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7585B1 - 어족보호용 인공어초 - Google Patents

어족보호용 인공어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7585B1
KR101077585B1 KR1020090090064A KR20090090064A KR101077585B1 KR 101077585 B1 KR101077585 B1 KR 101077585B1 KR 1020090090064 A KR1020090090064 A KR 1020090090064A KR 20090090064 A KR20090090064 A KR 20090090064A KR 101077585 B1 KR101077585 B1 KR 101077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unit module
fish
artificial reef
reef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0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2528A (ko
Inventor
조성주
김흥섭
권세진
김동섭
Original Assignee
신강하이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강하이텍(주) filed Critical 신강하이텍(주)
Priority to KR1020090090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7585B1/ko
Publication of KR20110032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2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58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공성 재료와 인공수초를 구비하는 단위모듈, 및 인공어소 및 부력재를 구비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어족 보호용 인공어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인공어초는 수면층뿐만 아니라 하천 바닥층 및 중간층에서도 어류가 산란하여 번식할 수 있는 인공어초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은신처 제공이 용이하고 어류의 산란을 최대한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이동 및 식별이 용이하다.
인공어초, 단위모듈, 다공성 재료, 인공수초

Description

어족보호용 인공어초 {An artificial fishing reef for spawning and inhabitation of fishes}
본 발명은 어족 보호용 인공어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공성 재료와 인공수초를 구비하는 단위모듈, 및 인공어소 및 부력재를 구비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어족 보호용 인공어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급속한 도시화와 산업화에 따라 전력과 공업용수 및 가정용상수를 확보하기 위하여 전국 각지의 강에 댐을 설치하여 필요자원인 전력 등을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댐 등을 축조함으로서 필요한 전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반면, 이에 수반되는 자연환경의 파괴에 의하여 어류의 서식처와 산란처가 생태학적으로 많은 제한을 받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요인에 의해 사라질 수 있는 어족을 보호하기 위한 방편으로서, 어류를 포획하는 행위 자체를 금지하거나, 치어를 방류하는 방법 등이 있으나, 이 와 같은 방법은 일반적인 어류의 수명이 짧게는 1년 정도에서 수년에 불과하기 때문에, 단기적이고 미봉책에 불과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어족을 보호하기 위한 보다 효과적인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인공산란장은 물의 가장자리에 부유구에 의한 인공수초섬을 설치하여 그 상부에는 수초를 식재하거나 산란을 위한 인공어초를 설치함으로써 산란처와 서식처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인공산란장은 수면층만 형성하므로 수중층에서 산란하는 각종 어류가 서식하면서 안전하게 산란하는 데 있어서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인공어초는 바닥에 설치되므로 중간층이나 수면층의 어류종을 위한 산란에 문제가 있고, 수면 밖에서 이를 식별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수면층뿐만 아니라 하천 바닥층 및 중간층에서도 어류가 산란하여 번식할 수 있는 인공어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은신처 제공이 용이하고 어류의 산란을 최대한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이동 및 식별이 용이한 인공어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바닥부, 상층부 및 측면부로 형성되어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부상에 충진되는 다공성 재료,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인공수초 및 상기 상층부 및 측면부상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개구를 포함하는 단위모듈 ; 및
일단이 상기 단위모듈에 타단이 제 1 부력재에 연결되고 및 인공어소를 구비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인공어초에 관계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인공어초는 수면층뿐만 아니라 하천 바닥층 및 중간층에서도 어류가 산란하여 번식할 수 있는 인공어초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은신처 제공이 용이하고 어류의 산란을 최대한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이동 및 식별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 의한 인공어초는 다공성 재료와 인공수초를 구비하는 단위모듈 및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의한 인공어초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단위모듈(100) 및 지지부재(200)를 포함한다. 상기 단위모듈(100)은 바닥부(10), 상층부(20) 및 측면부(30)로 형성되어 내부공간을 구비한다.
상기 단위모듈(100)은 상기 바닥부(10)상에 충진되는 다공성 재료(40),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인공수초(50) 및 상기 상층부(20) 및 측면부(30)상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개구(6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200)는 제 1 부력재(210) 및 인공어소(220)를 포함한다.
상기 단위모듈(100)이 육면체, 원기둥, 사면체의 형상일 수 있고, 상기 단위모듈(100)은 콘크리트로 제조될 수 있고, 또는 프레임으로 육면체 등의 골격을 형성하고 골격사이에 판부를 설치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이나 판부는 내수성이 강한 도료가 피막된 금속, 즉 STS 각관 또는 강관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플라스틱 합성수지 또는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 틱(FRP), 혹은 이와 동등하거나 유사한 성능을 가진 재료 등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상층부나 측면부의 판부는 섬유사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재료(40)가 상기 바닥부(10) 상에 충진되고, 상기 다공성 재료로는 자갈, 거석 및 플라스틱류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재료(40)는 다양한 공극을 형성하도록 다양한 크기의 재료를 사용한다. 상기 다공성 재료(40)는 은신처 제공이 용이하면서도 물고기의 산란장소를 최대한 제공할 수 있도록 원형 또는 자연석의 형태를 띠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스틱 등의 인공재료인 경우 다공성 재질로 제조하면 산란장 또는 은신중인 어류에게 공급할 동물성 플랑크톤 등의 수생식물의 생장과 번식에 용이하다.
상기 인공수초(50)는 상기 단위모듈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인공수초(50)는 어란부착이 용이하고 외부 포식자의 침입을 제어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상기 인공수초(50)의 일단이 상기 다공성 재료(40)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 2 부력재(51)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는 단위모듈 내에 인공수초가 설치된 다른 구현예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단위모듈 내에 인공수초(50)가 상기와 다른 방식으로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인공수초(50)의 일단이 제 2 부력재(51)에 부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인공수초(50)의 타단에 000(52)가 설치되어 상기 인공수초가 위로 뜨는 것을 방지하 고 서로 얽히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공수초(50)에 알받이 기능을 하는 인공어소(53)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단위 모듈은 상기 상층부(20) 및 측면부(30)상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개구(60)를 포함한다. 상기 개구(60)는 어류가 통과할 수 있는 출입구의 기능을 하고, 포식자의 침입을 막는 방지막의 역할을 한다. 상기 개구(60)가 망 형태의 보호막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개구가 상층부(20) 및 측면부(30)의 중앙에 각 하나씩 형성되었으나, 다수개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고, 또한 프레임을 제외한 판부 전부가 망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위모듈에는 단위모듈들을 연결할 수 있는 고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의한 인공어초는 지지부재(20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200)는 일단이 상기 단위모듈(100)에 타단이 제 1 부력재(210)에 연결되고 및 인공어소(220)를 구비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지지부재(200)가 상기 단위모듈의 상층부(20)상에 설치된 연결고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부력재(210)에 결속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200)의 재질은 상기 단위모듈(100)을 인양하거나 설치할 때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가져야 한다. 상기 지지부재(200)로는 와이어, 고강도 섬유, 000, 000, 로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력재(210) 및 제 2 부력재(51)는 발포성 폴리스틸렌 (Expandable Polystyrene) 또는 가교결합 폴리에틸렌폼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공지된 부력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00)는 알받이 기능을 하는 인공어소(220)를 포함한다. 상기 인공어소(220)는 가느다란 화학섬유를 방사형 또는 섬모형으로 직조한 형태와 같이 내부식성과 넓은 표면적을 모두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200)는 상기 인공어소를 구비하여 중층성 또는 표층성 어류의 산란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즉, 상기 단위모듈(100)이 하천 바닥에 설치되어 하천의 저면에 서식하는 어종의 산란 및 서식에 이용되고, 상기 지지부재(200)는 상기 단위모듈(100)의 상부에서부터 수면층 사이에서 서식하는 어종의 산란 및 서식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인공어초는 상기 단위모듈(100)의 내부에 어류은신용 통발(300)을 추가로 포 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위모듈의 바닥부 위 또는 상층부 아래에 설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통발(300)의 사시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통발(300)은 내부가 비어 있는 구조이고, 어류가 상기 통발(300) 내부로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개구(310)가 있다.
상기 통발(300)은 상기 단위모듈(1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로 제작되는 것이 좋고, 그 재질은 내구성이 강한 FRP나 PE 파이프가 바람직하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통발을 단위모듈의 상층부 아래에 설치한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의한 인공어초의 개략도이고, 도 5는 통발을 단위모듈의 바닥부 위에 설치한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의한 인공어초의 개략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인공어초(100)는 단위모듈(100), 지지부재(200) 및 통발(3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의한 인공어초는 저면 어류뿐만 아니라 중간층이나 수면층에서 서식하는 어류의 산란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고, 이동 및 식별이 용이하고, 동식물성 플랑크톤등 수생식물의 생장과 번식에 용이하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인공어초의 상부 수면에 형성된 상부 식생대를 추가 로 포함하는 산랑장치에 관계한다.
상기 상부 식생대는 부유구에 의한 인공 수초섬을 설치하여, 그 상부에는 수초를 식재하거나 산란을 위한 인공어초를 설치함으로써 산란처와 서식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예로서 인공 수초섬(국내 공개특허 제2002-14194호), 인공수초 및 이를 이용한 수질정화방법(국내 공개특허 제2000-54001호), 어족보호용 어류산란서식 장치(국내 공개특허 제2004-23072호) 및 자연순화용 오폐수 처리장치(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55250호) 등을 참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성의 바림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형태로 변경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의한 인공어초에 대한 사시개략도이다.
도 2는 단위모듈 내에 다른 방식으로 인공수초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통발의 사시개략도이다.
도 4는 통발을 단위모듈의 상층부 아래에 설치한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의한 인공어초의 개략도이다.
도 5는 통발을 단위모듈의 바닥부 위에 설치한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의한 인공어초의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단위모듈
10 ; 바닥부 10 : 상층부 30 : 측면부
40 ; 다공성 재료 50 : 인공수초 60 ; 개구
200 : 지지부재
210 : 제 1 부력재 220 : 인공어소
300 ; 통발

Claims (8)

  1. 바닥부, 상층부 및 측면부로 형성되어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부상에 충진되는 다공성 재료,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인공수초 및 상기 상층부 및 측면부상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개구를 포함하는 단위모듈 ; 및
    일단이 상기 단위모듈에 타단이 제 1 부력재에 연결되고 및 인공어소를 구비하는 지지부재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수초의 일단이 상기 다공성 재료에 부착되고 타단이 제 2 부력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수초의 일단이 제 2 부력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재료가 자갈, 거석 및 플라스틱류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인공어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가 망 형태의 보호막인 것을 특징으로 인공어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어초는 상기 단위모듈에 연결고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인공어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어초는 상기 단위모듈의 바닥부 위 또는 상층부 아래에 어류은신용 통발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인공어초.
  8. 제 1 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인공어초 및 상부 식생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란장치.
KR1020090090064A 2009-09-23 2009-09-23 어족보호용 인공어초 Expired - Fee Related KR101077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064A KR101077585B1 (ko) 2009-09-23 2009-09-23 어족보호용 인공어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064A KR101077585B1 (ko) 2009-09-23 2009-09-23 어족보호용 인공어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528A KR20110032528A (ko) 2011-03-30
KR101077585B1 true KR101077585B1 (ko) 2011-10-27

Family

ID=43937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064A Expired - Fee Related KR101077585B1 (ko) 2009-09-23 2009-09-23 어족보호용 인공어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75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9166B1 (ko) * 2015-12-24 2017-09-18 박정호 수심별 설치가 가능한 수서생물 모니터링장치
KR20220030703A (ko) * 2020-09-03 2022-03-11 세원인프라건설(주) 하천 양안 설치용 어류 및 수생식물 보호를 위한 친환경 보호블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09760A (zh) * 2013-02-05 2013-05-22 大连海洋大学 适用于泥沙底质的鱼礁
CN104756921B (zh) * 2015-04-23 2017-04-12 威海市蓝色经济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生态型人工鱼礁
KR102042054B1 (ko) * 2019-03-22 2019-11-07 주식회사 한가람 인공어초
CN110074028B (zh) * 2019-06-03 2024-03-15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黑龙江水产研究所 一种立体复合式冷水性鱼类人工鱼巢
KR102112337B1 (ko) * 2019-08-07 2020-05-18 주식회사 한서 인공어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9166B1 (ko) * 2015-12-24 2017-09-18 박정호 수심별 설치가 가능한 수서생물 모니터링장치
KR20220030703A (ko) * 2020-09-03 2022-03-11 세원인프라건설(주) 하천 양안 설치용 어류 및 수생식물 보호를 위한 친환경 보호블록
KR102409930B1 (ko) * 2020-09-03 2022-06-16 세원인프라건설(주) 하천 양안 설치용 어류 및 수생식물 보호를 위한 친환경 보호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528A (ko) 201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7585B1 (ko) 어족보호용 인공어초
KR100872496B1 (ko) 인공 산란장 조성을 위한 어류 산란용 구조물
KR101130237B1 (ko) 수생태 복원 및 수질개선을 위한 복합 서식장치
JP5582552B2 (ja) 複合の浮遊湿地施設
CN204518866U (zh) 一种适合泥沙质海底且易于海洋生物附着的人工鱼礁
WO2013095021A1 (en) Integrated multi-trophic aquaculture system with tourism purpose
KR100990954B1 (ko)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
KR101784306B1 (ko) 산란장소를 제공하는 인공어초
CN102271495A (zh) 用于在水体中种植大型藻类的载体和使这种载体悬浮的装置
KR100939204B1 (ko) 부유식 수변 및 수중생물 서식산란장
KR101002567B1 (ko) 해삼 양식용 인공 어초
WO2019045582A1 (en) SUSTAINABLE INNOVATIVE FISH FEEDING WITH AN EVOLVED CAPTURE SYSTEM
JP2012152126A (ja) 植生浮島における水生植物の根茎保護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植生浮島
KR101652102B1 (ko) 담수어족자원의 자연증가 및 보호용 부류식 뗏목형 인공산란장
KR100802490B1 (ko) 다층으로 이루어진 어류 산란장치
KR20130006396U (ko) 해양생태 복원용 다기능 복합 인공어초
KR101934447B1 (ko) 새우용 인공어초
KR100732907B1 (ko) 수중 복합 어류산란장 및 이의 시설 방법
KR100705230B1 (ko) 어족보호용 부유식 어류산란서식 장치
CA2310163A1 (en) Artificial seaweed bed
KR100524651B1 (ko) 부유식 잘피 재배 장치
CN103478034A (zh) 一种方形笼式增殖贝壳人工鱼礁
KR101582443B1 (ko) 어소가 구비된 친환경 게비온
KR100424135B1 (ko) 다기능성 어초
KR101788562B1 (ko) 부력부재를 이용한 다기능 부어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0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0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