스위치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수문(20)의 전면의 반대측인 후면 상부 일측과 후면 상부 타측에 상기 보조 수문(20)의 후방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22)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17은 일예의 감지부가 메인 수문의 상부와 보조 수문의 상부가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하였음을 감지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다.
먼저, 관리자는 하단방류를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40)에 구비된 하강버튼을 ON상태로 조작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메인 수문(10)이 하강하여 수로의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단월류 및 중단방류를 차단하기 위해 상기 보조 수문(20)이 지속적으로 하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알림부(31)의 발광부재는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전원공급부(4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멸할 수 있고, 상기 알림부(31)의 스피커는 '보조수문이 하강 중입니다.'와 같은 경고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수문(20)이 하강하는 과정 중에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수문(20)의 돌출부(22)와 상기 감지부(30)가 서로 마주하게 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감지부(30)가 상기 돌출부(22)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감지부(30)가 상기 돌출부(22)를 감지하게 된 경우, 상기 제어부(40)는 하강 중인 상기 보조 수문(20)의 상부와 상기 메인 수문(10)의 상부가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알림부(31)의 발광부재가 작동 중지 및 상기 알림부(31)의 스피커가 '보조수문의 하강을 멈추십시요'와 같은 보조수문(20)의 하강 중지를 위한 경고멘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관리자는 상기 제어부(40)에 구비된 하강버튼을 OFF상태로 조작하여 상기 권양기(3)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고, 이로서 상단월류, 중단방류 및 하단방류 모두가 차단된 상태로 관리수위가 유지될 수 있다.
도 18은 보조 수문의 상부가 일예의 감지부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다.
한편, 관리자의 착오 등으로 인해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22)가 상기 감지부(3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하강 중인 상기 보조 수문(20)이 필요이상으로 하강하게 된 경우, 상기 감지부(30)가 상기 보조 수문(20)의 돌출부(22)를 감지할 수 없게 되고, 이때,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알림부(31)의 발광부재가 점등 및 상기 알림부(31)의 스피커가 '보조수문을 상승시키십시요'와 같은 보조수문(20)의 상승을 위한 경고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권양기(3)가 필요이상으로 하강된 상기 보조 수문(20)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관리자는 상기 제어부(40)에 구비된 상승버튼을 ON상태로 조작할 수 있다.
도 19는 보조수문의 상부가 일예의 감지부의 상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다.
그리고, 관리자의 착오 등으로 인해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22)가 상기 감지부(3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승 중인 상기 보조 수문(20)이 필요이상으로 상승하게 된 경우, 상기 감지부(30)가 상기 보조 수문(20)의 돌출부(22)를 감지할 수 없게 되고, 이때,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알림부(31)의 발광부재가 점멸할 수 있고, 상기 알림부(31)의 스피커는 '보조수문을 하강시키십시요'와 같은 보조수문(20)의 하강을 위한 경고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권양기(3)가 필요이상으로 상승된 상기 보조 수문(20)을 하강시킬 수 있도록 관리자는 상기 제어부(40)에 구비된 하강버튼을 ON상태로 조작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필요이상으로 상승된 상기 보조 수문(20)이 하강하게 되면서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알림부(31)의 발광부재가 점멸 및 상기 알림부(31)의 스피커가 '보조수문이 하강 중입니다.'와 같은 경고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20은 검출부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메인 수문(10)이 수로의 바닥면에 안착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32)가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메인 수문(10)의 상부방향에는 상기 권양기(3)가 설치될 수 있는 수평구조물(5)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수평구조물(5)은 일예로, 콘크리트 재질의 수평슬래브 또는 금속재질의 수평플레이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평구조물(5)에는 상기 권양기(3)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수평구조물(5)의 상부 일측에 수직구비되어 상기 검출부(32)를 일정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7)가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7)와 상기 권양기(3) 사이의 상기 수평구조물(5)의 일측 부위에 관통구(5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검출부(32)는 상기 관통구(5a)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부(7)의 상부에 일정높이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알림부(31)는 상기 검출부(32)의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메인 수문(10)이 수로의 바닥면에 안착되었는지의 여부를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다.
상기 검출부(32)는 상기 수평구조물(5)의 관통구(5a)를 통해 상기 검출부(32)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상기 메인 수문(10)의 상부방향으로 레이저를 발사한 후 상기 레이저가 상기 메인 수문(10)으로부터 반사되어 돌어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검출부(32)와 상기 메인 수문(10) 사이의 상하거리를 측정하는 레이저 거리측정기를 포함한 거리측정센서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검출부(32)가 검출한 거리값과 상기 제어부(40)에 설정된 기준거리값을 비교하여 상기 알림부(31)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검출부(32)가 검출한 거리값이 기준거리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메인 수문(10)의 하부에 위치하는 나무 등의 이물질로 인해 상기 메인 수문(10)이 수로의 바닥면에 안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알림부(31)의 발광부재가 번갈아가며 점등 및 점멸될 수 있도록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알림부(31)의 스피커가 '메인 수문 하부의 이물질을 확인하여 주십시요.'와 같은 경고멘트를 출력할 수 있어 관리자가 이물질의 유무 확인 및 제거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검출부(32)가 검출한 거리값이 기준거리값과 동일한 경우,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알림부(31)는 작동 중지될 수 있다.
10; 메인 수문, 20; 보조 수문.
Claims (10)
- 상부에 방류홈이 형성되고, 상부에 각각 상부 스토퍼가 형성되는 메인 수문과;
상기 메인 수문의 방류홈의 상부를 통한 상단월류 및 상기 메인 수문의 방류홈의 하부를 통한 중단방류를 위해 상기 메인 수문의 상부에서 권양기에 의해 승강운동하여 상기 방류홈을 개폐하고, 상기 메인 수문의 상부 스토퍼 방향으로 상승하여 상기 메인 수문의 상부 스토퍼에 상단부가 접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 수문의 하부 방향의 하단방류를 위해 상기 권양기에 의해 상기 메인 수문과 함께 승강운동하는 보조 수문과;
상기 메인 수문의 후면 일측과 후면 타측에 상기 메인 수문의 상하방향으로 각각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보조 수문의 승강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보조 수문의 후면 상부 일측과 후면 상부 타측에 상기 보조 수문의 후방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가이드레일의 후측 상부에 구비되고, 관리 수위 유지를 위해 상기 메인 수문의 상부와 상기 보조 수문의 상부의 동일 수평선상 위치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메인 수문 및 상기 보조 수문의 승강운동을 위한 상승버튼 및 하강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권양기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재와 경고멘트를 음성출력하는 스피커로 이루어져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는 알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수문이 상기 권양기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보조 수문의 상단부가 상기 메인 수문의 상부 스토퍼의 하부에 접할 때 상기 메인 수문의 방류홈의 하부가 개방되어 중단방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상부 스토퍼가 상기 메인 수문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지지프레임의 후면에 상기 지지프레임의 후방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된 상태로 일정높이로 구비되며,
하단 방류를 차단하기 위해 상기 메인 수문이 하강하여 수로의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단월류 및 중단방류를 차단하기 위해 상기 보조 수문이 하강하는 과정 중에 상기 감지부가 상기 돌출부를 감지하게 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보조 수문의 상부와 상기 메인 수문의 상부가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알림부의 발광부재가 작동 중지 및 상기 알림부의 스피커가 상기 보조 수문의 하강 중지를 위한 경고멘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감지부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보조 수문이 하강하여 상기 감지부가 상기 돌출부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알림부의 발광부재가 점등 및 상기 알림부의 스피커가 상기 보조 수문의 상승을 위한 경고멘트를 출력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감지부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보조 수문이 상승하여 상기 감지부가 상기 돌출부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알림부의 발광부재가 점멸 및 상기 알림부의 스피커가 상기 보조 수문의 하강을 위한경고멘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월류와 중단방류 및 하단방류가 가능한 다단 수위조절 수문구조.
- 상부에 방류홈이 형성되고, 상부에 각각 상부 스토퍼가 형성되는 메인 수문과;
상기 메인 수문의 상부방향에 위치하고, 권양기가 설치되는 수평구조물과;
상기 메인 수문의 방류홈의 상부를 통한 상단월류 및 상기 메인 수문의 방류홈의 하부를 통한 중단방류를 위해 상기 메인 수문의 상부에서 상기 권양기에 의해 승강운동하여 상기 방류홈을 개폐하고, 상기 메인 수문의 상부 스토퍼 방향으로 상승하여 상기 메인 수문의 상부 스토퍼에 상단부가 접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 수문의 하부 방향의 하단방류를 위해 상기 권양기에 의해 상기 메인 수문과 함께 승강운동하는 보조 수문과;
관리 수위 유지를 위해 상기 메인 수문의 상부와 상기 보조 수문의 상부의 동일 수평선상 위치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권양기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는 알림부와;
상기 메인 수문이 수로의 바닥면에 안착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수평구조물의 상부 일측에 상기 권양기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수평구조물의 상부 일측에 수직구비되어 상기 검출부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수문이 상기 권양기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보조 수문의 상단부가 상기 메인 수문의 상부 스토퍼의 하부에 접할 때 상기 메인 수문의 방류홈의 하부가 개방되어 중단방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상부 스토퍼가 상기 메인 수문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지지프레임의 후면에 상기 지지프레임의 후방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된 상태로 일정높이로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와 상기 권양기 사이의 상기 수평구조물의 일측 부위에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관통구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구비 및 상기 수평구조물의 관통구를 통해 상기 검출부와 상기 메인 수문 사이의 상하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검출부가 검출한 거리값이 상기 제어부에 설정된 기준거리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알림부가 작동되며,
상기 검출부가 검출한 거리값이 상기 제어부에 설정된 기준거리값과 동일한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알림부의 작동이 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월류와 중단방류 및 하단방류가 가능한 다단 수위조절 수문구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수문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보조 수문의 승강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이 각각 상기 메인 수문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보조 수문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가이드레일과 접하여 구름운동하는 가이드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월류와 중단방류 및 하단방류가 가능한 다단 수위조절 수문구조.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와 마주보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측면부위에 상기 가이드롤러의 홈에 수용되는 보조가이드레일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월류와 중단방류 및 하단방류가 가능한 다단 수위조절 수문구조.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수문의 방류홈의 하부방향의 상기 메인 수문 부위에 상기 보조 수문의 하강을 제한하는 하부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월류와 중단방류 및 하단방류가 가능한 다단 수위조절 수문구조.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수문의 상하길이는 상기 방류홈의 상하깊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월류와 중단방류 및 하단방류가 가능한 다단 수위조절 수문구조.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수문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길이는 상기 방류홈의 좌우길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월류와 중단방류 및 하단방류가 가능한 다단 수위조절 수문구조.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3990A KR102400020B1 (ko) | 2021-09-16 | 2021-09-16 | 상단월류와 중단방류 및 하단방류가 가능한 다단 수위조절 수문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3990A KR102400020B1 (ko) | 2021-09-16 | 2021-09-16 | 상단월류와 중단방류 및 하단방류가 가능한 다단 수위조절 수문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00020B1 true KR102400020B1 (ko) | 2022-05-20 |
Family
ID=81799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23990A KR102400020B1 (ko) | 2021-09-16 | 2021-09-16 | 상단월류와 중단방류 및 하단방류가 가능한 다단 수위조절 수문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0002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21469B1 (ko) * | 2022-11-29 | 2023-04-14 | 해전산업 주식회사 | 월류형 2단 게이트 |
KR102641126B1 (ko) | 2023-06-22 | 2024-02-28 | (유)신일 | 관리수위에 따른 수위자동제어 기능과 밸런싱 조절이 가능한 관개수문용 다단 수위조절 자동수문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81909A (ko) * | 1998-08-03 | 1998-11-25 | 한상관 | 수위의 자동조절이 가능한 수문 |
KR20030063258A (ko) | 2003-06-09 | 2003-07-28 | (주) 삼안산업 | 수위 자동조절형 수문 |
KR100592975B1 (ko) * | 2005-11-16 | 2006-06-26 | 강남 | 어도블록 |
KR100680514B1 (ko) * | 2006-06-30 | 2007-02-08 | 백진현 | 수문의 원격 제어와 이상발생 알림 및 권양기 보호장치 |
KR101581186B1 (ko) * | 2015-04-17 | 2015-12-30 | 금전기업 주식회사 | 기밀구조가 강화된 수리용 수문 |
KR20200030427A (ko) * | 2018-09-12 | 2020-03-20 | 주식회사 호도스이노텍 | 두 가지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는 멀티 핀 잭과 상, 하 분리된 하강 개방식 이중 롤러게이트 |
JP2020066901A (ja) * | 2018-10-24 | 2020-04-30 | 株式会社クボタ | ポンプゲートの管理運転方法およびポンプゲート |
-
2021
- 2021-09-16 KR KR1020210123990A patent/KR10240002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81909A (ko) * | 1998-08-03 | 1998-11-25 | 한상관 | 수위의 자동조절이 가능한 수문 |
KR20030063258A (ko) | 2003-06-09 | 2003-07-28 | (주) 삼안산업 | 수위 자동조절형 수문 |
KR100592975B1 (ko) * | 2005-11-16 | 2006-06-26 | 강남 | 어도블록 |
KR100680514B1 (ko) * | 2006-06-30 | 2007-02-08 | 백진현 | 수문의 원격 제어와 이상발생 알림 및 권양기 보호장치 |
KR101581186B1 (ko) * | 2015-04-17 | 2015-12-30 | 금전기업 주식회사 | 기밀구조가 강화된 수리용 수문 |
KR20200030427A (ko) * | 2018-09-12 | 2020-03-20 | 주식회사 호도스이노텍 | 두 가지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는 멀티 핀 잭과 상, 하 분리된 하강 개방식 이중 롤러게이트 |
JP2020066901A (ja) * | 2018-10-24 | 2020-04-30 | 株式会社クボタ | ポンプゲートの管理運転方法およびポンプゲート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21469B1 (ko) * | 2022-11-29 | 2023-04-14 | 해전산업 주식회사 | 월류형 2단 게이트 |
KR102641126B1 (ko) | 2023-06-22 | 2024-02-28 | (유)신일 | 관리수위에 따른 수위자동제어 기능과 밸런싱 조절이 가능한 관개수문용 다단 수위조절 자동수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00020B1 (ko) | 상단월류와 중단방류 및 하단방류가 가능한 다단 수위조절 수문구조 | |
KR102031884B1 (ko) | 수로 측으로 밀착되거나 이격되게 동작되어 밀폐력과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수문 | |
KR20140127058A (ko) | 일체식 수문 시스템 | |
KR20110003318U (ko) | 수위조절형 수문 | |
KR100763802B1 (ko) | 승강식 다층 자동보 수문 | |
KR101220424B1 (ko) | 인양식 수문 | |
KR102325195B1 (ko) | 과부하 즉응 검출회로를 포함하는 긴급차단형 수문권양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0487997B1 (ko) | 생태복원형 수문식 자동보 시스템 | |
KR101322878B1 (ko) | 수문권양기용 이물질 감지장치 | |
JP3395033B2 (ja) | 水位調整水門 | |
KR101439225B1 (ko) | 수로 개폐형 협잡물 제진장치 | |
KR100995969B1 (ko) | 수문 시스템 | |
KR20180038759A (ko) | 수문 구동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 |
KR101563886B1 (ko) | 상부 돌출높이 최소화를 고려한 지하터널용 수문 시스템 | |
JPH10159071A (ja) | ダム用魚搬送装置 | |
KR102336761B1 (ko) | 처짐방지락킹부를 갖는 드럼권양기조립체 | |
KR101041836B1 (ko) | 월류제를 이용한 해수유입장치 | |
KR100839229B1 (ko) | 수문 개폐 시스템용 자동 조작장치 | |
KR101046404B1 (ko) | 유압식 수문의 권양 장치 | |
KR920003107B1 (ko) | 게이트용 펌프 시스템 | |
KR101985540B1 (ko) | 승강 건축구조 | |
KR102640244B1 (ko) | 주차장 침수 차단장치 | |
KR20180011907A (ko) | 상향 밀폐식 비금속 수문 | |
KR101147130B1 (ko) | 수문용 이물질 선별장치 | |
KR20090001585U (ko) | 수문 인양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