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7665B1 - 바다숲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바다숲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7665B1
KR102587665B1 KR1020210068457A KR20210068457A KR102587665B1 KR 102587665 B1 KR102587665 B1 KR 102587665B1 KR 1020210068457 A KR1020210068457 A KR 1020210068457A KR 20210068457 A KR20210068457 A KR 20210068457A KR 102587665 B1 KR102587665 B1 KR 102587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image
images
image acquisition
mount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0344A (ko
Inventor
최석진
이인영
김민욱
정정운
Original Assignee
이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영 filed Critical 이인영
Priority to KR1020210068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7665B1/ko
Publication of KR20220160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7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7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8Waterproof bodies or 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Abstract

중앙 수평부재 말단에 사이드 수평부재의 일단이 일정각도의 사이각을 형성하며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거치프레임; 상기 거치프레임 상부에는 해저의 촬영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영상획득부가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거치 프레임에는 장치의 휴대가 가능하도록 손잡이부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멀티 이미지 획득이 가능한 인공 잘피군락 및 천연해조장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평면상을 포함하는 영상 촬영이 가능하여 해조 조성지 환경개선과 해중림 조성의 조성 전후 사후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보다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고 동일 평면상의 넓은 시야의 확보를 통한 파노라마 이미지 출력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바다숲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Artificial algae colony and natural seaweed field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capable of multi-image acquisition}
본 발명은 인공 잘피군락 및 천연해조장이 조성된 해역의 모니터링이 가능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해역에 설치되어 설정된 기간 동안 복수 평면상의 시간에 따른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시간상에 따른 생물상의 변화 및 모니터링 지역 변화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멀티 이미지 획득이 가능한 인공 잘피군락 및 천연해조장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조류와 해초류(잘피)는 해양 산성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저감시키고 수질을 정화시키는 환경보전 역할뿐만 아니라 연안 생태계 내 일차 생산자로서 물질(에너지)순환 과정의 중심적 역할과 수산자원의 산란 및 생육장 제공을 하고 있다.
그러나, 한반도 인근 해역에서는 해조(초)류를 비롯한 다양한 수산생물이 사라지는 바다 사막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으며, 소멸된 해조군란에는 산호조류가 번무하여 수산자원의 먹이원이 감소하고 있다. 이에 따라 수산자원의 먹이원이 감소하고 산란장 및 성육장이 소멸되어 기존의 해양생태계 균형이 파괴되고 있다.
이러한 갯녹음 현상의 주요 원인으로는 해양오염 증가, 지구온난화, 성게나 전복 등의 조식성 동물에 의한 식해 등이 있다. 그 중에서 해양오염은 과도한 연안 개발이나 육상으로부터 오염 물질 유입으로 인해 증가되고 있으며, 해양생물의 폐사와 직접적으로 연관되므로 이에 대한 해양개발 규제와 해조장 복원이 필요하다.
국내에서는 연안 생태계를 복원하고 국내 수산자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바다숲 조성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바다숲 조성 사업은 해조 및 해초류를 이식하여 새로운 해조 및 해초류 군란을 조성 및 유지하는 사업을 지칭한다. 국내에서는 2009년부터 바다숲 조성사업이 실시되어 바다숲 조성 면적을 확대함으로써 저비용, 고효율적 바다숲 조성사업을 실시 계획이 있다.
해조류를 이용한 바다숲 조성 과정에서는 적정지역 선정 후, 해중림초 시설, 수중 저연승법이나 포자주머니법 그리고 종묘이식 패널법 등과 같은 전문적 기술을 적용하고 있으며, 잘피류의 경우에는 잘피류 직접 이식하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바다숲 조성에 이용되는 대표적인 해조류는 감태(Ecklonia cava), 미역(Undaria pinnatifida), 모자반류(Sargassum spp.), 다시마류(Saccharina spp.), 곰피(Ecklonia stolonifera),그리고 대황(Eisenia bicyclis)이 있으며, 잘피류에는 거머리말(Zostera marina)이 있다.
바다숲 조성의 노력으로만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 조성 전과 후로 해양의 쓰레기나 폐어구 등을 수거하고 성게, 고둥류, 군소 등 해적 생물을 수거하여 자원 조성을 위해서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필수적인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해중림 조성 사후 모니터링은 통상적으로 숙련된 다이버가 해저에 장치를 투입하여 특정 수심에서 촬영한 후 촬영 장비를 건져 올려 해상에서 확인하는 방법으로 실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시간적 한계가 있어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실시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 이에 본 발명은 보다 장기간에 걸쳐 해중 모니터링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파노라마 이미지 획득이 가능한 인공 잘피군락 및 천연해조장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773685호에는 상기 프레임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재; 상기 프레임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 수중 카메라; 상기 수중 카메라가 세팅된 촬영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중 카메라에 준하는 중량을 가지고 상기 수중 카메라의 촬영 각도에 준하는 각도로 반대편에 세팅된 카운터 중량물; 상기 프레임이 해저의 촬영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하부에 연결부재에 의해 이격 설치된 앵커용 중량물; 상기 프레임과 상기 앵커용 중량물의 연결을 해제시키는 릴리즈부;를 포함하는 자동설치 및 회수가 가능한 수중 카메라 장치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공개특허번호 제10-2020-0101736호에는 집수정 내부에 별도의 카메라를 설치하여 직접 집수정 덮개를 열어서 확인하지 않고서도 원격에서 펌프 시설의 수위상태, 수위S/W 오동작여부 등을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카메라를 이용한 영구배수용 집수정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공개특허번호 특1999-0069961호에는 방수용기에 모니터용 카메라를 내장하고 상기 카메라의 전원에 전구를 브릿지 연결하며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을 칼라 크리스탈모니터를 재생토록 하고 상기 방수용기는 낚시대에 선단에 부착하고 방수용기에 연결된 케이블에 부레를 부착한 것으로 구성함으로서, 크리스탈모니터를 통해 생생한 물 속의 모습을 리얼타임으로 사용자가 즐길 수 있다는 점에서 레저용으로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경우에 따라 학습 또는 학술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널리 보급이 기대되며, CCD촬상소자(CCD Image Sensor) 및 소형 크리스탈모니터를 결합함으로서 휴대가 간편하고 제조비가 저렴하여 수요적인 가치에 있어서도 탁월한 효과가 있는 낚시용 수중모니터링 장치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811527호에는 갯녹음 백화현상의 조사 및 이를 통한 갯녹음 백화현상 지도를 작성하기 위하여 광투과가 용이한 일정면적의 투명바닥을 가진 방수함 내부에 하부를 향해 조사되도록 위치한 자외선 광원, 자외선 광원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자외선 광원에 의하여 조사된 빛에 반응하는 형광을 감지하여 화상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디지털카메라, 디지털 카메라에 의한 화상정보의 기록과 동시에 기록지점의 위치정보를 함께 기록할 수 있도록 상기 디지털 카메라에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지피에스 장치를 장착한 갯녹음 백화현상 조사장치 및 이를 통한 갯녹음 백화현상 조사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기존의 수중 환경 조사 및 해중림 적지조사 구역 확인, 생태계 조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수중 비디오 카메라는 현재 잠수사 한 명이 한 대의 비디오 카메라를 거치대에 장착해 사용하며 전면 시야부분을 촬영하고 있어 영상획득에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같은 시간과 노력으로 동일 평면상에서 보다 넓은 시야의 영상을 확보할 수 있는 멀티 이미지 획득이 가능한 해조장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이미지 획득이 가능한 인공 잘피군락 및 천연해조장 모니터링 장치는 중앙 수평부재 말단에 사이드 수평부재의 일단이 일정각도의 사이각을 형성하며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거치프레임; 상기 거치프레임 상부에는 해저의 촬영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영상획득부가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거치 프레임에는 장치의 휴대가 가능하도록 손잡이부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영상획득부는 수중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 하부에 설치되어 카메라를 지지하는 베이스부가 설치되며, 카메라의 촬영을 설정,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카메라와 제어부를 내장하여 둘러싸는 방수케이스로 이루어지며, 방수케이스 외측 하부면에는 고정장치 체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거치프레임 상부에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영상획득부에는 LED 모듈로 형성되는 조명부 또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가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설정된 제어부의 설정값에 따라 구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타임랩스 회전부의 상부에는 카메라를 고정하는 고정 홀더가 형성되고, 방수케이스 내측 내측 투명부 사면에는 카메라의 초점고정 및 거리측정용 초점판 격자가 인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이미지 획득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방수케이스 상부면에는 금속판이 내부 외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방수케이스 외부로 돌출된 금속판에는 안테나 선이 연결되어 수면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이미지 획득이 가능한 해조 바다목장 모니터링 방법은 영상획득부에 촬영 셔터수, 시간에 따른 촬영, LED모듈의 방사 제어를 설정하는 제어부 설정단계(가); 상기 하나 이상의 영상획득부를 거치프레임 상부에 고정하고 각 영상획득부의 화상이 겹치는 각도를 조정하는 영상획득부 설치단계(나); 해조 바다목장 모니터링 장치가 설치될 지역을 설정하는 모니터링 지역 설정단계(다); 상기 (다)단계로 설정된 지역에 상기 (나)단계로 세팅된 멀티 이미지 획득이 가능한 해조장 모니터링 장치를 설치하거나 잠수사가 설치지역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촬영단계(라); 목표한 모니터링 기간 경과 후 모니터링 장치를 해상으로 수거하여 촬영한 이미지의 중첩영상을 보정하고 파노라마 이미지로서 출력하는 파노라마 이미지 출력단계(마);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복수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평면상을 포함하는 영상 촬영이 가능하여 해조류 조성지 환경개선과 해중림 조성지의 조성 후 사후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보다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고 동일 평면상의 넓은 시야의 확보를 통한 파노라마 이미지 출력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멀티 이미지 획득이 가능한 인공 잘피군락 및 천연해조장 모니터링 장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멀티 이미지 획득이 가능한 인공 잘피군락 및 천연해조장 모니터링 장치의 영상획득부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모듈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멀티 이미지 획득이 가능한 인공 잘피군락 및 천연해조장 모니터링 방법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파노라마 이미지 출력단계를 통해 출력된 이미지를 나타낸다.
기존의 수중 환경 조사 및 생태계 조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수중 비디오 카메라는 현재 잠수사 한명이 한 대의 비디오 카메라를 거치대에 장착해 사용하며 전면 시야부분을 촬영하고 있어 영상획득에 시간과 수고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같은 시간과 노력으로 동일 평면상에서 보다 넓은 시야의 영상을 확보할 수 있는 멀티 이미지 획득이 가능한 인공 잘피군락 및 천연해조장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멀티 이미지 획득이 가능한 인공 잘피군락 및 천연해조장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와 관련한 도면을 첨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멀티 이미지 획득이 가능한 인공 잘피군락 및 천연해조장 모니터링 장치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멀티 이미지 획득이 가능한 인공 잘피군락 및 천연해조장 모니터링 장치(40)는 중앙 수평부재 말단에 사이드 수평부재의 일단이 일정각도의 사이각을 형성하며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거치프레임(20); 상기 거치프레임 상부에는 해저의 촬영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영상획득부(10)가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거치 프레임에는 장치의 휴대가 가능하도록 손잡이부(30)가 설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거치프레임(20)은 중앙 수평부재 양 말단에 사이드 수평부재의 일단이 일정각도의 사이각을 형성하며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 설치는 나사 결합으로 구현화됨으로써, 양 말단에 연결 설치되는 사이드 수평부재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중앙 수평부재와 형성하는 사이각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하나 이상의 영상획득부가 거치프레임 상부에 설치되고 동일 평면상에서 포착한 이미지를 최대한 다각화함으로써 파노라마 이미지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함이다.
거치프레임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영상획득부 및 손잡이부가 연결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는 통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영상 획득부 및 손잡이부와 나사형상의 고정장치가 고정부를 관통하여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분리 및 고정이 가능하도록 구현되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멀티 이미지 획득이 가능한 인공 잘피군락 및 천연해조장 모니터링 장치의 영상획득부 모식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영상획득부(10)는 수중의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100); 상기 카메라 하부에 설치되어 카메라를 지지하는 베이스부(300)가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 베이스부는 방수케이스(400) 내부에 내장되며; 방수케이스 내부에는 카메라의 촬영과 구동을 설정 및 제어하는 제어부(500)가 설치되며; 상기 방수케이스 외측 하부면에는 고정장치 체결부가 형성되어 고정장치(600)를 매개로 거치 프레임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수 케이스(400)는 내부에 설치된 카메라의 영상촬영이 가능하도록 투명재질의 방수 프레임으로 장기간 설치 후에도 해양 부착물이 부착하지 않도록 방오소재로 형성할 수 있다. 방수프레임의 내측 투명부에는 카메라의 초점고정 및 거리측정용 초점판(450) 격자가 인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초점판 격자는 상기 카메라가 인식하면서 초점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며, 초점판과 함께 촬영됨으로서 촬영된 화상을 규격화된 면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초점판은 후술할 모니터링 방법의 파노라마 영상 접합 단계 시 임의의 제 1이미지, 제2이미지 및 제3이미지가 서로 중첩되는 영역에 접합면을 형성한 파노라마 이미지 합성 시 접합면의 일치도 및 불일치도를 산출하는 경우 판단값을 제공할 수 있도록 기준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방수케이스 상부에는 금속판(430)이 내부 외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방수케이스 외부의 금속판에는 안테나(470) 선이 수면으로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고 안테나 선의 상부에는 부이를 고정할 수 있다. 이로부터 필요에 따라 안테나를 통해 방수케이스 내부와 간단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메라(100)는 종래의 다양한 카메라, CCTV 카메라 등을 이용하도록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설정된 시간에 따라 촬영이 실시되는 타임랩스 기능이 부가된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에는 촬영영역을 조명하는 조명부와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명부(110)는 LED모듈로 구현될 수 있고 더 추가적으로 PIR감지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모듈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LED모듈은 다수의 LED가 장착된 PCB판과 상기 PCB판을 둘러싸는 케이스로 이루어져 카메라의 촬영과 함께 발광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LED모듈의 장착에 따라 야간에도 카메라의 촬영이 원활할 수 있도록 돕는다.
본 발명의 제어부(500)는 상기 카메라의 촬영셔터를 제어하는 셔터 제어부(510)와 카메라 센서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520), 상기 카메라의 LED모듈 구동을 제어하는 LED제어부(530), 상기 제어부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부(5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교환 가능한 배터리를 설치하여 상기 제어부 및 LED모듈과 회전모터의 구동에 소모되는 전력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설정부에 시간당 카메라 촬영셔터수를 설정하면 셔터 제어부는 설정에 따른 카메라의 촬영 셔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PIR감지센서에 생물이 감지되면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촬영여부의 설정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촬영셔터와 LED제어부는 연결되어 촬영셔터와 함께 LED모듈이 발광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수중의 빛의 조사량을 감지하여 낮과 밤을 구분하고 빛의 조사가 감소하면 발광할 수 있도록 설정부에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정장치는 방수케이스와 거치프레임을 고정하는 것으로 구현예로서 브라켓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거치프레임은 목적하고자 하는 설치지역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와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인공 잘피군락 및 천연해조장 모니터링 장치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추진장치(50)는 일반적으로 수중스쿠터로 구성될 수 있고, 수중에서 배터리 구동에 의해 프로펠러를 돌려 추진력을 얻음으로써 해중에서 이동이 가능하다. 수중 스쿠터 좌, 우 측면부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잠수부가 수중 스쿠터가 기동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고, 상부측면에는 연결장치의 와이어를 고정시킬 수 있는 연결부가 형성되어 연결장치와 연결고정될 수 있다.
추진장치에는 인공 잘피군락 및 천연해조장 모니터링 장치(40)가 설치될 수 있다. 모니터링장치는 추진장치의 전면, 후면, 측면, 또는 하부면의 어느 방향에도 장착할 수 있으나 전면에 장착할 경우, 파고에 따라 너울이 발생하여 깨끗한 영상정보를 얻기 힘들고, 후면에 장착할 경우, 조사선박의 진행에 따른 와류형성에 의하여 역시 깨끗한 영상을 얻기 힘들어 일반적으로 하부면 또는 측면에 설치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고정위치에 설치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설치지역은 바다숲 및 잘피장이 조성된 곳으로 해중림초, 수중저연승시설, 모조주머니 시설물, 잘피이식장치, 잘피 조성지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해조장의 인공어초와 해저 파이프라 인의 시설물 또는 해저암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하고 일정기간이 소요된 후 잠수부가 용이하게 장치를 해상으로 옮겨 기록된 영상과 배터리를 교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시간에 따라 평면상을 포함하는 영상촬영이 가능하여 해중림 조성지 및 조성 후 사후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보다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해저 설치 후 장기간이 지난 후 장치를 수거하거나 점검함으로써 기존에 잠수부가 직접 촬영했던 방법에 비해 수고를 줄일 수 있으며, 보다 설치된 장소의 생물상과 시간 흐름에 따른 생활사를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방수프레임의 내측 투명부에는 카메라의 초점고정 및 거리측정용 초점판 격자가 인쇄되고, 거치프레임의 사이각 조정 및 거치프레임 상에 고정된 영상획득부의 설치되는 고정각도를 조정 및 고정 가능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영상이미지의 중첩되는 부분을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초점판 격자는 촬영된 화상을 규격화된 면적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단일의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동일 평면상의 다른 각도의 영상을 합성하여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멀티 이미지 획득이 가능한 인공 잘피군락 및 천연해조장 모니터링 방법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멀티 이미지 획득이 가능한 인공 잘피군락 및 천연해조장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은 영상획득부의 설정부에 촬영 셔터수, 시간에 따른 촬영구동, LED모듈의 광사 제어를 설정하는 제어부 설정단계(가); 상기 하나 이상의 영상획득부를 거치프레임 상부에 고정하고 각 영상획득부의 화상이 겹치는 각도를 조정하는 영상획득부 설치단계(나); 멀티 이미지 획득이 가능한 천연해조장 모니터링 장치가 설치될 지역을 설정하는 모니터링 지역 설정단계(다); 상기 (다)단계로 설정된 지역에 상기 (나)단계로 세팅된 멀티 이미지 획득이 가능한 인공 잘피군락 및 천연해조장 모니터링 장치를 설치하거나 잠수사가 설치지역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촬영단계(라); 목표한 모니터링 기간 경과 후 모니터링 장치를 해상으로 수거하여 촬영한 이미지의 중첩영상을 보정하고 파노라마 이미지로서 출력하는 파노라마 이미지 출력단계(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 제어부 설정단계
본 발명의 제어부 설정단계(가)는 인공 잘피군락 및 천연해조장 모니터링 장치를 설치 지역에 설치하거나 촬영에 앞서 일정 시간에 따른 카메라의 촬영 셔터수를 설정하고, 시간에 따른 촬영회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LED제어부의 주변 환경의 빛을 감지하여 주변의 일정 빛의 양이 감소하면 LED모듈이 촬영 셔터와 함게 방사될 수 있도록 제어가 가능하고, PIR 센싱에 따른 생물 감지에 따라 촬영 셔터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 영상획득부 설치단계
본 발명의 영상획득부 설치단계(나)는 하나 이상의 영상획득부를 거치프레임 상부에 고정하고 거치프레임의 중앙 수평부재 및 사이드 수평부재 사이의 사이각을 조정하거나, 중앙 수평부재 및 사이드 수평부재 상부에 설치되는 영상획득부의 고정위치를 조정함으로써 각 영상획득부로부터 촬영되는 이미지(임의로 제1이미지 내지 제3이미지)의 중첩되는 영역과 접합면을 설정함으로서 동일평면상에서 획득할 수 있는 촬영시야를 조절하는 단계이다. 이때 방수프레임의 내측 투명부에 형성된 초점판 격자를 통해 중첩 영역 및 접합면 파악이 용이해질 수 있다.
(다) 모니터링 지역 설정단계
본 발명의 모니터링 지역 설정단계(다)는 모니터링 하고자 하는 인공 잘피군락 및 천연해조장 시설이 설치된 해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라) 영상촬영단계
본 발명의 영상 촬영단계(라)는 상기 (다)단계로 설정된 지역에 상기 (단계로 세팅된 멀티 이미지 획득이 가능한 인공 잘피군락 및 천연해조장 모니터링 장치를 설치하거나 잠수사가 일정시간 동안 설정된 지역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이다. 이때, 설정 지역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거치 프레임을 설치 지역에 고정함으로써 설치가 가능하다.
(마) 파노라마 이미지 출력단계
본 발명의 파노라마 이미지 출력단계는 목표한 모니터링 기간 경과 후 모니터링 장치를 해상으로 수거하여 촬영한 이미지의 중첩영상을 보정하고 파노라마 이미지로서 출력하는 단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파노라마 이미지 출력단계를 통해 출력된 이미지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미지 작성단계는 상기 GPS장치로부터 전송된 해저영상과 기록정보가 저장구조물에 데이터로 저장되는 단계,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획된 대상지에 모자이킹 작업을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데이터 저장단계는 윈도우기반 전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GPS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 신호처리, 출력, 및 저장하여 정보의 저장을 포함한다. 모자이킹은 여러개의 반복되지 않는 작은 영상들을 하나의 커다란 이미지로 결합하는 것으로 모자이킹 작업단계는 후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단계에 저장된 정보 데이터를 목적한 대상지의 위치에 모자이킹함으로써 전체적인 이미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거치프레임의 중앙 수평부재 상에 설치되는 제1영상획득부로부터 촬영된 제1이미지와, 사이드 수평부재 상에 설치되는 제2 및 제3 영상획득부로부터 촬영된 제2이미지 및 제3이미지를 촬영된 시간 별로 저장하고, 각 시간별에 촬영된 제1이미지와 제2 내지 제3이미지의 서로 중첩되는 영역에 접합면을 형성한다. 상기 접합면은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합면 값을 설정할 때, 초점판에 표시된 격자를 통해 이웃하는 이미지의 접합면의 기준점 및 경계가 계산될 수 있고, 접합면의 일치 및 불일치 값의 판단값을 설정함으로써 중첩되는 이미지를 보다 용이하게 하나로 보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동시간에 촬영된 임의의 제1 내지 제3이미지는 하나의 파노라마 이미지로서 합성된 후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첩되는 이미지 선별은 보다 선명한 이미지로 선택될 수 있다. 이에 선별된 이미지는 보간(interpolation)됨으로써 하나의 이미지로서 출력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인공 잘피군락 및 천연해조장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보다 효율적인 바다숲 조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잠수부의 촬영실시 없이도 시간에 따른 모니터링 지역의 변화 추이에 대한 영상수집이 가능하여 기존의 모니터링 작업에 소요되었던 인건비와 노력을 줄일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 영상획득부 20: 거치프레임
30: 손잡이부 40: 모니터링 장치
50: 추진장치 100: 카메라 110: 조명부
200: 지지부 300: 베이스부
400: 방수케이스 430: 금속접지
450: 초점판 470: 안테나
500: 제어부 510: 셔터 제어부
520: 구동 제어부 530: LED제어부
540: 설정부 600: 고정장치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중앙 수평부재 말단에 사이드 수평부재의 일단이 일정각도의 사이각을 형성하며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거치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프레임 상부에는 해저의 촬영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영상획득부가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거치 프레임에는 장치의 휴대가 가능하도록 손잡이부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바다숲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획득부는 수중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카메라의 촬영과 구동을 설정,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카메라와 제어부, 베이스부를 내장하여 둘러싸는 방수케이스로 이루어지며, 방수케이스 외측 하부면에는 고정장치 체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거치프레임 상부에 고정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방수케이스 내측 투명부 면에는 카메라의 초점고정 및 거리측정용 초점판 격자가 인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다숲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
KR1020210068457A 2021-05-27 2021-05-27 바다숲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 KR102587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457A KR102587665B1 (ko) 2021-05-27 2021-05-27 바다숲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457A KR102587665B1 (ko) 2021-05-27 2021-05-27 바다숲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344A KR20220160344A (ko) 2022-12-06
KR102587665B1 true KR102587665B1 (ko) 2023-10-12

Family

ID=84406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457A KR102587665B1 (ko) 2021-05-27 2021-05-27 바다숲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766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7755A (ja) 2001-07-26 2003-02-07 Fuji Photo Optical Co Ltd 水中監視システム
KR101297836B1 (ko) 2011-10-05 2013-08-19 전동윤 입체영상 촬영용 휴대폰 장착리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755B1 (ko) * 2014-09-04 2016-10-2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프레임형 해저면 영상 촬영장치
KR101773685B1 (ko) 2015-12-23 2017-09-01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설치 및 회수가 가능한 수중 카메라 장치
KR101811527B1 (ko) 2016-05-27 2017-12-20 주식회사 수중생태기술연구소 산호 개체군의 모니터링 방법
EP3667414B1 (en) * 2018-12-14 2020-11-25 Axis AB A system for panoramic imaging
KR20200101736A (ko) 2019-02-20 2020-08-2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카메라를 이용한 영구배수용 집수정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7755A (ja) 2001-07-26 2003-02-07 Fuji Photo Optical Co Ltd 水中監視システム
KR101297836B1 (ko) 2011-10-05 2013-08-19 전동윤 입체영상 촬영용 휴대폰 장착리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344A (ko) 202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6865B2 (en) Method and system for enhancing growth and survivability of aquatic organisms
Mueller et al. Video and acoustic camera techniques for studying fish under ice: a review and comparison
KR100946942B1 (ko) 실시간 해양생물 관측장치 및 방법
KR101798396B1 (ko) 조수간만 차이를 반영한 해양 양식장 방범용 감시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1811527B1 (ko) 산호 개체군의 모니터링 방법
KR102261328B1 (ko) 인공어초단지 및 해조 바다목장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CN108965798B (zh) 岸滩鸟类的分布式近距离全景监测终端、系统及布局方法
Lohmann et al. Functional autonomy of land and sea orientation systems in sea turtle hatchlings
Jamieson et al. Deep‐Sea Benthic Sampling
Roberts et al. Monitoring environmental variability around cold-water coral reefs: the use of a benthic photolander and the potential of seafloor observatories
KR102587665B1 (ko) 바다숲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
Holme et al. A sledge with television and photographic cameras for quantitative investigation of the epifauna on the continental shelf
KR102292849B1 (ko) 천연해조장 3차원 수중 공간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CN114205501A (zh) 一种全角度藻类监测识别系统及其使用方法
KR102399078B1 (ko) 인공어초 어장 및 해조장 바다숲 모니터링 장치
Balazy et al. Diver deployed autonomous time-lapse camera systems for ecological studies
Jan et al. An underwater camera system for real-time coral reef fish monitoring
KR102466516B1 (ko) 어장의 수심층별 수산자원 관리용 측정장치
KR101631260B1 (ko) 어장관리 시스템
CN109085018B (zh) 一种船舶压舱水样采集装置
KR102487955B1 (ko) 천연 해조장 및 바다숲 모니터링 장치
CN113747064B (zh) 一种水下生物自动探测拍摄系统及其方法
Sherlock et al. A combined acoustic and optical instrument for fisheries studies
Chidami et al. Underwater infrared video system for behavioral studies in lakes
Munro Div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