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7553B1 - 전도게이트용 권양기 - Google Patents

전도게이트용 권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7553B1
KR101047553B1 KR1020080022661A KR20080022661A KR101047553B1 KR 101047553 B1 KR101047553 B1 KR 101047553B1 KR 1020080022661 A KR1020080022661 A KR 1020080022661A KR 20080022661 A KR20080022661 A KR 20080022661A KR 101047553 B1 KR101047553 B1 KR 101047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valve
gate
hydraulic
pipe
accum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2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7498A (ko
Inventor
최종남
박영수
기인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산
주식회사 도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산, 주식회사 도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산
Priority to KR1020080022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553B1/ko
Publication of KR20090097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7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46Combinations of several jacks with means for interrelating lifting or lowering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도게이트용 권양기는 보에 회전축이 힌지결합 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도 게이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보 또는 이와 인접된 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도게이트의 회전축에 설치된 휠 또는 회동 바와 연결되어 로프가 감긴 보빈과, 상기 보빈을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 모터를 구비한 윈치와, 상기 유압모터가 공회전할 수 있도록 브레이크를 해지하여 수위에 따라 전도게이트에 작용하는 수위에 따라 전도게이트를 열림을 조정할 있는 것으로, 유압모터의 유압유 공급관과 토출관을 연결하는 바이패스관과, 상기 바이패스관에 설치되는 제 1컨트롤 밸브와, 상기 제1컨트롤 밸브를 조작하기 위한 파일롯 유압유를 공급하기 위해 유압펌프와 연결되는 제 1연결관과, 제 1연결관에 설치되어 작동압을 저장하기 위한 어큐뮬레이터와, 상기 어큐뮬레이터와 제 1컨트롤밸브 사이에 설치되는 제 2컨트롤밸브와, 상기 보에 저장되는 물의 저장수위에 의해 상기 제 2컨트롤 밸브를 조작하는 센서유니트를 포함하는 무동력 전도게이트 열림수단을 구비한다.
권양기, 전도게이트, 윈치, 부구, 어큐뮬레이터

Description

전도게이트용 권양기{floodgate winch of overturnable automaticwatergate}
본 발명은 전도게이트용 권양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수위에 따라 전도게이트의 권양기를 구동시킬 수 있는 센서유니트와 유압회로가 개선된 전도게이트용 권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이나 하천의 댐 등에는 물을 가두거나 방류하기 위하여 보가 설치되는데 이와 같이 설치되는 대부분의 전도식 개폐장치는 수동, 반자동, 자동의 개폐장치에 의해 개폐된다.
이러한 전도식 개폐장치는 전동식과 유압식이 있다. 상기 모터를 이용한 와이어 로프 호이스트 타입(wire rope hoist type)의 전동식은 가격이 고가이고, 권양 용량에 비하여 크기가 커 상대적으로 설치면적이 넓고 설치비용이 높으며, 소음이 심하다. 특히 상대적으로 많은 관리 유지비가 필요하다.
이러한 수문 개폐장치의 일예로서 전도식 수문 구동장치의 일예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55826호의 하천용 수문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전도식 수문 구동장치는 제방시설인 보의 통수구에 상단 또는 하단이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수문이 설치되고, 수문의 양측에 해당하는 통수구의 내측 에 캐비닛이 마련되고, 수문의 상단 또는 하단이 선택적으로 회전될 때에, 수문의 상/하단을 회동시키는 상/하단 구동수단이 캐비닛 내에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전도식 수문 구동장치는 물의 저장 수위를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하고, 이 초음파 센서에 의해 감지된 수위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을 작동시켜 전도 게이트를 개폐함으로써 수위를 조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물의 저장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초음파 센서는 설치에 따른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유지 보수에 따른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특히 초음파 센서는 낙뢰에 약하다. 따라서 낙뢰가 많은 장마철에 낙뢰에 의해 센서가 손상되는 경우 수위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실용신안 등록 제 0329971호에 개시된 와이어를 이용한 상, 하 승강식 유압수문은 유압실린더의 로드 승강력을 로프를 이용하여 수문에 전달하는 구조를 가진다. 실용신안등록 제0171459호에 개시된 유압식 수문 개폐장치는 유압펌프로부터 이송되는 유압유를 이용하여 로드가 수문과 연결된 유압실린더를 작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등록 실용신안 제 0332997호에는 유압식 수문 개폐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3-22220호에 개시된 수문은 전동식 유압발생장치와 연결되어 작동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도게이트가 설치된 보 또는 댐의 수위에 따라 전도 게이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모터와, 유압브레이크의 잠금상태를 해지하여 전도게이트의 회전력에 의해 전도 게이트를 열 수 있는 전도 게이트용 권양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작동에 따른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지보수 비용를 절감할 수 있는 전도 게이트용 권양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도 게이트용 권양기는 보에 회전축이 힌지결합 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도 게이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보 또는 이와 인접된 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도게이트의 회전축에 설치된 휠 또는 회동 바와 연결되어 로프가 감긴 보빈과, 상기 보빈을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 모터를 구비한 윈치와,
상기 유압모터가 공회전할 수 있도록 브레이크를 해지하여 수위에 따라 전도게이트에 작용하는 수위에 따라 전도게이트를 열림을 조정할 있는 것으로, 유압모터의 유압유 공급관과 토출관 연결하는 바이패스관과, 상기 바이패스관에 설치되는 제 1컨트롤 밸브와, 상기 제1컨트롤 밸브를 조작하기 위한 파일롯 유압유를 공급하기 위해 유압펌프와 연결되는 제 1연결관과, 제 1연결관에 설치되어 작동압을 저장하기 위한 어큐뮬레이터와, 상기 어큐뮬레이터와 제 1컨트롤밸브 사이에 설치되는 제 2컨트롤밸브와, 상기 보에 저장되는 물의 저장수위에 의해 상기 제 2컨트롤 밸브를 조작하는 센서유니트를 포함하는 무동력 전도게이트 열림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니트는 보에 저장된 저장 수위에 따라 승강 되는 부구와, 상기 부구의 승강변위를 상기 컨트롤 밸브 조작력으로 가변시키는 변위 조작부를 구비하며, 상기 변위 조작부는 상기 부구와 연결되며 프레임에 설치되는 가이드 롤러에 걸린 로프와, 상기 로프의 설치되는 웨이트 부재와, 상기 로프에 설치되며 제 2컨트롤 밸브의 조작레버와 접촉되는 경사부를 가진 조작부재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권양기는 상기 제 1컨트롤밸브와 제 2컨트롤 밸브 사이의 제 1연결관에서 분기된 제 2연결관과, 상기 제 2연결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파일롯 유압유에 의해 작동되어 유압모터의 회전을 고정을 해지하는 유압브레이크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은 보의 저장 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전도 게이트에 작용하는 수압에 의해 전도 게이트를 회전시켜 물을 배출할 수 있으므로 전도게이트를 열기 위한 별도의 동력이 불필요하다. 그리고 수위의 변화에 따른 부력의 원리로 다단계 전도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인위적인 조작에 의한 것보다 안정적으로 홍수의 조절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도게이트 권양기의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도게이트 권양기는 하천의 보(100)에 설치된 전도게이트(200)를 개폐하는 것으로, 전도 게이트용 권양기(10)는 전도게이트(200)에 설치 된 휠 또는 레버와 연결된 로프(21)가 감긴 보빈(22)과 이 보빈(22)이 설치된 프레임(23)에 설치되어 상기 보빈(22)을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모터(24)를 구비한 윈치(20)와, 상기 윈치(20)의 유압모터(24)를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모터 구동수단(30)과, 상기 유압모터 구동수단(30)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저장한 후 이를 이용하여 상기 전도게이트에 작용하는 수압에 의해 상기 유압모터가 회전되도록 하는 무동력 전도게이트 열림수단(40)을 구비한다.
상기 유압모터 구동수단(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빈(22)을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모터(24)에 유압탱크(31)로부터 유압유를 펌핑하기 위한 유압펌프(32)와, 상기 유압펌프(32)와 상기 유압모터(24)를 연결하는 공급관로(33)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모터(24)로의 유압유의 공급을 단속하는 컨트롤 밸브(35)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컨트롤 밸브(35)는 4포트 3위치 컨트롤 밸브를 사용하며 상기 유압모터(24)들의 정역회전 및 정지 상태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컨트롤 밸브(35)와 유압펌프(34)의 사이의 공급관로(33)에는 소정의 압력에서 유압유를 탱크(31)로 귀환시키는 릴리이프 밸브(36)와 첵크밸브(37)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동력 전도게이트 열림수단(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에 저장된 수위에 따라 수압이 작용하고 있는 전도게이트(200)의 의해 열림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무동력 전도게이트 열림수단(40)은 유압모터(24)의 공급관로(33)와 유출관로(38)를 연결하는 바이패스관(41)과, 상기 바이패스관(41)에 설치되는 제 1컨트롤 밸브(42)와, 상기 제1컨트롤 밸브(42)를 조작하기 위한 파일롯 유압유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유입관로(33)와 연결되는 제 1연결관(43)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유입관로(33)와 연결되는 제 1연결관(43)에는 상기 유입관로(33)로부터 첵크밸브(44)와 어큐뮬레이터(46) 및 압력계(45)가 설치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46)는 상기 유압펌프(32)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유 즉, 유압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는 유압유와 압축공기가 저장된다. 어큐뮬레이터(46) 내부는 압축공기에 의해 소정의 압력이 유지되는 데, 유입관로(33)의 압력이 어큐뮬레이터(46) 내부의 압력보다 높아지면 압력차에 의해 유입관로(33)의 유압유가 어큐뮬레이터(46)의 내부로 유입된다.
또한, 유입관로(33)의 압력이 어큐뮬레이터(46) 내부의 압력보다 낮아지면 유입관로(33) 및 어큐뮬레이터(46)의 압력차에 의해 어큐뮬레이터(46)의 내부에 수용된 유압유가 유입관로(33)로 유입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46)는 유압펌프로부터 별도의 유압유 공급 없이 상기 제 1컨트롤밸브(42)와 후술하는 제 2컨트롤 밸브(47)를 5 내지 10회 이상 구동시킬 수 있는 유압유 및 압력을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어큐뮬레이터(46)와 제 1컨트롤밸브(42) 사이에는 제 2컨트롤밸브(47)가 설치되고, 상기 보(100)에는 저장되는 물의 저장수위에 의해 상기 제 2컨트롤 밸브(47)를 조작하는 센서유니트(50)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연결관(43)에는 상기 어큐뮬레이터(46)로부터 작용하는 압력이 상기 제 2컨트롤밸브(47)를 통과하지 않고 우회하는 제 2바이패스관(48)이 설치되고, 이 제 2바이패스관(48)에는 수동밸브(49)가 설치된다.
상기 센서 유니트(50)는 보(100)에 저장된 저장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부구(51)와, 상기 부구(50)의 승강변위를 상기 제 2컨트롤 밸브(47) 조작력으로 가변시키는 변위 조작부(52)를 구비한다. 상기 변위조작부(52)는 상기 부구(51)와 연결되며 고정프레임(53)에 설치된 가이드 롤러(54)에 걸리는 로프(55)와, 상기 로프(55)의 단부에 설치되는 웨이트 부재(56)와 상기 로프(55)에 설치되며 제 2컨트롤 밸브(47)의 조작레버(47a)와 접촉되는 경사부(57a)를 가진 조작부재(57)를 구 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변위 조작부(52)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저장 수위에 따라 승가되는 부구(51)의 변위를 상기 제2컨트롤 밸브(47)의 조작레버(47a)에 전달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예컨대 부구와 연결되는 제1링크와, 제 1링크의 승강력 또는 회동력을 상기 조작레버에 전달할 수 있는 제2레버로 이루어 질수 있다.
한편, 상기 전도게이트의 권양기(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컨트롤밸브(42)와 제 2컨트롤 밸브(47)의 사이의 제 1연결관(43)으로부터 분기된 제 2연결관(61)과, 상기 제 2연결관(61)을 통하여 공급되는 파일롯 유압유에 의해 작동되어 유압모터(24)의 구동고정을 해지하는 유압브레이크(62)를 구비한다.
상기 유압브레이크(62)는 실린더(62a)와 상기 실린더(62a)에 설치되어 상기 제 2연결관(61)을 통하여 파일롯 유압류에 의해 유압모터(24)의 회전축에 설치된 제1디스크(63)로부터 분리되는 제 2디스크(62b)를 가지는 피스톤(62c)과 상기 피스톤(62c)과 실린더(62a)의 사이에 설치되며, 제1디스크(63)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62d)을 구비한다.
상기 언급된 유압브레이크(62)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100)의 수위가 설정치 이상으로 상승되면 무동력 전도게이트 열림수단의 부구(51)가 수위에 따라 상승하게 되고, 이와 연결된 로프(55)가 이동됨과 아울러 이 로프(55)에 설치된 조작부재(57)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조작부재(57)의 경사부(57a)와 접촉된 조작레버(47a)에 의해 제2컨트롤 밸브(47)가 작동된다. 제 2컨트롤 밸브(47)의 작동으로 제1연결관(43)을 통하여 어큐뮬레이터(46)에 저장되어 있던 유압이 상기 제2연결관(61)으로 유입된다.
상기 유압은 제2연결관(61)을 통해 실린더(62a) 내부로 유입되고, 실린더(62a) 내부로 유입된 유압에 의해 피스톤(62c)는 제1디스크(63)에 대해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이동하는 피스톤(62c)에 의해 제2디스크(62b)는 제1디스크(63)로부터 분리되고, 유압모터(24)의 회전축는 유압브레이크(62)의 제동력으로부터 해방되어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제2연결관(61)으로 유압공급이 차단되면, 실린더(62a) 내부로 유압공급이 중단되고, 스프링(62d)의 탄성력에 의해 피스톤(62c)이 제1디스크(63)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동하는 피스톤(62c)에 의해 제2디스크(62b)는 제1디스크(63)에 접촉하고, 제1 및 제2디스크(62b,63)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유압모터(24)의 회전축은 구속된다.
상기 유압브레이크(62)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상기 파일롯 유압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 상기 유압모터의 회전을 고정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1연결관(43)에는 상기 어큐뮬레이터(46)로부터 작용하는 압력이 상기 제 2컨트롤밸브(47)를 통과하지 않고 우회하는 제 2바이패스관(48)이 설치되고, 이 제 2바이패스관(48)에는 수동밸브(49)가 설치된다. 미설명부호 70은 제어부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도게이트 권양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갈수기에 물을 저장하기 위하여 전도게이트(200)를 닫기 위해서는 제어부(70)를 이용하여 유압펌프(32)를 작동시킴과 아울러 컨트롤 밸브(25)를 조작하여 유압모터(24)를 구동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유압모터(24)가 구동됨으로써 보빈(22)이 회전되어 상기 전도게이트(200)가 닫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어큐뮬레이터(46)에는 유압유가 충전된다. 전도게이트(200)가 모두 닫히면 컨트롤 밸브(25)를 조작하여 유압모터(24)의 작동을 중단시킨다.
한편, 보(100)의 수위가 설정치 이상으로 상승되면 무동력 전도게이트 열림수단의 부구(51)가 수위에 따라 상승하게 되고, 이와 연결된 로프(55)가 이동됨과 아울러 이 로프(55)에 설치된 조작부재(57)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조작부재(57)의 경사부(57a)와 접촉된 조작레버(47a)에 의해 제2컨트롤 밸브(47)가 작동된다.
이때, 제2컨트롤 밸브(47)에 의해 유압의 유동이 차단되도록 폐쇄되어 있던 제1연결관(43)은 제2컨크롤 밸브(47)의 작동에 의해 폐쇄된 부분이 개방되어 어큐뮬레이터(46)에 저장되어 있던 유압이 유동한다.
제1연결관(43)을 통해 유동하는 유압은 제1컨트롤 밸브(42)에 공급되고, 공급된 유압에 의해 제1컨트롤 밸브(42)는 작동되어 바이패스관(41)을 연통시킨다.
이때, 유압모터(24)와 바이패스관(41) 사이에 일정 유압이 유동할 수 있는 폐회로가 형성되어 유압모터(24)는 자유롭게 정역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유압모터(24)에 의해 보빈(22)도 회전가능한 상태가 되어 로프가 보빈(22)으로부터 용이하게 풀릴 수 있게 되므로 보빈(22)의 전도게이트(200)에 대한 고정력이 상실된다.
따라서, 전도게이트(200)에 작용하는 수압에 의해 전도게이트(200)는 회동되어 열리게 된다.
이 과정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연결관(33)으로부터 분기된 제 2연결관(61)이 유압브레이크(62)와 연결된 경우 어큐뮬레이터(46)로부터 공급되는 파일럿 유압이 제2연결관(61)을 통해 실린더(62a)로 유입되고, 유입된 유압은 피스톤(62c)을 이동시켜 제1 및 제2디스크(62b,63)을 상호 분리시키므로 유압모터(24)가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작동으로 전도게이트(200)가 열려 보(100)에 의해 저장된 수위가 낮아지면 상기 부구(51)가 하강하게 되고, 상기 조작부재(57)가 하강하여 상기 제 2컨트롤 밸브(47)를 닫게 된다.
제2컨트롤 밸브(47)가 닫히면 제2컨트롤 밸브(47)에 의해 제1연결관(43) 일측이 폐쇄되어 유압의 유동방향에 대해 제2컨트롤 밸브(47)의 후방에 설치된 제1컨트롤밸브(42)로 유압공급이 차단되며, 제1컨트롤밸브(42)는 바이패스관(41)을 폐쇄시킨다.
폐쇄된 바이패스관(41)에 의해 유압모터(24)와 바이패스관(41) 사이에 일정유압의 폐회로가 미형성되어 유압모터(24)는 회전이 고정된다.
그리고 유압브레이크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브레이크(62)에 유압유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스프링(62e)의 탄성력에 의해 피스톤(62c)이 제1디스크(63)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 1,2디스크(63)(62b)를 밀착시킴으로써 유압모터(24)의 회전을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보빈에 의해 로프(21)의 풀림이 정지되고, 상기 전도게이트(200)의 열림이 정지된다.
그리고 비상시에는 상기 센서유니트에 관계없이 제 2바이패스관(48)에 설치된 수동밸브(49)를 조작하여 어큐뮬레이터(46)의 유압을 연결관(43)을 통하여 공급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전도게이트의 열림을 수동 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도게이트의 권양기는 수위가 상승하는 경우 센서유니트의 부구의 승강력을 이용하여 전도게이트의 회전을 고정하는 윈치의 잠금상태를 해지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동력없이 전도게이트에 작용하는 수압에 의해 전도게이트를 열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게이트용 권양기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게이트용 권양기의 유압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 게이트용 권양기의 유압회로도.

Claims (4)

  1. 보에 회전축이 힌지결합 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도 게이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보 또는 이와 인접된 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도게이트의 회전축에 설치된 휠 또는 회동 바와 연결되어 로프가 감긴 보빈과, 상기 보빈을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 모터를 구비한 윈치와,
    상기 유압모터가 공회전할 수 있도록 브레이크를 해지하여 수위에 따라 전도게이트에 작용하는 수위에 따라 전도게이트를 열림을 조정할 있는 것으로, 유압모터의 유압유 공급관과 토출관 연결하는 바이패스관과, 상기 바이패스관에 설치되는 제 1컨트롤 밸브와, 상기 제1컨트롤 밸브를 조작하기 위한 파일롯 유압유를 공급하기 위해 유압펌프와 연결되는 제 1연결관과, 제 1연결관에 설치되어 작동압을 저장하기 위한 어큐뮬레이터와, 상기 어큐뮬레이터와 제 1컨트롤밸브 사이에 설치되는 제 2컨트롤밸브와, 상기 보에 저장되는 물의 저장수위에 의해 상기 제 2컨트롤 밸브를 조작하는 센서 유니트를 포함하는 무동력 전도게이트 열림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게이트용 권양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니트는 보에 저장된 저장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부구와, 상기 부구의 승강변위를 상기 컨트롤 밸브 조작력으로 가변시키는 변위 조작부를 구비 하며, 상기 변위 조작부는 상기 부구와 연결되며 프레임에 설치되는 가이드 롤러에 걸린 로프와, 상기 로프의 설치되는 웨이트 부재와, 상기 로프에 설치되며 제 2컨트롤 밸브의 조작레버와 접촉되는 경사부를 가진 조작부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게이트용 권양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양기는 상기 제 1컨트롤밸브와 제 1컨트롤 밸브 사이의 제 1연결관에서 분기된 제 2연결관과, 상기 제 2연결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파일롯 유압유에 의해 작동되어 유압모터의 회전을 고정하는 유압브레이크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게이트용 권양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관에는 상기 어큐뮬레이터으로부터 작용하는 압력이 상기 제 2컨트롤밸브를 통과하지 않고 우회하는 제 2바이패스관과, 이 제 2바이패스관에 설치된 수동밸브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게이트용 권양기
KR1020080022661A 2008-03-11 2008-03-11 전도게이트용 권양기 KR101047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661A KR101047553B1 (ko) 2008-03-11 2008-03-11 전도게이트용 권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661A KR101047553B1 (ko) 2008-03-11 2008-03-11 전도게이트용 권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7498A KR20090097498A (ko) 2009-09-16
KR101047553B1 true KR101047553B1 (ko) 2011-07-07

Family

ID=41356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2661A KR101047553B1 (ko) 2008-03-11 2008-03-11 전도게이트용 권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75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85671A (zh) * 2016-08-25 2016-12-07 武汉船用机械有限责任公司 牵引绞车液压控制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677B1 (ko) * 2010-09-16 2011-03-07 주식회사 이산 친환경 가동식 홍수방지벽
CN102102355B (zh) * 2011-01-28 2012-05-23 黄河勘测规划设计有限公司 无倍率直拉式启闭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9557B1 (ko) 2004-10-15 2006-07-13 남 숙 허 유압식 전도게이트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9557B1 (ko) 2004-10-15 2006-07-13 남 숙 허 유압식 전도게이트 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85671A (zh) * 2016-08-25 2016-12-07 武汉船用机械有限责任公司 牵引绞车液压控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7498A (ko) 2009-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88494B2 (ja) 陸閘の自動防潮扉設備
WO2009082882A1 (fr) Porte à ouverture et à fermeture actionnées par gravité, commandée par le niveau de l'eau
KR101047553B1 (ko) 전도게이트용 권양기
CN104762932B (zh) 一种卷扬式启闭机启闭的底支铰转动翻转闸门
JP7102398B2 (ja) 油圧式係留索保持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JP5873745B2 (ja) 水底設置型フラップゲート式防波堤
CN203393836U (zh) 用于排水管网中的管道冲洗及蓄流装置
KR101908577B1 (ko) 상,하 분리되어 힌지로 결합된 이중 구조의 롤러 게이트
CN202099789U (zh) 全开式液控翻板闸门
KR101973393B1 (ko) 저수용 펌프일체형수문
JP4314228B2 (ja) ゲート開閉駆動ユニットおよびゲート装置
KR101839067B1 (ko) 유압식 전도수문의 수문위치 제어장치
KR20070087778A (ko) 수문의 권양장치
WO2019131212A1 (ja) 油圧制御装置
KR20130028233A (ko) 래크바를 이용한 펌프일체형 수문
KR100936429B1 (ko) 무전원 자동수문의 무인자동 제어시스템
KR100891175B1 (ko) 수문의 개폐장치
KR100839229B1 (ko) 수문 개폐 시스템용 자동 조작장치
KR100996972B1 (ko) 무전원 전도 수문
CN111398044A (zh) 一种水闸堤坝水压检测装置
JP5495161B2 (ja) 浮体式起伏型ゲートの扉体起立・倒伏作動装置
KR100738512B1 (ko) 유압시스템을 이용한 에너지 보존 장치
KR101922437B1 (ko) 부력을 이용한 플랩형도어를 갖는 배수펌프장 수문
JPH0352252Y2 (ko)
JP7329415B2 (ja) ゲ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