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7300B1 - 편심원을 이용한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 - Google Patents

편심원을 이용한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7300B1
KR101087300B1 KR1020090034230A KR20090034230A KR101087300B1 KR 101087300 B1 KR101087300 B1 KR 101087300B1 KR 1020090034230 A KR1020090034230 A KR 1020090034230A KR 20090034230 A KR20090034230 A KR 20090034230A KR 101087300 B1 KR101087300 B1 KR 101087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ver part
eccentric circle
roadside
cir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4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5587A (ko
Inventor
최대명
Original Assignee
최대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대명 filed Critical 최대명
Priority to KR1020090034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7300B1/ko
Publication of KR20100115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5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7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7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1Protective ground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e.g. for plants in po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로수 보호판 내에 가로수가 관통되는 동심원 및 편심원을 방향전환 가능한 다수의 덮개를 구비하여 가로수가 가로수 보호판 내의 어떠한 위치에 있다 하더라도 그 위치에 대응되도록 덮개를 배치하여 설치할 수 있어 가로수 덮개나 가로수의 절단작업 없이도 신속하고 정확한 설치가 가능하며, 가로수가 성장함에 따라 가로수 보호판의 교체 없이 설치한 역순으로 덮개를 제거하는 것 만으로도 관리가 가능한 편심원을 이용한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편심원을 이용한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은 내부에 관통부가 형성되는 프레임 본체와, 상기 관통부 내에 배치되되 다수의 제 1 덮개유닛이 결합되어 형성되며 결합시 내부에 제 1 관통형 동심원이 형성되는 제 1 덮개부와, 상기 제 1 관통형 동심원 내에 배치되되 다수의 제 2 덮개유닛이 결합되어 형성되며 결합방향에 따라 내부에 제 1 관통형 편심원이 가변적으로 형성되는 제 2 덮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로수, 보호판, 편심원, 프레임 본체, 덮개

Description

편심원을 이용한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VARIABLE PROTECTING COVER OF ROADSIDE TREE USING }
본 발명은 편심원을 이용한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로수 보호판 내에 가로수가 관통되는 동심원 및 편심원을 방향전환 가능한 다수의 덮개를 구비하여 가로수가 가로수 보호판 내의 어떠한 위치에 있다 하더라도 그 위치에 대응되도록 덮개를 배치하여 설치할 수 있어 가로수 덮개나 가로수의 절단작업 없이도 신속하고 정확한 설치가 가능하며, 가로수가 성장함에 따라 가로수 보호판의 교체 없이 설치한 역순으로 덮개를 제거하는 것 만으로도 관리가 가능한 편심원을 이용한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 공원 또는 주거단지에는 주변환경의 쾌적성 및 미관을 위하여 가로수 또는 관상수가 심어져 있다.
이처럼 가로수 또는 관상수가 심어진 주변지역은 대부분 콘크리트, 아스팔트 또는 보도블럭으로 둘러싸여 있으나, 나무들의 근원부 즉, 줄기와 뿌리의 경계부에 는 수분의 원할한 공급 및 근원부의 원할한 성장을 위해 흙으로 덮혀 있으며 이같은 흙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흙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면 보행자가 밟고 지나다님에 따라 흙이 단단해지게되어 수분 또는 공기를 원할하게 공급되지 않아 수목의 성장을 저해할 뿐 아니라, 흙의 소실로 인해 근원부 및 뿌리가 외부로 노출되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부분의 수목에는 보호판이 그 둘레에 설치된다.
한편, 종래 가로수 보호판으로는 여러 종류의 것이 안출되어 사용되어 왔으나, 대체로 이들은 주물제 또는 합성수지제로 성형된 것으로서 중심부에 식목공간부를 통해 가로수가 들어가도록 2-4개로 분할 형성하여 조립토록 되어 있고, 분할 된 보호판체는 단순히 평면상의 망상체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가로수 보호판의 경우 그 중심부에 가로수가 놓일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되어 있어 나무가 가로수 보호판의 중심이 아닌 일측으로 치우쳐 자라나게 될 경우 가로수 보호판 덮개의 일측을 잘라내거나 나무의 일부분을 절단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다수의 덮개를 퍼즐형태로 조립하는 덮개가 공지되어 있으나 가로수가 위치되는 경계부분이 원형으로 마무리되지 않고 퍼즐의 형상데로 마무리되어 미세조절이 힘들 뿐만 아니라 흙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뿐만 아니라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나무가 점차 성장하여 그 둘레가 커지게 될 경우 가로수 보호판 전체를 교체하거나 덮개를 다시 재가공해야 하는 등 관리에 있어서도 불편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로수 보호판 내에 가로수가 관통되는 동심원 및 편심원을 방향전환 가능한 다수의 덮개를 구비하여 가로수가 가로수 보호판 내의 어떠한 위치에 있다 하더라도 그 위치에 대응되도록 덮개를 배치하여 설치할 수 있어 가로수 덮개나 가로수의 절단작업 없이도 신속하고 정확한 설치가 가능한 편심원을 이용한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로수가 성장함에 따라 가로수 보호판의 교체 없이 설치한 역순으로 덮개를 제거하는 것 만으로도 관리가 가능한 편심원을 이용한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내부에 관통부가 형성되는 프레임 본체와, 상기 관통부 내에 배치되되 다수의 제 1 덮개유닛이 결합되어 형성되며 결합시 내부에 제 1 관통형 동심원이 형성되는 제 1 덮개부와, 상기 제 1 관통형 동심원 내에 배치되되 다수의 제 2 덮개유닛이 결합되어 형성되며 결합방향에 따라 내부에 제 1 관통형 편심원이 가변적으로 형성되는 제 2 덮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원을 이용한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제 1 관통형 편심원 내에는 제 3 덮개부가 배치되되 다수의 제 3 덮개유닛이 결합되어 형성되며 결합방향에 따라 내부에 제 2 관통형 편심원이 가변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제 2 관통형 편심원 내에는 제 4 덮개부가 배치되되 다수의 제 4 덮개유닛이 결합되어 형성되며 결합시 내부에 제 2 관통형 동심원이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프레임의 관통부, 상기 제 1 덮개부의 제 1 관통형 동심원, 상기 제 2 덮개부의 제 1 관통형 편심원 및 상기 제 3 덮개부의 제 2 관통형 편심원 측 하단에는 각각 제 1 덮개부, 제 2 덮개부, 제 3 덮개부 및 제 4 덮개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덮개부, 제 3 덮개부 및 제 4 덮개부의 외측 가장자리 상단에는 상기 단턱들에 안착될 수 있도록 각각 안착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제 1 덮개부, 제 2 덮개부, 제 3 덮개부 및 제 4 덮개부 상에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편심원을 이용한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에 따르면, 첫째 가로수 보호판 내에 가로수가 관통되는 동심원 및 편심원을 방향전환 가능한 다수의 덮개를 구비하여 가로수가 가로수 보호판 내의 어떠한 위치에 있다 하더라도 그 위치에 대응되도록 덮개를 배치하여 설치할 수 있어 가로수 덮개나 가로수의 절단작업 없이도 신속하고 정확한 설치가 가능한 탁월한 효과가 있다.
둘째, 가로수가 성장함에 따라 가로수 보호판의 교체 없이 설치한 역순으로 덮개를 제거하는 것 만으로도 관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심원을 이용한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심원을 이용한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심원을 이용한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의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심원을 이용한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의 작동도가 도시되며,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심원을 이용한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편심원을 이용한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1)은 내부에 관통부(12)가 형성되는 프레임 본체(10)와, 관통부(12) 내에 배치되되 다수의 제 1 덮개유닛(20a)이 결합되어 형성되며 결합시 내부에 제 1 관통형 동심원(22)이 형성되는 제 1 덮개부(20)와, 제 1 관통형 동심원(22) 내에 배치되되 다수의 제 2 덮개유닛(30a)이 결합되어 형성되며 결합방향에 따라 내부에 제 1 관통형 편심원(32)이 가변적으로 형성되는 제 2 덮개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레임 본체(10)는 편심원을 이용한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1)의 최외측에 배치되어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이 배치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프레임 본체(10)는 정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역시 정사각형상의 관통부(12)가 형성되며, 프레임 본체(10)의 관통부(12)측 하단에는 추후에 설명될 제 1 덮개부(20)가 안착될 수 있도록 단턱(14)이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단턱(14)은 프레임 본체(10) 뿐만 아니라 추후에 설명될 제 1 덮개부(20), 제 2 덮개부(30) 및 제 3 덮개부(40)의 제 1 관통형 동심원(22), 제 1 관통형 편심원(32) 및 제 2 관통형 편심원(42) 측 하단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추후에 설명될 제 2 덮개부(30), 제 3 덮개부(40) 및 제 4 덮개부(5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술한 프레임 본체(1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다수의 바 형태의 부품이 결합되어 프레임 본체(10)를 이루는 조립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가로수가 식재될 위치에 설치할 시에는 일체형으로 가로수가 식재된 위치에 설치할 시에는 조립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관통부(12) 내에는 제 1 덮개부(20)가 안착 배치되는데, 이 제 1 덮개부(20)는 다수의 제 1 덮개유닛(20a)이 결합되어 형성되며 결합시 내부에 제 1 관통형 동심원(22)이 형성되는 것으로, 전술한 관통부(12)의 일부를 덮어주는 동시에 추후에 설명될 제 2 덮개부(30)가 안착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 1 덮개부(20)는 4개의 제 1 덮개유닛(20a)으로 형성되고 결합시 그 중앙측에 제 1 관통형 동심원(22)이 관통 형성되며 그 하단에는 단턱(24)가 돌출 형성된다.
전술한 제 1 덮개유닛(20a)은 합성수지재 또는 부식되지 않는 금속재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며, 4개로 분리 형성되는 제 1 덮개유닛(20a)간은 결합수단 없이 자체 무게로 인해 상호 그 형상이 유지되는 것으로 하되, 비록 도시되지 않았으나 별도의 결합수단이 구비되어 각각의 제 1 덮개유닛(20a)이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도 있으며, 이는 추후에 설명될 제 2 덮개부(30), 제 3 덮개부(40) 및 제 4 덮개부(50)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동심원의 의미는 결합시 정사각형상을 이루는 제 1 덮개부(20) 중심과 제 1 관통형 동심원(22)의 중심이 일치한다는 의미로서 추후에 기재되는 동심원 역시 동일한 의미로 사용됨을 밝혀둔다.
또한, 전술한 제 1 덮개부(20) 상에는 다수의 관통공(26)이 형성되는데, 이 관통공(26)은 가로수의 뿌리가 필요한 수분을 공급받을 수 있게 해주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관통공(26)은 제 1 덮개부(20) 뿐만 아니라 추후에 설명될 제 2 덮개부(30), 제 3 덮개부(40) 및 제 4 덮개부(50) 상에도 관통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제 1 덮개유닛(20a) 각각에는 설치공(28)이 관통 형성되는데, 이 설치공(28)은 가로수가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대(60)의 하단이 고정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제 1 관통형 동심원(22)에는 제 2 덮개부(30)가 배치되는데, 이러한 제 2 덮개부(30)는 다수의 제 2 덮개유닛(30a)이 결합되어 형성되며 결합방향에 따라 내부에 제 1 관통형 편심원(32)이 가변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전술한 관통부(12)의 일부를 덮어주는 동시에 추후에 설명될 제 3 덮개부(40)가 안찰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 2 덮개부(30)는 2개의 제 2 덮개유닛(30a)으로 형성되며, 결합시 그 일측에는 제 1 관통형 편심원(32)이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편심원의 의미는 결합시 원형상을 이루는 제 2 덮개부(30)의 중심과 제 1 관통형 편심원(32)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의미로서 추후에 기재되는 편심원 역시 동일한 의미로 사용됨을 밝혀둔다.
또한 전술한 제 2 덮개부(30)의 외측 가장자리 상단에는 전술한 제 1 덮개부(20)의 단턱(24)에 안착되기 위한 안착돌기(36)가 돌출 형성되며 제 1 관통형 편심원(32) 측의 하단에는 추후에 설명될 제 3 덮개부(40)가 안착되기 위한 단턱(34)이 돌출 형성된다.
전술한 안착돌기는 제 2 덮개부(30) 뿐만 아니라 제 3 덮개부(40) 및 제 4 덮개부(50)의 외측 가장자리 상단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제 2 덮개부(30)의 단턱(34) 및 추후에 설명될 제 3 덮개부(40)의 단턱(44)에 각각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제 1 덮개부(20)에 안착되는 제 2 덮개부(30)는 그 배치방향에 따라서 전술한 제 1 관통형 편심원(32)의 방향을 가변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제 1 관통형 편심원(32)에는 제 3 덮개부(40)가 배치되는데, 이러한 제 3 덮개부(40)는 다수의 제 3 덮개유닛(40a)이 결합되어 형성되며 결합방향에 따라 내부에 제 2 관통형 편심원(42)이 가변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전술한 관통부(12)의 일부를 덮어주는 동시에 추후에 설명될 제 4 덮개부(50)가 안착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 3 덮개부(40)는 2개의 제 3 덮개유닛(40a)으로 형성되며, 결합시 그 일측에는 제 2 관통형 편심원(42)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제 3 덮개부(40)의 외측 가장자리 상단에는 전술한 제 2 덮개부(30)의 단턱(34)에 안착되기 위한 안착돌기(46)가 돌출 형성되며 제 2 관통형 편심원(42) 측의 하단에는 추후에 설명될 제 4 덮개부(50)가 안착되기 위한 단턱(44)이 돌출 형성된다.
전술한 제 2 덮개부(30)에 안착되는 제 3 덮개부(40)는 제 2 덮개부(30)와 마찬가지로 그 배치방향에 따라서 전술한 제 2 관통형 편심원(42)의 방향을 가변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제 2 관통형 편심원(42)에는 제 4 덮개부(50)가 배치되는데, 이러한 제 4 덮개부(50)는 다수의 제 4 덮개유닛(50a)이 결합되어 형성되며 결합시 내부에 제 2 관통형 동심원(52)이 형성되는 것으로 전술한 관통부(12)의 일부를 덮어주는 동시에 식재되는 가로수의 외측에 면접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제 4 덮개부(50)는 2개의 제 4 덮개유닛(50a)으로 형성되고 결합시 그 중앙측에 제 2 관통형 동심원(52)이 관통 형성되며, 외측 가장자리 상단에는 전술한 제 3 덮개부(40)의 단턱(44)에 안착뒤기 위한 안착돌기(54)가 돌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프레임 본체(10), 제 1 덮개부(20) 내지 제 4 덮개부(50), 그리고 제 1 관통형 동심원(22), 제 1 관통형 편심원(32), 제 2 관통형 편심원(42) 및 제 2 관통형 동심원(52)의 형상, 색상, 규격 등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편심원을 이용한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1)의 전체적인 설치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관통부(12) 내에 가로수가 위치되도록 지면에 프레임 본체(10)를 설치하고, 프레임 본체(10)의 단턱(14) 상에 4개의 제 1 덮개유닛(20a)을 안착시켜 제 1 덮개부(20)를 이루는데 이때 가로수는 제 1 관통형 동심원(22) 내에 있게 된다.
그런 다음, 가로수가 아직 다 자라지 않은 어린 나무일 경우 제 1 덮개유닛(20a)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설치공(28)에 그 하단이 고정도록 지지대(60)를 설치하고, 그 상단은 가로수를 지지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제 1 덮개부(20)의 단턱(24) 상에 2개의 제 2 덮개유닛(30a)을 각각 안착시켜 제 1 관통형 편심원(32)을 이루는 제 2 덮개부(30)를 형성하는데, 이때 제 1 관통형 편심원(32)은 가로수가 식재된 방향에 따라서 가변적으로 위치변경이 가능하다.
즉, 제 2 덮개유닛(30a)들은 그 안착돌기(36)가 제 1 덮개부(20)의 단턱(24)에 안착되어 배치되는데, 가로수가 어떠한 방향에 위치되어 있느냐에 따라서 제 1 관통형 편심원(32) 또한 그에 대응되는 방향에 위치되도록 제 2 덮개부(30)를 배치한다.
그런 다음, 제 2 덮개부(30)의 단턱(34) 상에 2개의 제 3 덮개유닛(40a)들을 안착시켜 제 2 관통형 편심원(42)을 이루는 제 3 덮개부(40)를 형성하는데, 이때 마찬가지로 제 2 관통형 편심원(42)은 가로수가 식재된 방향에 따라서 가변적으로 위치변경이 가능하다.
즉, 앞서 제 1 관통형 편심원(32) 내에 위치된 가로수가 제 1 편심원 내의 어떠한 방향에 위치되어 있느냐에 따라서 제 2 관통형 편심원(42) 또한 그에 대응되는 방향에 위치되도록 제 3 덮개부(40)를 배치한다.
그런 다음, 제 3 덮개부(40)의 안착돌기(46) 상에 2개의 제 4 덮개유닛(50a)들을 안착시켜 제 2 관통형 동심원(52)을 이루는 제 4 덮개부(50)를 형성하는데, 이때 제 2 관통형 동심원(52)은 식재된 가로수에 면접되어 배치되게 된다.
또한, 식재된 가로수가 점차 자라나 그 두께가 두꺼워 지게 되면 설치된 역순으로 각각의 덮개부를 제거하는 것 만으로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 1 덮개부(20) 내지 제 4 덮개부(50) 상에는 각각 관통공(26, 38, 48, 56)이 구비되어 있어, 가로수의 뿌리에 용이하게 수분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심원을 이용한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의 평면도가 도시되는데,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심원을 이용한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1')은 프레임 본체(70)가 사각형상이 아닌 일측이 라운드진 말굽형상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라운드진 측에는 제 1 덮개유닛(20a)이 배치되지 않고 두개의 제 1 덮개유닛(20a) 만으로 제 1 덮개부(20)가 형성된다.
또한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심원을 이용한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의 평면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심원을 이용한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1")은 내부에 관통부가 형성되는 프레임 본체(80)와, 상기 관통부 내에 배치되되 다수의 제 1 덮개유닛이 결합되어 형성되며 결합시 내부에 제 1 관통형 편심원이 형성되는 제 1 덮개부(90)와, 상기 제 1 관통형 편심원 내에 배치되되 다수의 제 2 덮개유닛이 결합되어 형성되며 결합시 내부에 제 2 관통형 편심원이 형성되는 제 2 덮개부(100)와, 상기 제 2 관통형 편심원 내에 배치되되 다수의 제 3 덮개유닛의 결합되어 형성되며 결합시 내부에 제 1 관통형 동심원이 형성되는 제 3 덮개부(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심원을 이용한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1")은 프레임 본체(80) 및 관통부가 사각형상이 아닌 원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제 1 덮개부(20)는 구비되지 않는 한편, 그 관통부 내에 제 2 덮개부(30), 제 3 덮개부(40) 및 제 4 덮개부(50)에 해당하는 제 1 덮개부(90), 제 2 덮개부(100) 및 제 3 덮개부(110)가 구비된다는 점만 다를 뿐, 전체적인 구성 및 결합관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심원을 이용한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1)과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심원을 이용한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심원을 이용한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심원을 이용한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의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심원을 이용한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의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심원을 이용한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심원을 이용한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심원을 이용한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 편심원을 이용한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
10,70,80 : 프레임 본체 12 : 관통부
14, 24, 34, 44 : 단턱 20,90 : 제 1 덮개부
20a : 제 1 덮개유닛 22 : 제 1 관통형 동심원
26, 38, 48, 56 : 관통공 28 : 설치공
30,100 : 제 2 덮개부 30a : 제 2 덮개유닛
32 : 제 1 관통형 편심원 36, 46, 54 : 안착돌기
40,110 : 제 3 덮개부 40a : 제 3 덮개유닛
42 : 제 2 관통형 편심원 50 : 제 4 덮개부
50a : 제 4 덮개유닛 52 : 제 2 관통형 동심원
60 : 지지대

Claims (6)

  1. 내부에 관통부가 형성되는 프레임 본체;
    상기 관통부 내에 배치되되 다수의 제 1 덮개유닛이 결합되어 형성되며 결합시 내부에 제 1 관통형 동심원이 형성되는 제 1 덮개부;
    상기 제 1 관통형 동심원 내에 배치되되 다수의 제 2 덮개유닛이 결합되어 형성되며 결합방향에 따라 내부에 제 1 관통형 편심원이 가변적으로 형성되는 제 2 덮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관통형 편심원 내에는 제 3 덮개부가 배치되되 다수의 제 3 덮개유닛이 결합되어 형성되며 결합방향에 따라 내부에 제 2 관통형 편심원이 가변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관통형 편심원 내에는 제 4 덮개부가 배치되되 다수의 제 4 덮개유닛이 결합되어 형성되며 결합시 내부에 제 2 관통형 동심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원을 이용한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관통부, 상기 제 1 덮개부의 제 1 관통형 동심원, 상기 제 2 덮개부의 제 1 관통형 편심원 및 상기 제 3 덮개부의 제 2 관통형 편심원 측 하단에는 각각 제 1 덮개부, 제 2 덮개부, 제 3 덮개부 및 제 4 덮개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덮개부, 제 3 덮개부 및 제 4 덮개부의 외측 가장자리 상단에는 상기 단턱들에 안착될 수 있도록 각각 안착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원을 이용한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덮개부, 제 2 덮개부, 제 3 덮개부 및 제 4 덮개부 상에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원을 이용한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
  4. 내부에 관통부가 형성되는 프레임 본체;
    상기 관통부 내에 배치되되 다수의 제 1 덮개유닛이 결합되어 형성되며 결합시 내부에 제 1 관통형 편심원이 형성되는 제 1 덮개부;
    상기 제 1 관통형 편심원 내에 배치되되 다수의 제 2 덮개유닛이 결합되어 형성되며 결합시 내부에 제 2 관통형 편심원이 형성되는 제 2 덮개부; 및
    상기 제 2 관통형 편심원 내에 배치되되 다수의 제 3 덮개유닛의 결합되어 형성되며 결합시 내부에 제 3 관통형 동심원이 형성되는 제 3 덮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원을 이용한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
  5. 삭제
  6. 삭제
KR1020090034230A 2009-04-20 2009-04-20 편심원을 이용한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 KR101087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230A KR101087300B1 (ko) 2009-04-20 2009-04-20 편심원을 이용한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230A KR101087300B1 (ko) 2009-04-20 2009-04-20 편심원을 이용한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587A KR20100115587A (ko) 2010-10-28
KR101087300B1 true KR101087300B1 (ko) 2011-11-30

Family

ID=43134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4230A KR101087300B1 (ko) 2009-04-20 2009-04-20 편심원을 이용한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73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1609A (ko) 2020-03-03 2021-09-13 김관수 다각유공 블록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목 보호대
KR20210112720A (ko) 2020-03-06 2021-09-15 강재원 수목 보호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105B1 (ko) * 2010-10-18 2011-02-17 김세흥 비대칭형 편심판 구조의 수목 보호판
WO2012093813A2 (ko) * 2011-01-07 2012-07-12 Kim Se Heung 비대칭형 편심판 구조의 수목 보호판
KR101360265B1 (ko) * 2013-06-12 2014-02-11 추희원 수목 보호커버
KR101514392B1 (ko) * 2014-09-05 2015-04-22 양국승 가로수 보호 덮개
CN105064164B (zh) * 2015-09-17 2018-06-22 钱锦涛 一种透水围树砖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1609A (ko) 2020-03-03 2021-09-13 김관수 다각유공 블록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목 보호대
KR20220038651A (ko) 2020-03-03 2022-03-29 김관수 다각유공 블록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목 보호대
KR20210112720A (ko) 2020-03-06 2021-09-15 강재원 수목 보호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587A (ko) 201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7300B1 (ko) 편심원을 이용한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
CN103069077B (zh) 绿化停车场、栽植单元保护件以及绿化停车场构成件单元
CN204608650U (zh) 一种自动浇水的绿化环保防护栏
KR20070007744A (ko) 수목 관리용 매트
KR20150055370A (ko) 가로수용 수목 보호판
KR200401368Y1 (ko) 가로수 보호판
US20130042528A1 (en) Tree surround decorative planter pot
KR100807771B1 (ko) 잔디블럭 구조물
KR20120002326A (ko) 가로수 보호덮개
KR102141237B1 (ko) 조립식 식생 수로
KR101793070B1 (ko) 중심 이동 및 내경 조절이 가능한 가로수 보호블록
KR200459245Y1 (ko) 가로수보호판
KR20130131053A (ko) 수목 보호용 덮개
KR101250001B1 (ko) 수목보호판
KR20060088582A (ko) 가변형 수목 보호덮개
KR200385191Y1 (ko) 가변형 수목 보호덮개
KR20120005351U (ko) 화분타입의 보차도 경계 펜스
US20080241433A1 (en) Artificial hedge structure
JP2008237056A (ja) 緑化及び雑草抑制のための施工用パネルと、緑化及び雑草抑制のための施工方法
KR101989951B1 (ko) 방근, 방초 기능을 갖는 수목보호판
KR200328626Y1 (ko) 가변형 수목 보호덮개
KR101476269B1 (ko) 수직 기둥의 녹화장치
KR102268141B1 (ko) 조립식 가로수 보호대
KR0131304Y1 (ko) 가로수 보호망
NL2010815A (en) Modular system for arranging plant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