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8432B1 - 어도블록 - Google Patents

어도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8432B1
KR100658432B1 KR1020050059610A KR20050059610A KR100658432B1 KR 100658432 B1 KR100658432 B1 KR 100658432B1 KR 1020050059610 A KR1020050059610 A KR 1020050059610A KR 20050059610 A KR20050059610 A KR 20050059610A KR 100658432 B1 KR100658432 B1 KR 100658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artitions
partition
adobe
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9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4810A (ko
Inventor
강남
Original Assignee
강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남 filed Critical 강남
Priority to KR1020050059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8432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5010943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592975B1/ko
Priority to CNB200580043721XA priority patent/CN100549302C/zh
Priority to PCT/KR2005/004223 priority patent/WO2006071010A1/en
Priority to JP2007548061A priority patent/JP2008525677A/ja
Priority to US11/721,572 priority patent/US20070248415A1/en
Publication of KR20060074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4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8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8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02B8/085Devices allowing fish migration, e.g. fish 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2Stream regulation, e.g. breaking up subaqueous rock, cleaning the beds of waterways, directing the water flow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Revetment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도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어도수로 내의 유속을 느리게 하여 유영력이 떨어지는 어종을 포함하는 어류의 강하(降下)와 소상(遡上)이 용이하고, 댐과 같이 급경사인 경우에도 유수의 양을 최소화하여 저수량의 손실을 최소화함은 물론, 물이 2개의 칸막이를 쌍으로 하여 계단형으로 흘러 낙차에 의한 기포를 발생시켜 원활한 산소공급과 미생물이 생존할 수 있어 생태계 보존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어도블록은 바닥부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측벽이 구성되고 상기 바닥부와 측벽 내부에 칸막이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바닥부와 측벽의 양단에 각각 칸막이가 구성되고 양단의 칸막이 중간에 또 다른 칸막이가 구성되어 어도블록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어도블록, 댐, 어도수로, 어류, 소상, 강하

Description

어도블록{FISH WAY BLOCK}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어도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어도블록 2개를 하나의 유닛형식으로 연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b에서 한쪽의 측벽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b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도블록을 보에 시공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어도블록을 중장비인 크레인으로 들어 올리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어도블록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어도블록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어도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어도블록 13: 바닥부
14a,14b: 측벽 15a~15c: 칸막이
16a~16c: 수로공 17,24: 체결부재
18: 가이드부 19: 견인고리
21: 끼움홈 22: 끼움돌기
23: 관통공 25: 보
26: 유통파이프 28: 절곡부
30: 와이어 31: 크레인
33: 브래킷 34: 볼트공
본 발명은 어도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댐, 하구둑, 또는 저수지의 상류와 하류 사이에 설치하여 유속을 느리게 하고 수중에 어도수로가 연속적으로 이어지므로 어류의 강하(降下)와 소상(遡上)을 용이하게 하는 어도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 또는 하천에 횡단하여 설치하는 댐이나 보와 같은 횡단구조물에는 어도의 설치가 요구된다. 이러한 어도는, 수자원보호령 등의 관련법규에 의하면, 하천을 가로막는 횡단구조물을 설치할 때는 생태계 보존과 어류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어도차단의 금지규정에 의거하여 어도를 의무적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수자원보호령에 의거하여 횡단구조물인 댐이나 보 등에 어도를 설치한다 하더라도 낙차(落差)가 크거나, 낙차가 작더라도 유속이 너무 빠르기 때 문에 어류는 상류로 거슬러 올라갈 수 없다.
따라서 댐의 경우 어도의 설치가 불가능하거나 설치한다 하더라도 낙차가 너무 커서 댐 상류로 이동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댐 하류에 인공 산란장(시간당 수만 톤의 물을 방류시 무용지물) 등 서식시설을 설치하면 어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나, 아직까지는 낙차를 감안하여 유영력이 떨어지는 어류라도 강하와 소상이 가능하도록 유속을 느리게 하고 유수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 즉 기술적인 문제점 등이 있어 댐에 어도를 설치한 적이 없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양쪽의 측벽에 이을 횡단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칸막이를 마련하고 이 칸막이에 수로공을 마련함으로써 어도수로 내의 유속을 느리게 하여 유영력이 떨어지는 어종을 포함하는 어류의 강하와 소상이 용이하고 안전도록 한 어도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닥부, 측벽, 칸막이 등을 중량을 감안하여 선택적으로 별도로 마련함으로써 블록전체를 분리 조립이 가능하고 이로 인하여 운반을 편리하도록 한 어도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칸막이로 흐르는 물을 막고 칸막이에 수로공의 크기 및 위치를 달리하여 마련함으로써 어도수로 내의 유속을 느리게 하면서 유수의 양을 최소화함으로써 저수량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어도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어도블록은, 어류의 상류이동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어도블록의 바닥부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측벽이 구성되고, 상기 바닥부와 측벽 내부에 칸막이가 구성된 어도블록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와 측벽의 양단에 각각 칸막이가 구성되고 상기 양단의 칸막이 중간에 또 다른 칸막이가 구성되어 어도블록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칸막이의 높이가 상기 측벽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칸막이에는 수로공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로공은 서로 이웃하는 칸막이 별로 높낮이 및 좌·우가 서로 지그재그로 형성되어지되, 높은 위치에 형성된 수로공의 크기가 낮은 위치에 형성된 수로공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수로공들은 각각의 칸막이로 유입되는 물의 유속이 최소로 느리고 정체되도록 높낮이에 의한 지그재그는 물론이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도 지그재그로 마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칸막이들의 상단에는 어도블록을 급경사에 설치했을 경우 각 칸막이 내의 저수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류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의 양측에 그 길이방향으로 측벽이 일체로 마련하고 상기 측벽을 횡단하여 설치되는 다수의 칸막이들은 각각 별도로 형성되어 조립되어지되, 상기 칸막이들이 슬라이드방식으로 끼워지는 가이드부를 측벽 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어도블록은 칸막이 부분만을 별도로 마련함은 물론 바닥부, 측벽 및 칸막이 모두를 별도로 마련할 수 있고, 전체적인 형상대로 거푸집을 이용하여 일체로 마련할 수도 있다.
상기 어도블록의 측벽 양단에 위치하는 칸막이에는 서로 이웃하는 어도블록이 끼워 맞춰지는 상태로 연속 시공할 수 있도록 한쪽엔 끼움홈이 형성되고 다른 한쪽엔 상기 끼움홈과 대응되어 끼워지는 끼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과 끼움돌기는 서로 삽입될수록 그 중심이 일치하여 관통공, 수로공 및 측벽이 일렬로 정렬되는 형상, 즉 평면상 쐐기형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도블록에 다른 어도블록을 연결하는 방법은 측벽 양단에 위치하는 각 칸막이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이 관통공에 체결부재가 관통체결되어 어도블록과 또 다른 어도블록이 긴밀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어질 수도 있다.
상기 어도블록의 측벽은, 칸막이에 의해 일시적으로 저수되는 물이 칸막이의 수로공과 그 상단을 통해서만 흐르고 어류가 수로에서 이탈하지 못하도록 칸막이의 상단보다 상부로 높게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칸막이 또는 측벽에 이들을 들어 올리거나 조립된 어도블록을 들어올리기 위한 견인고리가 마련되며, 이 견인고리는 상기 칸막이와 측벽에 일체로 마련되거나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의 하단에는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보의 경사면에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볼트공이 형성된 브래킷이 마련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어도블록은 시공되었을 때 최상류 측에 위치하는 칸막이의 수로공이 잠기되 그 칸막이의 상단으로는 물이 넘치지 않는 정도의 유량이 출수되도록 하는 유통파이프가 부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어도블록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어도블록(10)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도 1a의 어도블록 2개를 하나의 유닛형식으로 연결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b에서 한쪽의 측벽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b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도블록(10)은, 바닥부(13)의 양쪽에 길이방향으로 측벽(14a,14b)이 마련되고 상기 양쪽의 측벽(14a,14b)사이에는 바닥부(13)를 횡단하여 다수의 칸막이(15a,15b,15c)가 마련되며, 상기 칸막이에는 어류가 통과하도록 하는 수로공(16a,16b,16c)이 마련된다.
상기 칸막이(15a~15c) 중에서 측벽(14a,14b)의 양단에 위치하는 칸막이(15a,15c)는 바닥부(13)와 일체로 마련되어 있고 상기 측벽(14a,14b)은 칸막이(15a,15c) 및 바닥부(13)의 측면과 밀착되게 체결부재(17)로 체결된다.
상기 칸막이(15b)는 칸막이(15a)와 (15c)의 중간, 즉 측벽(14a,14b)양단이 아닌 그 사이의 중간위치에 마련되는 것이며, 이는 슬라이드방식으로 끼워지도록 측벽(14a,14b)에 가이드부(18)가 마련되어 조립 고정된다. 상기 측벽(14a,14b)의 가이드부(18)는 도 1a 내지 도 4와 같이, 측벽(14a,14b)에 내측으로 돌출시킨 가이드돌기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측벽(14a,14b)을 파내어 형성시킨 가이드 홈으로도 마련할 수도 있다.
상기 바닥부(13), 측벽(14a,14b) 및 칸막이(15a~15c)는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마련한 것으로만 도시하였으나 바닥부(13), 측벽(14a,14b) 및 칸막이(15a~15c) 모 두를 별도로 마련할 수 있는 것이며, 먼저 바닥부(13)의 양측에 그 길이방향으로 측벽(14a,14b)을 세우고 측벽(14a,14b)의 양단에 칸막이(15a,15c)가 세워져 조립되도록 체결수단의 하나인 체결부재(17)로 체결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어도블록은 바닥부(13), 측벽(14a,14b) 및 칸막이(15a~15c)들이 선택적 혹은 전체적으로 각각 분리하여 마련할 수 있음은 물론, 어도블록의 전체적인 형상대로 거푸집을 이용하여 일체로 마련할 수도 있다.
상기 칸막이(15a~15c)의 수로공(16a~16c)들은 어류가 지그재그로 통과하도록 서로 인접한 칸막이의 수로공 위치가 다르게 마련되고 그 크기 또한 차이를 가지고 마련된다. 상기 수로공의 위치가 다르다는 의미는 평면은 물론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위치가 달라 지그재그로 위치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수로공(16a~16c)중 측벽(14a,14b) 양단의 칸막이(15a,15c)에 마련되는 수로공(16a,16c)은 상기 칸막이(15a,15c)의 상부에 비교적 크게 마련되고, 상기 칸막이(15a)와 칸막이(15c)사이에 구성되어지는 칸막이(15b)에 마련되는 수로공(16b)은 측벽 양단의 칸막이(15a,15c)에 마련되는 수로공(16a,16c)보다 상대적으로 작고 낮게 바닥부(13)와 근접된 위치에 마련된다.
상기 측벽(14a, 14b) 칸막이(15a,15b,15c)에는 탈착이 가능하게 견인고리(19)가 마련되어지며, 이는 칸막이(15a~15c)와 측벽(14a,14b)을 와이어(30)로 걸은 상태에서 중장비인 크레인(31) 등으로 들어 올려 이동시키고 용이한 조립을 위해서이다. 상기 견인고리(19)는 측벽(14a,14b)은 물론 바닥부(13)에도 마련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 칸막이(15a~15c)와 측벽(14a,14b)에서 분리되지 않는 상태, 즉 일체화되어 고정된 상태로도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측벽(14a,14b)의 양단에 마련되는 칸막이(15a,15c)에는 어도블록(10)을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연결하고자 할 때, 서로 이웃하는 어도블록(10)이 끼워 맞춰지도록 한쪽엔 끼움홈(21)이 형성되고 다른 한쪽엔 상기 끼움홈(21)과 대응하는 끼워지는 끼움돌기(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칸막이(15a,15c)에는 끼움홈(21)과 끼움돌기(22)에 의해 끼워 맞춰진 어도블록(10)들을 체결부재(24)로 체결할 수 있도록 관통공(23)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끼움홈(21)과 끼움돌기(22)는 서로 삽입될수록 그 중심이 일치하여 관통공(23), 수로공(16a,16c) 및 측벽(14a,14b) 등이 일렬로 정렬되는 형상, 즉 평면상 쐐기형으로 마련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어도블록에 대하여 시공하는 과정을 참고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어도블록의 최상단 칸막이(15c)가 유통파이프(26)가 연결되어질 수도 있는바 먼저 보(25) 등의 최저담수수위 아래 위치에 유통파이프(26)를 수평으로 매설하고 유통파이프(26)의 끝단부분, 즉 보(25)의 하류측 경사면에 적어도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어도블록(10)을 연결하여 시공한다. 이때, 어도블록(10)의 시공을 위한 기초공사를 보의 하류측 경사면에 수행하되, 기존의 콘크리트 보와 같은 경우에는 별도의 기초공사를 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상기 어도블록(10)은 보(25)의 하류측 경사면에 중장비인 크레인(31) 등을 이용하여 시공하되, 보(25)의 상류 측의 물이 하류 측으로 흘러내리는 방향이 어도블록(10)의 길이방향과 일치되도록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어도블록(10)을 연결한 다.
상기 어도블록(10)은 통상 시공현장 근처에 필요개수 만큼 운반하여 야적할 수 있으며, 이는 중량물로 인력으로는 운반시공이 곤란하므로 시공근처의 야적장에서 중장비를 이용하여 시공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송한 후, 중량물의 어도블록을 연결시공하면 된다.
위와 같이 어도블록(10)을 연결할 때 어도블록(10)의 측벽(14a,14b)양단에 마련되는 칸막이(15a,15c)의 끼움홈(21)과 끼움돌기(22)가 서로 끼워지도록 연결하면 된다. 이렇게 칸막이(15a)의 끼움홈(21)에 칸막이(15b)의 끼움돌기(22)가 끼워지면 수로공(16a,16c) 및 관통공(23)이 일치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어도블록(10)이 서로 접하여 연결된 칸막이(15a,15c)의 관통공(23)에 체결부재(24)인 볼트를 관통시켜 체결하면 다수의 어도블록(10)들은 일체가 된다. 이때, 어도블록(10)들의 보다 확실한 고정이 필요하다면 어도블록(10)의 바닥부(13)나 측벽(14a,14b)의 바닥인 하단부분에 앵커 등을 마련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어도블록(10)의 시공을 완료한 후, 보(25)의 상류측 물이 유입되도록 최저담수수위 아래 위치에 매설된 유통파이프(26)를 개통시키면 모든 공사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유통파이프(26) 끝단에서 물이 토출되는 단면적은 수로공(16a,16c)과 동일한 단면적이나 이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하되, 칸막이(15a,15c)의 상단을 통해 물이 넘치지 않게 유통파이프(26)는 그 직경이 크더라도 토출되는 면적을 물이 칸막이(15a)의 상단으로 넘치지 않게 조절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유통파이프(26)를 통해 보(25)의 상류 측 물이 유입되게 되면 어도블록(10)의 각 칸막이(15a~15c)에 의해 담수됨은 물론 이에 형성된 수로공(16a~16c)을 통해 유속이 저하된 상태에서 하류로 흐르므로 하류 측의 어류는 어도블록(10)에 의해 경사지게 마련된 수로를 따라 상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어도블록(10)의 각 칸막이(15a~15c)를 따라 물이 흐를 때 유영력이 떨어지는 어류라 하더라도 상류나 하류로 이동할 수 있음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어도블록(10)은 도 4와 같이 보(25) 등의 경사면에 시공되되, 각각의 칸막이(15a~15c)에 마련된 수로공(16a~16c)은 그 높낮이가 각각 다르면서도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도 그 위치가 달라 지그재그로 배열된다. 각각의 어도블록 중간에 위치하는 칸막이(15b)에는 작고 낮은 하나의 수로공(16b)이고, 상기 칸막이(15b)의 바로아래에 위치하는 칸막이(15c)의 수로공(16c)은 상기 수로공(16b)보다 높은 위치에 단면적 또한 크게 마련되는 구성, 마치 계단과 같이 연속적으로 배열되게 된다.
따라서, 유통파이프(26)를 통해 출수된 물은 칸막이(15a)의 수로공(16a)이 잠겨 담수된 상태에서 상기 수로공(16a)을 통해서만 하류 측의 칸막이(15b)로 흘러내려가며, 이렇게 칸막이(15b)를 향해 흘러내려가는 물은 일시적으로 칸막이(15b)에 막혀 역류하듯이 담수되면서 그 하부의 수로공(16b)을 통해 하류 측의 칸막이(15c)로 흘러내려간다.
이렇게 칸막이(15c)를 향해 유입되는 물은 칸막이(15c)의 상부, 즉 수로공 (16b)보다 높은 위치에 수로공(16c)이 형성되어있어 칸막이(15c)에 물이 담수될수록 수로공(16b)을 막으므로 이 수로공(16b)을 통과하는 유속이 느려지게 된다. 다시 말해서, 칸막이(15b)에 담수되는 물의 높이를 기준으로 하여 그 하류 측의 칸막이(15c)에 담수된 물이 높이차이 만큼의 수압이 작용하므로 수로공(16b)내의 유속이 느려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칸막이(15b) 하부의 수로공(16b)을 통해 흐르는 유량이 적기 때문에, 칸막이(15c)에 물이 담수되는 높이만큼 그 상류 측의 칸막이(15b)에도 물이 담수됨과 아울러, 상기 칸막이(15a)의 수로공(16a)을 통해 유입되는 유량이 칸막이(16b) 하부의 수로공(16b)을 통해 흐르는 유량보다 많으므로 그 여분의 유량은 칸막이(15b)에 담수수위를 높이는 역할을 하고 이로 인해 결국에는 칸막이(15b)의 상단을 통해 지속적으로 넘쳐 칸막이(15c)로 유입되게 된다.
위와 같은 원리에 의해 각각의 어도블록은, 각각의 칸막이(15a~15c)에는 물이 담수되어 정체되고, 각 칸막이(15a~15c)의 수로공(16a~16c)을 통해 흐르는 물의 유속이 현저하게 떨어져 느려지기 때문에, 상기 수로공(16a~16c)을 통해서 유영력이 떨어지는 어류라 하더라도 어도블록(10)을 거쳐 보(25) 등의 상류나 하류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칸막이(15c)의 수로공(16c) 및 칸막이(15b)의 상단을 물의 유속이 적절하게 느려지는 높이로 조절하고, 칸막이(15a~15c)의 간격 또한 원하는 바대로의 유속이하로 될 때까지 거리를 둠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어도블록(10)이 완성품으로 조립되어진 것을 예를 들 어 설명하였지만 각각 별도로 마련된 바닥부(13), 측벽(14a,14b) 및 칸막이(15a~15c) 등을 시공현장까지 운반한 후 시공현장에서 중장비인 크레인을 이용하여 조립하고 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닥부(13), 측벽(14a,14b) 및 다수의 칸막이(15a~15c)들로 분리된 상태여서 완성품의 어도블록에 비하여 중량이 분산되어 비교적 상차와 하역이 용이함은 물론 차량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보다 대량을 적재하여 효율적으로 운송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어도블록에 대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6은 어도블록을 이루는 칸막이(15a~15c)와 측벽(14a,14b)의 양단은 어도블록이 시공되는 경사면의 각도와 상관없이 수직으로 설치한 것이고, 도 7은 어도블록(10)의 측벽(14a,14b)을 횡단하여 마련되는 칸막이(15a~15c)들의 상단에는 어도블록(10)을 급경사에 설치했을 경우 각 칸막이(15a~15c) 내의 저수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류방향으로 구부린 절곡부(28)가 마련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어도블록이 시공되는 보 등의 경사면이 급경사라 하더라도 수직으로 설치된 칸막이(15a~15c)와 칸막이(15a~15c)의 절곡부(28)에 의해 서로 이웃하는 칸막이(15a~15c) 사이에 저수되는 저수량이 최대로 극대화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작용효과가 보다 확실하게 이뤄지는 어도블록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어도블록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어도블록(10)의 전체길이가 길게 마련되고 칸막이(15a,15c) 사이에 마련되는 칸막이(15b)를 3개로 마련한 것이다. 이때, 3개의 칸막이(15b)에 마련되는 수로공 (16b)은 3개의 칸막이(15a~15c)를 갖는 어도블록(10)이 연속하여 연결된 것과 같이 서로 지그재그로 마련되어야 한다. 또 상기 측벽(14a,14b)의 하단에는 앵커볼트(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보의 경사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볼트공(34)을 갖는 브래킷(33)이 마련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른 실시예의 어도블록에 의하면, 시공장소에 따라 비교적 길이가 긴 어도블록을 편리하게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상기 측벽(14a,14b)의 외측하단에 마련되는 브래킷(33)의 볼트공(34)을 통해 앵커볼트만으로 보의 경사면에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도블록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로, 서로 이웃하는 칸막이에 수로공들이 바닥부를 기준으로 하여 높이차를 줌은 물론이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도 그 위치를 달리하여 지그재그로 마련하기 때문에 칸막이 내에 물이 일시적으로 저장 내지 정체된 후 흐르기 때문에 유속이 느리고, 유영력이 떨어지는 어류라 하더라도 상류나 하류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둘째로, 낮은 위치의 작은 수로공이 마련된 칸막이의 상단으로 물이 넘치면서 흐를 때, 그 하류측의 칸막이에 고여 있는 물은 그 수위가 낮아 낙차를 가지고 흐르기 때문에 기포를 발생시키며, 이로 인하여 원할한 산소공급으로 미생물이 생 존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결국에는 이동 어류에게 충분한 산소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셋째로, 어도블록의 칸막이나 측벽에 견인고리를 마련하여 시공시 편리하고, 서로 이웃하는 어도블록들을 연속하여 볼트로 견고하게 고정하므로 시공이 편리하고 견고하다.
넷째로, 바닥부, 측벽 및 칸막이들을 각각 별도로 마련하여 조립하는 경우에는 완성품의 어도블록에 비하여 중량이 분산되어 비교적 상차와 하역이 용이함은 물론 차량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보다 대량을 적재하여 효율적으로 운송할 수 있으며, 부분적인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편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의 핵심 효과의 결론은 흐르는 유속이 일정하고 느리게 유지함으로써, 유영력이 떨어지는 어류라 하더라도 소상과 강하가 안전하게 이뤄질 수 있는 등 아주 유익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Claims (14)

  1. 어류의 상류이동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어도블록의 바닥부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측벽이 구성되고, 상기 바닥부와 측벽 내부에 칸막이가 구성된 어도블록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와 측벽의 양단에 각각 칸막이가 구성되고 상기 양단의 칸막이 중간에 또 다른 칸막이가 구성되어 어도블록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칸막이의 높이가 상기 측벽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칸막이에는 수로공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수로공의 위치는 서로 이웃하는 칸막이 별로 높낮이 및 좌·우가 서로 지그재그로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에는 수로공이 형성되어지되, 높은 위치에 형성된 수로공의 크기가 낮은 위치에 형성된 수로공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블록.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들의 상단에 상류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블록.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양단의 칸막이 중 한쪽의 칸막이에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다른 한쪽의 칸막이에는 상기 끼움홈과 대응되어 끼워지는 끼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측벽 양단의 칸막이는 서로 일치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에 체결부재가 관통체결되어 어도블록과 또 다른 어도블록이 연결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블록.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도블록의 측벽 저면 양측에는 볼트공이 형성된 브래킷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블록.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측벽 및 칸막이들이 별도로 형성되어 조립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블록.
  10.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내부에는 상기 중간칸막이가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지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블록.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와 측벽에는 일체형 혹은 착탈형의 견인고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블록.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와 측벽은 체결부재를 관통시켜 체결하여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블록.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어도블록의 최상단 칸막이에 유통파이프가 연결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블록.
KR1020050059610A 2004-12-27 2005-07-04 어도블록 KR100658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610A KR100658432B1 (ko) 2004-12-27 2005-07-04 어도블록
CNB200580043721XA CN100549302C (zh) 2004-12-27 2005-12-09 鱼道块
PCT/KR2005/004223 WO2006071010A1 (en) 2004-12-27 2005-12-09 Fishway block
JP2007548061A JP2008525677A (ja) 2004-12-27 2005-12-09 魚道ブロック
US11/721,572 US20070248415A1 (en) 2004-12-27 2005-12-09 Fishway B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2765 2004-12-27
KR20040112765 2004-12-27
KR1020050001693 2005-01-07
KR1020050059610A KR100658432B1 (ko) 2004-12-27 2005-07-04 어도블록
KR1020050109435A KR100592975B1 (ko) 2005-11-16 2005-11-16 어도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4810A KR20060074810A (ko) 2006-07-03
KR100658432B1 true KR100658432B1 (ko) 2006-12-15

Family

ID=36615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9610A KR100658432B1 (ko) 2004-12-27 2005-07-04 어도블록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248415A1 (ko)
JP (1) JP2008525677A (ko)
KR (1) KR100658432B1 (ko)
CN (1) CN100549302C (ko)
WO (1) WO200607101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835B1 (ko) 2009-01-08 2009-06-04 (주)한국건설엔지니어링 집수정식 어도를 구비한 자연형 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231B1 (ko) * 2008-04-15 2010-09-10 조을제 친환경 생태활성화 수로블럭
KR101144263B1 (ko) 2009-09-15 2012-05-11 영온무역 주식회사 어도블록
NL2003948C2 (nl) * 2009-12-11 2011-06-15 Hoogheemraadschap De Stichtse Rijnlanden Vispassage alsmede werkwijze voor het bedrijven daarvan.
CN103195030B (zh) * 2013-04-11 2015-03-25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竖缝式鱼道结构
CN103266585B (zh) * 2013-05-27 2015-10-07 河海大学 利用鱼类趋光特征改善鱼道过鱼效果的装置及其方法
FR3009004B1 (fr) * 2013-07-26 2015-07-31 Charier Bassin pour la realisation de passe a poissons, passe a poissons obtenue et procede de fabrication
CH709700A1 (de) * 2014-05-27 2015-11-30 Wrh Walter Reist Holding Ag Fischaufstiegsanlage.
CN104060587B (zh) * 2014-07-10 2016-03-09 哈尔滨工程大学 百叶栅压力旋转阀鱼道
CN104088260B (zh) * 2014-07-11 2015-10-07 河海大学 多级助驱式生态鱼道设施及其运行方法
CN104343106B (zh) * 2014-09-26 2015-12-09 浙江省水利水电勘测设计院 一种鱼道活动隔板装置
CN104480913B (zh) * 2014-11-18 2016-04-27 河海大学 一种交错布置隔块结构的生态鱼道
FR3037977A1 (fr) * 2015-06-24 2016-12-30 Lesage Dev Module prefabrique pour bassin de franchissement piscicole, ouvrage obtenu et procede de fabrication
KR101688988B1 (ko) * 2016-05-12 2016-12-22 주식회사 창성 논물 수위 조절장치
US9629343B1 (en) * 2016-08-31 2017-04-25 Joe Sallaberry Salmon migration lift device
CN106804487B (zh) * 2016-12-27 2022-05-17 珠江水利委员会珠江水利科学研究院 研究鱼卵运动机理的测试装置及方法
CN110999844B (zh) * 2019-12-13 2022-02-01 三峡大学 一种全自动模块化鱼类行为学实验装置
CN111335277B (zh) * 2020-03-05 2021-04-27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河道温升引鱼装置
CN111335276B (zh) * 2020-03-05 2021-04-27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河道温升引鱼方法
CN111287156B (zh) * 2020-03-05 2021-04-27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鱼道温升引鱼方法
CN111287159B (zh) * 2020-03-05 2021-04-27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水流温升引鱼装置
CN111287157B (zh) * 2020-03-05 2021-04-27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鱼道温升引鱼装置
KR102409757B1 (ko) * 2021-10-06 2022-06-15 신동국 조립식 어도 블록
CN115726331B (zh) * 2022-11-21 2024-05-28 三峡大学 综合补水、除淤、检测及水位适应功能的鱼道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0239A (ja) * 1993-03-25 1994-10-04 Showa Concrete Ind Co Ltd 組立式魚道
JPH11315528A (ja) * 1998-05-01 1999-11-16 Hokuetsu:Kk 水路式魚道ブロックおよび水路式魚道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77805A (en) * 1965-09-21 1968-04-16 Warner Joseph William Device to assist fish to travel past obstacles in waterways
JPS6025562B2 (ja) * 1982-05-13 1985-06-19 社団法人北海道栽培漁業振興公社 組立式筒型魚道の構造体
US4726709A (en) * 1986-09-23 1988-02-23 Camille Labelle Sealing assemblies
JPH03151408A (ja) * 1989-11-06 1991-06-27 Nagasaki Pref Gov 自動スウイング魚道
US5253610A (en) * 1992-04-27 1993-10-19 Sharber Norman G Tank for electroanesthetizing fish
JP2585966B2 (ja) * 1994-03-18 1997-02-2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魚道及びその形成方法
KR200227480Y1 (ko) * 1998-05-26 2001-09-17 김영민 어도용낙차공
US6474265B1 (en) * 2001-06-15 2002-11-05 William P. Powell Adjustable aquarium divider
JP3612561B2 (ja) * 2001-07-19 2005-01-19 独立行政法人農業工学研究所 魚道水路の設計方法
US6443099B1 (en) * 2001-10-02 2002-09-03 George James Elwood Boggs Separator for a fish display tank
JP2003232026A (ja) * 2002-02-05 2003-08-19 Hiroshi Inada 動植物生息水路用のブロック及び動植物生息用水路
KR100477555B1 (ko) * 2002-06-28 2005-03-17 농업기반공사 어도 블록
US7048850B2 (en) * 2004-08-16 2006-05-23 Laitram, L.L.C. Water scree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0239A (ja) * 1993-03-25 1994-10-04 Showa Concrete Ind Co Ltd 組立式魚道
JPH11315528A (ja) * 1998-05-01 1999-11-16 Hokuetsu:Kk 水路式魚道ブロックおよび水路式魚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835B1 (ko) 2009-01-08 2009-06-04 (주)한국건설엔지니어링 집수정식 어도를 구비한 자연형 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525677A (ja) 2008-07-17
KR20060074810A (ko) 2006-07-03
WO2006071010A1 (en) 2006-07-06
CN100549302C (zh) 2009-10-14
US20070248415A1 (en) 2007-10-25
CN101084347A (zh) 200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8432B1 (ko) 어도블록
KR101042510B1 (ko) 어도 시공방법
KR101660462B1 (ko) 지그재그형 월류식 어도보 및 그 시공 방법
KR200381909Y1 (ko) 어도블록
KR101119972B1 (ko) 친환경 어도구조물
KR100643777B1 (ko) 수중 가두리 시설
KR102612755B1 (ko) 저심도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유체의 지하 관리를 위한 모듈 및 어셈블리
CN111535257A (zh) 堰坝组合结构
KR101136661B1 (ko) 어도블럭 조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RU171642U1 (ru) Одноступенчатый перепад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KR101223653B1 (ko) 여울목 및 수중 도랑을 구비한 다단 생태하천 수중보와 그의 시공방법
KR101156309B1 (ko) 유지관리가 편리한 수위 대응 어도
KR20060080837A (ko) 어도시설물 및 그 시공방법
JP3896531B2 (ja) 取水及び魚道併置型ダム
KR102082142B1 (ko)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
JP5726475B2 (ja) 垂直魚道ブロック
KR101200394B1 (ko) 어도 블록
KR20080113147A (ko) 담수용 생태 수로관
CN212375801U (zh) 一种水利工程生态护坡
KR101447614B1 (ko) 친환경 어도블록 구조
KR100510884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취입보 설치공법
KR100770161B1 (ko) 소하천 바닥 세굴 방지 및 어도를 갖는 수중보
KR101661884B1 (ko) 메쉬형 개구부가 형성된 산마루 측구
KR20240067802A (ko) 내측이 원호 형상의 잠공을 갖춘 잠월류 어도블록 구조체
KR20190138490A (ko) 복층식 어도시설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