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8773Y1 - 가로수 및 잔디용 보호판장치 - Google Patents

가로수 및 잔디용 보호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8773Y1
KR200278773Y1 KR2020020009033U KR20020009033U KR200278773Y1 KR 200278773 Y1 KR200278773 Y1 KR 200278773Y1 KR 2020020009033 U KR2020020009033 U KR 2020020009033U KR 20020009033 U KR20020009033 U KR 20020009033U KR 200278773 Y1 KR200278773 Y1 KR 2002787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late
protective plate
roadside
la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0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철
Original Assignee
김동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철 filed Critical 김동철
Priority to KR20200200090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87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87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8773Y1/ko

Links

Landscapes

  • Protection Of Plant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로수 주번이나 잔디 조성 지역에 설치하여 행인이나 오물투척 등과 같은 외부요인으로부터 가로수 및 잔디를 보호하기 위한 가로수 및 잔디용 보호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호 형상적으로 대칭되는 한쌍의 보호판부가 합쳐져 사각의 보호판을 형성하고, 상기 보호판의 중앙에 안착되는 덮개가 구비되며, 상기 각 보호판부에는 외곽 테두리를 따라 지지부가 만곡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각 보호판부의 외곽으로 인도와 구분하기 위해 2중으로 블럭을 설치하고 이 중 안측으로 구비된 블럭에는 고정부재를 체결하여 상기 보호판부의 지지부가 끼움 결합될 수 있어 지면으로부터 상기 보호판부가 소정높이로 이격될 수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로수 및 잔디용 보호판장치{Protecting Plate Device For Trees And Lawn}
본 고안은 가로수 및 그 주변의 조경용 잔디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도와의 경계를 구분지으며 보호판을 지면에 대해 소정높이로 이격시켜 고정시키기 위한 중공의 블럭이 구비되며, 보호판은 외곽 테두리에 지지부가 연장 형성되고 양측으로 분리될 수 있는 한쌍의 보호판부로 이루어지며, 중앙의 요구에는 가로수 또는 잔디 등의 보호대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덮개가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보호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심의 차도와 인도의 경계 지점에는 조경 및 공기정화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가로수 및 잔디밭이 일정거리를 두고 조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로수나 잔디밭의 조성은 보통 시청이나 구청과 같은 공공기관에서 시행하게 되는데, 이 때 행인들의 오물 투척이나 타격 등의 외부요인으로부터 가로수가 보호될 수 있도록 철제의 보호수단이 가로수를 중심으로 그 주변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보호수단은 판넬 형태의 보호판(7)으로 동일 평면상에 복수개의 격자무늬를 이루는 관통구(3)가 형성되고, 그 외형이 사각에서부터 팔각까지 제작회사마다 각기 다른 형상을 취하고 있는데, 도 1의 사시도나 도 2의 단면도에서와 서로 대칭되는 한쌍의 보호판부(1)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각 보호판부(1)는 서로 대면하는 중앙부위가 각각 반원으로 파여져 있어 서로 결합하였을 경우 가로수(200)의 몸체가 자리잡을 수 있도록 원형의 안착구(5)가 형성된다.
이 때 가로수는 인도에서 보드블럭(400)이 설치되지 않은 지면에 심어져 조성되는데, 상기 보드블럭(400)과 지면의 경계부위에는 사각의 석재블럭(9)이 구비되어 전반적으로 상기 가로수(200)를 중심으로 그 주변에 사각의 경계영역이 형성된다.
그리고 가로수(200)와 그 석재블럭(9) 사이의 지면 상에 상기 보호판(7)이 안착되며, 이 때 안착구(5)에는 상기 가로수(200)가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 상기 보호판(7)은 도 2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설치될 경우 지면에 하부가 곧바로 밀착된다. 이 때 지면에는 잔디나 그 밖의 식물군이 가로수(200)와 더불어 성장하게 되는데 상기 보호판(7)의 밀착으로 그 성장이 방해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잔디나 그 밖의 식물 성장을 위해 상기 보호판에는 앞에서 언급된 다수개의 관통구(3)가 형성되어 있지만, 지면과 보호판(7)과의 사이에 성장에 필요한 최소한의 여유공간도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단순히 지면에 대한 통기구멍으로서 기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종래 보호판(7)은 순전히 가로수(200)에 대한 보호용으로만 제작되어 있어 가로수(200)와 더불어 가로수(200) 설치방향으로 별도로 형성되는 잔디밭의 보호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아예 그러한 잔디밭을 위한 보호판(7)의 개발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가로수(200)와 더불어 그 주변으로 자라는 기생식물이나 잔디 등의 보호기능을 수행하며, 가로수(200)의 장기간 보호에 필요한 주변 식물들이 성장할 수 있는 여유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 구조의 보호판(7)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제 1목적은, 가로수의 보호와 더불어 그 주변으로 산재한 식물의 보호공간이 마련될 수 있는 가로수 및 잔디용 보호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 2목적은, 가로수 또는 잔디와 같이 그 보호대상에 따라 구조 변경이 용이한 가로수 및 잔디용 보호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들은, 상호 밀착되어 동일 평면상에서 대칭을 이루도록 대면하는 측부 양측이 일방향으로 돌출하여 한쌍의 밀착부(11a)가 형성되고, 상기 각 밀착부(11a)의 사이에는 상대적으로 소정형상의 요구(11b)가 형성되며, 복수열의 통기공이 표면을 관통하여 격자무늬를 이루는 한쌍의 보호판부(11);
상기 각 요구(11b)의 테두리 하단을 따라 일정한 너비로 수평 연장되는 안착부(11c);
상기 각 보호판부(11)가 소정높이로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각 보호판부(11)의 외곽 테두리에 일정각도로 하향 만곡되어 연장되는 지지부(11e); 및
상기 각 보호판부(11)의 외곽에 형상적으로 대응하여 위치하며 상기 각 보호판부(11)가 하향 안착되면서 일측에 구비된 고정부재(31)에 상기 지지부(11e)가 대응하여 끼움 결합되는 제 1블럭(30); 및
상기 각 보호판부(11)와 인도가 구분되도록 상기 제 1블럭(30)의 외곽을 따라 위치하며 상기 제 1블럭(30)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제 2블럭(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로수 및 잔디용 보호판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보호판부(11)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각 요구(11b)의 결합 형상에 대응하여 하향 안착되면서 상기 안착부(11c) 상단에 테두리의 하단 부위가 밀착 지지되며, 표면에 상기 통기구(11d)가 복수열로 관통 형성되는 덮개(2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31)는 상기 제 1블럭(30)의 안측면에 체결되는 고정판(31a)과,
상기 고정판(31a)의 상단이 외곽으로 절곡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1블럭(30)의 상면에 대해 소정높이를 두고 위치하는 탄성판(31b)과,
상기 탄성판(31b)의 끝단이 상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11e)의 하단이 끼워져 탄성적으로 강제 고정되도록 끝단에 탄성편(31d)이 연장 형성되는 끼움판(31c)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 제 1블럭(30)과 제 2블럭(50)은 각각 사각의 중공축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블럭(30)과 제 2블럭(50)은 상호 밀착되는 부분이 용접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그 밖에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 가로수용 보호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로수 및 잔디용 보호판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로수 및 잔디용 보호판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가로수 및 잔디용 보호판장치의 제 1사용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가로수 및 잔디용 보호판장치의 제 2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따른 부호의 설명 >
1: 보호판부 3: 관통구
5: 안착구 7: 보호판
9: 석재블럭 11: 보호판부
11a: 밀착부 11b: 요구
11c: 안착부 11d: 통기구
11e: 지지부 20: 덮개
30: 제 1블럭 31: 고정부재
31a: 고정판 31b: 탄성판
31c: 끼움판 31d: 탄성편
40: 볼트 50: 제 2블럭
100: 보호판 장치 200: 가로수
300: 잔디 400: 보도블럭
다음으로는 본 고안에 따른 가로수 및 잔디용 보호판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로수 및 잔디용 보호판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로수 및 잔디용 보호판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판장치(100)는 한쌍의 철재 보호판부(11)가 동일평면상에 형상적으로 상호 대칭을 이루어 결합되고, 사각의 철재 블럭(30,50)이 2중으로 각 보호판부(11)의 외곽에 위치하여 인도와 구분하며, 상기 합쳐진 각 보호판부(11)의 중앙에 원형으로 공간이 형성되어 상응하는 원형의 덮개(20)가 결합된다.
이 때 상기 사각의 블럭(30,50) 중 안측으로 구비되는 제 1블럭(30)에는 상기 각 보호판부(11)의 지지부(11e)와 결합되도록 고정부재(31)가 구비된다.
상기 각 보호판부(11)는 동일 평면상에서 형상적으로 대칭되도록 밀착되면서 가로 세로가 약 1000mm 정도인 사각의 판재 형태를 이루는 철강제품으로, 상기 각보호판부(11)의 표면에는 수직으로 통기구(11d)가 복수열로 형성되어 전반적으로 격자무늬 형태를 이룬다.
상기 각 보호판부(11)는 상호 대면하는 측부의 양측이 일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밀착부(11a)가 형성되고, 이에 상대적으로 중앙부위에는 반경이 약 250mm 정도인 반원형상의 요구(11b)가 형성된다.
상기 요구(11b)의 테두리 하단에는 소정너비의 안착부(11c)가 수평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각 보호판부(11)가 동일평면상에서 형상적으로 대칭되도록 결합하게 되면, 우선 상기 각 보호판부(11)의 대면하는 밀착부(11a)가 서로 밀착되며 각 요구(11b)는 내경이 약 500mm 정도의 원으로 합쳐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20)는 테두리 하단부위가 상기 각 요구(11b)의 안착부(11c)에 안착되면서 상기 보호판부(11)의 중앙에 결합되는데, 상기 각 보호판부(11)와 같이 통기구(11d)가 형성되며 통기구(11d)의 형성으로 이루어지는 격자무늬가 각 보호판부(11)의 격자무늬와 연속되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각 보호판부(11)의 외곽 테두리에는 상기 보호판부(11)의 평면에 대해 약 45°정도의 각도로 만곡되어 연장되며 길이가 약 75mm 정도의 지지부(11e)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1e)는 상기 제 1블럭(30)에 결합되어 고정되는데, 상기 제 1블럭(30)은 중공의 사각축 형상으로 상기 각 보호판부(11)의 외곽 하부로 위치하여 상부에 상기 지지부(11e)가 고정부재(31)로 끼움 결합되며, 상기 제 1블럭(30)의외곽을 따라 상기 각 보호판부(11)가 인도와 구분되도록 제 2블럭(50)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 2블럭(50) 또한 상기 제 1블럭(30)과 같이 사각의 중공축 형태로서 상기 제 1블럭(30)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 20mm 정도의 높으며, 안측면에 상기 제 1블럭(30)이 용접으로 결합된다.
이 때 상기 제 2블럭(50)과 제 1블럭(30)의 높이차에 해당하는 부위로 상기 고정부재(31)가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고정부재(31)는 상기 제 1블럭(30)을 따라 가로 방향으로 2개가 구비되고 세로 방향으로 중앙에 1개가 체결된다.
상기 고정부재(31)에서 상기 제 2블럭(50)에 대한 체결부위가 고정판(31a)으로 상기 제 2블럭(50)의 안측면에 위치하여 2개의 볼트(40)로 체결되며, 상기 체결판의 상단이 상기 제 2블럭(50)의 상면으로 수평 절곡되고 연장되어 탄성판(31b)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판(31b)과 상기 제 2블럭(50)의 상면과의 차이가 바로 상기 제 1블럭(30)과 제 2블럭(50)의 높이차에 해당하는 약 2cm 정도이다. 따라서 상기 탄성편(31d)과 상기 1블럭의 상면은 거의 동일평면상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판(31b)의 끝단이 상향 절곡되어 연장된 것이 끼움판(31c)이며, 상기 끼움판(31c)의 끝단이 안측으로 만곡되어 형성된 것이 탄성편(31d)이다. 이러한 상기 끼움판(31c)에 상기 각 보호판부(11)의 지지부(11e)가 끼워져 고정되는데, 상기 각 보호판부(11)가 하향 안착되면서 지지부(11e)의 끝단이 탄성편(31d)을 가압하면서 벌리게 되면 지지부(11e)의 끝단과 상기 끼움판(31c)의 안측면이 형상적으로 대응하여 밀착된다.
그러면 상기 탄성편(31d)은 그 형상이 복원되면서 상기 지지부(11e) 끝단을 탄성적으로 강제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끼움판(31c) 및 탄성편(31d)의 변형 중심은 상기 고정판(31a)의 체결부위이며 상기 탄성판(31b)이 상기 고정판(31a)의 체결부위를 중심으로 움직이면서 그 변형 및 복원이 실현된다.
이러한 상기 보호판 장치(100)는 우선 사각의 제 2블럭(50) 및 제 1블럭(30)을 가로수(200) 또는 잔디(300)가 조성될 지면위에 안착시키고, 상기 제 1블럭(30)의 안측면에 고정부재(31)를 체결한 뒤, 각 보호판부(11)의 지지부(11e)를 상기 각 고정부재(31)의 끼움판(31c)에 끼워 탄성편(31d)으로 고정시킨다.
만일 보호 대상이 잔디(300)나 그에 상응하는 식물군이면 덮개(20)를 각 보호판(11)의 요구(11b)가 합쳐진 이루어진 원형의 공간에 안착시켜 안착부(11c)에 의해 밀착지지되도록 하고, 보호대상이 가로수(200)이면 덮개(20)는 생략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가로수 및 잔디용 보호판장치의 제 1사용상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수(200)가 조성된 도심의 인도에 보도블럭(400)과 구분되도록 최외곽에는 사각의 제 2블럭(50)이 위치하고, 상기 제 2블럭(50)의 안측면을 따라 제 1블럭(30)이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 1블럭(30)의 상부면에 상기 각 보호판부(11)가 형상적으로 대칭되도록 결합되어 지면상에 위치하며, 각 보호판부(11)의 요구(11b)가 원형으로 합쳐진 중앙의 공간에는 가로수(200)가 위치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 1블럭(30)의 높이만큼 상기 각 보호판부(11)의 하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므로, 상기 가로수(200)와 공생하는 각종 잔디(300)나 기생식물군이 각 보호판부(11)의 통기구(11d)를 통해 성장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가로수 및 잔디용 보호판장치의 제 2사용상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지조성을 위해 잔디(300)가 심어진 지역에는 행인들로부터 잔디(300)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쌍의 보호판부(11)가 동일평면상에서 형상적으로 대칭되도록 밀착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각 보호판부(11)의 최외곽으로는 보드블럭(400)과의 구분을 위해 제 2블럭(50)이 위치하며, 상기 각 보호판부(11)와 제 2블럭(50)의 사이로 제 1블럭(30)이 위치하는데, 상기 각 보호판부(11)의 지지부(11e)가 상기 제 1블럭(30)에 체결된 고정부재(31)에 끼워짐으로써 서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각 보호판부(11)는 잔디(300)가 심어진 지면에 대해 상기 제 1블럭(30)의 높이에 상기 고정부재(31)의 높이가 합산된 높이만큼 수평으로 이격된다.
또한 상기 보호판부(11)의 요구(11b)가 합쳐지면 중앙에 원형의 공간이 형성되는데, 그 위로 원형의 덮개(20)가 안착된다. 이 때 상기 각 보호판부(11)와 상기 덮개(20)가 동일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각 요구(11b)의 하단 테두리에는 상기 덮개(20)의 두께와 동일한 깊이의 위치로 상기 덮개(20)를 떠받치는 안착부(11c)가 형성된다.
그러면 잔디(300)는 지면과 제 1블럭(30)과의 높이차에 의해 형성된 공간속에서 성장하여 상기 각 보호판부(11) 및 덮개(20)의 통기구(11d)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태양빛을 수광할 수 있어 원활한 광합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보호판 장치(100)에서, 상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보호대상인 가로수(200)의 크기나 잔디(300)의 조성규모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블럭(30)에 대한 상기 고정부재(31)의 설치 개수 또한 보호판부(11)의 규모에 따라 임의로 달리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요구(11b)가 합쳐져 표현되는 형상이나 그에 따른 덮개(20)의 형상 또한 원형 이외에, 타원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칠각형, 팔각형 및 그 외의 다각형의 형상 중에서 임의로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11e)로 언급된 45°정도의 만곡각도는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필요에 따라 임의로 달리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각 보호판부(11)의 재질은 철재 이외에,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플라스틱 중에서 임의로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블럭(30,50)의 재질 또한 철재 이외에, 목재, 석재, 플라스틱 중에서 임의로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가로수 및 잔디 보호판 장치에 따르면, 지면에 대해 일정한 높이로 이격되어 안측에 공간을 마련함으로써, 잔디와 같이 가로수에 비해 그 규모가 작은 식물군의 성장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보호대상에 따라 그 구조를 달리하여 적절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인도와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한 블럭에 고정부재를 마련하여 보호판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5)

  1. 상호 밀착되어 동일 평면상에서 대칭을 이루도록 대면하는 측부 양측이 일방향으로 돌출하여 한쌍의 밀착부(11a)가 형성되고, 상기 각 밀착부(11a)의 사이에는상대적으로 소정형상의 요구(11b)가 형성되며, 복수열의 통기공이 표면을 관통하여 격자무늬를 이루는 한쌍의 보호판부(11);
    상기 각 요구(11b)의 테두리 하단을 따라 일정한 너비로 수평 연장되는 안착부(11c);
    상기 각 보호판부(11)가 소정높이로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각 보호판부(11)의 외곽 테두리에 일정각도로 하향 만곡되어 연장되는 지지부(11e);
    상기 각 보호판부(11)의 외곽에 형상적으로 대응하여 위치하며 상기 각 보호판부(11)가 하향 안착되면서 일측에 구비된 고정부재(31)에 상기 지지부(11e)가 대응하여 끼움 결합되는 제 1블럭(30); 및
    상기 각 보호판부(11)와 인도가 구분되도록 상기 제 1블럭(30)의 외곽을 따라 위치하며 상기 제 1블럭(30)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제 2블럭(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로수 및 잔디용 보호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보호판부(11)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각 요구(11b)의 결합 형상에 대응하여 하향 안착되면서 상기 안착부(11c) 상단에 테두리의 하단 부위가 밀착 지지되며, 표면에 상기 통기구(11d)가 복수열로 관통 형성되는 덮개(2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및 잔디용 보호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1)는 상기 제 1블럭(30)의 안측면에 체결되는 고정판(31a)과,
    상기 고정판(31a)의 상단이 외곽으로 절곡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1블럭(30)의 상면에 대해 소정높이를 두고 위치하는 탄성판(31b)과,
    상기 탄성판(31b)의 끝단이 상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11e)의 하단이 끼워져 탄성적으로 강제 고정되도록 끝단에 탄성편(31d)이 연장 형성되는 끼움판(31c)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및 잔디용 보호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블럭(30)과 제 2블럭(50)은 각각 사각의 중공축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및 잔디용 보호판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블럭(30)과 제 2블럭(50)은 상호 밀착되는 부분이 용접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및 잔디용 보호판장치.
KR2020020009033U 2002-03-27 2002-03-27 가로수 및 잔디용 보호판장치 KR2002787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033U KR200278773Y1 (ko) 2002-03-27 2002-03-27 가로수 및 잔디용 보호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033U KR200278773Y1 (ko) 2002-03-27 2002-03-27 가로수 및 잔디용 보호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8773Y1 true KR200278773Y1 (ko) 2002-06-21

Family

ID=73120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033U KR200278773Y1 (ko) 2002-03-27 2002-03-27 가로수 및 잔디용 보호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877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08688A (en) Tree well cover
JP5211127B2 (ja) 緑化駐車場、植栽ユニット保護材および緑化駐車場構成材ユニット
KR100666089B1 (ko) 건축물 단지 내 조경가로수 보호대
JP2748000B1 (ja) 草止め板
KR101884877B1 (ko) 잔디보호용 매트
KR101164224B1 (ko) 가로수 보호기구
KR200278773Y1 (ko) 가로수 및 잔디용 보호판장치
KR101793070B1 (ko) 중심 이동 및 내경 조절이 가능한 가로수 보호블록
JPH08269906A (ja) 植物保護ブロツク
KR102141237B1 (ko) 조립식 식생 수로
KR100807771B1 (ko) 잔디블럭 구조물
KR100630808B1 (ko) 건축단지 내 가로수 보호대 구조
KR20130131053A (ko) 수목 보호용 덮개
KR102175271B1 (ko) 수목 뿌리 보호기능을 갖는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 및 그 시공방법
US20170014846A1 (en) Sprinkler head guard
KR100646021B1 (ko) 건축 및 공동주택 단지 가로수 보호대 구조
KR100692084B1 (ko) 가로수 보호커버
EP1468601B1 (en) Improved device for protecting tree and plant watering basins
KR20130010630A (ko) 직경 조절이 가능한 가로수 보호판
KR100790466B1 (ko) 화분 겸용 조립식 볼라드
KR20080000754U (ko) 가로수보호판
NZ542317A (en) Tree grate system
KR20190024266A (ko) 잔디 보호매트
KR101112771B1 (ko)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233709Y1 (ko) 가로수 보호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