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2912B1 -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 및 이를 이용한 어초 둠벙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 및 이를 이용한 어초 둠벙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2912B1
KR101142912B1 KR1020090132200A KR20090132200A KR101142912B1 KR 101142912 B1 KR101142912 B1 KR 101142912B1 KR 1020090132200 A KR1020090132200 A KR 1020090132200A KR 20090132200 A KR20090132200 A KR 20090132200A KR 101142912 B1 KR101142912 B1 KR 101142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unit
water
adjustable
adjustabl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2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8730A (ko
Inventor
송호면
김영택
안창혁
김호열
김보라
주진철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10068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8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은 수생동물이 서식하기 위한 구조체와, 구조체 내부를 촬영하는 영상유닛과, 구조체 내부의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측정유닛과, 구조체 내부 물을 정화하는 정화유닛을 포함한다.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을 이용한 어초 둠벙 모니터링 시스템은 어초 둠벙과, 어초 둠벙에 의해 측정되는 수질정보 및 영상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어초 둠벙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중앙제어장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 및 이를 이용한 어초 둠벙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면, 수위조절유닛에 의해 하천의 수위변화에 따라 어초 둠벙 내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고, 어초 둠벙 내의 영상유닛을 통해 수생동물의 서식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어초 둠벙이 이물질 차집유닛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지형에 적합하도록 구성되므로, 적용가능성이 증가하는 이점이 있다.
어초 둠벙, 수위 조절, 에어리프트, 영상유닛

Description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 및 이를 이용한 어초 둠벙 모니터링 시스템{POOL FOR FISHING BANKS HAVING ADJUSTABLE WATER LEVEL AND SYSTEM FOR MONITORING POOL FOR FISHING BANK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 및 이를 이용한 어초 둠벙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생물의 서식 거처를 제공하기 위한 어초 둠벙 및 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초 및 어소라 하면 물고기 등의 수중 동물들의 원만한 서식은 물론, 산란율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제공되는 것으로서, 종래의 어초는 하천 및 연안 해역에 사용되어 다양한 수중 생물, 예컨대 어류, 해조류, 어패류 등이 서식할 수 있는 인공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하게 형성하여 사용되어 왔다.
그리고, 둠벙이란 과거에는 논농사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논 가장자리에 설치한 깊은 웅덩이를 의미하는 것이나, 근래에는 수생 생물의 산란 및 은신처가 될 수 있도록 호안 또는 제내, 외지의 친환경적으로 지하에 시공한 시설물, 호안구 조, 어도 및 수제 등을 포함하는 웅덩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어초 둠벙이란 수생물의 서식 거처를 제공하기 위한 구조물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설치장소 및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다양한 어초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a)는 강제어초를 도시한 것으로서 부식에 의한 수명저하 및 용출을 방지하기 위해 해양바닥 상부에만 시공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1의 (b)는 해안침식방지 및 어장형성용 잠재로서 운반 및 시공시 비경제적이고 해양바닥 상부에만 시공가능하다.
도 1의 (c)는 도벽식 어도로서 회기성 일부 어류를 위한 것으로서 설치지역이 보와 같은 구조물에 한정되고 수위부족시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의 (d)는 인공하도식 어도로서 보나 댐과 같은 지역에 설치되고 시공비가 과다하고 하도 중간에 휴식공간이 부족하다.
도 1의 (e)는 어소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갈수기의 하천수량이 부족한 경우 서식조건이 악화되고, 도 1의 (f)는 하상목재방틀로서 다양한 환경제공이 어려운 특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어초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하상이나 하천 근처에 설치되는 인공 어초의 경우, 계절에 따른 수위의 변동량에 대응하지 못하므로 갈수기 때 수위가 낮아져서 인공 어초 내의 수생동물의 서식공간을 감소시키고, 수위 저하로 인한 오염물질의 증가로 인해 수생동물의 서식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인공 어초들은 하천이나 해상에 설치된 후, 수생동물이 서식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없으므로, 설치 후 수생동물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지 못하여 인공 어초를 단순히 해양 쓰레기로 방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인공 어초들은 특정 장소에 적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다양한 장소에 적용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위의 변동량에 따라 인공 어초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공 어초 내의 수생동물의 이용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장소에 적용될 수 있는 인공 어초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의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은 수생지에 설치되고, 수생동물이 서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구조체; 상기 구조체와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기 위한 수원(水原)에 설치되고, 상기 수원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구조체 내부의 수위를 일정범위로 유지하는 수위조절유닛; 상기 구조체에 구비되고, 상기 구조체를 촬영하는 영상유닛;및 상기 구조체와 연결되고, 상기 수위조절유닛 및 상기 영상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조체는 상기 구조체 내부의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측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조체는 상기 구조체 내부의 물을 정화하는 정화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정화유닛은 상기 수질측정유닛에 의해 측정되는 오염수치가 기준수치를 벗어나면 자동으로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조체는 상기 구조체의 상면에 다단층으로 적층되고, 일면에 다수개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적층부; 상기 적층부 중 최상층에 위치하는 적층부의 상면을 차폐하고, 다수개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덮개부;및 상기 구조체 내부에 구비되고, 수생동물의 산란 및 서식처를 제공하는 메디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출입구는 하천의 흐름과 마주보지 않는 상기 구조체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구조체에는 상기 구조체의 바닥층에 구비되고, 일정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의 일단에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포집부는 상기 포집부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위조절유닛은 에어리프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조체는 상기 구조체 내부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수위조절유닛은 상기 수위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수위에 따라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원부는 태양광 발전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은 수생지에 설치되고, 수생동물이 서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구조체; 상기 구조체와 일체로 구 성되고,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하여 상기 구조체 내부의 수위를 일정범위로 유지하는 수위조절유닛; 상기 구조체에 구비되고, 상기 구조체를 촬영하는 영상유닛;및 상기 구조체와 연결되고, 상기 수위조절유닛 및 상기 영상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및 상기 구조체 내부로 인입되는 이물질을 차집하기 위한 다수개의 이물질 차집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조체는 상기 구조체 내부의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측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조체는 상기 구조체 내부의 물을 정화하는 정화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정화유닛은 상기 수질측정유닛에 의해 측정되는 오염수치가 기준수치를 벗어나면 자동으로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조체는 상기 구조체의 상면에 다단층으로 적층되고, 일면에 다수개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적층부; 상기 적층부 중 최상층에 위치하는 적층부의 상면을 차폐하고, 다수개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덮개부;및 상기 구조체 내부에 구비되고, 수생동물의 산란 및 서식처를 제공하는 메디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출입구는 하천의 흐름과 마주보지 않는 상기 구조체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구조체에는 상기 구조체의 바닥층에 구비되고, 일정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의 일단에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포집부는 상기 포집부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와이어를 포함하 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위조절유닛은 에어리프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조체는 상기 구조체 내부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수위조절유닛은 상기 수위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수위에 따라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위조절유닛은 최소유지수위까지 하방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원부는 태양광 발전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물질 차집유닛은 상기 구조체 중 하천 흐름과 마주보는 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조체는 호안 인접형, 하상매립형, 수제형, 자연형, 어도형, 독립형 또는 지류형 중 어느 하나의 장소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을 이용한 어초 둠벙 모니터링 시스템은 내부에 수생동물이 서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상기 어초 둠벙과, 상기 어초 둠벙과 유무선망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어초 둠벙에 의해 측정되는 수질 정보, 영상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어초 둠벙의 구성요소들을 원격으로 조정하는 중앙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중앙제어장치는 상기 어초 둠벙의 영상유닛에 의해 모니터되는 수위에 따라 상기 수위조절유닛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중앙제어장치는 상기 수질측정유닛에 의해 측정되는 수질 정보에 따라 상기 정화유닛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중앙제어장치는 상기 수질측정유닛에 의해 측정되는 용존산소량(DO, Dissolved Oxygen)이 2.5mg/L 이하가 되거나, SS(Suspended Solids)가 25mg/L 이상이 되면, 상기 정화유닛을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 및 이를 이용한 어초 둠벙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면, 본 발명의 수위조절유닛에 의해 하천의 수위변화에 따라 어초 둠벙 내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수위 저하에 따른 수생동물의 폐사를 방지할 수 있고, 어초 둠벙 내의 영상유닛을 통해 수생동물의 서식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어초 둠벙의 이용상태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어초 둠벙은 이물질 차집유닛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지형에 적합하도록 구성되므로, 적용가능성이 증가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 및 이를 이용한 어초 둠벙 모니터링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20에는 본 발명에 의한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 및 이를 이용한 어초 둠벙 모니터링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 모니터링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어초 둠벙 내의 영상 및 수질을 확인할 수 있는 영상유닛과 수질측정유닛 및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유닛을 포함하는 어초 둠벙과, 어초 둠벙에 의해 확인되는 영상 및 수질 정보를 받아 원격으로 어초 둠벙을 제어하는 중앙제어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어초 둠벙(10)은 호안식 어초 둠벙과 하상식 어초 둠벙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하상식 어초 둠벙은 하천의 흐름에 의해 인입되는 모래를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둠벙으로써 호안 인접형, 하상매립형, 수제형 및 자연형 등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호안식 어초 둠벙은 하상의 흐름에 의한 영향을 비교적 덜 받으므로 하상식 둠벙의 모래 제거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둠벙으로써 어도형, 독립형, 지류형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둠벙 형태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 및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상기 둠벙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둠벙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호안식 어초 둠벙(10)이 도 3 내지 7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안식 어초 둠벙(10)은 하천의 일측에 인접하여 위치하거나 하천의 본류에서 다소 이격된 지점에 위치함으로써 하천의 흐름에 의해 발생되는 모래 유입을 차단할 필요성이 적은 둠벙을 의미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안식 어초 둠벙(10)은 수생지 내 에 설치되고, 상기 호안식 어초 둠벙(10)은 하천과 같은 수원(水原)으로부터 물을 공급하는 수위조절유닛(90)과 연결되고, 상기 호안식 어초 둠벙(10)과 수위조절유닛(90)은 전원부(1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호안식 어초 둠벙(10)은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구조체(21)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체(21)의 상면은 개방되어 있다. 상기 구조체(21)는 하상 저면에 매립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조체(21)의 높이는 동계 한도 심도인 1.2m보다 길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구조체(21) 내부의 용수가 동절기에 얼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조체(21)의 상면에는 다단층으로 쌓아지도록 구성되는 다수개의 적층부(23)가 구비된다. 상기 적층부(23)는 상기 구조체(21) 또는 다른 적층부(23)와 결합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적층부(23)는 어초 둠벙(10)이 설치되는 수생지의 수위에 따라 여러 층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적층부(23)의 상하면은 모두 개방되어 상기 적층부(23) 내부를 통해 수생동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적층부(23)에서 유수의 흐름과 마주보지 않는 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출입구(25)가 형성된다.
상기 출입구(25)는 수생동물이 출입하기 위한 통로로서 여러 가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유수의 흐름과 마주보지 않는 면에 형성됨으로써 유수 흐름으로 인한 모래 및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입구(25)는 포식자로부터 치어를 보호하기 위하여 치어의 출입에 적합하도록 적당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층부(23) 중 최상층에 위치한 적층부(23)의 상면에는 덮개부(27)가 구비된다. 상기 덮개부(27)는 구조체(21)의 상면을 차폐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덮개부(27)에는 다수개의 출입구(25)가 형성됨으로써 수생동물의 인입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덮개부(27)에 형성된 출입구(25)에는 유수의 흐름으로 인한 모래와 같은 이물질의 인입을 방지하기 위한 캡부(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캡부는 반구 형태로 형성되고, 반구 형태의 어느 일부분만 개방되어 개방된 일부분이 유수 흐름과 마주보지 않도록 설치됨으로써 유수 흐름으로 인한 이물질의 인입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조체(21)의 바닥면에는 일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면(29)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29) 중 하방에 위치한 일단에는 상기 경사면(29)을 따라 흘러 내려오는 이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포집부(31)가 구비된다.
상기 포집부(31)는 와이어(33)에 연결되어 어초 둠벙(10) 외부로 꺼내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포집부(31)에 포집된 이물질들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구조체(21) 또는 적층부(23)에는 수생동물의 산란장소로 이용되는 메디아(35)가 구비된다. 상기 메디아(35)는 수생동물에게 친숙한 수생식물의 형태 및 재질로 구성되어 수생동물에게 산란장소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조체(21) 내부에는 상기 구조체(21) 내부에서 서식하는 수생동물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영상유닛(70)이 구비된다. 상기 영상유닛(7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아래에서 설명할 중앙제어장치(200)로 실시간으로 전송된다.
상기 구조체(21) 내부에는 둠벙 내의 수질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수질 측정 유닛(50)을 포함한다. 상기 수질 측정 유닛(50)은 수온, pH, DO, 탁도, 전도도 등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호주 Turo사의 T-611 또는 613 모델로 구성될 수 있다.상기 수질 측정유닛(50)에 의해 측정되는 수질 측정 정보는 중앙제어장치(200)로 전송된다.
상기 구조체(21)에는 별도의 정화유닛(6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화유닛(60)은 갈수기때 발생하는 수위저하현상으로 인해 둠벙 내에 오염물질 및 탁도 등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정화유닛(60)은 자연형처리 형태로서 수생생물에 유해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화유닛(60)은 상기 중앙제어장치(200)에 의해 원격으로 조정될 수도 있으나, 상기 수질 측정 유닛(50)에 의해 측정된 오염수치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수질 측정 유닛(50)에 의해 측정되는 용존산소량(DO, Dissolved Oxygen)이 2.5mg/L 이하가 되거나, 부유물질을 측정하기 위한 SS(Suspended Solids)가 25mg/L 이상이 될 때 상기 정화유닛(60)이 작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화유닛(60)에도 와이어(33)가 구비되어 상기 정화유닛(60)을 구조체(21) 외부로 이탈시켜 정화유닛(60) 내부의 정화여재를 교체하거나 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체(21)의 내부에는 상기 구조체(21) 내부의 수생동물의 서식상태를 모니터하기 위한 영상유닛(70)이 구비된다. 상기 영상유닛(70)은 수중카메라로 구성되고, 특정지점을 모니터할 수 있도록 자유회전할 수 있다.
상기 구조체(21)에는 상기 수질 측정 유닛(50)에 의해 측정되는 수질정보 및 상기 영상유닛(70)에 의해 모니터되는 영상정보는 아래에서 설명할 전원부(100)의 송수신부(101)에 의해 상기 중앙제어장치(200)로 전송된다.
상기 호안식 어초 둠벙(10)에는 수위에 따라 상기 어초 둠벙(10)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수위조절유닛(90)이 연결된다. 호안식 어초 둠벙(10)의 경우, 상기 수위조절유닛(90)이 상기 어초 둠벙(10)에 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수량이 풍부한 하천의 본류(本流)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위조절유닛(90)은 에어리프트와 같은 것으로 구성되어 인근 하천 본류의 용수를 상기 어초 둠벙(10)이 설치된 하천의 지류(枝流) 또는 상기 어초 둠벙(10) 내로 공급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용수가 풍부한 하천 본류와 어초 둠벙(10)이 설치된 하천 지류는 둑과 같은 경계물에 의해 구분되어 하천 본류의 용수가 어초 둠벙(10)이 설치된 하천 지류로 직접 공급될 수 없다.
그러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위조절유닛(90)에 의해 하천 본류의 용수를 하천 본류와 하천 지류의 경계면에 공급함으로써 a 방향 및 b 방향으로 물이 흐르도록 하여 하천 지류에도 용수가 공급되도록 한다.
위와 같이 용수를 하천 본류와 하천 지류의 경계면에 공급하는 이유는 하천 본류와 하천 지류 사이에 일종의 물길을 형성함으로써, 하천 본류 또는 하천 지류 에 서식하는 수생생물이 물길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용수가 풍부한 하천 본류에 상기 수위조절유닛(90)을 설치하고, 상기 수위조절유닛(90)을 이용하여 하천 본류의 용수를 하천 지류에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갈수기때 하천 지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용수 부족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경계면에 의해 분리된 하천 본류 및 하천 지류 사이에 물길을 형성하여 수생생물의 이동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위조절유닛(90)은 상기 어초 둠벙(10) 내의 수심이 최소유지수위 이하가 되었을 때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어초 둠벙(10)에 설치되는 수위 측정센서(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수위조절유닛(90)에 연결되고, 상기 수위측정센서에 의해 상기 어초 둠벙(10) 내의 수위가 최소유지수위 이하로 내려가면 상기 수위조절유닛(90)이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질 측정 유닛(50), 정화 유닛(60), 영상 유닛(70) 및 상기 수위조절유닛(90)은 모두 전원부(100)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전원부(100)는 친환경 발전장치인 태양광 발전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부(100)에는 상기 수질 측정 유닛(50), 정화 유닛(60) 또는 영상 유닛(70)과 유무선 등으로 연결되어 상기 장치들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상기 중앙제어장치(200)로 전송하거나, 상기 중앙제어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장치들로 전송하는 송수신부(101)가 구비될 수 있다.
하상식 어초 둠벙(10)이 도 8 내지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안식 어초 둠벙(10)은 하천의 바닥면에 매립되어 설치되거나 하천의 흐름에 의해 발생되는 모래 유입을 차단할 필요성이 있는 둠벙을 의미한다.
하상식 어초 둠벙(10)은 아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이외에도 기본적으로 호안식 어초 둠벙(10)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하안식 어초 둠벙(10)의 구조체(21)에는 하천 흐름에 의해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집하기 위한 이물질 차집 유닛(1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차집 유닛(110)은 대략 장방형의 박스형태로 구성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초 둠벙(10)에서 하천 흐름과 마주보는 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 차집 유닛(11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통공(111)이 형성된 차집 유닛 커버(113)가 구비된다. 상기 차집 유닛 커버(113)에 통공(111)이 형성되므로 하천 흐름에 의해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집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차집 유닛(110)에 모인 이물질은 정기적으로 배출된다.
상기 하안식 어초 둠벙(10)은 하상에 매립되어 설치되므로 상기 하안식 어초 둠벙(10)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수위조절유닛(90)이 상기 구조체(21)와 일체로 구성된다.
즉, 상기 수위조절유닛(90)이 상기 구조체(21)의 일면에 연결되고, 최소 유지 수위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어초 둠벙(10) 내의 수심이 최소 유지 수위 이하로 내려가거나 일정 수위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상기 수위조절유닛(90)이 작동한다.
상기 어초 둠벙(10)에 의해 측정되는 수질 정보 및 영상 정보는 중앙제어장치(200)로 전송된다. 상기 어초 둠벙(10)과 중앙제어장치(200)는 적외선 무선 통신, CDMA, PLC 유선망 통신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유무선망에 의해 연결될 수 있 다.
상기 중앙제어장치(200)는 상기 어초 둠벙(10)에 의해 측정되는 정보를 저장하고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어초 둠벙(10)에 의해 측정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어초 둠벙(10)의 수질측정유닛(50), 정화유닛(60), 영상유닛(70) 또는 전원부(100)의 작동을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에서 검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질 측정 유닛(50)에 의해 측정되는 용존산소량 또는 SS(Suspended Solids)가 일정수치 이상 또는 이하가 될 때 상기 정화유닛(60)이 작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으나, 상기 중앙제어장치(200)가 상기 수질 측정 유닛(50)에 의해 측정된 수질정보를 통해 오염수치가 기준수치를 벗어나면 상기 정화유닛(60)이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중앙제어장치(200)를 통해 상기 영상 유닛(70)을 회전시킴으로써 어초 둠벙(10) 내의 촬영하고자 하는 장소를 선택하여 촬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어초 둠벙(10) 내의 수위가 일정 범위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자동 또는 수동으로 수위조절유닛(90)을 작동시켜 수위를 유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중앙제어장치(200)로 전송되는 각종 정보들을 저장하여 다른 연계기관에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어초 둠벙(10)은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어초 둠벙(10)이 호안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호안인접형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호안 인접형은 비수충부와 사주부 사이에 설치되고, 하상 경사는 완류나 중류로 형성되는 장소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천의 고수부지와 연결되는 호안에 설치되므로 갈수기의 최저지하수위보다 1m 이상 낮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호안인접형은 하천과 인접하여 설치되므로 하천 흐름에 의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필요성이 높으므로 하상식 어초 둠벙(10)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에는 어도형 어초 둠벙(1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어도형 어초 둠벙(10)은 하천 본류가 보에 의해 생태기능이 단절되어 있는 경우에 고수부지가 10m 이상 발달한 공간을 활용하여 우회수로를 만들어 습지에 어초 둠벙을 매설하는 형태이다.
상기 어도형 어초 둠벙(10)은 상하류의 영향이 적고, 기초지반이 양호하며 하천 수로가 직선상태로 유속의 변화가 적어 유수에 의한 하상변화가 작은 지점에 보나 어도와 같은 구조물과 함께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도형 어초 둠벙(10)은 비교적 유속이 적은 우회수로에 설치되므로 호안식 어초 둠벙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에는 상기 호안인접형 어초 둠벙(10)의 다른 적용례인 지류형 어초 둠벙(1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지류형 어초 둠벙(10)은 하천 본류와 합류하는 하천 지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호안인접형 어초 둠벙(10)과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에는 하상매립형 어초 둠벙(1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하상매립형 어초 둠벙은 토사 이동이 거의 없는 소하천이나 여울로 인한 소 형성 및 설치 예정 구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하상매립형 어초 둠벙(10)은 유속이 느린 소나 큰 웅덩이 수변부 중 자갈이나 돌의 분포가 미약하고 침수식물이 빈약한 지점에 설치하며, 0.3 m ~ 1 m 의 수심이 유지되도록 하여 어류의 산란장 및 서식장소로서의 기능을 하도록 한다. 상기 하상매립형 어초 둠벙(10)은 하상에 설치되므로 하상식 어초 둠벙(10)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에는 독립형 어초 둠벙(1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독립형 어초 둠벙(10)은 하천 본류와 인접하여 있으나 직접적으로 하천 본류와 연결되지 않는 독립된 호소에 설치된다.
상기 독립형 어초 둠벙(10)은 하천 본류의 유량변화에 따라 내부 유량이 변화하고, 하천의 수원공급이 없을 경우 독립적으로 용수를 공급받아야 하므로 하상식 어초 둠벙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에는 수제형 어초 둠벙(1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수제형 어초 둠벙(10)이란 하천 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해 설치되는 수제와 같이 설치되는 것으로서 호안을 따라 조성된 수제의 기능을 활용하여 어초 둠벙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제형 어초 둠벙(10)은 수제와 수제 사이의 호안에 설치되고 토사의 유입이 적은 곳에 입구를 두고 출구는 어초 둠벙 내 흐름이 양호한 구간에 형성한다.
상기 수제형 어초 둠벙(10)은 하천 흐름에 의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것 이 바람직하므로 하상식 어초 둠벙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에는 자연형 어초 둠벙(10)이 도시되어 있다. 자연형 어초 둠벙(10)이란 하천변 수위가 높고 하천의 곡류가 심하여 우각호가 형성된 지점의 호안구조를 보강하여 설치되는 어초 둠벙을 의미한다.
상기 자연형 어초 둠벙은 하천의 호안 5m 이내에서 자연적으로 형성된 기존 지형을 그대로 활용하므로 기존의 웅덩이를 수생생물이 서식하기 용이한 구조로 개선할 수 있는 둠벙에 해당한다.
상기 자연형 어초 둠벙은 하천 흐름에 의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필요성이 있으므로 하상식 어초 둠벙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 및 이를 이용한 어초 둠벙 모니터링 시스템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각 지형에 따라 최적 장소로 선정되는 지점에 어초 둠벙(10)을 설치한다. 상기 어초 둠벙(10)은 적층부(23)에 의해 다단식으로 설치되므로 설치장소의 수위에 따라 적층부(23)를 수개로 적층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어초 둠벙(10) 내로 하천 흐름으로 인한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 어초 둠벙(10)의 구조체(21)에 형성된 출입구(25)가 하천 흐름과 마주보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어초 둠벙(10) 내의 포집부(31)를 정기적으로 관리하여 이물질을 배출시켜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초 둠벙(10)의 적층부(23) 및 덮개부(27)에는 출입구(25)가 형성되므 로 상기 출입구(25)를 통해 수생동물이 출입할 수 있다. 상기 어초 둠벙(10) 내의 수생동물의 서식상태는 영상유닛(70)을 통해 촬영되고, 촬영된 영상정보는 중앙제어장치(200)로 실시간으로 전송된다.
사용자는 중앙제어장치(200)로 전송된 영상정보를 통해 어초 둠벙(10)의 사용상태를 모니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초 둠벙(10) 내의 수질상태는 수질측정유닛(50)에 의해 실시간으로 측정되어 상기 중앙제어장치(200)로 전송된다. 사용자는 상기 중앙제어장치(200)로 전송된 수질정보에 따라 정화유닛(60)을 작동시키거나, 일정수치에 이르는 경우 상기 정화유닛(60)이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어초 둠벙(10) 내의 수위가 일정범위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사용자가 영상유닛(70)을 통해 이를 확인하여 수위조절유닛(90)을 통해 상기 어초 둠벙(10)으로 용수를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어초 둠벙(10) 내에 설치된 수위측정센서에 의해 일정수위 이하가 되면 자동으로 상기 수위조절유닛(90)이 작동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천의 수위에 따라 어초 둠벙(10) 내의 수위를 조절하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갈수기 때에도 일정 수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용수 부족으로 인해 수생동물이 폐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초 둠벙(10)의 수심이 동계 한도 심도보다 깊도록 형성되므로 동절기에 수생동물의 동사를 방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어초 둠벙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친화적인 구조물에 해당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어초 둠벙의 소재가 자연친화소재로 구성되거나 어초 둠벙 내의 설치물이 자연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어초 둠벙이 설치되는 일실시예로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초 둠벙(10)이 하천 주변에 설치되고, 상기 어초 둠벙(10)과 하천이 어도형 암거와 같은 연결관(120)에 의해 연결되어 하천의 유수가 상기 어초 둠벙(10)으로 인입되고, 하천의 수생동물이 상기 연결관(120)을 통해 상기 어초 둠벙(10) 내부로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120)을 통해 유입되는 하천의 유수는 유속을 고려하여 일정 유속 이상이 되면 유입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120)을 통해 어초 둠벙(10) 내의 저류된 용수를 방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 및 이를 이용한 어초 둠벙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수위조절유닛에 의해 하천의 수위변화에 따라 어초 둠벙 내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수위 저하에 따른 수생동물의 폐사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어초 둠벙 내의 영상유닛을 통해 수생동물의 서식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어초 둠벙의 이용상태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어초 둠벙은 이물질 차집유닛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지형에 적합하도록 구성되므로, 적용가능성이 증가하는 이점이 있다.
추가적으로, 어초 둠벙에 의해 다양한 생물종을 확보할 수 있고, 생태 건강성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관광 및 학습기능의 장을 마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어초의 예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을 이용한 어초 둠벙 모니터링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을 이용한 어초 둠벙 모니터링 시스템의 설치상태를 보인 설치상태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수위조절이 가능한 호안식 어초 둠벙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정면도.
도 7은 도 5의 상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수위조절이 가능한 하안식 어초 둠벙을 보인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정면도.
도 10은 도 8의 상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이 호안인접형으로 설치된 상태를 보인 설치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이 어도형으로 설치된 상태를 보인 설치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이 지류형으로 설치된 상태를 보인 설치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이 하상매립형으로 설 치된 상태를 보인 설치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이 독립형으로 설치된 상태를 보인 설치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이 수제형으로 설치된 상태를 보인 설치상태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이 자연형으로 설치된 상태를 보인 설치상태도.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의 수위별 상태를 보인 수위상태도.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의 내부를 보인 내부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의 설치상태를 보인 설치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0 : 어초 둠벙 21 : 구조체
23 : 적층부 25 : 출입구
27 : 덮개부 29 : 경사면
31 : 포집부 33 : 와이어
35 : 메디아 50 : 수질측정유닛
60 : 정화유닛 70 : 영상유닛
90 : 수위조절유닛 100 : 전원부
110 : 이물질 차집유닛 200 : 중앙제어장치

Claims (28)

  1. 수생지에 설치되고, 수생동물이 서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구조체;
    상기 구조체와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기 위한 수원(水原)에 설치되고, 상기 수원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구조체 내부의 수위를 일정범위로 유지하는 수위조절유닛;
    상기 구조체에 구비되고, 상기 구조체를 촬영하는 영상유닛;및
    상기 구조체와 연결되고, 상기 수위조절유닛 및 상기 영상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체는
    상기 구조체의 상면에 다단층으로 적층되고, 일면에 다수개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적층부;
    상기 적층부 중 최상층에 위치하는 적층부의 상면을 차폐하고, 다수개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덮개부;및
    상기 구조체 내부에 구비되고, 수생동물의 산란 및 서식처를 제공하는 메디아를 포함하는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는
    상기 구조체 내부의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측정유닛을 포함하는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는
    상기 구조체 내부의 물을 정화하는 정화유닛을 포함하는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유닛은
    상기 수질측정유닛에 의해 측정되는 오염수치가 기준수치를 벗어나면 자동으로 작동하는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는 하천의 흐름과 마주보지 않는 상기 구조체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구조체에는 상기 구조체의 바닥층에 구비되고, 일정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의 일단에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부가 구비되는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상기 포집부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와이어를 포함하는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조절유닛은
    에어리프트로 구성되는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는
    상기 구조체 내부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수위조절유닛은 상기 수위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수위에 따라 작동되는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태양광 발전기로 구성되는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는
    연결관에 의해 수생지와 연결되는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
  12. 수생지에 설치되고, 수생동물이 서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구조체;
    상기 구조체와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기 위한 수원(水原)에 설치되고, 상기 수원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구조체 내부의 수위를 일정범위로 유지하는 수위조절유닛;
    상기 구조체에 구비되고, 상기 구조체를 촬영하는 영상유닛;
    상기 구조체와 연결되고, 상기 수위조절유닛 및 상기 영상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및
    상기 구조체 내부로 인입되는 이물질을 차집하기 위한 다수개의 이물질 차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구조체는
    상기 구조체의 상면에 다단층으로 적층되고, 일면에 다수개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적층부;
    상기 적층부 중 최상층에 위치하는 적층부의 상면을 차폐하고, 다수개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덮개부;및
    상기 구조체 내부에 구비되고, 수생동물의 산란 및 서식처를 제공하는 메디아를 포함하는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는
    상기 구조체 내부의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측정유닛을 포함하는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는
    상기 구조체 내부의 물을 정화하는 정화유닛을 포함하는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유닛은
    상기 수질측정유닛에 의해 측정되는 오염수치가 기준수치를 벗어나면 자동으로 작동하는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
  16. 삭제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는 하천의 흐름과 마주보지 않는 상기 구조체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구조체에는 상기 구조체의 바닥층에 구비되고, 일정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의 일단에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부가 구비되는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상기 포집부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와이어를 포함하는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조절유닛은
    에어리프트로 구성되는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는
    상기 구조체 내부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수위조절유닛은 상기 수위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수위에 따라 작동되는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조절유닛은
    최소유지수위까지 하방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태양광 발전기로 구성되는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
  2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차집유닛은
    상기 구조체 중 하천 흐름과 마주보는 면에 설치되는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
  24.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내지 제15항, 및 제17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는
    호안 인접형, 하상매립형, 수제형, 자연형, 어도형, 독립형 또는 지류형 중 어느 하나의 장소에 설치되는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
  25. 내부에 수생동물이 서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3항, 제4항, 제6항 내지 제11항, 제14항, 제15항, 및 제17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어초 둠벙과,
    유무선망에 의해 상기 어초 둠벙과 연결되고, 상기 어초 둠벙에 의해 측정되는 수질 정보, 영상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어초 둠벙의 구성요소들을 원격으로 조정하는 중앙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을 이용한 어초 둠벙 모니터링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장치는
    상기 어초 둠벙의 영상유닛에 의해 모니터되는 수위에 따라 상기 수위조절유닛을 제어하는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을 이용한 어초 둠벙 모니터링 시스템.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장치는
    상기 수질측정유닛에 의해 측정되는 수질 정보에 따라 상기 정화유닛을 제어하는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을 이용한 어초 둠벙 모니터링 시스템.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장치는
    상기 수질측정유닛에 의해 측정되는 용존산소량(DO, Dissolved Oxygen)이 2.5mg/L 이하가 되거나, SS(Suspended Solids)가 25mg/L 이상이 되면, 상기 정화유닛을 작동시키는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을 이용한 어초 둠벙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090132200A 2009-12-16 2009-12-28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 및 이를 이용한 어초 둠벙 모니터링 시스템 KR1011429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793 2009-12-16
KR20090125793 2009-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730A KR20110068730A (ko) 2011-06-22
KR101142912B1 true KR101142912B1 (ko) 2012-05-10

Family

ID=44400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2200A KR101142912B1 (ko) 2009-12-16 2009-12-28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 및 이를 이용한 어초 둠벙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9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082B1 (ko) * 2019-03-20 2019-08-26 한을 수생 및 반수생 생물의 생태 환경 조성을 위한 환경인자 모니터링 및 환수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492B1 (ko) * 2011-10-18 2012-04-25 주식회사 에코탑 생태하천의 어류 및 수서동물 서식지 조성을 위한 생태 구조체
KR101330164B1 (ko) * 2011-10-28 2013-11-15 최수용 생태하천 복원용 수중생물의 수중생태환경구조체
KR101343978B1 (ko) * 2011-12-19 2014-01-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생태농업용 방틀둠벙 및 이를 이용한 생태농경지
KR101362996B1 (ko) * 2012-10-12 2014-02-20 주식회사 준수이앤텍 어류의 생태계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서식처
KR101271914B1 (ko) * 2013-01-09 2013-06-05 정창균 생태월동소
KR101528504B1 (ko) * 2013-11-05 2015-06-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어류의 서식과 관찰이 가능한 생태 수영장
KR101916749B1 (ko) * 2017-01-26 2018-11-08 (주)위 에너지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수질 관리 시스템
CN107873582A (zh) * 2017-12-25 2018-04-06 济宁盛知华知识产权服务有限公司 一种模拟野生草鱼的饲养方法
KR102074624B1 (ko) * 2019-10-04 2020-02-06 주식회사 프리피쉬 수위 연동형 어도
KR102343930B1 (ko) * 2019-11-25 2021-12-27 박준철 유해 외래어종 산란장
KR102261328B1 (ko) * 2021-02-05 2021-06-10 창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인공어초단지 및 해조 바다목장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0045A (ja) 1999-09-21 2001-04-03 Yamagata Kensetsu Kogyo Danchi Kyodo Kumiai 親水用護岸の形成方法、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親水用護岸ブロック
KR100675349B1 (ko) 2006-02-14 2007-01-30 양승재 솔라펌핑 수질정화 생태연못
KR20090043679A (ko) * 2007-10-30 2009-05-07 이현철 어패류의 보관 및 양식할 수 있는 수조탱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0045A (ja) 1999-09-21 2001-04-03 Yamagata Kensetsu Kogyo Danchi Kyodo Kumiai 親水用護岸の形成方法、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親水用護岸ブロック
KR100675349B1 (ko) 2006-02-14 2007-01-30 양승재 솔라펌핑 수질정화 생태연못
KR20090043679A (ko) * 2007-10-30 2009-05-07 이현철 어패류의 보관 및 양식할 수 있는 수조탱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082B1 (ko) * 2019-03-20 2019-08-26 한을 수생 및 반수생 생물의 생태 환경 조성을 위한 환경인자 모니터링 및 환수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730A (ko)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2912B1 (ko)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 및 이를 이용한 어초 둠벙 모니터링 시스템
US11598064B2 (en) Lake restoration systems and processes
WO2011005064A2 (ko) 기초환경의 동시 복원을 위한 동식물간 공존환경 조성방법 및 그 장치
KR101528504B1 (ko) 어류의 서식과 관찰이 가능한 생태 수영장
JP3907044B2 (ja) 自然分解性植物材料利用の沿岸湿地育成方法及び沿岸湿地
KR20200137171A (ko) 수면이나 수중에 부유하는 가시파래류나 수초를 제거하는 수중 오염물 제거방법 및 그 제거장치
KR100732626B1 (ko) 방조제 담수호의 생태적 복원용 감조하천 조성방법
KR101077585B1 (ko) 어족보호용 인공어초
JP2007135429A (ja) 水中植生工法及び水中植生施設
KR20100088359A (ko) 인공하천용 민물 어패류의 자연서식가능한 서식구조체
KR101231655B1 (ko) 복합형 어초 구조물, 이를 이용한 수생 동식물 보호용 구조물
CN109006674A (zh) 长江江豚野化驯养的栖息地生境构建设施
JP3749859B2 (ja) シラスウナギ用魚道システム
JP2001224243A (ja) 人工緑化方法および人工緑地
KR101272219B1 (ko)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
JP3836771B2 (ja) 池内生態系保全方法並びに同方法に用いる浮体構造及びその付属設備
KR100515189B1 (ko) 도심지 하천설비와 도심지 하천 복원 공법
KR101138492B1 (ko) 생태하천의 어류 및 수서동물 서식지 조성을 위한 생태 구조체
JP2001152428A (ja) 生態系全体を考慮した環境護岸及び水路の構築方法
RU2369685C1 (ru) Габионный тюфяк биопозитив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JP3303049B2 (ja) 淡水貯留池への魚類の遡上システム
Horváth et al. Impacts of dams on fish fauna. Feasibility of mitigation measures
KR101272216B1 (ko) 유입 토사 배출이 가능한 연계형 인공 어초
KR20170120799A (ko) 해삼 양식장치
McCarthy et al. Can Engineering Drawings Create Fish Habit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