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9067B1 - 유압식 전도수문의 수문위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유압식 전도수문의 수문위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067B1
KR101839067B1 KR1020160051679A KR20160051679A KR101839067B1 KR 101839067 B1 KR101839067 B1 KR 101839067B1 KR 1020160051679 A KR1020160051679 A KR 1020160051679A KR 20160051679 A KR20160051679 A KR 20160051679A KR 101839067 B1 KR101839067 B1 KR 101839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limit switch
shaft
hydraulic motor
enco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2070A (ko
Inventor
윤병화
Original Assignee
(주)동아산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아산기 filed Critical (주)동아산기
Priority to KR1020160051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9067B1/ko
Publication of KR20170122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arrages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식 전도수문의 수문위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오일탱크(7)에서 연장되어 방향제어밸브(8)로 이어지는 관로(9)에 연결되며 축에 풀리(15)가 조립된 유압모타(10),
작동대(33)의 상한 정지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하우징(43)에 고정되고 전도수문(3)의 상한닫힘위치 신호를 콘트롤박스(39)로 인가하는 제 1 리미트스위치(34) 및 작동대(33)의 하한 정지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하우징(43)에 고정되고 전도수문(3)의 수평개방위치 신호를 콘트롤박스(39)로 인가하는 제 2 리미트스위치(36),
엔코더(26)와 제 1 리미트스위치(34) 그리고 제 2 리미트스위치(36)로부터 연장되는 전선(40)(35)(37)이 연결되고, 유압모타(10)의 정방향 회전수에 따른 엔코딩 펄스신호를 인식하는 도중 작동대(33)의 상승으로 인하여 제어된 제 1 리미트스위치(34)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인식하는 순간까지의 엔코딩 펄스신호를 수치로 계산하고, 유압모타(10)의 역방향 회전수에 따른 엔코딩 펄스신호를 인식하는 도중 작동대(33)의 하강으로 인하여 제어된 제 2 리미트스위치(36)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인식하는 순간까지의 엔코딩 펄스신호를 수치로 계산하여 전선(41)을 통해 컴퓨터모니터(42)로 전달하는 콘트롤박스(39),
콘트롤박스(39)와 전선(41)으로 연결되며 작동대(33)의 상한 정지위치와 하한 정지위치가 숫자 또는 문자로 표시되는 컴퓨터모니터(42)로 크게 구성되며,
종래의 전도수문 제어기술에 비하여 고장이나 오작동이 발생될 우려가 없고 부품의 파손 또는 유실 우려가 없이 가장 정확하고 확실하게 전도수문의 상한닫힘 위치와 수평개방 위치를 제어 및 확인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압식 전도수문의 수문위치 제어장치{Position Control Device An Hydraulic Gate for Waterway}
.
본 발명은 유압식 전도수문의 수문위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압식 전도수문(3)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수로에 설치되고 아래쪽 끝 부분은 힌지 축 A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전도수문(3)을 열고 닫기 위해서 사용되는 유압실린더(1)의 아래쪽 끝 부분은 힌지 축 B에 의해 고정되고 피스톤로드(2)는 전도수문(3)의 배면에 고정 핀으로 고정이 된다. 따라서 유압실린더(1)의 작동에 의해 전도수문(3)이 도 4와 같이 상한닫힘위치가 되면 수로 내부의 물이 완전히 개방되어 흐르지 못하고 전도수문(3)의 상단을 넘어서 홀러넘치게 되고, 도 5와 같이 수평개방위치가 되면 수로는 완전히 개방이 되어 수로 안의 물은 신속하게 방출이 된다.
그런데 전도수문(3)을 제어하는 제어실은 수로로부터 먼 거리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관리자는 전도수문(3)이 상한닫힘위치 또는 수평개방위치에 머물고 있는지의 여부를 정확하게 알 수가 없고 단지 유압실린더(1)의 작동에 따라 피스톤로드(2)가 유압실린더(1)를 빠져 나가거나 또는 원위치를 하는 유압장치의 작동 결과에 의존하는 수밖에 없었다. 즉, 전도수문(3)이 열리는 동작을 할 때 전도수문(3)과 수로 사이의 틈새에 강한 이물질이 끼이거나 전도수문(3)이 수평으로 열릴 때 전도수문(3)의 아래쪽에 큰 돌이나 나무가 끼어 있을 경우 전도수문(3)이 완전히 닫히거나 수평으로 개방이 되지 못한 상태에서도 유압실린더(1)에 걸리는 오일압력은 마치 전도수문(3)이 정상으로 작동할 때와 거의 비슷하게 작용하여 전도수문(3)이 완전히 닫히거나 수평으로 개방이 되지 못한 상태에서도 제어실에 설치된 유압콘트롤장치에 정상작동 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일일이 수로를 방문하여 전도수문(3)이 정상적으로 작동이 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수밖에 없었는데, 이러한 작업은 매우 번거롭고 많은 작업인원이 소요되어야 하며 시간도 크게 소요되는 폐단이 있고 전도수문(3)의 닫힘과 개방을 제때에 정확하게 실시하지 못함에 따라 불필요한 물의 방출 또는 부정확한 지수(止水)로 인하여 다양한 피해가 초래되었다.
이에 따라 도 4 및 도 5와 같이 수로상에 수위감지센서(4)를 설치하여 수로안의 물의 수위를 원격으로 확인하여 전도수문(3)의 개방 또는 열림 상태를 간접적으로 확인하는 수단이 사용되고 있으나 무엇보다도 부정확한 문제가 있고 물을 따라 흐르는 단단한 이물질이 충격을 가하여 잦은 파손 및 고장이 유발됨에 따라 실효성과 경제성이 불량한 단점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수로의 벽에 다시 말해서, 전도수문(3)의 상한닫힘위치와 수평개방위치에 해당하는 부분에 근접센서(5)(6)를 설치하여 전도수문(3)의 개방 또는 열림 상태를 제어실에서 알 수 있도록 하는 수단도 사용되고 있으나 이 역시 물을 따라 흐르는 단단한 이물질이 충격을 가하여 센서의 파손율이 높고 이물질이나 물때, 이끼 등의 고착으로 인해 오작동이 되는 예가 많아서 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 중에서 먼저 특허등록 제0989898호를 살피면 상하로 개폐되는 수문을 작동하기 위하여 2개의 유압실린더를 사용하고 이들 유압실린더의 이동위치를 측정하는 센서가 구비되며 유압실린더에 유량공급을 조절하는 유량제어밸브가 구비되어 2개의 유압실린더에 공급되는 유압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수문이 수문 틀에 끼어서 원활하게 상승 및 하강을 하지 못할 경우 2개의 유압실린더를 개별적으로 조작하여 수문을 원활하게 움직이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인 바 본, 유량공급을 제어하는 기술이 본 발명과 전혀 상이하고 전체적으로 보아도 본 발명과 별개의 기술에 해당된다.
다음, 특허등록 제0777388호를 살피면 이 역시 상하로 개폐되는 수문을 작동하기 위하여 와이어가 감긴 윈치드럼이 사용되며 윈치드럼의 회전수를 계수기로 측정하고 이를 전기신호로 변환시켜 조작판넬로 인가하여 디스플레이부에서 수문의 개도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인 바, 윈치드럼의 회전수를 계수기로 측정하여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는 기술은 본 발명과 유사하다 할 수는 있겠으나 본 발명은 유압모타의 축의 회전수를 엔코딩하고 이와 동시에 2개의 리미트스위치를 제어하며 유압모타의 축의 회전수와 리미트스위치의 작동신호를 조합하여 전도수문의 개도상태를 확인하는 것이기 때문에 결국 본 발명과는 별개의 기술임이 분명하다.
그리고 특허등록 제0521250호를 살피면 이 역시 상하로 개폐되는 수문을 작동하기 위하여 수문 문틀의 상하에 리미트스위치를 설치하고 수문을 상하로 작동시킬 때 동력발생부의 구동축에서 발생되는 토르크(Torque)하여 수문 개폐 시 구동축에 발생하는 양방향 기준 토르크를 비교, 구동축에 과부하가 발생하면 전원을 차단시키거나 수문의 진행방향을 반대로 변화시켜서 장치의 파손을 예방하기 위한 것인바, 2개의 리미트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은 본 발명과 유사하나 그 사용 목적이 상이함은 물론 전체적인 구성이 확연히 다른 별개의 기술임이 분명하다.
마지막으로 공개번호 10-2009-0128143호를 살피면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위 센서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모터를 구동시키고 이어서 전도수문의 개폐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기술이지만 수위 센서의 설치 위치가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아 불명확한 기술인 바, 수위 센서에 대한 문제와 단점은 이미 지적하였음을 밝힌다.
1. 특허등록 제0989898호
2. 특허등록 제0777388호
3. 특허등록 제0521250호
4. 공개번호 10-2009-0128143호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선행기술과 별개의 기술을 추구하면서 장치의 내구성이 우수하고 기술의 신뢰성이 높은 유압식 전도수문의 수문위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오일탱크(7)에서 연장되어 방향제어밸브(8)로 이어지는 관로(9)에 연결되며 축에 풀리(15)가 조립된 유압모타(10)와;
하우징(43)에 조립된 지브베어링(17)(21)에 의해 지지되며 2개의 풀리(19)(20) 및 워엄(23)이 조립된 축(18)과;
하우징(43)에 고정된 기어박스(22)에 조립되어 축(18)의 워엄(23)과 맞물리고 일측으로 풀리(25)가 고정된 워엄기어(24)와;
하우징(43)에 조립되며 풀리(27)가 고정된 엔코더(26)와;
하우징(43)에 조립된 지브베어링(28)(38)에 의해 지지되며 위쪽으로 풀리(31)가 고정되고 풀리(31)의 아래 부분에는 나사(30)가 형성된 축(29)과;
축(29)의 나사(30)에 조립되어 축(29)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직선운동을 하는 작동대(33)와;
작동대(33)의 상한 정지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하우징(43)에 고정되고 전도수문(3)의 상한닫힘위치 신호를 콘트롤박스(39)로 인가하는 제 1 리미트스위치(34) 및 작동대(33)의 하한 정지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하우징(43)에 고정되고 전도수문(3)의 수평개방위치 신호를 콘트롤박스(39)로 인가하는 제 2 리미트스위치(36)와;
유압모타(10)의 풀리(15)와 축(18)의 풀리(19)를 연결하는 벨트(16)와;
엔코더(26)의 풀리(27)와 워엄기어(24)의 풀리(25)를 연결하여 유압모타(10)의 풀리(15)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수를 엔코더(26)가 엔코딩 하도록 하는 벨트(45)와;
축(18)의 풀리(20)와 축(29)의 풀리(31)를 연결하며 유압모타(10)의 축이 정방향으로 회전할 때 작동대(33)가 상승하여 제 1 리미트스위치(34)를 제어하도록 하고, 유압모타(10)의 축이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작동대(33)가 하강하여 제 2 리미트스위치(36)를 제어하도록 하는 벨트(32)와;
엔코더(26)와 제 1 리미트스위치(34) 그리고 제 2 리미트스위치(36)로부터 연장되는 전선(40)(35)(37)이 연결되고, 유압모타(10)의 정방향 회전수에 따른 엔코딩 펄스신호를 인식하는 도중 작동대(33)의 상승으로 인하여 제어된 제 1 리미트스위치(34)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인식하는 순간까지의 엔코딩 펄스신호를 수치로 계산하고, 유압모타(10)의 역방향 회전수에 따른 엔코딩 펄스신호를 인식하는 도중 작동대(33)의 하강으로 인하여 제어된 제 2 리미트스위치(36)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인식하는 순간까지의 엔코딩 펄스신호를 수치로 계산하여 전선(41)을 통해 컴퓨터모니터(42)로 전달하는 콘트롤박스(39)와;
콘트롤박스(39)와 전선(41)으로 연결되며 작동대(33)의 상한 정지위치와 하한 정지위치가 숫자 또는 문자로 표시되는 컴퓨터모니터(42)로 구성되는 기술을 통해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코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선행기술문헌 및 종래의 전도수문 제어기술에 비하여 장치나 부품이 파손되거나 유실되는 현상을 완전히 없앨 수 있고 가장 간단하며 내구성이 뛰어난 구조를 채택함에 따라 고장이나 오작동이 발생될 우려도 거의 없이 항상 정확하고 99% 이상 신뢰할 수 있는 전도수문의 제어가 가능하며 나아가 전도수문의 미세조절까지 가능하여 가장 효과적으로 전도수문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계통도.
도 2는 도 1을 기준한 부분 확대도(작동대 상승 상태).
도 3은 도2를 기준하여 작동대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 4와 도 5는 종래 기술을 통해 전도수문의 닫힘과 개방을 제어하는 요령을 나타낸 참고도.
[발명의 실시예]
이어서 첨부된 도면을 근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시한다.
먼저 본 발명의 유압모타(10)는 도 1과 같이 오일탱크(7)에서 연장되어 방향제어밸브(8)로 이어지는 관로(9)에 연결되며 축에 풀리(15)가 조립되어 있는데, 유압모타(10) 안으로 오일이 통과하면 그 축이 회전하여 풀리(15)를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다음, 엔코더(26)에 유압모타(10)의 축의 회전수를 전달하기 위한 축(18)은 도 2와 같이 하우징(43)에 조립된 지브베어링(17)(21)에 의해 지지되며 2개의 풀리(19)(20) 및 워엄(23)이 조립되어 있는데, 풀리(19)의 직경은 풀리(20)의 직경에 비하여 2배가 되도록 하고 작은 직경의 풀리(20)는 유압모타(10)의 풀리(15) 그리고 이후 설명되는 축(29)의 풀리(31)와 직경이 같도록 하는 것이 좋으나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고 상황에 따라 이들 풀리의 직경은 달라질 수가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다음, 하우징(43)에 고정된 기어박스(22)에 조립되어 축(18)의 워엄(23)과 맞물리고 일측으로 풀리(25)가 고정된 워엄기어(24)를 구비하며, 기어박스(22)의 옆에는 풀리(27)를 거지는 고정된 엔코더(26)가 구비되도록 한다.
이어서 유압모타(10)의 구동력에 의해 작동대(33)를 상하로 직선운동을 시키기 위한 축(29)을 살피면 하우징(43)에 조립된 지브베어링(28)(38)에 의해 지지되며 위쪽으로 풀리(31)가 고정되고 풀리(31)의 아래 부분에는 나사(30)가 형성되도록 하고 나사(30)에는 도면과 같이 작동대(33)가 조립되도록 하는데, 작동대(33)는 하우징(43)에 조립된 레일이나 안내 가이드 등 공지의 구조를 통해 직선운동을 하도록 하는 것이므로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음을 밝힌다.
이어서 하우징(43)에는 작동대(33)의 상한 정지위치를 제어하고 작동대(33)가 접촉되는 즉시 전도수문(3)의 상한닫힘위치 신호를 콘트롤박스(39)로 인가하는 제 1 리미트스위치(34)를 고정시키고 이와 아울러 작동대(33)의 하한 정지위치를 제어하고 작동대(33)가 접촉되는 즉시 전도수문(3)의 수평개방위치 신호를 콘트롤박스(39)로 인가하는 제 2 리미트스위치(36)를 구비시키는데, 여기서 제 1 리미트스위치(34)와 제 2 리미트스위치(36)의 위치는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전도수문(3)이 닫히고 열리는 위치를 정확하게 세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당연하다.
다음, 유압모타(10)의 풀리(15)와 축(18)의 풀리(19)를 연결하는 벨트(16)를 조립하고 엔코더(26)의 풀리(27)와 워엄기어(24)의 풀리(25)에 벨트(45)를 조립하여 유압모타(10)의 풀리(15)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수를 엔코더(26)가 엔코딩하도록 한다.
이어서 축(18)의 풀리(20)와 축(29)의 풀리(31)에 벨트(32)를 조립하여 유압모타(10)의 축이 정방향으로 회전할 때 작동대(33)가 상승하여 제 1 리미트스위치(34)를 제어하도록 하고, 유압모타(10)의 축이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작동대(33)가 하강하여 제 2 리미트스위치(36)를 제어하도록 한다.
다음, 엔코더(26)와 제 1 리미트스위치(34) 그리고 제 2 리미트스위치(36)로부터 연장되는 전선(40)(35)(37)이 연결되고, 유압모타(10)의 정방향 회전수에 따른 엔코딩 펄스신호를 인식하는 도중 작동대(33)의 상승으로 인하여 제어된 제 1 리미트스위치(34)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인식하는 순간까지의 엔코딩 펄스신호를 수치로 계산하고, 유압모타(10)의 역방향 회전수에 따른 엔코딩 펄스신호를 인식하는 도중 작동대(33)의 하강으로 인하여 제어된 제 2 리미트스위치(36)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인식하는 순간까지의 엔코딩 펄스신호를 수치로 계산하여 전선(41)을 통해 컴퓨터모니터(42)로 전달하는 콘트롤박스(39)를 구비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콘트롤박스(39)와 전선(41)으로 연결되며 작동대(33)의 상한 정지위치와 하한 정지위치가 숫자 또는 문자로 표시되는 컴퓨터모니터(42)를 구비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작용을 살피기로 한다.
도 1의 상태에서 유압시스템을 작동시키면 미 도시된 유압펌프가 가동되어 오일탱크(7)의 오일을 관로(9)를 통해 유압모타(10)를 거쳐 다시 관로(11)를 통해 방향제어밸브(8)로 진입시키고 방향제어밸브(8)를 통과한 오일은 관로(12)를 거쳐 유압실린더(1)의 하방으로 진입하여 피스톤로드(2)를 상승시키며 이에 따라 전도수문(3)은 도 4와 같이 상한위치로 상승되게 되는데, 이때 유압모타(10)를 통과하는 오일은 유압모타(10)의 축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축에 고정된 풀리(15)가 회전하며 벨트(16)를 통해 축(18)의 풀리(19)를 회전시키며 이에 따라 워엄(23)이 회전하고 워엄(23)과 맞물린 워엄기어(24)가 회전하며 워엄기어(24)에 고정된 풀리(25)가 회전하며 벨트(45)를 통해 엔코더(26)의 풀리(27)를 회전시켜서 결국 유압모타(10)의 축의 회전수를 엔코더(26)가 엔코딩을 하게 되고 전선(40)을 통해 엔코딩이 된 펄스신호를 콘트롤박스(39)로 전달하게 되며 콘트롤박스(39)의 연산회로는 엔코더(26)의 펄스신호를 계속 연산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축(18)에 고정된 풀리(20)가 회전함에 따라 벨트(32)를 통해 축(29)의 풀리(31)가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나사(30)에 조립된 작동대(33)가 점점 상승하게 되며 이후 제 1 리미트스위치(34)를 제어하면서 작동대(33)는 정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작용에 의해 제 1 리미트스위치(34)가 작동대(33)에 의해 제어되는 순간 제 1 리미트스위치(34)는 전기신호를 발생시켜 전선(35)을 통해 콘트롤박스(39)로 전달하며 콘트롤박스(39)의 연산장치는 제 1 리미트스위치(34)로부터 인가받은 전기신호가 입수되는 순간까지의 엔코더 펄스신호를 비교 연산하여 전선(41)을 통해 컴퓨터모니터(42)에 수치 또는 문자로 표시하게 된다.
즉, 전도수문(3)의 상한 닫힘위치가 컴퓨터모니터(42)에 수치로 표시되며 이때 문자를 통해 수문이 상한 정상위치에 있다는 표시를 동시에 할 수도 있다.
다음, 전도수문(3)을 도 5와 같이 수평 개방위치로 변환시켜 수로 안의 물을 일시에 방출시켜야 할 경우에는 유압펌프의 작동에 의해 오일탱크(7)의 오일을 관로(14)를 거쳐 방향제어밸브(8)로 주입시키고 방향제어밸브(8)를 거친 오일은 관로(13)를 거쳐 유압실린더(1)의 상부로 진입하게 되어 피스톤로드(2)는 유압실린더(1) 안으로 원위치를 함에 따라 전도수문(3)은 도 5와 같이 수평 개방상태가 되는 바, 이때 유압실린더(1) 내부의 오일은 관로(12)틀 거쳐 방향제어밸브(8)를 통해 관로(11) 안으로 진입하고 관로(11)를 통과하는 오일은 유압모타(10)를 거쳐 관로(9)를 통해 오일탱크(7)로 환원된다.
이때 유압모타(10)의 축은 역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며 유압모타(10)의 축에 고정된 풀리(15)도 역방향으로 회전을 함에 따라 상술한 정방향 작용에 대한 설명과 반대로 축(18)과 축(29)이 모드 역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작동대(33)는 하강을 하기 시작하며 엔코더(26)는 유압모타(10) 축의 역방향의 회전수를 엔코딩하여 콘트롤박스(39)로 인가하게 된다.
이어서 작동대(33)가 하강하여 제 2 리미트스위치(36)를 제어하며 정지하게 되고 제 2 리미트스위치(36)는 전기신호를 콘트롤박스(39)로 전달하며 콘트롤박스(39)의 연산장치는 제 2 리미트스위치(36)로부터 인가받은 전기신호가 입수되는 순간까지의 엔코더 펄스신호를 비교 연산하여 전선(41)을 통해 컴퓨터모니터(42)에 수치 또는 문자로 표시하게 된다.
즉, 전도수문(3)의 수평 개방위치가 컴퓨터모니터(42)에 수치로 표시되며 이때 문자를 통해 수문이 수평 정상위치에 있다는 표시를 동시에 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관리자는 유압시스템을 작동시켜 전도수문(3)의 상한 닫힘위치와 수평 개방위치를 컴퓨터모니터(42)를 통해 일목요연하게 알 수가 있게 되는데, 만일 상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전도수문(3)이 완전히 닫히거나 완전히 열리지 않는 상태가 되면 컴퓨터모니터(42)에는 상한 닫힘위치의 정상적인 수치 또는 문자와 수평 개방위치의 정상적인 수치 또는 문자가 나타나지 않고 에러표시가 날 것임이 분명하므로 즉시 현장으로 출동하여 후속조치를 취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도수문(3)의 상한 닫힘위치와 수평 개방위치에 따른 수치를 참고하여 다시 말해서, 상한 닫힘위치의 수치가 "500" 이고 수평 개방위치의 수치가 "100" 일 경우 컴퓨터모니터(42)에 나타나는 수치가 "300" 일 때 유압장치의 가동을 중단시키면 전도수문(3)은 절반만 개방이 되도록 할 수도 있는 바, 이러한 요령에 의해 전도수문(3)의 닫히고 열리는 각도를 매우 미세하게 간단히 조절할 수 있는 유리함도 대두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콘트롤박스(39)와 컴퓨터모니터(42)를 연결하는 전선(41)을 생략하고 무선신호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술한 각 풀리와 벨트는 체인기어와 체인 등으로 대체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1: 유압실린더 3: 전도수문 4: 수위감지센서 5, 6: 근접센서
7: 오일탱크 8: 방향제어밸브 10: 유압모타 18: 축
22: 기어박스 26: 엔코더 29: 축 30: 나사 33: 작동대
34: 제 1 리미트스위치 36: 제 2 리미트스위치 39: 콘트롤박스
42: 컴퓨터모니터

Claims (1)

  1. 오일탱크(7)에서 연장되어 방향제어밸브(8)로 이어지는 관로(9)에 연결되며 축에 풀리(15)가 조립된 유압모타(10)와;
    하우징(43)에 조립된 지브에어링(17)(21)에 의해 지지되며 2개의 풀리(19)(20) 및 워엄(23)이 조립된 축(18)과;
    하우징(43)에 고정된 기어박스(22)에 조립되어 축(18)의 워엄(23)과 맞물리고 일측으로 풀리(25)가 고정된 워엄기어(24)와;
    하우징(43)에 조립되며 풀리(27)가 고정된 엔코더(26)와;
    하우징(43)에 조립된 지브베어링(28)(38)에 의해 지지되며 위쪽으로 풀리(31)가 고정되고 풀리(31)의 아래 부분에는 나사(30)가 형성된 축(29)과;
    축(29)의 나사(30)에 조립되어 축(29)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직선운동을 하는 작동대(33)와;
    작동대(33)의 상한 정지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하우징(43)에 고정되고 전도수문(3)의 상한닫힘위치 신호를 콘트롤박스(39)로 인가하는 제 1 리미트스위치(34) 및 작동대(33)의 하한 정지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하우징(43)에 고정되고 전도수문(3)의 수평개방위치 신호를 콘트롤박스(39)로 인가하는 제 2 리미트스위치(36)와;
    유압모타(10)의 풀리(15)와 축(18)의 풀리(19)를 연결하는 벨트(16)와;
    엔코더(26)의 풀리(27)와 워엄기어(24)의 풀리(25)를 연결하여 유압모타(10)의 풀리(15)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수를 엔코더(26)가 엔코딩 하도록 하는 벨트(45)와;
    축(18)의 풀리(20)와 축(29)의 폴리(31)를 연결하며 유압모타(10)의 축이 정방향으로 회전할 때 작동대(33)가 상승하여 제 1 리미트스위치(34)를 제어하도록 하고, 유압모타(10)의 축이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작동대(33)가 하강하여 제 2 리미트스위치(36)를 제어하도록 하는 벨트(32)와;
    엔코더(26)와 제 1 리미트스위치(34) 그리고 제 2 리미트스위치(36)로부터 연장되는 전선(40)(35)(37)이 연결되고, 유압모타(10)의 정방향 회전수에 따른 엔코딩 펄스신호를 인식하는 도중 작동대(33)의 상승으로 인하여 제어된 제 1 리미트스위치(34)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인식하는 순간까지의 엔코딩 펄스신호를 수치로 계산하고, 유압모타(10)의 역방향 회전수에 따른 엔코딩 필스신호를 인식하는 도중 작동대(33)의 하강으로 인하여 제어된 제 2 리미트스위치(36)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인식하는 순간까지의 엔코딩 펄스신호를 수치로 계산하여 전선(41)을 통해 컴퓨터모니터(42)로 전달하는 콘트롤박스(39)와;
    콘트롤박스(39)와 전선(41)으로 연결되며 작동대(33)의 상한 정지위치와 하한 정지위치가 숫자 또는 문자로 표시되는 컴퓨터모니터(42)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전도수문의 수문위치 제어장치.
KR1020160051679A 2016-04-26 2016-04-26 유압식 전도수문의 수문위치 제어장치 KR101839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679A KR101839067B1 (ko) 2016-04-26 2016-04-26 유압식 전도수문의 수문위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679A KR101839067B1 (ko) 2016-04-26 2016-04-26 유압식 전도수문의 수문위치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070A KR20170122070A (ko) 2017-11-03
KR101839067B1 true KR101839067B1 (ko) 2018-03-16

Family

ID=60383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679A KR101839067B1 (ko) 2016-04-26 2016-04-26 유압식 전도수문의 수문위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90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7634B1 (ko) * 2020-01-15 2021-07-14 신광출 교량용 투신방지장치
KR20210121529A (ko) 2020-03-30 2021-10-08 (주)성림엠엔씨 2개의 절대형 엔코더를 이용한 수문개도 검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31141A (zh) * 2021-11-05 2022-01-14 成都智慧农夫科技有限公司 一种螺杆闸闸控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7447B1 (ko) 2015-06-19 2015-08-25 유한회사 도건엔지니어링 유압식 전도 수문의 운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7447B1 (ko) 2015-06-19 2015-08-25 유한회사 도건엔지니어링 유압식 전도 수문의 운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7634B1 (ko) * 2020-01-15 2021-07-14 신광출 교량용 투신방지장치
KR20210121529A (ko) 2020-03-30 2021-10-08 (주)성림엠엔씨 2개의 절대형 엔코더를 이용한 수문개도 검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070A (ko) 2017-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9067B1 (ko) 유압식 전도수문의 수문위치 제어장치
KR100685863B1 (ko)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수문 권양장치
KR102062849B1 (ko)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수문 권양장치
CA2450151A1 (en) Irrigation gate system
CN211922529U (zh) 双向泵闸装置
KR200453775Y1 (ko) 수위조절형 수문
KR100936428B1 (ko) 부구장치 및 포토다이오드를 이용한 수문용 자동 전기제어장치
KR101407911B1 (ko) 래크바를 이용한 펌프일체형 수문
KR100926134B1 (ko) 부구장치를 이용한 수문용 자동 전기제어장치
KR101622904B1 (ko) 진동측정장치를 구비한 펌프게이트
KR100811874B1 (ko) 건널목 자동 차단장치
CN108870087B (zh) 一种煤气水封快速补水及排水筒在线清堵装置
KR100991199B1 (ko) 양방향 토크 조절에 의한 수문의 과부하 방지장치
KR101047553B1 (ko) 전도게이트용 권양기
KR200386588Y1 (ko) 원격 개도식 수문 개폐용 전동권양기
KR20090053523A (ko) 수문제어용 유압실린더 동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383068B1 (ko) 다회전구동기를 위한 원격위치검출장치
KR101196149B1 (ko) 회동에 의한 과부하 차단 기능을 구비한 수문 권양기
KR101322010B1 (ko) 수문장치
US1681487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hydraulic gates
KR100518379B1 (ko) 수문 제어용 권양기
KR101074543B1 (ko) 수문의 비상 정지장치
RU151408U1 (ru) Приемо-раздат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бора продукта с заданного уровня из резервуара продукта с заданного уровня из резервуара и для подачи продукта в резервуар
CN214535707U (zh) 平压阀泵房内闸阀维修用启闭装置
CN112697223B (zh) 一种水文情报水位监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