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1328B1 - 인공어초단지 및 해조 바다목장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인공어초단지 및 해조 바다목장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1328B1
KR102261328B1 KR1020210016858A KR20210016858A KR102261328B1 KR 102261328 B1 KR102261328 B1 KR 102261328B1 KR 1020210016858 A KR1020210016858 A KR 1020210016858A KR 20210016858 A KR20210016858 A KR 20210016858A KR 102261328 B1 KR102261328 B1 KR 102261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time
lapse
waterproof case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6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병욱
한규삼
신동춘
정정운
Original Assignee
창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창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6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3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8Waterproof bodies or hous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04N5/2256
    • H04N5/2329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Abstract

해저의 촬영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 하부에 설치되어 360도방향으로 설정 시간에 따라 일정 각도로 회전 하는 타임랩스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하부에는 카메라와 타임랩스 회전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부가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 타임랩스 회전부, 베이스부는 방수케이스 내부에 내장되며; 상기 방수케이스 내부에는 카메라의 촬영과 타임랩스 회전부의 구동을 설정 및 제어하는 제어부가 설치되며;상기 방수케이스 외측 하부면에는 고정장치 체결부가 형성되어 고정장치를 매개로 설치하고자 하는 해저 지역에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인공어초단지 및 해조장 모니터링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시간에 따라 360도 평면상을 포함하는 영상촬영이 가능하여 조식동물(성게류, 고둥류)구제와 같은 조성지 환경개선과 인공어초단지나 해중림 조성지의 조성 후 사후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보다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고 해저에 설치되는 파이프라인, 해저 배수관, 돌핀 구조물등의 해저구조물의 모니터링까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공어초단지 및 해조 바다목장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Artificial reef farm and seaweed sea ranch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본 발명은 인공어초단지 및 해중림이 조성된 해저 지역의 사후 모니터링이 가능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지역에 설치되어 설정된 기간 동안 360도평면상의 시간에 따른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시간상에 따른 생물상의 변화 및 모니터링 지역 변화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인공어초단지 및 해조장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조류와 해초류(잘피)는 해양 산성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저감시키고 수질을 정홧키는 환경 보전 역할 뿐만 아니라 연안 생태계 내 일차 생산자로서 물질(에너지)순환 과정의 중심적 역할과 수산자원의 산란 및 생육장 제공을 하고 있다.
그러나, 한반도 인근 해역에서는 해조(초)류를 비롯한 다양한 수산생물이 사라지는 바다 사막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으며, 소멸된 해조군란에는 산호조류가 번무하여 수산자원의 먹이원이 감소하고 있다. 이에 따라 수산자원의 먹이원이 감소하고 산란장 및 성육장이 소멸되어 기존의 해양생태계 균형이 파괴되고 있다.
이러한 갯녹음 현상의 주요 원인으로는 해양오염 증가, 지구온난화, 성게나 전복 등의 조식성 동물에 의한 식해 등이 있다. 그 중에서 해양오염은 과도한 연안 개발이나 육상으로부터 오염 물질 유입으로 인해 증가되고 있으며, 해양생물의 폐사와 직접적으로 연관되므로 이에 대한 해양개발 규제와 해조장 복원이 필요하다.
국내에서는 연안 생태계를 복원하고 국내 수산자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바다숲 조성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바다숲 조성 사업은 해조 및 해초류를 이식하여 새로운 해조 및 해초류 군란을 조성 및 유지하는 사업을 지칭한다. 국내에서는 2009년부터 바다숲 조성 사업이 실시되어 바다숲 조성 면적을 확대함으로써 저비용, 고효율적 바다숲 조성사업을 실시 계획이 있다.
해조류를 이용한 바다숲 조성 과정에서는 적정지역 선정 후, 해중림초 시설, 수중 저연승법이나 포자주머니법 그리고 종묘이식 패널법 등과 같은 전문적 기술을 적용하고 있으며, 잘피류의 경우에는 잘피류 직접 이식하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바다숲 조성에 이용되는 대표적인 해조류는 감태(Ecklonia cava), 미역(Undaria pinnatifida), 모자반류(Sargassum spp.), 다시마류(Saccharina spp.), 곰피(Ecklonia stolonifera),그리고 대황(Eisenia bicyclis)이 있으며, 잘피류에는 거머리말(Zostera marina)이 있다.
바다숲 조성의 노력으로만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 조성 전과 후로 해양의 쓰레기나 폐어구 등을 수거하고 성게, 고둥류, 군소 등 해적 생물을 수거하여 자원 조성을 위해서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필수적인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해중림 조성 사후 모니터링은 통상적으로 숙련된 다이버가 해저에 장치를 투입하여 특정 수심에서 촬영한 후 촬영 장비를 건져 올려 해상에서 확인하는 방법으로 실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시간적 한계가 있어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실시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 이에 본 발명은 보다 장기간에 걸쳐 해중 모니터링이 가능한 인공어초단지 및 해조장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773685호에는 상기 프레임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재; 상기 프레임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 수중 카메라; 상기 수중 카메라가 세팅된 촬영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중 카메라에 준하는 중량을 가지고 상기 수중 카메라의 촬영 각도에 준하는 각도로 반대편에 세팅된 카운터 중량물; 상기 프레임이 해저의 촬영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하부에 연결부재에 의해 이격 설치된 앵커용 중량물; 상기 프레임과 상기 앵커용 중량물의 연결을 해제시키는 릴리즈부;를 포함하는 자동설치 및 회수가 가능한 수중 카메라 장치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공개특허번호 제10-2020-0101736호에는 집수정 내부에 별도의 카메라를 설치하여 직접 집수정 덮개를 열어서 확인하지 않고서도 원격에서 펌프 시설의 수위상태, 수위S/W 오동작여부 등을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카메라를 이용한 영구배수용 집수정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공개특허번호 특1999-0069961호에는 방수용기에 모니터용 카메라를 내장하고 상기 카메라의 전원에 전구를 브릿지 연결하며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을 칼라 크리스탈모니터를 재생토록 하고 상기 방수용기는 낚시대에 선단에 부착하고 방수용기에 연결된 케이블에 부레를 부착한 것으로 구성함으로서, 크리스탈모니터를 통해 생생한 물 속의 모습을 리얼타임으로 사용자가 즐길 수 있다는 점에서 레저용으로 탁월한 효과가 있는 낚시용 수중모니터링 장치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811527호에는 갯녹음 백화현상의 조사 및 이를 통한 갯녹음 백화현상 지도를 작성하기 위하여 광투과가 용이한 일정면적의 투명바닥을 가진 방수함 내부에 하부를 향해 조사되도록 위치한 자외선 광원, 자외선 광원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자외선 광원에 의하여 조사된 빛에 반응하는 형광을 감지하여 화상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디지털카메라, 디지털 카메라에 의한 화상정보의 기록과 동시에 기록지점의 위치정보를 함께 기록할 수 있도록 상기 디지털 카메라에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지피에스 장치를 장착한 산호 개체군의 모니터링 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해중림 시설물이 설치된 해저지역은 기존에는 숙련된 다이버가 해저에 장치를 투입하여 특정 수심에서 촬영한 후 촬영 장비를 건져 올려 해상에서 확인하는 방법으로 실시되어 해양환경의 영향에 따라 작업여부가 불가하거나 인건비와 수고가 부담되었던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지역에 설치되어 설정된 기간동안 360도평면상의 시간에 따른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시간상에 따른 생물상의 변화 및 모니터링 지역 변화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인공어초단지 및 해조 바다목장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어초단지 및 해조장 모니터링 장치는 해저의 촬영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 하부에 설치되어 360도방향으로 설정 시간에 따라 일정 각도로 회전하는 타임랩스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하부에는 카메라와 타임랩스 회전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부가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 타임랩스 회전부, 베이스부는 방수케이스 내부에 내장되며; 상기 방수케이스 내부에는 카메라의 촬영과 타임랩스 회전부의 구동을 설정 및 제어하는 제어부가 설치되며; 상기 방수케이스 외측 하부면에는 고정장치 체결부가 형성되어 고정장치를 매개로 설치하고자 하는 해저 지역에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움직임을 촬영하는 타임랩스 기능이 포함되어 제어부를 매개로 설정 시간 간격 또는 타임랩스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촬영 셔터수를 설정할 수 있고 LED 모듈로 형성되는 조명부와 초전형 적외선 센서가 더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설정된 제어부의 명령값에 따라 촬영셔터의 구동에 따른 조명부의 광사 제어와 생물포착을 센싱하여 촬영셔터가 가동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임랩스 회전부의 상부에는 카메라를 고정하는 고정홀더가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를 수평상에서 360도 회전시키는 회전 하우징과, 상기 회전 하우징은 내부에 포설된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고, 상기 회전축은 베이스부와 연결 설치되고, 베이스부의 상부에는 회전축이 고정되는 베어링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 에너지를 전달하는 회전모터가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회전모터는 제어부에 설정된 명령값에 따라 시간에 따른 구동과 회전속도가 설정되어 가동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어초단지 및 해조장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은 인공어초단지 및 해조장 모니터링 장치의 설정부에 촬영 셔터수, 시간에 따른 회전각도, LED모듈의 광사 제어를 설정하는 제어부 설정단계(가); 상기 인공어초단지 및 해조장 모니터링 장치가 설치될 지역을 설정하는 모니터링 지역 설정단계(나); 상기 (나)단계로 설정된 지역에 본 발명의 인공어초단지 및 해조장 모니터링 장치를 고정장치를 매개로 고정 및 설치하는 장치 설치단계(다); 목표한 모니터링 기간 경과 후 설치한 인공어초단지 및 해조장 모니터링 장치를 방수케이스와 고정장치를 분리하여 회수하고 수집된 영상을 수집하는 모니터링 영상 수집단계(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시간에 따라 360도 평면상을 포함하는 영상촬영이 가능하여 조식동물(성게류, 고둥류)구제와 같은 조성지 환경개선과 인공어초단지나 해중림 조성지의 조성 후 사후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보다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고 해저에 설치되는 파이프라인, 해저 배수관, 돌핀 구조물등의 해저구조물의 모니터링까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공어초단지 및 해조장 모니터링 장치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모듈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타임랩스 회전부 및 베이스부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인공어초단지 및 해조장 모니터링 장치가 모니터링 해저지역에 설치된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인공어초단지 및 해조장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인공어초단지 및 해조 바다목장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와 관련한 도면을 첨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공어초단지 및 해조 바다목장 모니터링 장치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인공어초단지 및 해조 바다목장 모니터링 장치는 해저의 촬영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100); 상기 카메라 하부에 설치되어 360도방향으로 설정 시간에 따라 일정 각도로 회전 하는 타임랩스 회전부(200); 상기 회전부의 하부에는 카메라와 타임랩스 회전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부(300)가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 타임랩스 회전부, 베이스부는 방수케이스(400) 내부에 내장되며; 방수케이스 내부에는 카메라의 촬영과 타임랩스 회전부의 구동을 설정 및 제어하는 제어부(500)가 설치되며; 상기 방수케이스 외측 하부면에는 고정장치 체결부가 형성되어 고정장치(600)를 매개로 설치하고자 하는 해저 지역에 고정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수 케이스(400)는 내부에 설치된 카메라의 영상촬영이 가능하도록 투명재질의 방수 프레임으로 장기간 설치 후에도 해양 부착물이 부착하지 않도록 방오소재로 형성할 수 있다. 방수프레임의 내측 투명부에는 카메라의 초점고정 및 거리측정용 초점판(450) 격자가 인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초점판 격자는 상기 카메라가 인식하면서 초점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며, 초점판과 함께 촬영됨으로서 촬영된 화상을 규격화된 면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방수케이스 상부에는 금속판(430)이 내부 외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방수케이스 외부의 금속판에는 안테나(470) 선이 수면으로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고 안테나 선의 상부에는 부이를 고정할 수 있다. 이로부터 필요에 따라 안테나를 통해 방수케이스 내부와 간단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메라(100)는 종래의 다양한 카메라, CCTV 카메라 등을 이용하도록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설정된 시간에 따라 촬영이 실시되는 타임랩스 기능이 부가된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에는 촬영영역을 조명하는 조명부와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명부(110)는 LED모듈로 구현될 수 있고 더 추가적으로 PIR감지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칭하는 용어 LED(Light Emitting Diode)는 P형과 N형 반도체의 접합구조를 가지고, 전력을 인가하면 전자와 정공의 결합으로 반도체의 밴드갭(bandgap)에 해당하는 에너지의 빛을 방출하는 광전자 소자이며, 반응 시간이 일반 전구에 비하여 빠르고, 소비전력이 일반전구에 비해 20% 수준으로 낮아 고효율인 것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모듈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LED모듈은 다수의 LED가 장착된 PCB판과 상기 PCB판을 둘러싸는 케이스로 이루어져 카메라의 촬영과 함께 발광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LED모듈의 장착에 따라 야간에도 카메라의 촬영이 원활할 수 있도록 돕는다.
상기 지칭하는 용어, 타임랩스 기능이 부가된 카메라는 일정하게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움직임을 촬영한 후 메모리부에 정상 속도로 영사할 수 있는 기능이 장착된 것을 지칭한다. 이에 상기 카메라의 촬영 셔터는 타임랩스 회전부의 회전과 동시에 구동되도록 연결할 수 있으며, 이는 제어부(500)의 설정으로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메라는 360도방향의 해저 환경을 영상화하여 시간 흐름에 따른 모니터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에 메모리부에 저장된 영상을 통해 시간에 걸쳐 일어나는 각종의 변화 과정을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용어 초전형 적외선센서(PIR: Pyroelectric Infraredred)는 적외선 흡수시 물질 내의 분극(Polarization)변화로 전하가 유기되어 기전력이 발생하는 초전효과를 이용한 센서를 포함한다. 초전형 적외선센서는 주변환경과 원적외선를 발생하는 물체와의 원적외선 차이를 감지하며, 이를 이용하여 사람 또는 동물 등의 움직임 검출이 가능한 센서 제작이 가능하다.
이에 본 발명의 초전형 적외선 센서는 타임랩스로 설정된 시간 외에 카메라에 포착된 생물의 움직임을 파악하고 촬영셔터를 가동시킴으로써 해중림에 서식하는 생물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타임랩스 회전부 및 베이스부 측면도를 나타낸다. 타임랩스 회전부(200)는 상부에 카메라를 고정 및 지지하는 고정홀더가 형성되는 지지부(201)와, 상기 지지부 하부에는 상기 카메라를 수평상에서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하우징(202)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 하우징 내부에는 회전축(203)이 포설되어 상기 회전 하우징은 회전축의 회전운동에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는 상부에 설치되어 카메라를 고정하는 제1지지부와 타임랩스 회전부 상부에 설치되어 회전축을 매개로 회전하는 제2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는 힌지를 매개로 연결되어 제1지지부에 설치되는 카메라는 수직방향으로 각도 고정이 가능하여 보다 다양한 각도로 카메라의 설치가 가능하다.
회전축은 베이스부(300)와 연결 설치된다. 회전축과 연결되는 베이스부는 상부에는 베어링(301)과 회전모터(302)가 설치되어 회전모터의 가동에 의해 회전축이 회전할 수 있고 하부에는 방수케이스 내부에 고정되는 지지플레이트(303)가 형성된다. 지지플레이트 하부에는 방수케이스 내부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고정장치(303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모터는 제어부와 연결되어 시간 설정에 따라 일정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도록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카메라는 설정된 시간에 따라 회전하면서 다양한 각도의 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부(500)는 상기 카메라의 촬영셔터를 제어하는 셔터 제어부(510)와 회전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회전 제어부(520), 상기 카메라의 LED모듈 구동을 제어하는 LED제어부(530), 상기 제어부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부(5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교환 가능한 배터리를 설치하여 상기 제어부 및 LED모듈과 회전모터의 구동에 소모되는 전력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설정부에 시간당 카메라 촬영셔터수를 설정하면 셔터 제어부는 설정에 따른 카메라의 촬영 셔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PIR감지센서에 생물이 감지되면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촬영여부의 설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회전 제어부와 연계되어 타임랩스 회전부의 회전이 이루어질 때 촬영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설정부에 일정 시간마다 회전모터가 구동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다양한 각도로 카메라가 회전하며 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촬영셔터와 LED제어부는 연결되어 촬영셔터와 함께 LED모듈이 발광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수중의 빛의 조사량을 감지하여 낮과 밤을 구분하고 빛의 조사가 감소하면 발광할 수 있도록 설정부에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정장치는 방수케이스와 설치지역을 고정하는 것으로 구현예로서 브라켓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설치지역은 바다숲 및 잘피장이 조성된 곳으로 해중림초, 수중저연승시설, 모조주머니 시설물, 잘피 이식장치, 잘피 조성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조장의 인공어초와 해저 파이프라인의 시설물 또는 해저암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하고 일정기간이 소요된 후 잠수부가 용이하게 방수케이스와 고정장치를 분리하여 방수케이스의 내용물을 해상으로 옮겨 기록된 영상과 배터리를 교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시간에 따라 360도 평면상을 포함하는 영상촬영이 가능하여 조식동물(성게류, 고둥류)구제와 같은 조성지 환경개선과 인공어초단지나 해중림 조성지의 조성 후 사후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보다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고 해저에 설치되는 파이프라인, 해저 배수관, 돌핀 구조물등의 해저구조물의 모니터링까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해저 설치 후 장기간이 지난 후 장치를 수거하거나 점검함으로써 기존에 잠수부가 직접 촬영했던 방법에 비해 수고를 줄일 수 있으며, 보다 설치된 장소의 생물상과 시간 흐름에 따른 생활사를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인공어초단지 및 해조장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인공어초단지 및 해조장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은 인공어초단지 및 해조장 모니터링 장치의 설정부에 촬영 셔터수, 시간에 따른 회전각도, LED모듈의 광사 제어를 설정하는 제어부 설정단계(가); 상기 인공어초단지 및 해조장 모니터링 장치가 설치될 지역을 설정하는 모니터링 지역 설정단계(나); 상기 (나)단계로 설정된 지역에 본 발명의 인공어초단지 및 해조장 모니터링 장치를 고정장치를 매개로 고정 및 설치하는 장치 설치단계(다); 목표한 모니터링 기간 경과 후 설치한 인공어초단지 및 해조장 모니터링 장치를 방수케이스와 고정장치를 분리하여 회수하고 수집된 영상을 수집하는 모니터링 영상 수집단계(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부 설정단계(가)는 인공어초단지 및 해조장 모니터링 장치를 설치 지역에 설치하기에 앞서 일정 시간에 따른 카메라의 촬영 셔터수를 설정하고, 시간에 따른 회전모터의 회전각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LED제어부의 주변 환경의 빛을 감지하여 주변의 일정 빛의 양이 감소하면 LED모듈이 촬영 셔터와 함게 방사될 수 있도록 제어가 가능하고, PIR 센싱에 따른 생물 감지에 따라 촬영 셔터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모니터링 지역 설정단계(나)는 모니터링 하고자 하는 해저의 인공어초단지 및 해중림 시설이 설치된 지역이나 파이프라인, 해저 배수관, 돌핀 구조물등의 해저시설물이 설치된 해저지역같이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지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 설치단계(다)는 상기 (가)단계의 설정이 완료된 장치를 (나)단계의 설정된 모니터링 지역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지역에 설치하고 내용물이 내장된 방수케이스를 고정장치에 고정하는 방법으로 설치가 가능하다. 이에 잠수부의 설치 시간과 수고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니터링 영상 수집단계(라)는 목표한 모니터링 기간 경과 후 잠수부가 설치지역을 탐색하여 방수케이스를 고정장치로부터 분리하고 내부에 촬영된 영상을 수집하거나 배터리를 교체하여 재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로서 구현된 배터리는 AA건전지 4개로 형성되고, 회전모터의 가동과 카메라의 촬영이 10분 간격으로 촬영되도록 설정하면 1년 이상 모니터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해중림 시설물 및 인공어초단지가 설치된 바다숲 조성지역의 사후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보다 효율적인 바다숲 조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잠수부의 촬영실시 없이도 시간에 따른 모니터링 지역의 변화 추이에 대한 영상 수집이 가능하여 기존의 모니터링 작업에 소요되었던 인건비와 수고를 줄일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카메라 110: 조명부
200: 타임랩스 회전부 201: 지지부
202: 회전 하우징 203: 회전축
300: 베이스부 301: 베어링
302: 회전모터 303: 지지플레이트
400: 방수케이스 430: 금속접지
450: 초점판 470: 안테나
500: 제어부 510: 셔터 제어부
520: 회전 제어부 530: LED제어부
540:설정부 600: 고정장치

Claims (5)

  1. 수중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 하부에 설치되어 360도방향으로 설정 시간에 따라 일정 각도 만큼 회전하는 타임랩스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하부에는 카메라와 타임랩스 회전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부가 설치되며; 상기 타임랩스 회전부의 상부에는 카메라를 고정하는 고정홀더가 형성되고, 카메라의 촬영과 타임랩스 회전부의 구동을 설정,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카메라와 타임랩스 회전부 및 베이스부를 내장하여 둘러싸는 방수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수케이스의 내측 투명부에는 카메라의 초점고정 및 거리측정용 초점판(450) 격자가 인쇄되어 이루어지며, 방수케이스 외측 하부면에는 고정장치 체결부가 형성되어 수중의 일정 면에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단지 및 해조 바다목장 모니터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에는 LED 모듈로 형성되는 조명부 또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가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설정된 제어부의 명령값에 따라 구동될 수 있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단지 및 해조 바다목장 모니터링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방수케이스 상부면에는 금속판이 내부 외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방수케이스 외부로 돌출된 금속판에는 안테나 선이 연결되어 수면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단지 및 해조 바다목장 모니터링 장치
  5. 청구항 1의 인공어초단지 및 해조 바다목장 모니터링 장치를 설정된 수역에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고정 및 설치하고, 일정기간 모니터링한 후, 방수케이스와 고정장치를 분리하여 회수하고 수집된 데이터 영상을 분석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단지 및 해조 바다목장 모니터링 방법
KR1020210016858A 2021-02-05 2021-02-05 인공어초단지 및 해조 바다목장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102261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858A KR102261328B1 (ko) 2021-02-05 2021-02-05 인공어초단지 및 해조 바다목장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858A KR102261328B1 (ko) 2021-02-05 2021-02-05 인공어초단지 및 해조 바다목장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1328B1 true KR102261328B1 (ko) 2021-06-10

Family

ID=76378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6858A KR102261328B1 (ko) 2021-02-05 2021-02-05 인공어초단지 및 해조 바다목장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3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52066A (zh) * 2021-07-28 2021-10-26 烟台市海洋经济研究院(烟台市渔业技术推广站、烟台市海洋捕捞增殖管理站) 一种海洋牧场监测系统
KR102466516B1 (ko) * 2022-04-29 2022-11-11 주식회사 인피니티오션 어장의 수심층별 수산자원 관리용 측정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9961A (ko) 1998-02-16 1999-09-06 마진원 낚시용 수중모니터링장치
KR20110068730A (ko) * 2009-12-16 2011-06-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 및 이를 이용한 어초 둠벙 모니터링 시스템
KR101167567B1 (ko) * 2011-10-19 2012-07-27 (주)그린시스 어류 모니터링을 위한 영상감시장치 및 방법
KR20160061222A (ko) * 2014-11-21 2016-05-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생물 퇴치 장치 및 해양생물 퇴치 방법
KR20160111674A (ko) * 2015-03-17 2016-09-27 주식회사 다윈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한 인공어초 관리 시스템
KR101773685B1 (ko) 2015-12-23 2017-09-01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설치 및 회수가 가능한 수중 카메라 장치
KR101811527B1 (ko) 2016-05-27 2017-12-20 주식회사 수중생태기술연구소 산호 개체군의 모니터링 방법
KR20200101736A (ko) 2019-02-20 2020-08-2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카메라를 이용한 영구배수용 집수정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9961A (ko) 1998-02-16 1999-09-06 마진원 낚시용 수중모니터링장치
KR20110068730A (ko) * 2009-12-16 2011-06-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 및 이를 이용한 어초 둠벙 모니터링 시스템
KR101167567B1 (ko) * 2011-10-19 2012-07-27 (주)그린시스 어류 모니터링을 위한 영상감시장치 및 방법
KR20160061222A (ko) * 2014-11-21 2016-05-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생물 퇴치 장치 및 해양생물 퇴치 방법
KR20160111674A (ko) * 2015-03-17 2016-09-27 주식회사 다윈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한 인공어초 관리 시스템
KR101773685B1 (ko) 2015-12-23 2017-09-01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설치 및 회수가 가능한 수중 카메라 장치
KR101811527B1 (ko) 2016-05-27 2017-12-20 주식회사 수중생태기술연구소 산호 개체군의 모니터링 방법
KR20200101736A (ko) 2019-02-20 2020-08-2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카메라를 이용한 영구배수용 집수정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52066A (zh) * 2021-07-28 2021-10-26 烟台市海洋经济研究院(烟台市渔业技术推广站、烟台市海洋捕捞增殖管理站) 一种海洋牧场监测系统
KR102466516B1 (ko) * 2022-04-29 2022-11-11 주식회사 인피니티오션 어장의 수심층별 수산자원 관리용 측정장치
WO2023210897A1 (ko) * 2022-04-29 2023-11-02 주식회사 인피니티오션 어장의 수심층별 수산자원 관리용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ueller et al. Video and acoustic camera techniques for studying fish under ice: a review and comparison
KR102261328B1 (ko) 인공어초단지 및 해조 바다목장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US9516865B2 (en) Method and system for enhancing growth and survivability of aquatic organisms
Glass et al. Comparison of the reactions of fish to a trawl gear, at high and low light intensities
KR100946942B1 (ko) 실시간 해양생물 관측장치 및 방법
KR101811527B1 (ko) 산호 개체군의 모니터링 방법
CN110476855B (zh) 一种深远海海洋牧场
Lohmann et al. Functional autonomy of land and sea orientation systems in sea turtle hatchlings
Hedgärde et al. Coming and going
Papastamatiou et al. Animal-borne video cameras and their use to study shark ecology and conservation
Berkenpas et al. A buoyancy-controlled lagrangian camera platform for in situ imaging of marine organisms in midwater scattering layers
Priede et al. Bioluminescence in the deep sea: Free-fall lander observations in the Atlantic Ocean off Cape Verde
Roberts et al. Monitoring environmental variability around cold-water coral reefs: the use of a benthic photolander and the potential of seafloor observatories
Fukuba et al. A new drifting underwater camera system for observing spawning Japanese eels in the epipelagic zone along the West Mariana Ridge
US2864195A (en) Photographic fishing apparatus
KR102399078B1 (ko) 인공어초 어장 및 해조장 바다숲 모니터링 장치
Franco et al. Appendix A: Study Methods: Field Equipment, Sampling and Methods
JP4288294B2 (ja) 水中集魚灯
Balazy et al. Diver deployed autonomous time-lapse camera systems for ecological studies
KR101631260B1 (ko) 어장관리 시스템
KR102587665B1 (ko) 바다숲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
KR102466516B1 (ko) 어장의 수심층별 수산자원 관리용 측정장치
KR102292849B1 (ko) 천연해조장 3차원 수중 공간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Chidami et al. Underwater infrared video system for behavioral studies in lakes
KR102487955B1 (ko) 천연 해조장 및 바다숲 모니터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