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7679A - 잔디 테이블 - Google Patents

잔디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7679A
KR20140007679A KR1020120075129A KR20120075129A KR20140007679A KR 20140007679 A KR20140007679 A KR 20140007679A KR 1020120075129 A KR1020120075129 A KR 1020120075129A KR 20120075129 A KR20120075129 A KR 20120075129A KR 20140007679 A KR20140007679 A KR 20140007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ss
planting box
planting
seed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5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완진
Original Assignee
김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완진 filed Critical 김완진
Priority to KR1020120075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7679A/ko
Publication of KR20140007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76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11Underframes
    • A47B2200/0019Auxiliary use of table underframes, e.g. incorporating: cooling, drainage, air supply or wi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테이블은 소정의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를 지면과 이격 높이를 갖도록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리부; 소정의 식재공간을 구비한 채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외부와 연통되어 물이 유출되도록 하는 유출공을 구비하는 식재박스; 및 상기 식재공간에 파종되어 성장되는 잔디 종자 복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잔디 테이블{Lawn grass table}
본 발명은 잔디 테이블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잔디를 놀이, 학습, 여가 생활 및 치료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잔디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잔디는 환경적으로 이산화탄소를 소모하고 산소를 발생시키는 동시에 대기의 오염원인 먼지와 중금속을 흡수하여 위험 요소를 줄여주는 공기정화기능, 대기의 온도를 낮춰주는 열섬현상 경감기능 및 우수저장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생태적으로 도시 생태계를 구성하는 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고 토양의 침식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더하여, 사회적으로 충격완화 효과가 있어 운동에 적합한 공간, 즉,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그 자체로 쾌적한 녹색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잔디는 녹색식물로서 원예치료 등 전문적인 치료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식물의 성장 과정을 체험할 수 있는 교육적인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라 도시민들은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잔디를 경험할 기회가 매우 제한적인 것이 현실이며, 이로 인해 잔디가 가지고 있는 효능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가 적은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잔디를 접해볼 기회가 적은 도시민 등의 생활 환경에 잔디를 간편하게 접목시켜 잔디가 가지는 효능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시민에게 보다 쾌적한 녹색화경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 이외에 잔디를 직접 파종하여 성장하는 과정을 체험케하는 교육적 목적 및 전문적인 치료 목적의 교재 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잔디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테이블은 소정의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를 지면과 이격 높이를 갖도록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리부; 소정의 식재공간을 구비한 채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외부와 연통되어 물이 유출되도록 하는 유출공을 구비하는 식재박스; 및 상기 식재공간에 파종되어 성장되는 잔디 종자 복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테이블의 상기 잔디 종자 복합체는 한지형 잔디 혼합종자, 질석 및 비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테이블의 상기 한지형 잔디 혼합종자는 캔터키 블루그래스(Kentucky bluegrass), 페레니얼 라이그래스(Perennial ryegrass) 및 크리핑 레드훼스큐(Creeping red fescu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테이블의 상기 비료는 완효성 비료 및 지효성 비료 중 적어도 하나와 속효성 비료가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테이블은 상기 식재박스 내에 삽입되어 상기 잔디 종자 복합체를 상기 식재박스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며, 상기 물이 상기 유출공을 통해 유출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공을 구비하는 배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테이블의 상기 식재박스는 상기 배수부의 삽입 시 상기 배수부의 삽입위치를 고정시키도록 측벽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턱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테이블은 상기 배수부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물의 흐름에 의한 이물의 이동에 의해 상기 배수공의 막힘을 방지하는 여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테이블은 상기 여과부의 상면과 상기 잔디 종자 복합체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잔디 종자 복합체의 생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는 생장영양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테이블의 상기 생장영양공급부는 코코피트(Cocopeat), 펄라이트(Perlite), 제오라이트(Zeolite) 및 규조토를 포함하며, 분말의 형태 또는 압축 매트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테이블의 상기 식재박스의 바닥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바닥면으로 유입된 상기 물이 경사진 방향으로 자연적으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테이블의 상기 유출공은 상기 식재박스의 바닥면 중 최저점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테이블의 상기 식재박스의 바닥면 중 최저점은 상기 식재박스의 꼭지점에 형성되며, 상기 유출공은 상기 꼭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테이블의 상기 본체부는 상측과 하측이 개방된 채 적어도 하나의 외벽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식재박스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외벽의 하측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턱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테이블의 상기 식재박스는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외벽의 상면과 접촉되는 접촉턱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테이블의 상기 접촉턱은 상기 본체부의 외벽의 외면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테이블의 상기 식재박스는 외력에 의해 상기 본체부와 착탈가능하도록 하는 외력제공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테이블은 상기 잔디 종자 복합체를 덮어 상기 잔디 종자 복합체의 발아율을 상승시키도록 하는 녹화마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테이블은 상기 다리부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되어 착석을 위한 자리를 제공하는 착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테이블은 상기 유출공과 연결되어 상기 물을 외부로 유출시키는 유출호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다리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유출호스를 고정시키도록하는 위치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잔디 테이블에 의하면, 잔디를 직접 파종하여 성장하는 과정을 체험케하는 교육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독서 및 식사 등의 여가 테이블로도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어린이, 장애인 및 노인 등을 위한 원예치료 등의 전문적인 치료 목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잔디의 식재를 간단한 방법으로 구현함과 동시에 발아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미관이 우수하면서도 초기 생육을 증대시켜 도시민의 실내외 생활공간에 녹색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테이블(잔디 종자 복합체에 의한 잔디가 생장된 이후)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테이블(잔디가 생장되기 이전)을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테이블(잔디가 생장되기 이전)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테이블에 제공되는 식재박스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및 개략 절개 사시도.
도 4c 및 도 4d는 각각 도 4a의 BB선 및 CC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테이블에 제공되는 식재박스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DD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6은 도 5a 및 도 5b에 따른 식재박스와 본체부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테이블(잔디 종자 복합체에 의한 잔디가 생장된 이후)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테이블(잔디가 생장되기 이전)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테이블(잔디가 생장된 이후)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테이블(100)은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라 잔디(G)를 접해보기 어려운 현실을 고려하여 간편한 방법으로 상기 잔디(G)를 경험케함으로써 상기 잔디(G)가 가지는 효능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이동식 테이블일 수 있다.
또한, 독서 및 식사 등의 여가 테이블로도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어린이, 장애인 및 노인 등을 위한 원예치료 등의 전문적인 치료 목적으로도 사용할 수 테이블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잔디 테이블(100)의 잔디(G)는 본체부(110)에 의해 제공되는 내부공간(S1, 도 2 참조)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식재박스(120) 내의 식재공간(S2, 도2 참조)에 파종되어 성장될 수 있으며, 잔디 테이블(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상기 본체부(1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부(100)는 원형, 타원 또는 다각형 등으로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테이블(100)도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100)의 형상에 맞게 식재박스(120) 또한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테이블(100)은 앞서 언급한 본체부(110) 및 식재박스(120) 이외에 상기 본체부(110)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리부(130) 및 상기 잔디(G)의 근원이 되는 잔디 종자 복합체(140, 도 2 참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에서 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테이블(잔디가 생장되기 이전)을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테이블(잔디가 생장되기 이전)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테이블에 제공되는 식재박스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및 개략 절개 사시도이며, 도 4c 및 도 4d는 각각 도 4a의 BB선 및 CC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d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테이블(100)은 소정의 내부공간(S1)을 제공하는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리부(130),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식재박스(120) 및 잔디 종자 복합체(14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잔디(G, 도 1 참조)의 근원이 되는 잔디 종자 복합체(140)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잔디 종자 복합체(140)는 식재박스(120)에 의해 제공되는 식재공간(S2)에 파종되어 성장될 수 있으며, 한지형 잔디 혼합종자, 질석(Vermiculite) 및 비료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잔디(G)는 한지형 잔디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한지형 잔디 혼합종자는 캔터키 블루그래스(Kentucky bluegrass), 페레니얼 라이그래스(Perennial ryegrass) 및 크리핑 레드훼스큐(Creeping red fescue)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잔디(G)는 상기와 같은 종자의 개별적인 특성이 모두 취합된 한지형 잔디로 미관이 우수하면서도 고운 질감을 느끼게 해줄 수 있으며, 초기 생육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종자에 대한 특성을 살펴보면, 캔터키 블루그래스는 내음성 잔디로 그늘 및 건조한 곳에서도 잘 자라며, 미관이 우수하여 정원 등에 많이 사용되는 종자이다.
또한, 손상시 회복 능력이 강하며, 품질이 우수한 동시에 내습성이 강하고 내마모성이 좋은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캔터키 블루그래스는 생육 적기에 파종할 경우 발아속도가 15~20일 정도 소요되어 초기 생육이 느린 단점이 있긴 하나, 이러한 단점은 다른 종자에 의해 충분히 보완될 수 있다.
즉, 상기 캔터키 블루그래스와 함께 혼합되는 페레니얼 라이그래스는 초기 생육이 매우 빠른 품종으로, 생육적기에 파종하면 4~5일 만에 충분한 발아율을 구현하는 종자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페레니얼 라이그래스는 초기 발아 및 생육 속도가 한지형 잔디 종자 중 가장 빠르고 질감이 좋은 종자로, 캔너키 블루그래스의 초기 생육이 느리다는 단점을 보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지형 잔디 혼합종자의 초기 생육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종자일 수 있다.
한편, 크리핑 레드훼스큐는 엽폭이 좁은 동시에 높은 밀도 및 균일성이 우수하여 고운 느낌의 질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한지형 잔디 종자 중에서 건조하고 응달인 곳에서 생육이 가장 좋은 잔디 종자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한지형 잔디 혼합종자에 의해 성장된 잔디(G)는 미관, 품질 및 회복 능력 측면에서는 캔터키 블루그래스의 장점을, 초기 생육에 대해서는 페레니얼 라이그래스의 장점을, 질감 및 환경적인 측면에서는 크리핑 레드훼스큐의 장점을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조화로운 잔디(G)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잔디 종자 복합체(140)에 포함되는 질석은 버미큘라이트라고도 불리며, 양이온 교환용량(Cation exchange capacity:CEC)이 높아 후술할 생장영양공급부(170) 내에 양분들을 보유하였다가 용출시켜 생장영양공급부(170)의 비옥함을 장시간 유지시킬 수 있는 구성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질석은 수많은 공극을 구비하여 보온 및 통기성을 원활케 하는 동시에 보습력을 유지시키고 미생물의 성장에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는 구성물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잔디 종자 복합체(140)는 비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비료는 완효성 비료 및 지효성 비료 중 적어도 하나와 속효성 비료가 혼합된 혼합물일 수 있다.
여기서, 완효성 비료는 비료의 양분이 서서히 녹아 나와 잔디의 성장에 이용되는 비료로, 피복요소, IBDU(Isobutylidene Diurea) 또는 CDU(Crotonylidene Diurea) 등일 수 있으며, 지효성 비료는 비효가 어느 시기가 지나서 늦게 나타나는 비료로, 퇴비 또는 구비 등일 수 있다.
반면에, 속효성 비료는 비효가 빠르게 나타나는 비료로 요소 또는 복비 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잔디 종자 복합체(140)에 포함되는 비료는 완효성 비료 및 지효성 비료 중 적어도 하나와 속효성 비료가 혼합된 비료로 구현됨으로써, 비효의 속도를 적절히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테이블(100)은 앞서 설명한 잔디 종자 복합체(140)가 식재되는 식재공간(S2)을 제공하는 식재박스(120), 상기 식재박스(120)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적어도 하나의 다리부(130)에 의해 지지되는 본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는 잔디 테이블(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소정의 내부공간(S1)을 구비하여 상기 식재박스(120)를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110)는 상측과 하측이 모두 개방되고 상기 내부공간(S1)을 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벽(112)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외벽(112)의 형상에 따라 상기 본체부(110)의 형상은 달라질 수 있다.
즉, 상기 외벽(112)이 라운드진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테이블(100)은 원형의 테이블이 될 수 있으며, 평평한 판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다각형의 테이블이 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110)을 구성하는 상기 외벽(112)의 하측 단부에는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턱(11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턱(114)은 식재박스(120)의 저면과 접촉되어 상기 식재박스(120)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키도록 하는 일종의 스톱퍼 기능을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본체부(110)는 상측이 개방되고 하측이 밀폐되는 구조로도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본체부(110)의 바닥판이 상기 고정턱(114)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110)는 지면과 이격 높이를 가진 채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본체부(110)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리부(13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리부(130)는 보통의 테이블에 있어서의 지지수단과 동일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110)와의 결합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본체부(110) 및 상기 다리부(130)는 삼나무 또는 편백나무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식재박스(120)는 상기 본체부(110)에 의해 제공되는 내부공간(S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잔디 종자 복합체(140)가 식재되는 식재공간(S2)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재박스(120)는 앞서 언급한 상기 본체부(110)의 고정턱(114)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턱(114) 이외에 접촉턱(124)에 의해서도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접촉턱(124)은 식재박스(120)의 측벽(122)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식재박스(120)가 상기 본체부(110)내의 내부공간(S1)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110)의 외벽(112)의 상면과 접촉됨으로써 상기 식재박스(1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촉턱(124)는 상기 식재박스(120)의 측벽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격적으로 다수개가 형성되어도 무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재박스(120)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본체부(110)와의 착탈을 가능하도록 하는 외력제공부(126)를 구비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외력제공부(126)는 상기 식재박스(120)의 측벽(122) 또는 접촉턱(124)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력제공부(126)는 일종의 식재박스(120)를 들고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일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경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식재박스(120)의 바닥면에는 외부와 연통되어 물이 유출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출공(128)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유출공(128)은 잔디 종자 복합체(140)에 포함되는 한지형 잔디 혼합종자의 생장을 위한 물이 생장영양공급부(170), 여과부(160) 및 배수부(150)를 통과한 후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일종의 이동통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식재박스(120)의 바닥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출공(128)은 상기 식재박스(120)의 바닥면 중 최저점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물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구현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장영양공급부(170), 여과부(160) 및 배수부(150)를 설명한 이후에 하기로 한다.
식재박스(120)의 식재공간(S2)에는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배수부(150), 여과부(160) 및 생장영양공급부(170)가 차례대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배수부(150)는 한지형 잔디 혼합 종자의 생장을 위한 물이 통과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공(15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수부(150)는 상기 식재공간(12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식재공간(120)에 삽입되어 상기 잔디 종자 복합체(140)를 상기 식재박스(12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부(150)는 상기 식재공간(S2)의 바닥면과 이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배수부(150)에 형성된 배수공(152)을 통과한 물이 유출공(128)을 통해 효과적으로 유출되기 위한 소정의 배수공간(S3)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배수공간(S3)을 형성한 채 상기 배수부(150)의 상기 식재박스(120) 내의 고정을 위해 상기 식재박스(120)는 측벽(122)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턱(121)을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걸림턱(121)은 상기 배수부(150)가 식재공간(S2)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배수부(150)의 삽입위치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측벽(122)의 소정의 높이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측벽(122)을 따라 연속적 또는 이격적으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걸림턱(121)은 상기 배수부(150)를 상기 식재공간(S2)에 고정시키기 위한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닐 수 있으며, 상기 배수부(150)의 바닥면과 식재박스(120)의 바닥면 사이에 배수공간(S3)을 형성할 수 있는 전제하에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수부(150)의 배수공(152)의 형상이 바닥면으로부터 식재박스(120)의 바닥면을 향해 돌출되는 구조라면,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배수부(150)는 자연스럽게 상기 식재박스(120)의 바닥면과 이격되어 상기 배수공간(S3)을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배수부(150)와 상기 식재박스(120)는 별도의 구성요소가 아닌 일체형으로도 형성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배수부(150)의 상면에는 여과부(16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여과부(160)는 일종의 부직포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여과부(160)는 잔디 종자 복합체(140) 및 생장영양공급부(170)를 통과한 물의 흐름에 의한 이물 등의 이동에 의해 배수부(150)의 배수공(152)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잔디 혼합종자의 생장에 필요한 물이 상기 잔디 혼합종자에 공급된 후 상기 생장영양공급부(17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여러 이물 등이 쓸려 내려올 수 있으며, 이러한 이물에 의해 상기 배수공(152)이 막혀 물의 흐름에 장애가 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생장영양공급부(170)는 상기 여과부(160)의 상면과 잔디 종자 복합체(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잔디 종자 복합체(140)의 생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생장영양공급부(170)는 압축 매트 또는 분말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코코피트(Cocopeat), 펄라이트(Perlite), 제오라이트(Zeolite) 및 규조토를 포함할 수 있다.
코코피트는 야자열매에서 야자섬유를 추출하면서 생기는 부산물, 즉, 야자수의 섬유물질로 리그닌의 함량이 높아 미생물 침투에 대한 저항성이 좋으며, 산화조건이 안정적이고 상당한 유기 양분과 미량요소를 함유하고 있는 물질이다.
또한, 보수력과 보비력이 높고 통기성이 좋으며 밀도가 낮고 분해에 저항성이 있으므로 풍부한 식물 영양과 탄소함유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무색 무취의 성질을 구비하고 장기간 분해되지 않는 특성을 구비하므로 인공토양에 최적일 수 있다.
한편, 펄라이트는 진주암을 급격히 가열하여 공극을 많게 한 경석으로 통기성과 보수성이 양호하여 작물의 조기활착을 촉진하는 특성을 지닌 인조토양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펄라이트는 염기치환용량은 거의 없어 보비력은 없으며, 토양공극을 증가시키는 토양개량제로 사용되고 작물용 또는 원예용 상토에 보조재료로 활용되고 있는 물질이다.
한편, 상기 생장영양공급부(170)에 포함되는 제오라이트는 견고한 3차원 결정구조를 지닌 물질로, 미세한 다공질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보수력, 보비력 및 배수력이 우수하며, 유해가스 및 유해물질에 대한 흡착력이 높은 특성이 있다.
또한, 산성화를 방지하고 물리적 흡착력과 화학적 양이온 치환작용이 뛰어나 수분 기타 무기, 유기물질을 흡착 보관하고 있다가 서서히 배출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한편, 상기 생장영양공급부(170)에 포함되는 규조토는 규조(珪藻)라고 일컫는 단세포 수중식물의 유해가 호수나 바다에 가라앉아 형성된 회백색의 퇴적물로서, 대부분 비정질의 실리카로 되어있는 물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규조토는 물리화학적으로 안정한 무기질로 다공성이며, 흡수성과 보수력, 보비력이 뛰어나 양분을 보유하였다가 서서히 용출시키는 특성이 있으며 유해가스 제거 및 살충효과가 있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여기서, 상기 생장영양공급부(170)는 유기질 성분의 코코피트를 대략 80%로 하고, 무기질 성분인 펄라이트, 제오라이트 및 규조토를 대략 20%로 혼합한 분말 또는 압축 매트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장영양공급부(170)는 잔디 혼합 복합체(140)의 한지형 잔디 혼합종자의 생장발육에 적합하도록 4 내지 7의 pH(1:5)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전기전도도(Electric conductivity)를 의미하는 EC(dS·m-1)는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생장영양공급부(170)로 인해 별도의 한지형 잔디 혼합종자의 파종을 위해 별도의 토양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잔디(G)의 식재를 간단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배수부(150), 여과부(160), 생장영양공급부(170)를 차례대로 식재박스(120) 내에 배치시키고, 상기 생장영양공급부(170)의 상면에 잔디 종자 복합체(140)를 흩뿌리고 난 후 한지형 잔디 혼합종자의 파종을 위해 물을 주고 일정시간이 지나게 되면, 미관이 우수하면서도 고운 질감을 느끼게 해줄 수 있는 잔디(G)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한지형 잔디 혼합종자의 뿌리는 생장영양공급부(170) 내로 자리잡게 되며, 결국, 잔디(G)와 상기 생장영양공급부(170) 및 여과부(160)는 서로 일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잔디(G)를 교체해야하는 경우 상기 생장영양공급부(170)를 식재박스(120)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다른 잔디를 식재하려고 하는 경우 새로운 생장영양공급부 및 여과부를 식재박스(120) 내에 배치시키고 새로운 잔디 종자 복합체를 흩뿌림으로써 반복적으로 잔디 테이블(100)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한지형 잔디 혼합종자의 파종을 위한 물은 배수부(150)의 배수공(152)을 통과한 후 식재박스(120)의 유출공(128)을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식재박스(120)의 바닥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식재박스(120)의 바닥판의 두께는 상이할 수 있으며, 상기 식재박스(120)의 바닥면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물이 상기 바닥면에 고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식재박스(120)는 상기 물이 상기 바닥면에 유입되는 즉시 유출공(128)을 통해 유출시킴으로써 쾌적한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기 식재박스(120)의 바닥면으로 인해 상기 바닥면으로 유입된 물은 경사진 방향으로 자연적으로 흐르도록 할 수 있으며, 유출공(128)은 상기 식재박스(120)의 바닥면 중 최저점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시킴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외부로의 물의 유출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식재박스(120)의 바닥면 중 최저점이 형성되는 위치는 상기 식재박스(120)의 꼭지점일 수 있다.
즉, 상기 식재박스(120)가 사각형으로 형성된다는 전제하에 3개의 꼭지점은 나머지 하나의 꼭지점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으며, 나머지 하나의 꼭지점을 향하여 상기 식재박스(120)의 바닥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식재박스(120)의 바닥면으로 유입된 물은 자연적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위치하는 꼭지점으로 모이게 될 수 있으며, 그 부분에 형성되는 유출공(128)을 통해 자연적으로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출공(128)에는 상기 물을 외부로 유출시키는데 있어서 통로 기능을 하는 유출호스(180)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유출호스(180)는 본체부(110) 및 다리부(13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위치고정부(19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고정부(190)는 물을 외부로 유출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 상기 유출호스(180)을 고정시켜 외관을 수려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치고정부(190)는 일정한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유출호스(18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모두 채용 가능할 수 있으며, 형성위치 및 갯수 또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즉, 상기 위치고정부(190)는 본체부(110)의 외벽(112)의 저면, 고정턱(114)의 저면 또는 다리부(130)의 내측면 등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식재박스(120)의 바닥면의 경사 방향은 상기에서 언급한 하나의 꼭지점을 향한 방향 이외에 다양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식재박스(120)가 사각형으로 형성된다는 전제하에 상기 식재박스(120)의 바닥면은 하나의 모서리에서 반대편 모서리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반대편 모서리에 유출공을 형성하여 물을 외부로 유출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유출공은 원활한 물의 유출을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재박스(120)의 바닥면의 경사 방향은 상기 식재박스(120)의 바닥면의 대략 중앙부에서 각각의 모서리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대략 중앙부가 가장 높은 위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재박스(120)의 바닥면으로 유입된 물은 모든 모서리 방향으로 자연적으로 흐를 수 있으며, 각각의 모서리에 형성된 유출공을 통해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식재박스(120)의 바닥면에 대한 경사 방향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경사의 각도 또한 선형적 또는 비선형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테이블에 제공되는 식재박스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DD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5a 및 도 5b에 따른 식재박스와 본체부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식재박스(220)는 본체부(110) 내의 내부공간(S1)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110)의 외벽(112)의 상면과 접촉되어 상기 식재박스(220)를 고정시키도록 하는 접촉턱(224)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턱(224)은 본체부(110)의 외벽(112)의 외면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식재박스(220)가 상기 본체부(110) 내의 내부공간(S1)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접촉턱(224)에 의해 제공되는 공간(S4)에 본체부(110)의 외벽(112)이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110)의 외벽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접촉턱(224)은 상기 식재박스(220)의 측벽(222)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격적으로 다수개가 형성되어도 무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테이블(잔디 종자 복합체에 의한 잔디가 생장된 이후)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테이블(300)은 착석을 위한 자리를 제공하는 착석부(39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다리부(330)는 본체부(310)로부터 지면을 향하여 폭이 증가하도록 상기 본체부(31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착석부(395)는 다리부(330)와 간접 또는 직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석부(395)는 상기 다리부(330) 간에 결합된 지지부(335)에 결합되어 상기 다리부(330)와 간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다리부(330)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결국,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테이블(300)은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자리와 테이블을 동시에 구현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잔디 테이블(300)은 실내외겸용 이동식 테이블로 이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테이블(잔디가 생장되기 이전)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테이블(400)은 도 7을 참조로 설명한 잔디 테이블(300)의 모든 구성요소 이외에 녹화마대(4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녹화마대(445)는 잔디 종자 복합체(440)를 식재공간(S2)에 흩뿌리고 난 뒤 상기 잔디 종자 복합체(440)를 덮어 상기 잔디 종자 복합체(440)의 발아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녹화마대(445)는 잔디 종자 복합체(440)를 식재공간(S2)에 흩뿌리고 난 뒤 상기 잔디 종자 복합체(440)가 바람 등에 의해 날리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보습효과 및 온도 유지 기능을 향상시켜 발아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녹화마대(445)는 잔디 종자 복합체(440)의 한지형 잔디 혼합종자가 발아되고 나면 걷어지게 되며, 결국 일정한 물의 공급과 일정한 시간이 경과되면 도 7에 도시된 잔디 테이블(300)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300, 400: 잔디 테이블 110, 310: 본체부
120, 220: 식재박스 130, 330: 다리부
140, 440: 잔디 종자 복합체 150: 배수부
160: 여과부 170: 생장영양공급부

Claims (19)

  1. 소정의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를 지면과 이격 높이를 갖도록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리부;
    소정의 식재공간을 구비한 채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외부와 연통되어 물이 유출되도록 하는 유출공을 구비하는 식재박스; 및
    상기 식재공간에 파종되어 성장되는 잔디 종자 복합체;를 포함하는 잔디 테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디 종자 복합체는 한지형 잔디 혼합종자, 질석 및 비료를 포함하는 잔디 테이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지형 잔디 혼합종자는 캔터키 블루그래스(Kentucky bluegrass), 페레니얼 라이그래스(Perennial ryegrass) 및 크리핑 레드훼스큐(Creeping red fescue)를 포함하는 잔디 테이블.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료는 완효성 비료 및 지효성 비료 중 적어도 하나와 속효성 비료가 혼합된 잔디 테이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박스 내에 삽입되어 상기 잔디 종자 복합체를 상기 식재박스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며, 상기 물이 상기 유출공을 통해 유출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공을 구비하는 배수부;를 더 포함하는 잔디 테이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박스는 상기 배수부의 삽입 시 상기 배수부의 삽입위치를 고정시키도록 측벽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턱을 구비하는 잔디 테이블.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물의 흐름에 의한 이물의 이동에 의해 상기 배수공의 막힘을 방지하는 여과부;를 더 포함하는 잔디 테이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의 상면과 상기 잔디 종자 복합체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잔디 종자 복합체의 생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는 생장영양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잔디 테이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생장영양공급부는 코코피트(Cocopeat), 펄라이트(Perlite), 제오라이트(Zeolite) 및 규조토를 포함하며, 분말의 형태 또는 압축 매트의 형태로 제공되는 잔디 테이블.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박스의 바닥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바닥면으로 유입된 상기 물이 경사진 방향으로 자연적으로 흐르도록 하는 잔디 테이블.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공은 상기 식재박스의 바닥면 중 최저점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잔디 테이블.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박스의 바닥면 중 최저점은 상기 식재박스의 꼭지점에 형성되며, 상기 유출공은 상기 꼭지점에 형성되는 잔디 테이블.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측과 하측이 개방된 채 적어도 하나의 외벽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식재박스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외벽의 하측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턱을 구비하는 잔디 테이블.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박스는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외벽의 상면과 접촉되는 접촉턱을 구비하는 잔디 테이블.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턱은 상기 본체부의 외벽의 외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잔디 테이블.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박스는 외력에 의해 상기 본체부와 착탈가능하도록 하는 외력제공부를 구비하는 잔디 테이블.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디 종자 복합체를 덮어 상기 잔디 종자 복합체의 발아율을 상승시키도록 하는 녹화마대;를 더 포함하는 잔디 테이블.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되어 착석을 위한 자리를 제공하는 착석부;를 더 포함하는 잔디 테이블.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공과 연결되어 상기 물을 외부로 유출시키는 유출호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다리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유출호스를 고정시키도록하는 위치고정부를 구비하는 잔디 테이블.



KR1020120075129A 2012-07-10 2012-07-10 잔디 테이블 KR201400076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129A KR20140007679A (ko) 2012-07-10 2012-07-10 잔디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129A KR20140007679A (ko) 2012-07-10 2012-07-10 잔디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679A true KR20140007679A (ko) 2014-01-20

Family

ID=50141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129A KR20140007679A (ko) 2012-07-10 2012-07-10 잔디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767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9603A (ko) * 2015-12-11 2017-06-21 평성인 다목적 책상 혹은 테이블
KR102525987B1 (ko) * 2023-01-16 2023-04-27 파코바이오앤그린 주식회사 탄소 저감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가진 이끼 테이블
KR102617557B1 (ko) * 2022-10-21 2023-12-27 박보정 잔디 식생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잔디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9603A (ko) * 2015-12-11 2017-06-21 평성인 다목적 책상 혹은 테이블
KR102617557B1 (ko) * 2022-10-21 2023-12-27 박보정 잔디 식생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잔디 시스템
KR102525987B1 (ko) * 2023-01-16 2023-04-27 파코바이오앤그린 주식회사 탄소 저감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가진 이끼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ibeaut et al. Maximal biomass of Arabidopsis thaliana using a simple, low-maintenance hydroponic method and favorable environmental conditions.
CN102771363B (zh) 一种百合专用栽培介质及百合栽培方法
Cameron et al. Environmental horticulture: science and management of green landscapes
CN105532407B (zh) 一种美丽马醉木的漂浮育苗方法
JP4096121B2 (ja) 緑化用苗芝ピース
KR20080056419A (ko) 카펫형 천연 지피식물에 의한 옥상녹화장치
CN106717888A (zh) 一种猴樟一年生容器苗的培育方法
CN103461029B (zh) 一种花果盆土结构及其制备方法
KR20140007679A (ko) 잔디 테이블
JP2003199425A (ja) 吸水ポリマー製人工培土による植物栽培方法、植物用保水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使用方法、根腐れ防止剤及び根腐れ防止方法、並びに保水剤及び保水方法
CN205389639U (zh) 水培与土培一体化种植系统及其装置
CN110915564A (zh) 杉木林仿野生铁皮石斛栽培方法及其树干固定装置
Paraskevopoulou et al. The growth of Arthrocnemum macrostachyum and Halimione portulacoides in an extensive green roof system under two watering regimes
CN109156256A (zh) 一种新建梨园立体多效种植结构及方法
KR101077332B1 (ko) 녹화 담장
CN107226736A (zh) 一种用于家庭室内无土栽培蔬菜的复合基质
KR101836799B1 (ko) 새싹삼의 재배방법
Benko et al. Hydroponic Production Systems in Greenhouses
Damrosch The garden primer
CN104429843A (zh) 一种散尾葵无土栽培方法
KR100478194B1 (ko) 경량화된 뗏장의 생산 방법
CN209824725U (zh) 一种采用建筑垃圾的屋顶绿化草种植系统
CN106171701A (zh) 一种利用山稻进行屋顶绿化的方法
So et al. Production of cyclamen using capillary wick system: I. influence of wick material and root substrate composition
JPH06165617A (ja) 人工土壌及び植栽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