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2437B1 - 부력을 이용한 플랩형도어를 갖는 배수펌프장 수문 - Google Patents

부력을 이용한 플랩형도어를 갖는 배수펌프장 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2437B1
KR101922437B1 KR1020160175340A KR20160175340A KR101922437B1 KR 101922437 B1 KR101922437 B1 KR 101922437B1 KR 1020160175340 A KR1020160175340 A KR 1020160175340A KR 20160175340 A KR20160175340 A KR 20160175340A KR 101922437 B1 KR101922437 B1 KR 101922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lap door
flap
buoyancy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5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2109A (ko
Inventor
남궁동우
남궁민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정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정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정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160175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437B1/ko
Publication of KR20180072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2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2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0Floating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력을 이용한 플랩형도어를 갖는 배수펌프장 수문에 관한 것으로서, 밀폐형 천장을 갖는 배수펌프장; 상기 배수펌프장의 방류구 측에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회전축 결합되는 플랩도어; 및 상기 플랩도어의 하단에서 수로바닥에 맞닿도록 플랩도어 하단과 일체형으로 결합되고, 배수펌프장의 수위 상승시에 물이 방류되는 플랩도어의 전방방향으로 부력승강되며, 플랩도어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수문이 개방되도록 하는 부력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배수펌프장의 방류구 측에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회전축 결합되는 플랩도어의 하단에서 수로바닥에 맞닿도록 부력수단을 설치하여 배수펌프장의 수위 상승시에 물이 방류되는 플랩도어의 전방방향으로 부력승강되어 수문이 자동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수문의 구조가 단순화시켜 기계적 고장요소를 최소화 시켜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정전이나 기계고장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아 수문이 작동하지 않아 물이 범람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플랩도어의 무게 밸런스를 조절할 수 있는 도어밸런스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수문의 힌지부의 부하를 최소화시켜 힌지부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고, 플랩도어의 작동충격을 완급조절할 수 있고, 부력수단의 부력 용적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부력을 이용한 플랩형도어를 갖는 배수펌프장 수문{flood gate of draining pump plant}
본 발명은 부력을 이용한 플랩형도어를 갖는 배수펌프장 수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펌프장의 방류구 측에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회전축 결합되는 플랩도어의 하단에서 수로바닥에 맞닿도록 부력수단을 설치하여 배수펌프장의 수위 상승시에 물이 방류되는 플랩도어의 전방방향으로 부력승강되며, 수문이 개방되도록 하는 부력을 이용한 플랩형도어를 갖는 배수펌프장 수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펌프장이라 함은 우천 시 관거를 통해 유입된 배수구역 내의 빗물을 부근의 하천 등 공공수역에 방류하기 위하여 설치된 펌프장을 일컫는다.
이와 같은 배수펌프장의 방류구에는 플랩게이트(flap gate)라고 하는 수문을 설치해서 사용한다. 상기 플랩케이트는 일측으로만 개폐되도록 설치된 힌지식 수문이다. 하천이나 강은 집중 호우시 수위가 급증하면서 그 주변의 저지대로 물이 범람할 우려가 상존할 경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저지대의 유수지에는 이에 유입된 물을 다시 하천이나 강으로 배출시키도록 배수펌프장이 설치된다.
이러한 배수펌프장에는 유수지에 유입된 물이 하천이나 강으로 배출되는 반면에 그 반대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시키도록 플랩게이트가 설치된다.
이러한 플랩게이트는 보통 상단이 수문본체의 상부에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수문본체 내부의 물이 외부로 배출될 경우에만 오픈되며 물이 그 역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12604호를 통해 힌지식 수문 및 그 구동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공지기술에 대해 도1내지 도2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힌지식 수문의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힌지식 수문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동 도면에서와 같은 종래기술의 힌지식 수문 및 그 구동방법은 수문본체(11)의 상측 내부에 주축(13)과 구조물(3)상에 회동축(14)을 형성하여 회동링크(15)로 연결한 회동부(7)와, 수문본체(11)의 상부에 수문힌지(21)와 구조물(3)상에 구동축(22)을 형성하고 구동링크(23)로 연결하여 수문(1)을 회동축(14)을 중심으로 구동축(22)과 연동하여 원호를 따라 궤적을 그리며 회동하여 개폐하도록 구성한 구동부(8)와, 수문본체(11)의 양측부에 결합수단1(31)을 형성하고 문틀(16)에 결합수단1(31)과 대응하는 결합수단2(32)를 형성하여 수문(1) 개폐시 결합 또는 해제시키도록 형성한 결합부(30)와, 수문본체(11)의 하부에 지지수단1(34)을 형성하고 문틀(16)에 지지수단1(34)과 대응하는 지지수단2(35)를 형성하되 수문폐쇄시 수문본체(11)가 지지수단2(35)에 안착하였을 때 수문본체(11)의 자중을 지지하도록 지지부(33)를 형성하여 수문본체(11)를 회동축(14)을 중심으로 구동축(22)과 연동하여 원호를 따라 궤적을 그리며 회동되어 개폐하도록 회동부(7)와 구동부(8)를 포함하여 수문(1)을 구성한다.
상기한 구성을 통한 종래기술은 수문본체를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형성하고, 회동축을 구동축과 연결하여 수문본체가 원호를 따라 궤적을 그리며 회동방식으로 수로가 개폐되도록 구성하며, 관리교를 포함한 대형 구조물의 구축이 불필요한 수문을 형성함으로써 공사비 절감과 공사기간을 단축하는 이점을 갖는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수문을 개폐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형성함에 있어서, 구동링크에 실린더를 연결하여 유압작동으로 구동링크에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유압구동부 또는 구동링크에 전동구동부를 구성하여 전동력으로 구동링크에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전동구동부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수문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은 구동부의 기계적 고장 또는 정전과 같은 상황으로 인해 수문이 작동하지 않아 물이 범람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12604호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펌프장의 방류구 측에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회전축 결합되는 플랩도어의 하단에서 수로바닥에 맞닿도록 부력수단을 설치하여 배수펌프장의 수위 상승시에 물이 방류되는 플랩도어의 전방방향으로 부력승강되어 수문이 자동 개방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문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기계적 고장요소를 최소화 하고, 유지보수가 편리하도록 하며, 정전이나 기계고장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아 수문이 작동하지 않아 물이 범람하는 사고를 예방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랩도어의 무게 밸런스를 조절할 수 있는 도어밸런스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수문의 힌지부의 부하를 최소화시켜 힌지부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고, 플랩도어의 작동충격을 완급조절할 수 있고, 부력수단의 부력 용적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밀폐형 천장을 갖는 배수펌프장; 상기 배수펌프장의 방류구 측에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회전축 결합되는 플랩도어; 및 상기 플랩도어의 하단에서 수로바닥에 맞닿도록 플랩도어 하단과 일체형으로 결합되고, 배수펌프장의 수위 상승시에 물이 방류되는 플랩도어의 전방방향으로 부력승강되며, 플랩도어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수문이 개방되도록 하는 부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플랩형도어를 갖는 배수펌프장 수문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밀폐형 천장을 갖는 배수펌프장; 상기 배수펌프장의 방류구 측에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회전축 결합되는 플랩도어; 상기 플랩도어의 하단에서 수로바닥에 맞닿도록 플랩도어 하단과 일체형으로 결합되고, 배수펌프장의 수위 상승시에 물이 방류되는 플랩도어의 전방방향으로 부력승강되며, 플랩도어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수문이 개방되도록 하는 부력수단; 및 상기 플랩도어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할 때, 부력수단이 설치되는 반대측 플랩도어 상단에 결합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플랩도어의 무게 밸런스를 조절하는 도어밸런스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플랩형도어를 갖는 배수펌프장 수문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밀폐형 천장을 갖는 배수펌프장; 상기 배수펌프장의 방류구 측에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회전축 결합되는 플랩도어; 상기 플랩도어의 하단에서 수로바닥에 맞닿도록 플랩도어 하단과 일체형으로 결합되고, 배수펌프장의 수위 상승시에 물이 방류되는 플랩도어의 전방방향으로 부력승강되며, 플랩도어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수문이 개방되도록 하는 부력수단; 상기 플랩도어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할 때, 부력수단이 설치되는 반대측 플랩도어 상단에 결합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플랩도어의 무게 밸런스를 조절하는 도어밸런스수단; 및 상기 배수펌프장의 천장에 마련되어 오염공기를 배출하도록 된 환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플랩형도어를 갖는 배수펌프장 수문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력수단은 플랩도어의 단부를 따라 연장되는 중공형태의 원통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플랩형도어를 갖는 배수펌프장 수문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밸런스수단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할 때, 부력수단이 설치되는 반대측 플랩도어 상단에 소정무게의 무게추를 결합시켜 플랩도어의 무게 밸런스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플랩형도어를 갖는 배수펌프장 수문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밸런스수단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할 때, 부력수단이 설치되는 반대측 플랩도어 상단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가 결합되는 플랩도어의 단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배수펌프장 바닥에 설치되어 와이어를 안내하는 롤러; 및 상기 롤러의 후방 배수펌프장 바닥에 맞닿도록 설치되는 보조부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플랩형도어를 갖는 배수펌프장 수문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기장치 말단에 배출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공기정화장치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플랩형도어를 갖는 배수펌프장 수문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배수펌프장의 방류구 측에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회전축 결합되는 플랩도어의 하단에서 수로바닥에 맞닿도록 부력수단을 설치하여 배수펌프장의 수위 상승시에 물이 방류되는 플랩도어의 전방방향으로 부력승강되어 수문이 자동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수문의 구조가 단순화시켜 기계적 고장요소를 최소화 시켜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정전이나 기계고장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아 수문이 작동하지 않아 물이 범람하는 사고를 예방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플랩도어의 무게 밸런스를 조절할 수 있는 도어밸런스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수문의 힌지부의 부하를 최소화시켜 힌지부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고, 플랩도어의 작동충격을 완급조절할 수 있고, 부력수단의 부력 용적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힌지식 수문의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힌지식 수문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플랩형 도어를 갖는 배수펌프장 수문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플랩형 도어를 갖는 배수펌프장 수문의 작동전후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5a,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플랩형 도어를 갖는 배수펌프장 수문의 작동전후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6a,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플랩형 도어를 갖는 배수펌프장 수문의 작동전후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플랩형 도어를 갖는 배수펌프장 수문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a,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플랩형 도어를 갖는 배수펌프장 수문의 작동전후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배수펌프장(110), 플랩도어(120), 부력수단(130)을 포함한다.
상기 배수펌프장(110)은 우천 시 관거를 통해 유입된 배수구역 내의 빗물을 부근의 하천 등 공공수역에 방류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천장(111)을 갖는 밀폐구조를 제공할 수 있고, 배수펌프장(110)의 바닥에는 외부와 연결된 배수로(113)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로(113)는 평상시 적은 유량의 물이 흐를 수 있는 관로를 제공하며, 배수로(113) 상부를 데크로드(deck lod)로 형성하여 작업자의 보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플랩도어(120)는 상기 배수펌프장(110)의 방류구 측에 상단이 회전축(121) 결합되는 고정단이 되고, 하단이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자유단이 된다.
이때, 상기 플랩도어(120)의 하부 자유단의 위치는 회전축(121)으로부터 내린 수직의 가상선 중심보다 전방(방류되는 방향)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물이 배수펌프장(110) 내로 역류되지 못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부력수단(130)은 상기 플랩도어(120)의 하단에서 수로바닥에 맞닿도록 플랩도어(120) 하단과 일체형으로 결합되고, 배수펌프장(110)의 수위 상승시에 물이 방류되는 플랩도어(120)의 전방방향으로 부력승강되며, 플랩도어(120)가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수문이 개방되도록 부력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부력수단(130)은 플랩도어(120)의 단부를 따라 연장되는 중공형태의 원통구조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력수단(130)은 원통구조물 내에 스티로폼 등의 부력재가 충진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a,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플랩형 도어를 갖는 배수펌프장 수문의 작동전후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배수펌프장(110), 플랩도어(120), 부력수단(130), 도어밸런스수단(140)을 포함한다.
상기 배수펌프장(110)은 우천 시 관거를 통해 유입된 배수구역 내의 빗물을 부근의 하천 등 공공수역에 방류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천장(111)을 갖는 밀폐구조를 제공할 수 있고, 배수펌프장(110)의 바닥에는 외부와 연결된 배수로(113)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로(113)는 평상시 적은 유량의 물이 흐를 수 있는 관로를 제공하며, 배수로(113) 상부를 데크로드(deck lod)로 형성하여 작업자의 보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플랩도어(120)는 상기 배수펌프장(110)의 방류구 측에 상단이 회전축(121) 결합되는 고정단이 되고, 하단이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자유단이 된다.
이때, 상기 플랩도어(120)의 하부 자유단의 위치는 회전축(121)으로부터 내린 수직의 가상선 중심보다 전방(방류되는 방향)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물이 배수펌프장(110) 내로 역류되지 못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부력수단(130)은 상기 플랩도어(120)의 하단에서 수로바닥에 맞닿도록 플랩도어(120) 하단과 일체형으로 결합되고, 배수펌프장(110)의 수위 상승시에 물이 방류되는 플랩도어(120)의 전방방향으로 부력승강되며, 플랩도어(120)가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수문이 개방되도록 부력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부력수단(130)은 플랩도어(120)의 단부를 따라 연장되는 중공형태의 원통구조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력수단(130)은 원통구조물 내에 스티로폼 등의 부력재가 충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밸런스수단(140)은 상기 플랩도어(120)의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할 때, 부력수단(130)이 설치되는 반대측 플랩도어(120) 상단에 결합되어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하는 플랩도어(120)의 무게 밸런스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도어밸런스수단(140)은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할 때, 부력수단(130)이 설치되는 반대측 플랩도어(120) 상단에 소정무게의 무게추(141)를 결합시켜 플랩도어(120)의 무게 밸런스를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은 플랩도어의 무게 밸런스를 조절할 수 있는 도어밸런스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수문의 힌지부의 부하를 최소화시켜 힌지부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고, 플랩도어의 작동충격을 완급조절할 수 있고, 부력수단의 부력 용적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수펌프장(110)의 천장(111)에 환기장치(150)를 형성하여 배수펌프장(110) 내의 오염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환기장치(150)는 복수개가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a,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플랩형 도어를 갖는 배수펌프장 수문의 작동전후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배수펌프장(110), 플랩도어(120), 부력수단(130), 도어밸런스수단(140)을 포함한다.
상기 배수펌프장(110)은 우천 시 관거를 통해 유입된 배수구역 내의 빗물을 부근의 하천 등 공공수역에 방류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천장(111)을 갖는 밀폐구조를 제공할 수 있고, 배수펌프장(110)의 바닥에는 외부와 연결된 배수로(113)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로(113)는 평상시 적은 유량의 물이 흐를 수 있는 관로를 제공하며, 배수로(113) 상부를 데크로드(deck lod)로 형성하여 작업자의 보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플랩도어(120)는 상기 배수펌프장(110)의 방류구 측에 상단이 회전축(121) 결합되는 고정단이 되고, 하단이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자유단이 된다.
이때, 상기 플랩도어(120)의 하부 자유단의 위치는 회전축(121)으로부터 내린 수직의 가상선 중심보다 전방(방류되는 방향)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물이 배수펌프장(110) 내로 역류되지 못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부력수단(130)은 상기 플랩도어(120)의 하단에서 수로바닥에 맞닿도록 플랩도어(120) 하단과 일체형으로 결합되고, 배수펌프장(110)의 수위 상승시에 물이 방류되는 플랩도어(120)의 전방방향으로 부력승강되며, 플랩도어(120)가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수문이 개방되도록 부력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부력수단(130)은 플랩도어(120)의 단부를 따라 연장되는 중공형태의 원통구조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력수단(130)은 원통구조물 내에 스티로폼 등의 부력재가 충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밸런스수단(140)은 상기 플랩도어(120)의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할 때, 부력수단(130)이 설치되는 반대측 플랩도어(120) 상단에 결합되어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하는 플랩도어(120)의 무게 밸런스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도어밸런스수단(140)은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할 때, 부력수단(130)이 설치되는 반대측 플랩도어(120) 상단에 연결되는 와이어(143)와; 상기 와이어(143)가 결합되는 플랩도어(120)의 단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배수펌프장(110) 바닥에 설치되어 와이어(143)를 안내하는 롤러(145); 및 상기 롤러(145)의 후방 배수펌프장(110) 바닥에 맞닿도록 설치되는 보조부력수단(147);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부력수단(147)은 플랩도어(120)의 단부를 따라 연장되는 중공형태의 원통구조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부력수단(147)은 원통구조물 내에 스티로폼 등의 부력재가 충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은 플랩도어의 무게 밸런스를 조절할 수 있는 도어밸런스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수문의 힌지부의 부하를 최소화시켜 힌지부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고, 플랩도어의 작동충격을 완급조절할 수 있고, 부력수단의 부력 용적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수펌프장(110)의 천장(111)에 환기장치(150)를 형성하여 배수펌프장(110) 내의 오염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환기장치(150)는 복수개가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기장치(150) 말단에 배출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공기정화장치(160)가 더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배수펌프장의 방류구 측에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회전축 결합되는 플랩도어의 하단에서 수로바닥에 맞닿도록 부력수단을 설치하여 배수펌프장의 수위 상승시에 물이 방류되는 플랩도어의 전방방향으로 부력승강되어 수문이 자동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수문의 구조가 단순화시켜 기계적 고장요소를 최소화 시켜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정전이나 기계고장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아 수문이 작동하지 않아 물이 범람하는 사고를 예방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10: 배수펌프장 111: 천장
113: 배수로 120: 플랩도어
121: 회전축 130: 부력수단
140: 도어밸런스수단 141: 무게추
143: 와이어 145: 롤러
147: 보조부력수단 150: 환기장치
160: 공기정화장치

Claims (7)

  1. 삭제
  2. 밀폐형 천장(111)을 갖는 배수펌프장(110);
    상기 배수펌프장(110)의 방류구측에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회전축(121) 결합되는 플랩도어(120);
    상기 플랩도어(120)의 하단에서 수로바닥에 맞닿도록 플랩도어(120) 하단과 일체형으로 결합되고, 배수펌프장(110)의 수위 상승시에 물이 방류되는 플랩도어(120)의 전방방향으로 부력승강되며, 플랩도어(120)가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수문이 개방되도록 하는 부력수단(130);
    상기 플랩도어(120)의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할 때, 부력수단(130)이 설치되는 반대측 플랩도어(120) 상단에 결합되어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하는 플랩도어(120)의 무게 밸런스를 조절하는 도어밸런스수단(140);
    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밸런스수단(140)은 상기 플랩도어(120)의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할 때, 부력수단(130)이 설치되는 반대측 플랩도어(120) 상단에 결합되어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하는 플랩도어(120)의 무게 밸런스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밸런스수단(140)은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할 때, 부력수단(130)이 설치되는 반대측 플랩도어(120) 상단에 연결되는 와이어(143)와, 상기 와이어(143)가 결합되는 플랩도어(120)의 단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배수펌프장(110) 바닥에 설치되어 와이어(143)를 안내하는 롤러(145)와, 상기 롤러(145)의 후방 배수펌프장(110) 바닥에 맞닿도록 설치되는 보조부력수단(147)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수문의 힌지부의 부하를 최소화시켜 힌지부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고, 플랩도어의 작동충격을 완급조절할 수 있고, 부력수단의 부력 용적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플랩형도어를 갖는 배수펌프장 수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펌프장(110)의 천장(111)에 마련되어 오염공기를 배출하도록 된 환기장치(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플랩형도어를 갖는 배수펌프장 수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수단(130)은 플랩도어(120)의 단부를 따라 연장되는 중공형태의 원통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플랩형도어를 갖는 배수펌프장 수문.
  5. 삭제
  6. 삭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장치(150)의 말단에 배출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공기정화장치(160)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플랩형도어를 갖는 배수펌프장 수문.
KR1020160175340A 2016-12-21 2016-12-21 부력을 이용한 플랩형도어를 갖는 배수펌프장 수문 KR101922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340A KR101922437B1 (ko) 2016-12-21 2016-12-21 부력을 이용한 플랩형도어를 갖는 배수펌프장 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340A KR101922437B1 (ko) 2016-12-21 2016-12-21 부력을 이용한 플랩형도어를 갖는 배수펌프장 수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109A KR20180072109A (ko) 2018-06-29
KR101922437B1 true KR101922437B1 (ko) 2018-11-27

Family

ID=62781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5340A KR101922437B1 (ko) 2016-12-21 2016-12-21 부력을 이용한 플랩형도어를 갖는 배수펌프장 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24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953B1 (ko) * 2018-10-16 2020-10-14 안병찬 타원형 수문을 구비한 친환경 보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315Y1 (ko) * 2003-06-16 2004-02-05 (주) 삼안산업 부력을 이용한 방사형 수문
KR100982338B1 (ko) * 2009-04-29 2010-09-15 배석동 하수도 시설 내의 악취 제거 시스템
KR101355949B1 (ko) * 2013-12-10 2014-01-28 김상국 플랩게이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604B1 (ko) 2006-06-13 2007-05-02 김상국 힌지식 수문 및 그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315Y1 (ko) * 2003-06-16 2004-02-05 (주) 삼안산업 부력을 이용한 방사형 수문
KR100982338B1 (ko) * 2009-04-29 2010-09-15 배석동 하수도 시설 내의 악취 제거 시스템
KR101355949B1 (ko) * 2013-12-10 2014-01-28 김상국 플랩게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109A (ko) 201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131B1 (ko) 부력을 이용한 관로 자동개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788918B1 (ko) 펌프일체형수문
KR101557744B1 (ko) 저층수 배출이 가능한 가동보 수문
KR101355949B1 (ko) 플랩게이트
KR101922437B1 (ko) 부력을 이용한 플랩형도어를 갖는 배수펌프장 수문
KR101973393B1 (ko) 저수용 펌프일체형수문
KR100567927B1 (ko) 공기흡배기부를 갖는 체크밸브
KR100943530B1 (ko) 하천보용 슬리핑식 수문
KR100432521B1 (ko) 안전 스크린이 구비된 하단 배출 겸용 전도식 자동수문
JPH09221736A (ja) 起伏ゲート
KR200392599Y1 (ko) 전도식 어도 수문
KR100778151B1 (ko) 부력식 어도
KR101565081B1 (ko) 가동보 수문
KR20170081378A (ko) 저층수 배출용 배수도어를 갖춘 수문배수장치
JPH11256555A (ja) 水力利用装置
KR101235065B1 (ko)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
KR20210048828A (ko) 무동력 자동수문
KR100919132B1 (ko) 수문용 관리수위 유지구조 및 그를 이용한 수문
JP3979868B2 (ja) 合流式下水道の特殊人孔の構造
JP4055057B2 (ja) 下流水位制御装置
JP4066356B2 (ja) ポンプの取付構造
KR100608336B1 (ko) 수압식 무동력 자동 수문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
KR200175093Y1 (ko) 자동 배수가 가능한 인양식 수문
JP3834227B2 (ja) 回転式ゲート
JP5448954B2 (ja) 回転ヒンジ式取水ゲ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