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3070B1 - 중심 이동 및 내경 조절이 가능한 가로수 보호블록 - Google Patents

중심 이동 및 내경 조절이 가능한 가로수 보호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3070B1
KR101793070B1 KR1020170056448A KR20170056448A KR101793070B1 KR 101793070 B1 KR101793070 B1 KR 101793070B1 KR 1020170056448 A KR1020170056448 A KR 1020170056448A KR 20170056448 A KR20170056448 A KR 20170056448A KR 101793070 B1 KR101793070 B1 KR 101793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locks
assembled
inner block
t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6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용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성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성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성기업
Priority to KR1020170056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30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4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vegetation
    • E01C9/005Coverings around trees forming part of the roa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1Protective ground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e.g. for plants in po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목이 식재되는 도로, 인도, 공원, 광장 및 산책로에서 가로수를 보호하는 보호블록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로수가 식재될 공간부를 형성하는 내부면과, 파형으로 형성된 외부면을 이루는 내측블록 및 상기 내측블록의 외부면과 연접하여 결합되는 것으로 내측블록의 외부면의 파형과 대응되는 파형을 이루어 결합력을 높인 내곽면과 직각 또는 원형으로 절곡된 외곽면을 이루는 외측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블록은 4개로 이루어져 각 측면이 연접하여 조립되고, 조립된 내측블록의 외부면과 연접하여 조립되는 4개의 외측블록으로 이루어지되 조립된 복수개의 내측블록간 인접하는 면과 조립된 복수개의 외측블록간 인접하는 면이 닿지 않도록 조립되는 중심 이동 및 내경 조절이 가능한 가로수 보호블록으로 그 효과는 가로수가 식재될 공간부를 형성시키는 크기가 다른 조립체인 4개의 내측블록으로 중심을 편향되게 조립하여 가로수의 식재위치에 따라 유동적으로 공간부를 이동할 수 있고, 내측블록의 조합을 달리하거나 내측블록없이 외측블록만으로 시설되어 가로수의 굵기에 상응하게 조절하여 내경을 변경 시킬 수 있으며, 가로수를 지지하는 수목지지대를 거치할 수 있는 지지대홈에 의하여 수목지지지대의 처짐과 부식을 방지 할 수 있다.

Description

중심 이동 및 내경 조절이 가능한 가로수 보호블록{Roadside protection block with central movement and inner diameter adjustment}
본 발명은 수목이 식재되는 도로, 인도, 공원, 광장 및 산책로에서 가로수를 보호하는 보호블록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로수가 식재될 공간부를 형성하는 내부면과, 파형으로 형성된 외부면을 이루는 내측블록 및 상기 내측블록의 외부면과 연접하여 결합되는 것으로 내측블록의 외부면의 파형과 대응되는 파형을 이루어 결합력을 높인 내곽면과 직각 또는 원형으로 절곡된 외곽면을 이루는 외측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블록은 4개로 이루어져 각 측면이 연접하여 조립되고, 조립된 내측블록의 외부면과 연접하여 조립되는 4개의 외측블록으로 이루어지되 조립된 복수개의 내측블록간 인접하는 면과 조립된 복수개의 외측블록간 인접하는 면이 닿지 않도록 조립되는 중심 이동 및 내경 조절이 가능한 가로수 보호블록에 관한 것이다.
도시의 골격과 선형녹지로서 환경개선의 역할을 하는 가로수는 보행자 뿐만아니라 지역의 거주자에게 먼지의 여과, 소음저하기능, 풍속의 감속, 공기의 건조현상 및 다량의 유수 현상 방지와 더불어 토사의 유출과 토양의 경화를 방지하고, 도시의 미관을 꾸며주는 기능등의 역할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도심 녹지의 연결통로로 소생태계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역할까지 실행하고 있어 자연성 회복의 수단으로도 인식되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 가로수가 시간의 지남에 따라 성장함과 동시에 뿌리 융기현상이 일어나고, 그에 따라서 보행자들이 융기된 뿌리에 걸려 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과 특히, 좁은 보도 폭에 의하여 보행자들의 답압이 누적되어 우수의 지하침투가 어려워져 가로수의 생장이 저하되거나 심하게는 폐사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보호망 또는 보호블록등을 가로수를 중심으로 지면 상부에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금속소재로 이루어진 보호수단은 작은 물리적 충격에도 파손되거나 원래의 위치에서 벗어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고, 그 과정에서 가로수를 다치게 하는 문제점이 일어나며, 하이힐을 신은 보행자의 경우 굽이 걸려 보행에 불편함을 주고, 소재를 이루는 대부분이 철이므로 외부에서 장기간 노출로 인한 산화가 일어나 미관을 해치고, 고철 값의 인상으로 도난사고가 자주 일어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보호블록과 금속소재의 보호망은 뿌리융기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으며, 작은 묘목에서 성장하는 가로수의 경우 지면 아래로 뿌리의 성장방향이 달라지거나 지면 상부로 나무의 성장방향이 변하여 편심이 발생되고, 상기의 편심 현상은 종래의 보호블록과 금속소재의 보호망의 형태에 있어서 가로수가 자라는 공간을 가지는 중앙부분의 넓이가 한정되어 있다는 점으로 볼때 가로수의 성장을 방해요인이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의 종래 기술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들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313540호(2013.10.01.) 비소성 무기결합재를 이용한 가로수 보호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가로수 보호블록은 메인 프레임 내측에 식생공간이 형성된 보조프레임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8구간으로 분할되어 형성되고, 상기 보조 프레임은 4 내지 8구간으로 분할되어 형성되어 식생공간의 내경을 넓히거나 줄일 수 있는 가로수 보호블록을 제공하고, 한국등록실용신안 실0117849호(1997.04.25.)는 조립식 가로수 보호판으로 중심부에 식목공간부를 형성케 하는 크고 작은 다수 동형의 내측판부재와 외측으로 이들을 받쳐 지지하여 주는 4개의 외과 받침부재를 동형으로 형성하되, 외곽부재의 양단으로 각기 형성된 결합돌기와 결합구멍을 상호 연결 결합시켜 사각체로 형성한 후, 외곽부재의 사방 내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결착공을 갖는 재치다단턱에 상기 내측판 부재의 후면부와 양단부로 형성된 걸림다단턱과 다수개의 결착구가 재치되어 결착되도록 하고, 내측판 부재의 내측으로 다수 결착공을 갖는 재치다단턱에 역시 동형의 내측판 부재가 재치 결착되어 사방으로 돌아가면서 연계 조립시켜서 판상의 가로수 보호판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도로변의 경계석으로부터 근, 원접 식재된 가로수의 다양한 위치에 따라 가로수 보호판의 식목공간부의 위치를 알맞게 가변 조립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가로수목의 성장에 의한 근원직경에 따라 수시로 식목공간부를 확장 가변시킬수 있는 가로수 보호판을 제공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13540호(2013.10.01.) 한국등록실용신안 실0117849호(1997.04.25.)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기술과 선행기술들이 근본적인 해결이 어려운 가로수의 뿌리 융기로 인하여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가로수의 식재 위치에 따라 내측블록의 중심을 편향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가로수의 성장에 따라 내측블록의 조합을 변화시켜 가로수의 굵기에 상응하게 조절할 수 있고, 도시미관을 해치지 않으며 수목 지지대의 처짐 및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중심 이동 및 내경 조절이 가능한 가로수 보호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심 이동 및 내경 조절이 가능한 가로수 보호블록은 가로수가 식재될 공간부를 형성하는 내부면과, 파형으로 형성된 외부면을 이루는 내측블록(10); 및 상기 내측블록(10)의 외부면과 연접하여 결합되는 것으로 내측블록(10)의 외부면의 파형과 대응되는 파형을 이루어 결합력을 높인 내곽면과 직각 또는 원형으로 절곡된 외곽면을 이루는 외측블록(20);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블록(10)은 4개로 이루어져 각 측면이 연접하여 조립되고, 조립된 내측블록(10)의 외부면과 연접하여 조립되는 4개의 외측블록(20)으로 이루어지되 조립된 복수개의 내측블록(10)간 인접하는 면과 조립된 복수개의 외측블록(20)간 인접하는 면이 닿지 않도록 조립된다.
상기 내측블록(10)과 외측블록(20)은 측단면으로 보았을 때 상부면과 각 측면이 만나는 모서리는 굴곡을 형성하고 있어 조립되었을 때 접합영역에 소정 깊이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측블록(10)은 외부면으로부터 내부면까지 길이가 다른 제1내측블록(12) 및 제2내측블록(14)과 좌측 및 우측의 길이가 다르되 그 길이가 각각 상기 제1내측블록(12)과 제2내측블록(14)의 길이와 동일한 제3내측블록(16)과 제4내측블록(18)을 포함한다.
상기 제1내측블록(12) 내지 제4내측블록(14)은 조립시 측면 길이가 동일한 내측블록(10)을 연접하여 조립시켜 가로수가 식재되는 중심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내측블록(10)은 4개의 제1내측블록(12) 또는 제2내측블록(14)으로만 이루어지거나 각 2개씩 제3내측블록(16)과 제4내측블록(18)으로 이루어져 조립되어 내경의 크기를 조절 할 수 있다.
상기 외측블록(20) 평면 중앙에는 소폭의 홈이 형성되어 수목지지대의 하단 끝단을 지지하는 지지대홈(22)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홈(22)에는 가로수 방향으로 우수를 흘러보내는 홈이 내측블록(10)과 외측블록(20)이 맞닿는 접합영역까지 형성되어 있는 중심 이동 및 내경 조절이 가능한 가로수 보호블록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중심 이동 및 내경 조절이 가능한 가로수 보호블록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은 가로수가 식재될 공간부를 형성시키는 크기가 다른 조립체인 4개의 내측블록으로 중심을 편향되게 조립하여 가로수의 식재위치에 따라 유동적으로 공간부를 이동할 수 있다.
(2) 본 발명은 내측블록의 조합을 달리하거나 내측블록 없이 외측블록만으로 시설되어 가로수의 굵기에 상응하게 조절하여 내경을 변경 시킬 수 있다.
(3) 본 발명은 가로수를 지지하는 수목지지대를 거치할 수 있는 지지대홈에 의하여 수목지지지대의 처짐과 부식을 방지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중심 이동 및 내경 조절이 가능한 가로수 보호블록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블록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홈을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블록의 조합을 다르게 조합하여 보호블록의 내경변화를 도시한 실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블록을 편향되게 결합하여 가로수의 식재공간부을 변화를 도시한 실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블록과 외측블록의 색상 차이에 의한 다양한 컬러를 갖는 가로수 보호블록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명칭은 "중심 이동 및 내경 조절이 가능한 가로수 보호블록"으로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구체적인 내용을 기재하고 충분히 유추 가능한 별도의 기재는 생략하며 필요 경우 실시예 및 도면을 기재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용어들은 한정 해석하지 아니하며,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있어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중심 이동 및 내경 조절이 가능한 가로수 보호블록의 분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블록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블록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홈을 나타내는 부분확대도로 하기에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개진한다.
나무를 식재하여 보호하는 가로수 보호블록에 있어서,
상기 가로수 보호블록은,
가로수가 식재될 공간부를 형성하는 내부면과, 파형으로 형성된 외부면을 이루는 내측블록(10); 및
상기 내측블록(10)의 외부면과 연접하여 결합되는 것으로 내측블록(10)의 외부면의 파형과 대응되는 파형을 이루어 결합력을 높인 내곽면과 직각 또는 원형으로 절곡된 외곽면을 이루는 외측블록(20);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블록(10)은 4개로 이루어져 각 측면이 연접하여 조립되고, 조립된 내측블록(10)의 외부면과 연접하여 조립되는 4개의 외측블록(20)으로 이루어지되 조립된 복수개의 내측블록(10)간 인접하는 면과 조립된 복수개의 외측블록(20)간 인접하는 면이 닿지 않도록 조립된다.
상기 내측블록(10)과 외측블록(20)은 측단면으로 보았을 때 상부면과 각 측면이 만나는 모서리는 굴곡을 형성하고 있어 조립되었을 때 접합영역에 소정 깊이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개의 내측블록(10)과 외측블록(20)을 연접하여 생성되는 접합영역의 소정 깊이의 홈은 우수가 흐르는 수로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때 우수의 흐름 방향을 가로수가 식재된 공간부로 하여 우수의 지하침투를 원활히 한다.
상기 내측블록(10)은 외부면으로부터 내부면까지 길이가 다른 제1내측블록(12) 및 제2내측블록(14)과 좌측 및 우측의 길이가 다르되 그 길이가 각각 상기 제1내측블록(12)과 제2내측블록(14)의 길이와 동일한 제3내측블록(16)과 제4내측블록(18)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내측블록(12)과 제2내측블록(14)을 평면에서 볼때 각각 좌측 및 우측의 외부면에서 내부면까지의 길이는 동일하되 제1내측블록(12)이 제2내측블록(14)보다 길고, 제3내측블록(16)과 제4내측블록(18)의 일측면은 제1내측블록(12)과 동일하고 그 반대측면은 제2내측블록(14)과 동일하되 제3내측블록(16)과 제4내측블록(18)은 좌우 측면의 길이는 대응되는 형태를 가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블록의 조합을 다르게 조합하여 보호블록의 내경 변화를 도시한 실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블록을 편향되게 결합하여 가로수의 식재공간부을 변화를 도시한 실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블록과 외측블록의 색상 차이에 의한 다양한 컬러를 갖는 가로수 보호블록의 사시도로 하기에 도 5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개진한다.
상기 제1내측블록(12) 내지 제4내측블록(18)은 조립시 측면 길이가 동일한 내측블록(10)을 연접하여 조립시켜 가로수가 식재되는 중심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제1내측블록(12)의 좌측 및 우측에는 제3내측블록(16)과 제4내측블록(18)이 위치하고 제1내측블록(12)의 반대편에 제2내측블록(14)이 위치하며 도 6과 같이 내측블록(10)의 외부면의 파형과 외측블록(20)의 내곽면의 파형을 연접하며 가로수의 식재되는 중심에 맞추어 중심영역을 변경한다.
상기 내측블록(10)은 4개의 제1내측블록(12) 또는 제2내측블록(14)으로만 이루어지거나 각 2개씩 제3내측블록(16)과 제4내측블록(18)으로 이루어져 조립되어 가로수가 식재되는 공간부의 넓이를 나타내는 내경의 크기를 조절 할 수 있다.
상기 내경의 크기인 가로수의 공간부의 넓이를 순차적으로 보면 제1내측블록(12) 4개를 이용하여 조립되었을때 내경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제일 작고, 제3,4내측블록(16, 18) 각 2개씩 조립되었을때 그 다음으로 작으며, 제1,2,3,4내측블록(12, 14, 16, 18)으로 조립되었을때와 제2내측블록(14) 4개로 조립되었을때 그 크기가 중간이며, 내측블록(10)을 설치하지 않을때 의 내경 순으로 크기가가 커진다.
상기 외측블록(20) 평면 중앙에는 소폭의 홈이 형성되어 수목지지대의 하단 끝단을 지지하는 지지대홈(22)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홈(22)에는 가로수 방향으로 우수를 흘러보내는 홈이 생성되어 지지대홈(22) 내부에 수분을 배출시키는 작용을 일으키고, 이때 지지대홈(22)에서 우수를 배출시키는 홈은 내측블록(10)과 외측블록(20)이 맞닿는 접합영역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내측블록(10)들의 내부면은 직각 또는 파형등 다양한 형상의 굴곡면을 가져도 무방하고, 외측불록(20)의 외곽면도 다양한 형상을 이루어도 무방하다.
또한, 외측블록(20)에 지지대홈(22)을 구비하지 않아도 무방하며, 내측블록(10)에 지지대홈을 구비하고, 이때 우수를 흘러보내는 홈이 가로수가 식재된 공간부까지 구성되어야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가로수 보호블록의 재질은 일반적인 시멘트 또는 광석으로 이루어지거나 우레탄계 또는 폴리머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며, 더 효과적인 우수의 지하침투를 위해 투수성 골재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소재들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투수성 골재는 잔골재와 굵은골재가 혼합되어 제조되는 것으로 이때 표면층을 이루는 잔골재의 직경은 1 ~ 5㎜, 배면층을 이루는 굵은골재의 직경은 13 ~ 20㎜으로 이루어져 표면적이 넓어 결합력이 큰 잔골재를 노출되는 표면에 위치시켜 보호블록의 외부에서 받는 물리적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고, 굵은골재를 배면에 위치시켜 우수의 지하침투를 원활히 한다.
본 발명은 내측블록과 외측블록으로 구성되되 가로수 식재될 공간부 주위에 설치되는 내측블록의 4개 조립체는 그 크기가 다르고 중심이 편향되게 형성되며, 내측블록과 연접하는 외측블록과의 결합 형태는 파형으로 형성되 결합력을 높였고, 외측블록은 4개의 조립체를 동일한 형태로 외곽을 정방형으로 형성하여, 가로수의 식재 위치에 따라 내측블록을 편향되게 결합할 수 있으며, 가로수의 성장에 따라 내측블록의 조합을 달리하여 가로수의 굵기에 상응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외측블록에는 수목지지대를 거치할 수 있는 지지대홈을 두어 지지대가 블록을 관통되지 않도록 구비되어 있어 수목 지지대의 처짐과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은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내측블록 18 : 제4내측블록
12 : 제1내측블록 20 : 외측블록
14 : 제2내측블록 22 : 지지대홈
16 : 제3내측블록

Claims (6)

  1. 나무를 식재하여 보호하는 가로수 보호블록에 있어서,
    상기 가로수 보호블록은,
    가로수가 식재될 공간부를 형성하는 내부면과, 파형으로 형성된 외부면을 이루는 내측블록; 및
    상기 내측블록의 외부면과 연접하여 결합되는 것으로 내측블록의 외부면의 파형과 대응되는 파형을 이루어 결합력을 높인 내곽면과 직각 또는 원형으로 절곡된 외곽면을 이루는 외측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블록은 4개로 이루어져 각 측면이 연접하여 조립되고, 조립된 내측블록의 외부면과 연접하여 조립되는 4개의 외측블록으로 이루어지되 조립된 복수개의 내측블록간 인접하는 면과 조립된 복수개의 외측블록간 인접하는 면이 닿지 않도록 조립되고,
    상기 내측블록은 외부면으로부터 내부면까지 길이가 다른 제1내측블록 및 제2내측블록과 좌측 및 우측의 길이가 다르되 그 길이가 각각 상기 제1내측블록과 제2내측블록의 길이와 동일한 제3내측블록과 제4내측블록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 이동 및 내경 조절이 가능한 가로수 보호블록.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블록과 외측블록은 측단면으로 보았을 때 상부면과 각 측면이 만나는 모서리는 굴곡을 형성하고 있어 조립되었을 때 접합영역에 소정 깊이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 이동 및 내경 조절이 가능한 가로수 보호블록.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측블록 내지 제4내측블록은 조립시 측면 길이가 동일한 내측블록을 연접하여 조립시켜 가로수가 식재되는 중심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 이동 및 내경 조절이 가능한 가로수 보호블록.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블록은 4개의 제1내측블록 또는 제2내측블록으로만 이루어지거나 각 2개씩 제3내측블록과 제4내측블록으로 이루어져 조립되어 내경의 크기를 조절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 이동 및 내경 조절이 가능한 가로수 보호블록.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블록 평면 중앙에는 소폭의 홈이 형성되어 수목지지대의 하단 끝단을 지지하는 지지대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홈에는 가로수 방향으로 우수를 흘러보내는 홈이 내측블록과 외측블록이 맞닿는 접합영역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 이동 및 내경 조절이 가능한 가로수 보호블록.
KR1020170056448A 2017-05-02 2017-05-02 중심 이동 및 내경 조절이 가능한 가로수 보호블록 KR101793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448A KR101793070B1 (ko) 2017-05-02 2017-05-02 중심 이동 및 내경 조절이 가능한 가로수 보호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448A KR101793070B1 (ko) 2017-05-02 2017-05-02 중심 이동 및 내경 조절이 가능한 가로수 보호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3070B1 true KR101793070B1 (ko) 2017-11-20

Family

ID=60809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448A KR101793070B1 (ko) 2017-05-02 2017-05-02 중심 이동 및 내경 조절이 가능한 가로수 보호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30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1992A (ko) 2018-04-19 2019-10-29 (주)유니블록 수목 보호용 블록, 수목 보호용 블록 성형틀, 및 수목 보호용 블록의 시공방법
KR102323550B1 (ko) 2021-07-26 2021-11-09 (주)봉황씨원 물 공급기능을 갖는 수목보호 조립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228Y1 (ko) * 2004-07-23 2004-10-15 (주) 동산조경 식생 수목 보호판
KR101636912B1 (ko) * 2015-08-21 2016-07-06 박영근 수목 보호 블럭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228Y1 (ko) * 2004-07-23 2004-10-15 (주) 동산조경 식생 수목 보호판
KR101636912B1 (ko) * 2015-08-21 2016-07-06 박영근 수목 보호 블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1992A (ko) 2018-04-19 2019-10-29 (주)유니블록 수목 보호용 블록, 수목 보호용 블록 성형틀, 및 수목 보호용 블록의 시공방법
KR102323550B1 (ko) 2021-07-26 2021-11-09 (주)봉황씨원 물 공급기능을 갖는 수목보호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11127B2 (ja) 緑化駐車場、植栽ユニット保護材および緑化駐車場構成材ユニット
KR101793070B1 (ko) 중심 이동 및 내경 조절이 가능한 가로수 보호블록
KR101636912B1 (ko) 수목 보호 블럭
KR100666089B1 (ko) 건축물 단지 내 조경가로수 보호대
KR101087300B1 (ko) 편심원을 이용한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
KR101203043B1 (ko) 가로수 보호덮개
KR100684542B1 (ko) 도로용 법면 보호블록 설치구조
KR100807771B1 (ko) 잔디블럭 구조물
CN108729323A (zh) 隐蔽式道路
KR200365228Y1 (ko) 식생 수목 보호판
KR100968945B1 (ko) 일체형 가로수 보호장치
KR102141237B1 (ko) 조립식 식생 수로
KR100525748B1 (ko) 도로의 가로수보호장치
KR200445933Y1 (ko) 가로수 보호덮개
KR20080000754U (ko) 가로수보호판
KR100892256B1 (ko) 가로수 조경용 블록
CN217850515U (zh) 一种海绵型树池
KR200410826Y1 (ko) 하천 제방의 사면용 보호블록 설치구조
CN220364818U (zh) 蜂窝状树池篦子及其安装结构
KR200304722Y1 (ko) 도로의 친환경 가로수 보호블록
KR101186671B1 (ko) 띠녹지용 가로수 보호덮개
CN220724750U (zh) 模块化树池篦子及其安装结构
KR200278773Y1 (ko) 가로수 및 잔디용 보호판장치
CN220685680U (zh) 一种装配式混凝土人行道结构
KR101067389B1 (ko) 수목보호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