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3318U - 수위조절형 수문 - Google Patents

수위조절형 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3318U
KR20110003318U KR2020090012302U KR20090012302U KR20110003318U KR 20110003318 U KR20110003318 U KR 20110003318U KR 2020090012302 U KR2020090012302 U KR 2020090012302U KR 20090012302 U KR20090012302 U KR 20090012302U KR 20110003318 U KR20110003318 U KR 201100033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water
upstream
level sensor
opening deg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23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3775Y1 (ko
Inventor
전상준
이봉춘
Original Assignee
전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상준 filed Critical 전상준
Priority to KR20200900123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775Y1/ko
Publication of KR201100033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3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7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7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Abstract

수위조절형 수문이 개시된다. 상류와 하류를 연결하는 수로에 설치된 문틀과, 문틀 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로를 개폐하는 수문본체와, 수문본체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상류의 수위를 측정하는 제1 수위센서와, 수문본체의 개도를 측정하는 개도센서와, 수문본체의 양면 가장자리 부분을 감싸며 설치된 밀폐부재를 포함하고, 밀폐부재의 표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요철부가 형성되며 제1 수위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류의 수위에 따라 수문본체의 개도를 비례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형 수문을 제공함으로써, 수위의 변화에 따라 수문이 자동으로 개폐되어 수문의 개도가 자동으로 조절되며, 물이 역류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수위, 수문, 개폐, 제어

Description

수위조절형 수문{GATE FOR CONTROLLING WATER LEVEL}
본 고안은 수위조절형 수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댐, 펌프장, 저수지 및 하천 등에는 수문이 설치되어, 물이 필요한 곳에 공급할 물이 저장되도록 하거나, 홍수나 만조에 의해 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수문은 그 용도에 따라 적절한 시기에 개폐되어야 한다.
그런데, 수위의 변화를 일일이 확인하여 필요할 때마다 수문을 개폐하고, 수문을 개방할 경우에도 수문의 개도(開度)를 직접 조절하는 것은 상당히 번거로우며, 특히 수위의 변화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수문의 개도를 조절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수문은 주로 일 방향의 물의 흐름을 조절하기 때문에, 물이 역류할 경우 수문을 폐쇄하더라도 수문과 문틀 사이로 누수가 빈번하게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 안의 목적은 수위의 변화에 따라 수문의 개폐 및 개도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수문을 제공한다. 그리고, 물이 역류하는 경우에도 물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수문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류와 하류를 연결하는 수로에 설치된 문틀과, 문틀 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로를 개폐하는 수문본체와, 수문본체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상류의 수위를 측정하는 제1 수위센서와, 수문본체의 개도를 측정하는 개도센서와, 수문본체의 양면 가장자리 부분을 감싸며 설치된 밀폐부재를 포함하고, 밀폐부재의 표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요철부가 형성되며 제1 수위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류의 수위에 따라 수문본체의 개도를 비례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형 수문이 제공된다.
승강부는, 전동장치와, 전동장치의 회전력을 수문본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힘으로 변환시키는 기어열과, 전동장치의 회전력을 기어열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건식 마찰형 클러치와, 수문본체의 하강을 정지 또는 감속시키는 유압 브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조절형 수문은, 하류의 수위를 측정하는 제2 수위센서를 더 포함하고, 제2 수위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하류의 수위가 제1 수위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상류의 수위와 같거나 더 높으면 수문본체를 하강시켜 수로를 폐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수위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상류의 수위가 높아질수록 수문본체 의 개도가 빠르게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수위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상류의 수위가 20% 미만일 때에는 상기 수문본체를 상승시키지 않고, 80% 이상일 때에는 상기 수문본체를 최대로 상승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수위조절형 수문은, 제1 수위센서 및 제2 수위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측정되는 수위가 급격히 증가하면 경보신호를 발하는 자동경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문은, 수위의 변화에 따라 수문의 개도가 자동으로 조절되며, 물이 역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조절형 수문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조절형 수문(100)에는 수문본체(110), 문틀(130) 및 승강부(150)가 포함된다.
하천이나 펌프장 등의 상류와 하류를 연결하는 수로(10)에는 문틀(130)이 설치된다. 문틀(130)은 수로(10)를 가로막는 형상으로 설치되는데, 문틀(130)의 중간부분은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수문본체(110)는 문틀(130) 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문틀(130)의 개방된 중간부분은 수문본체(110)의 승강에 따라 개폐된다. 수문본체(110)가 승강될 수 있는 범위에서 최대한 하강하면 문틀(130)의 개방된 부분이 수문본체(110)에 의해 커버되므로 수위조절형 수문(100)이 폐쇄되고, 수문본체(110)가 상승하면 수위조절형 수문(100)이 개방된다.
여기서, 수위조절형 수문(100)이 개방되는 정도, 즉 개도는 수문본체(110)가 문틀(130)을 커버한 위치로부터 상승한 정도에 비례한다. 예를 들어, 수문본체(110)가 승강될 수 있는 범위에서 최대한 하강하였을 때의 개도는 0이고, 수문본체(110)가 최대한 상승하였을 때 개도 또한 최대값을 갖는다.
승강부(150)는 수문본체(110)를 문틀(130) 내에서 승강시키는 장치로, 수문에 연결된 래크(rack, 151)를 승강시켜 수문(100)이 개폐되도록 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조절형 수문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조절형 수문(100)에는 제 1 수위센서(170) 및 제2 수위센서(180)가 포함된다.
제1 수위센서(170)는 상류측의 물(11)의 높이, 즉 상류측의 수위를 측정한다. 그리고, 제2 수위센서(180)는 하류측의 물(12)의 높이, 즉 하류측의 수위를 측정한다. 수위를 측정하는 센서로는 정전용량식 수위센서, 접점식 수위센서, 기어식 수위센서, 저항식 수위센서 및 레이더식 수위센서 등이 있는데, 제1 수위센서(170) 및 제2 수위센서(180)로는 수로(10)의 규모에 따라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수문본체(110) 및 문틀(130) 사이에는 밀폐부재(111)가 개재된다. 밀폐부재(111)는 수문본체(110) 및 문틀(130) 사이의 틈을 밀폐하여, 수문본체(110))가 완전히 하강하여 수위조절형 수문(100)이 폐쇄되었을 때 상류측 및 하류측 사이에서 물(11, 12)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밀폐부재(111)는, 수문본체(110)가 상승하였을 때 물이 문틀(130)의 개방된 부분으로만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 수위조절형 수문(100)을 통과하는 물의 양이 수문본체(110)의 개도에 비례되도록 한다.
미설명 부호 a는 수문의 최대 개방 높이로, 이에 관하여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조절형 수문의 승강부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승강부(150)에는 래크(151), 기어열(154), 전동장치(155), 건식 마찰형 클러치(156) 및 유압 브레이크(158)가 포함된다.
전동장치(155)는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로, 일반적인 전동기가 사용될 수 있다. 전동장치(155)의 작동, 정지 및 회전방향은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해 조절될 수 있고, 수동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
전동장치(155)의 회전력은 기어열(154)로 전달된다. 기어열(train of gearing, 154)은 서로 치합된 복수의 기어로 구성되어, 전동장치(155)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의 회전수는 낮추고 회전력의 크기는 증가시킨다. 크기가 증가된 회전력은 기어열(154)의 말단에 설치된 피니언(152)으로 전달된다.
피니언(152)은 래크(151)와 치합되어, 기어열(154)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킨다. 즉, 전동장치(155)의 회전력은 기어열(154)에 의해 수문본체(110)를 상승시키는 힘으로 변환된다.
가이드 롤러(153)는 래크(151)를 중심으로 피니언(152)의 반대쪽에 배치된다. 가이드 롤러(153)는 피니언(152)의 회전에 따라 래크(151)가 상승 또는 하강될 때에 래크(151)와 피니언(152)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지 않도록 래크(151)를 가이드 하여, 래크(151)와 피니언(152)의 치합상태를 유지시킨다.
전동장치(155)와 기어열(154) 사이에는 건식 마찰형 클러치(156)가 설치된다. 건식 마찰형 클러치(156)는 전동장치(155)의 회전력을 기어열(154)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데, 이는 전환 핸들(157)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건식 마찰형 클러치(156)는 그 구조가 간단하여 보수 및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래크(151)에는 유압 브레이크(158)가 설치된다. 유압 브레이크(158)는 래크(151)의 하강, 즉 수문본체(110)의 하강을 정지 또는 감속시킨다. 따라서, 유압 브레이크(158)는 수위조절형 수문(100)이 폐쇄되지 않게 하거나, 폐쇄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수위조절형 수문(100)의 개폐를 수동으로 조작하는 경우, 조작자는 전환 핸들(157) 등을 조작하기 위하여 승강부(150)에 근접한 장소에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수문본체(100)의 개도를 직접 확인하지 못할 경우도 있고, 수로(10) 내에 많은 양의 물(11, 12)이 있는 경우에는 수문본체(110)의 개도를 육안으로 확인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승강부(150)에는 수문본체(110)의 개도를 나타내는 개도지시계(160)가 추가로 설치되어 조작자가 수문본체(110)의 개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수위조절형 수문(100)이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조작되도록 하기 위하여 수문본체(110)의 개도를 측정하는 개도센서(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개도센서(도시되지 않음)로는 수문본체(110)의 개도를 측정하여 전기적 신호를 츨력할 수 있는 수단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레이저나 초음파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를 문틀(130)의 상단부에 설치하여 수문본체(110)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조절형 수문(100)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제1 수위센서(170)로 상류측의 수위를 측정하고 그 변화를 비교하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류측의 수위가 변화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제2 수위센서(180)를 이용하여 하류측의 수위 변화도 파악할 수 있다.
상류측의 수위가 미리 정해진 값보다 높아지는 경우, 제어부는 승강부(150)를 작동시켜 수문본체(110)를 상승시킨다. 수문본체(110)가 상승되면 수로(10)의 상류측 물(11)은 하류측으로 흐르게 된다. 이때, 수문본체(110)가 상승되는 정도, 즉 수문본체(110)의 개도는 경우에 따라 다르게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위조절형 수문(100)이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관개수로(灌漑水路)에 설치된 경우에는, 하류측으로 필요한 만큼의 물(12)을 적절한 속도로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하류측으로 공급되는 물(12)의 속도, 즉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수문본체(110)의 개도가 조절되어야 한다. 제2 수위센서(180)로 하류측 수위 변화를 파악하여 하류측 수위가 적정 수위 보다 높아지는 경우에는 수문본체(110)를 하강시키고, 적정 수위 보다 낮아지는 경우에는 수문본체(110)를 상승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적정한 개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갈수기에 대비하여 상류측에 물을 저장하고자 할 때에는 제1 수위센서(170)로 상류측 수위 변화를 파악하여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도록 하며, 상류측으로 물이 지속적으로 유입되거나 강우 등에 의해 상류측의 수위가 상승하면 수문본체(110)의 개도를 조절하여 상류측의 물(11)을 하류측으로 방류하여 상류측의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수위조절형 수문(100)이 하구언(河口堰)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면, 하천수인 상류측의 물이 하류측으로 흐르게 하면서, 염수(鹽水)인 하류측의 물이 상류 측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조절한다.
즉, 만조(滿潮)일 때에는 하류측의 수위가 증가된다. 이때 수문본체(110)가 개방되어 있을 경우, 제1 수위센서(170) 및 제2 수위센서(180)에 의해 상류 및 하류의 수위가 모두 증가되는 것으로 감지된다. 이럴 경우, 수문본체(110)를 하강시켜 수위조절형 수문(100)을 폐쇄하고 상류 및 하류의 수위를 각각 측정한다. 만약 하류측의 수위가 더 높아지는 경우에는 수위조절형 수문(110)을 폐쇄한 상태로 유지하여 물이 하류측으로부터 상류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만조기가 지나서 하류측의 수위가 낮아지는 것이 감지되고, 하류측의 수위가 상류측의 수위보다 낮은 것으로 감지되면 수문본체(110)를 상승시켜 수위조절형 수문(100)을 개방시킨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문본체(110)는 상술한 경우 외에도 홍수나 해일 등 특수한 상황일 때 상류측 및 하류측의 수위변화를 감지하여 수문본체(110)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상류측 및 하류측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조절형 수문의 작동 예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위조절형 수문(100)이 상류측 수위, 즉 제1 수위센서(170)의 감지 결과에 따라 개도가 비례적으로 자동 제어되는 예가 그래프로 나타나 있다.
상류측의 적정 수위가 수문본체(110)의 최대 개방높이(도 2의 a)의 20%라고 할 경우, 제1 수위센서(170)에 의해 감지되는 상류측 수위가 20% 미만일 때에는 수 문본체(110)가 상승되지 않는다.
상류측으로 물이 유입되어 수위가 상승되는 경우, 제1 수위센서(170)에 의해 상류측 수위의 증가가 감지되면, 제어부는 승강부(150)를 작동시켜 수문본체(110)를 상승시킨다. 이때, 제어부는 수문본체(110)의 상승에 의한 수위조절형 수문(100)의 개도를 상류측 수위가 최대 개방높이(a)의 20%로 유지되도록 조절된다.
그런데, 상류측으로 물이 유입되는 속도가 증가하여 수위가 더 상승되는 것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수위의 상승에 대해 비례적으로 수문본체(110)를 더 상승시킨다. 따라서, 수위조절형 수문(100)의 개도는 상류측 수위에 비례적으로 증가된다.
이때, 상류측으로 물이 유입되는 속도가 더욱 증가되어 상류측 수위가 최대 개방높이(a)의 80%에 다다르면, 제어부는 수위의 증가속도를 예측하여 수위가 더 증가될 것에 대비하는 동시에 상류측의 수위를 최대한 신속히 낮추기 위하여 수문본체(110)를 최대 개방높이(a)까지 상승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수위조절형 수문(100)의 작동은 하나의 예로, 실제로는 하류측의 상황이나 강수량 등 다양한 상황을 고려하여 수위조절형 수문(100)의 개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수위의 변화를 분석하거나 기상청 등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장래 수위의 변화를 예측함으로써, 수위조절형 수문(100)의 개도를 더욱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제1 수위센서(170) 및 제2 수위센서(18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위의 변화가 급격히 높아지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가 수위조 절형 수문(100)의 개도를 조절하는 동시에, 미리 저장된 경보신호를 발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로(10)의 상류측의 물(11) 또는 하류측의 물(12)의 양이 급속도로 증가하면 물(11, 12)이 수로(10)를 넘어 범람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자동경보장치에 대피령과 같은 경보신호 등을 미리 저장한 후, 제1 수위센서(170) 및 제2 수위센서(180)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의해 측정되는 수위의 변화가 급격히 높아지는 경우, 제어부가 자동경보장치를 작동시켜 경보신호를 발하도록 할 수 있다.
자동경보장치는 물이 범람했을 경우 피해가 예상되는 지역을 관할하는 관공서나 그 지역에 설치된 방송장치 등에 연결하여 미리 저장된 경보신호를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는 도 1에 표시한 Ⅴ-Ⅴ직선에 의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5에 A로 표시한 부분이 확대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문틀(130)에는 수문본체(110)를 가이드하기 위한 홈부(131)가 형성되고, 수문본체(110) 및 홍부(131) 사이에는 밀폐부재(111)가 개재된다. 앞에서 설명했던 바와 같이, 밀폐부재(111)는 수문본체(110)가 완전히 하강되어 수위조절형 수문(100)의 폐쇄되었을 때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수문본체(110)가 상승되어 개방된 부분으로만 물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위조절형 수문(100)의 개도 조절에 의해 물의 방류량이 정확이 조절될 수 있게 한 다. 따라서, 밀폐부재(111)는 수밀성이 높아야 한다.
그런데, 수문본체(110)는 문틀(13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어야 하므로, 밀폐부재(111)가 수문본체(110) 및 문틀(130) 사이의 마찰력을 지나치게 증가시키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밀폐부재(111)의 문틀(130)과 접촉되는 측의 표면에 요철부(112)를 형성하여, 수문본체(110) 및 문틀(130)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면서도 밀폐부재(111)의 수밀성을 향상시킨다. 이때, 요철부(112)는 밀폐부재(111)의 길이방향, 즉 문틀(130)에 대하여 수문본체(110)가 이동하는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조절형 수문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조절형 수문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조절형 수문의 승강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조절형 수문의 작동 예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5는 도 1에 표시한 Ⅴ-Ⅴ직선에 의한 단면도.
도 6은 도 5에 A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수위조절형 수문 110: 수문
111: 밀폐부재 112: 요철부
130: 문틀 131: 홈부
150: 승강부 151: 래크
152: 피니언 153: 가이드 롤러
154: 기어열 155: 전동장치
156: 건식 마찰형 클러치 157: 전환 핸들
158: 유압 브레이크 160: 개도 지시계
170: 제1 수위센서 180: 제2 수위센서

Claims (6)

  1. 상류와 하류를 연결하는 수로에 설치된 문틀;
    상기 문틀 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로를 개폐하는 수문본체;
    상기 수문본체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상류의 수위를 측정하는 제1 수위센서;
    상기 수문본체의 개도를 측정하는 개도센서; 및
    상기 수문본체의 양면 가장자리 부분을 감싸며 설치된 밀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부재의 표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수위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류의 수위에 따라 상기 수문본체의 개도를 비례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형 수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전동장치;
    상기 전동장치의 회전력을 상기 수문본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힘으로 변환시키는 기어열;
    상기 전동장치의 회전력을 상기 기어열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건식 마찰형 클러치; 및
    상기 수문본체의 하강을 정지 또는 감속시키는 유압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형 수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류의 수위를 측정하는 제2 수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위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하류의 수위가 상기 제1 수위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상류의 수위와 같거나 더 높으면 상기 수문본체를 하강시켜 상기 수로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형 수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위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상류의 수위가 높아질수록 상기 수문본체의 개도가 빠르게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형 수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위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상류의 수위가 20% 미만일 때에는 상기 수문본체를 상승시키지 않고, 80% 이상일 때에는 상기 수문본체를 최대로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형 수문.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위센서 및 상기 제2 수위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측정되는 수위가 급격히 증가하면 경보신호를 발하는 자동경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형 수문.
KR2020090012302U 2009-09-18 2009-09-18 수위조절형 수문 KR2004537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302U KR200453775Y1 (ko) 2009-09-18 2009-09-18 수위조절형 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302U KR200453775Y1 (ko) 2009-09-18 2009-09-18 수위조절형 수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318U true KR20110003318U (ko) 2011-04-01
KR200453775Y1 KR200453775Y1 (ko) 2011-05-27

Family

ID=44208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2302U KR200453775Y1 (ko) 2009-09-18 2009-09-18 수위조절형 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775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74173A (zh) * 2014-07-02 2014-10-01 江苏武东机械有限公司 一种螺旋伞齿螺杆式启闭机的保护装置
CN110068412A (zh) * 2019-05-14 2019-07-30 天津大学前沿技术研究院 一种测量闸门静摩阻力的试验装置及方法
CN110068411A (zh) * 2019-05-14 2019-07-30 天津大学前沿技术研究院 一种测量闸门动水起闭时动摩阻力的试验装置及方法
CN110306499A (zh) * 2019-06-13 2019-10-08 江苏扬州富达液压机械集团有限公司 直升式智能一体化闸门及其应用
CN111766590A (zh) * 2020-07-06 2020-10-13 宁夏华鑫融通科技有限公司 利用激光测距的水闸开度监测方法及系统
KR102184531B1 (ko) * 2020-05-29 2020-11-30 주식회사 이엘 수위 변화에 따라 수문 개도율을 자율 조절하는 수문개폐장치
KR20210121529A (ko) * 2020-03-30 2021-10-08 (주)성림엠엔씨 2개의 절대형 엔코더를 이용한 수문개도 검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884B1 (ko) * 2017-04-11 2018-11-06 (주)청성하이텍 오폐수 정화시설의 자외선 소독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8622B2 (ja) * 1996-02-09 2001-07-16 国土交通省 九州地方整備局長 水門の開閉制御方法
JP2000226842A (ja) * 1999-02-04 2000-08-15 Kyusyu Regional Constr Bureau Ministry Of Constr 水門の自動制御システム
JP3893861B2 (ja) * 2000-08-18 2007-03-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交換部品
KR200214762Y1 (ko) * 2000-09-19 2001-02-15 봉하근 수문권양장치
KR100344058B1 (ko) * 2002-01-29 2002-07-24 농업기반공사 마찰저항을 최소화하여 수문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한농수로용 수문구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74173A (zh) * 2014-07-02 2014-10-01 江苏武东机械有限公司 一种螺旋伞齿螺杆式启闭机的保护装置
CN104074173B (zh) * 2014-07-02 2015-09-23 江苏武东机械有限公司 一种螺旋伞齿螺杆式启闭机的保护装置
CN110068412A (zh) * 2019-05-14 2019-07-30 天津大学前沿技术研究院 一种测量闸门静摩阻力的试验装置及方法
CN110068411A (zh) * 2019-05-14 2019-07-30 天津大学前沿技术研究院 一种测量闸门动水起闭时动摩阻力的试验装置及方法
CN110306499A (zh) * 2019-06-13 2019-10-08 江苏扬州富达液压机械集团有限公司 直升式智能一体化闸门及其应用
KR20210121529A (ko) * 2020-03-30 2021-10-08 (주)성림엠엔씨 2개의 절대형 엔코더를 이용한 수문개도 검출장치
KR102184531B1 (ko) * 2020-05-29 2020-11-30 주식회사 이엘 수위 변화에 따라 수문 개도율을 자율 조절하는 수문개폐장치
CN111766590A (zh) * 2020-07-06 2020-10-13 宁夏华鑫融通科技有限公司 利用激光测距的水闸开度监测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3775Y1 (ko) 201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3775Y1 (ko) 수위조절형 수문
KR102184531B1 (ko) 수위 변화에 따라 수문 개도율을 자율 조절하는 수문개폐장치
KR102062849B1 (ko)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수문 권양장치
KR101028841B1 (ko) 홍수조절지 부력식 수문
US4478534A (en) Flood control system
KR101407911B1 (ko) 래크바를 이용한 펌프일체형 수문
KR101839067B1 (ko) 유압식 전도수문의 수문위치 제어장치
KR100989898B1 (ko) 수문제어용 유압실린더 동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15113635A (ja) 水門開度制御システム
CN103526769A (zh) 谷肩堆积体边坡智能排水系统及排水方法
KR20090027496A (ko) 합류식 하수 시스템의 우수토실 유량조절장치
CN107605015B (zh) 一种防止污水倒灌的分流井系统及防倒灌方法
KR101200040B1 (ko) 센서 일체형 수문
CN216041007U (zh) 一种用于水利工程的渠道闸门
KR101001588B1 (ko) 무전원 오뚝이형 자동수문
CN203530997U (zh) 谷肩堆积体边坡智能排水系统
CN213897413U (zh) 一种智能截流井截流闸门起闭装置
JP4741971B2 (ja) 取水制御装置
KR20090128143A (ko) 전도식 수문 구동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CN207525852U (zh) 一种用于初雨调蓄池的流量控制系统
CN212714845U (zh) 内河涌防洪排捞装置
JP4102764B2 (ja) 選択取水設備
CN211621906U (zh) 一种截流井
KR102652319B1 (ko) 조립식 어도
KR102048513B1 (ko) 수문 권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603

Effective date: 2011041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