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490A - 비탈면의 친환경적인 블럭 - Google Patents

비탈면의 친환경적인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490A
KR20090012490A KR1020070076371A KR20070076371A KR20090012490A KR 20090012490 A KR20090012490 A KR 20090012490A KR 1020070076371 A KR1020070076371 A KR 1020070076371A KR 20070076371 A KR20070076371 A KR 20070076371A KR 20090012490 A KR20090012490 A KR 20090012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lope
assembled
auxiliary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6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승기
Original Assignee
민승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승기 filed Critical 민승기
Priority to KR1020070076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2490A/ko
Publication of KR20090012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4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8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d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또는 택지 조성 등에서 발생되는 비탈면의 친환경적인 배수용 블럭에 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비탈면을 조성하기 위하여서는 절개지에서 성토되는 연약한 부위에 침출수를 조기에 배출하고, 집중호우에 의한 안정적인 배수를 유도면서, 비탈면에 친환경적인 식수를 하는 조경구를 형성하는 블럭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사회에서의 시공기술의 활용 및 택지가격의 고비용 등으로 경사지는 구릉지에 대한 활용과 아울러 친환경적인 조경의 요구가 점점 많아지는 추세에 있는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비탈면에 대한 조성은 경사지는 지형을 절개시켜 준 다음, 비탈면을 구축하려는 지형에 맞게 토사로 성토로 쌓여진 비탈면의 지표에다 블록을 조립으로 맞추어서 구성하며, 여기서 상측부위에 매설되는 보조배수로를 이용하여서, 폭우 등으로 내려오면 지표상의 빗물을 유도하여서 하측의 배수로로 이동하여 주도록 설치하여 주어서 비탈면에 대한 빗물의 넘쳐흘러서 이에 대한 비탈면의 피해가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지표면(35)을 절개하여 성토되는 성토부(33)를 안치하여 형성되는 비탈면(30)의 상측 가장자리로 안치되는 보조배수로(32)와 이에 연결되는 비탈면(30)에 조립되는 콘크리트 블록(40)을 안치하고, 하측에는 배수로(35)가 형성되는 비탈면의 블록에 있어서, 성토 부(33) 부위에 따라 암거배수관(36)을 지표층에 매설하여 주되, 걸름망(60)으로 보호하여 준다.
또한 상기 보조배수로(32)의 양측리브(32')에서 고정하여 주는 프레임(65)의 보조프레임(65')에다, 베아링(62)을 조립하여 주면서 축(61)을 삽설하여 주는 고정봉(63)에서 만곡으로 돌출되는 유도관(51)을 형성하여 주되, 고정봉(63)에서 만곡으로 돌출하는 부위에는 이송구(57)를 형성하여 준다.
또한 상기 블록(40)에다 경사상태의 원통형 벽체(42)를 형성하여 주되, 이의 간격에는 식수용 식수구(43)을 형성하여 주고, 상기 블록(40)의 상측으로는 연결대(49)를 형성하면서 조립바(47)를 돌출하여 주고, 하측에 형성되는 고정구(48)에 조립으로 고정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의 친환경적인 블럭.
비탈면, 유도관, 이송구, 조경구

Description

비탈면의 친환경적인 블럭{omitted}
본 발명은 도로 또는 택지 조성 등에서 발생되는 비탈면의 친환경적인 배수용 블럭에 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비탈면을 조성하기 위하여서는 절개지에서 성토되는 연약한 부위에 침출수를 조기에 배출하고, 집중호우에 의한 안정적인 배수를 유도면서, 비탈면에 친환경적인 식수를 하는 조경구를 형성하는 블럭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사회에서의 시공기술의 활용 및 택지가격의 고비용 등으로 경사지는 구릉지에 대한 활용과 아울러 친환경적인 조경의 요구가 점점 많아지는 추세에 있는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비탈면에 대한 조성은 경사지는 지형을 절개시켜 준 다음, 비탈면을 구축하려는 지형에 맞게 토사로 성토로 쌓여진 비탈면의 지표에다 블록을 조립으로 맞추어서 구성하며, 여기서 상측부위에 매설되는 보조배수로를 이용하여서, 폭우 등으로 내려오면 지표상의 빗물을 유도하여서 하측의 배수로로 이동하여 주도록 설치하여 주어서 비탈면에 대한 빗물의 넘쳐흐르는 형상을 방지하여 준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절개지에서 절개로 형성되는 비탈 면의 공간에, 토사 등으로 성토로 구축되는 비탈면(30)에 친환경적인 제방을 조립시켜서 구성되는 비탈면용 친환경적인 블록을 조립으로 구성되는 비탈면 조립용 블록(40)에 있어서,
국지적인 폭우 또는 태풍 등으로, 상기 절개지가 형성되는 상측부위의 경사지는 지표면(35)를 타고 내려오면서 넘치는 물이, 성토되는 연약한 성토부(33)으로 침수되면서 붕괴의 위험이 상존하며, 이로 인하여 비탈면의 표층에 조립되는 비탈면(30)용 블록(40) 등이 붕괴로 이어져서 도로((70) 또는 택지에 형성되는 비탈면이 쇄골이나 붕괴로 이어지는 현상이 많았다.
또한 택지 등의 가장자리에서 구축되어서 빗물의 흐르는 방향을 안내하는 제방에 있어서, 폭우 등으로 물이 불어나서 홍수 등으로 흐르는 경우, 안정적으로 주위의 도로, 주거지 등의 안전을 제공하게 되는데, 비탈면의 상측 가장자리로 안치되는 보조배수로(32)는, 경사지는 지표면(35)에서 내려오는 집중호우에 의한 과잉 빗물을 보조배수로(32)로 유도하지 못하고 넘쳐흘러 내리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하여 비탈면(30)에 성토된 성토부(33)의 침하로 인하여 조립된 블록(40)의 붕괴와 아울러 성토된 토사의 쇄골 등의 피해가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경사지는 비탈면(30)에서 친환경적으로 식수를 하는데, 폭우 등으로 지표면에 쇄골되거나 붕괴 등으로 안전적인 식생의 곤란으로 장기적으로 안정적으로 비탈면의 보강이 요구되는 것이다.
상기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연약한 성토부에 호우 등으로 침투되는 빗물의 조속한 배수로 침하의 위험을 방지하고, 떠한 집중호우로 쏟아지는 빗물이 보조배수로를 넘쳐나서 비탈면의 붕괴를 방지하며, 또한 비탈면용 블록에서 안정적으로 식수를 하는 보강구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설명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첨부된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탈면(30)을 조성하기 위하여 경사지는 지표면(35)을 절개하면서 형성되는 절개지(34)에다 형성하려고 하는 비탈면(30)에 맞추어서 토사를 성토하는 성토부(33)를 쌓은 다음 비탈면(30)에 보호용 블록(40)을 조립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조성되는 성토부(33)의 토사는 다짐 작업을 하여 주지만, 연약한 토사층을 형성하므로 폭우와 같은 장마 등으로 쉽게 침수가 되면서 침하등의 붕괴가 발생하는 바, 이를 보강하기 위하여 비탈면(30)의 상측 가장자리로 보조배수로(32)를 매설하면서 하측의 배수로(35)로 배수하도록 사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지표면(35)에서 흘러오면서 내려오는 빗물이 폭우 등으로 많은 경우 상기 성토부(33)로 스며드는 빗물을 유도하여서 재거하기 위하여, 상기 지표면(35)에서 성토부(33)와 서로 접촉으로 연결하는 부위에 따라 암거배수관(36)을 지표층에 매설하여 주되, 걸름망(60)으로 보호하면서 빗물에 딸려서 흘러내려오는 토사를 걸려주면서 빗물을 배수하여서 보조배수로(32)의 하측부에 배출구(60)로 연결하여 제공되는 발명의 요부로서, 집중호우 등으로 폭우가 쏟아지는 경우, 간단히 암거배수관(36)을 이용하여서 배수하여 준다.
또한 상기 보조배수로(32)는 대부분 지표면(35)에서 쏟아지는 빗물을 유도하여서 비탈면(30)에 대한 빗물의 피해를 줄이도록 제공하고 있으나, 간혹 지구의 온난화 등으로 기후변화에 의한 국지적인 폭우로 인하여 지표면(30)으로 흘러오는 빗물의 량이 너무 많아서 보조배수로(32)를 넘쳐서 비탈면(30)을 덮치면서 범람하는 경우가 발생하여서 비탈면(30)의 침하 또는 붕괴로 이어지므로 이에 대한 대비를 제공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첨부된 도5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배수로(32)의 양측리브(32')에서 길이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소정의 높이를 유지하는 프레임(65)을 고정하여 주되, 상기 프리임(65)의 상측에서 내려오는 보조프레임(65')에다, 베아링(62)을 조립하여 주면서 축(61)을 삽설하여 주고, 상기 축(61)에는 고정봉(63)으로 조립하면서 일측으로 만곡으로 돌출되는 유도관(51)을 상기 보조배수로(32)의 크기에 맞추어서 형성하여 준다. 또한 상기 유도관(51)애서 축(61)에서 조립되는 고정봉(63)에서 만곡으로 돌출하는 부위에는 이송구(57)를 형성하여 주고, 상기 유도관(51)의 길이는 소정의 폭으로 고정하는 프레임(65) 사이에서 흐르는 물의 이동력으로 회전하도록 느슨하게 조립하여 준다.
고로, 상기 보조배수로(32)의 양측리브(32')에서 일체로 고정하면서 조립하는 프레임(65)의 축으로 조립되는 만곡형의 유도관(51)은 폭우 등으로 쏟아져 내려오는 빗물에 의하여, 상기 유도관(51)의 내측으로 부딪치면서 밀어주면, 축(61)에 조립되는 고정봉(63)의 회전으로 회전이 되면서, 물이 쏟아져 들어오는 부위가 개방으로 이송구(57)가 열려주면서 유도관(51)의 회전으로 만곡된 유도관(51)의 몸체 의 높이가 올라가므로 빗물의 이송구(57)로 유인이 촉진된다. 또한 유도관(51)의 외측으로 이송리브(55)를 돌출하여 주면 유도관(51)을 넘쳐나는 폭우에 대한 유도능력의 재고에 보강이 된다. 여기서 상기 유도관(51)의 외측면의 일측에 걸림턱(45)을 돌출하여서 보조배수로(32)의 내측벽을 이용하여서 상기 유도관(51)의 회전구간을 조정하여 준다.
또한 본 발명의 요부인 비탈면(30)에 조립되는 친환경적인 블록(40)에 대한 설명은, 비탈면(30)을 조성하기 위하여 성토되는 성토부(33)에 비교적 큰나무가 성장으로서 형성되는 뿌리로 고정하여서 장기적으로 견고한 블록구조를 제공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첨부된 도11 내지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유지하는 콘크리트 블록(40)에다 간헐적으로 경사상태의 원통형 벽체(42)를 형성하여 주고, 상기 사이사이의 간격에는 식수용 식수구(43)을 형성하여 주면서, 상측으로는 연결대(49)를 형성하면서 조립바(47)를 돌출하여 주고, 하측에는 상기 연결대(49)에 돌출되는 조립바(47)와 같이 조립되는 고정구(48)를 형성하여서 구성되는 친환경적인 블록(40)을 제공하는 발명으로서, 상기 블록(40)을 경사지는 경사면(30)에 따라 비스듬히 안치하여서 조립하여 주면, 상기 조경구(43)용 벽체(42)가 수직으로 형성하여 주므로, 여기에 식수되는 큰나무의 식생을 하도록 제공하는 발명이며, 여기서 상기 조경구(43) 사이사이의 적은 식수구(43)에는 조경수 또는 초지 등을 식수하여서 전체적으로 균형이 유지하는 친환경적인 블록을 제공하기 위하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벽체(42)에 간헐적으로 형성되는 이동구(41)은 식수구(43)의 토사에서 물기의 조절용 이동으로 식수에 필요한 물의 량을 조절하여 준다.
본 발명은 도로나 택지조성용 비탈면에서 국지적인 폭우 등으로 보조배수로를 월경하여서 비탈면을 조성하는 성토부에 대한 침하 또는 쇄골을 방지하여 주며, 또한 경사지는 비탈면에 조립되는 블록에다 수목과 같은 큰나무를 식생하도록 하여서 나무의 뿌리에 의하여 비탈면의 견고성을 보강하여 주도록 구성되는 친환경적인 제방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설명되는 비탈면용 블록을 서로 상하측에서 조립으로 연결하여 주는 조립바와 고정구에서 서로 견고히 고정으로 제공함으로서, 성토부에 스며드는 빗물에 의하여 침하되는 성토부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하는 발명이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지표면에서 절개로 인하여 비탈면을 성토하기 위하는 성토부에 대한 연약지반에서의 빗물의 침투로 인한 신속한 배출로 지반의 침하 등의 문제를 방지하는 발명이며, 또한 쏟아지는 폭우 등으로 보조배수로를 넘처나서 비탈면의 침수를 방지하는 만곡성유도관에 대한 것이다.
[실시예 1]
상기 지표면(35)에서 흘러오면서 내려오는 빗물이 폭우 등으로 많은 경우 상기 성토부(33)로 스며드는 빗물을 유도하여서 재거하기 위하여, 상기 성토부(33)에다 간헐적으로 여러층으로 암거배수관(36')을 매설하여 주면서 비탈면(30)의 하측 에 형성되는 배수로(53)의 몸체에다 배출구(60')로 연결하여서 성토부(33)에 스며드는 폭우를 조속히 배출하도록 구성하여서 지표면에 대한 견고성을 보강하여 주도록 제공한다.
[실시예 2]
상기 지표면(35)에서 성토부(33)와 서로 접촉으로 연결하는 부위에 따라 암거배수관(36)을 지표층에 매설하여 주되, 걸름망(60)으로 보호하면서 빗물에 딸려서 흘러내려오는 토사를 걸려주면서 빗물을 배수하여서 보조배수로(32)의 하측부에 배출구(60)로 연결하여 제공되는 발명의 요부로서, 집중호우 등으로 폭우가 쏟아지는 경우, 간단히 암거배수관(36)을 이용하여서 배수하여 준다.
간혹 지표면(35)으로 흘러오는 빗물의 량이 너무 많아서 보조배수로(32)를 넘쳐서 비탈면(30)을 덮치면서 범람하는 경우가 발생하여서 비탈면(30)의 침하 또는 붕괴로 이어지므로 이에 대한 대비를 제공하기 위하는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첨부된 도9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보조배수로(32)의 양측리브(32')에서 길이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소정의 높이를 유지하는 프레임(65)을 고정하여 주되, 상기 프리임(65)의 상측에서 내려오는 보조프레임(65')에다, 베아링(62)을 조립하여 주면서 축(61)을 삽설하여 주고, 상기 축(61)에는 고정봉(63)으로 조립하면서 일측으로 만곡으로 돌출되는 유도관(51)의 단부에 보조이송구(57')를 형성하여 주되, 단부에는 일측에 이송구(57)가 형성되는 원호형관(50)을 형성하여 제공하는 발명으로서, 지표면(35)에서 폭우 등으로 쏟아져 내려오는 빗물이 축(61)에 서 고정봉(63)으로 조립되어서 돌출되는 유도관(51)을 부딪치면서 밀어주면 상기 유도관 (51)이 회전으로 밀려주면서, 이에 연결되는 원호형관(50)의 회전으로 이송구(57)가 열려주므로, 이에 따라 회전된 원호형관(50)의 냐측공간에 유입되는 물이 보조이송구(57')를 지나서 이송구(57)로 통과하여 보조배수로(32)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발명으로서, 폭우에 의하여 빗물이 보조배수로(32)를 넘처서 비탈면(30)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발명이다.
[실시예 3]
상기 설명되는 블록(40)의 상하측으로 각각 구성되는 조립바(47)와 고정구(48)에 대한 실시예로서, 첨부된 도13 내지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40)에 형성되는 식수구(43)을 형성하는 벽체(42)는 블록(40)의 앞측으로 볼록하게 형성하는 블록벽체(42')을 형성하여서 식수구간을 형성하여 주고, 조립바(47)료 돌출된 길이를 길게 형성되는 장조립바(47')로 형성하여 주면서, 상기 고정구(48)에 맞추어 장고정봉(48')을 형성하여 주면서, 상기 장조립바(47')로 조립하여 준 다음, 시멘트 몰탈(66)로 상기 조립된 틈사이에 충진시켜서 양생으로 견고하게 제공하는 발명으로서, 이는 성토부(33)에 대한 지지력과 아울러 비탈면에 조립되는 블록(40)의 결합력을 보강하여 주는 발명이다.
도1는 종래에 제공된 비탈면 블록에 대한 부분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서 요부에 대한 사용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3은 도2에서 A-A선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대한 사용상태도
도5는 본 발명에서 요부에 대한 분해된 부분 확대 사시도
도6은 도5에서 조립된 요부의 단면도
도7, 7a는 도6에서 작동되는 상태의 단면도 및 실시예의 단면도
도8은 도6에서 B-B선 단면도
도9는 도5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요부 단면도
도10은 도9에서 작동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11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사시도
도12은 도11에서 C-C선 단면도
도13은 도11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
도14는 도13에 대한 사용상태의 단면도
도15는 도14에서 D-D선 반면도
도16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상태도
* 도면중 주요 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비탈면 31. 바닥면 32. 보조배수로 33. 성토부 34. 절개지
35. 배수로 36,36'. 암거배수관 38. 조립구 40. 블럭
42. 벽체 42'. 블럭벽체 43. 조경구 44, 식수구 47. 조립바
47'. 장조립바 48. 고정구 48'. 장고정구 49. 연결대
50.원호형관 51. 만곡유도관 52. 조립구 55. 이송리브
57,57'. 이송구 58.확대부 60,60'. 배출구 61. 축
62. 베아링 63. 고정구 65. 프레임 66. 시멘트몰탈

Claims (3)

  1. 지표면(35)을 절개하여 성토되는 성토부(33)를 안치하여 형성되는 비탈면(30)의 상측 가장자리로 안치되는 보조배수로(32)와 이에 연결되는 비탈면(30)에 조립되는 콘크리트 블록(40)을 안치하고, 하측에는 배수로(35)가 형성되는 비탈면의 블록에 있어서,
    상기 성토부(33) 부위에 따라 암거배수관(36)을 지표층에 매설하여 주되, 걸름망(60)으로 보호하고,
    상기 보조배수로(32)의 양측리브(32')에서 보조프레임(65')이 조립된 프레임(65)을 고정하여 주되,
    상기 보조프레임(65')에다, 베아링(62)을 조립하여 주면서 축(61)을 삽설하여 주고,
    상기 축(61)에는 조립된 고정봉(63)에서 만곡으로 돌출되는 유도관(51)을 형성하여 주고,
    상기 유도관(51)에서 축(61)에서 조립되는 고정봉(63)에서 만곡으로 돌출하는 부위에는 이송구(57)를 형성하여 주고,
    상기 블록(40)에다 경사상태의 원통형 벽체(42)를 형성하여 주되, 이의 간격에는 식수용 식수구(43)을 형성하여 주고,
    상기 블록(40)의 상측으로는 연결대(49)를 형성하면서 조립바(47)를 돌출하여 주고, 하측에는 고정구(48)를 형성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의 친 환경적인 블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바(47)을 장조립바(47')로 형성하여 주고,
    상기 고정구(48)에 맞추어 장고정봉(48')을 형성하여 주면서, 상기 장고정봉(48')에다 장조립바(47')를 삽설하여 준 다음, 시멘트 몰탈(66)로 충진시켜서 주고,
    상기 성토부(33)에다 여러층으로 암거배수관(36')을 매설하여 주면서 배수로(53)의 몸체에다 배출구(60')로 연결하여 주고,
    상기 유도관(51)의 외측으로 이송리브(55)를 돌출하여 주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의 친환경적인 블럭.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관(51)의 단부에 보조이송구(57')를 형성하여 주되, 단부에는 일측에 이송구(57)가 형성되는 원호형관(50)을 형성하여 주고,
    상기 경사상태의 원통형 벽체(42)를 볼록벽체(42')로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의 친환경적인 블럭.
KR1020070076371A 2007-07-30 2007-07-30 비탈면의 친환경적인 블럭 KR200900124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371A KR20090012490A (ko) 2007-07-30 2007-07-30 비탈면의 친환경적인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371A KR20090012490A (ko) 2007-07-30 2007-07-30 비탈면의 친환경적인 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490A true KR20090012490A (ko) 2009-02-04

Family

ID=40683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6371A KR20090012490A (ko) 2007-07-30 2007-07-30 비탈면의 친환경적인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249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21287A (zh) * 2013-11-20 2014-03-12 北京麦克哈格国际生态环境工程科技有限公司 一种立面固壤种植装置
CN107761746A (zh) * 2016-08-16 2018-03-06 中核辽宁核电有限公司 一种用于降低处置场地下水埋深深度的结构及其制备方法
CN110036792A (zh) * 2019-05-31 2019-07-23 重庆大学 一种适用于山地城市的生态绿色台阶
KR102015296B1 (ko) * 2018-03-15 2019-08-28 (주)해양생태기술연구소 해안방수벽의 전면부위 녹화구조
CN114396061A (zh) * 2022-02-09 2022-04-26 哈尔滨岗宇水利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可快速安装的生态型护坡结构及其生态护坡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21287A (zh) * 2013-11-20 2014-03-12 北京麦克哈格国际生态环境工程科技有限公司 一种立面固壤种植装置
CN107761746A (zh) * 2016-08-16 2018-03-06 中核辽宁核电有限公司 一种用于降低处置场地下水埋深深度的结构及其制备方法
KR102015296B1 (ko) * 2018-03-15 2019-08-28 (주)해양생태기술연구소 해안방수벽의 전면부위 녹화구조
CN110036792A (zh) * 2019-05-31 2019-07-23 重庆大学 一种适用于山地城市的生态绿色台阶
CN114396061A (zh) * 2022-02-09 2022-04-26 哈尔滨岗宇水利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可快速安装的生态型护坡结构及其生态护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42729B2 (en) Wide area water collection type underground water tank
KR20090012490A (ko) 비탈면의 친환경적인 블럭
CN105735461A (zh) 一种井及集水井
JP2010037863A (ja) 植栽型浸透トレンチ
HU226433B1 (en) Foundation slab of underground passage for road
KR101111302B1 (ko) 배수관의 배수 유도장치
JP2008267023A (ja) 雨水貯留システム
KR20090090252A (ko) 하천에서 제방용 보호 블록
CN212052859U (zh) 用于冻土地区的隧道明洞结构
KR100758231B1 (ko) 환경 친화적인 조경용 비탈면의 블럭 구조물
RU2381327C1 (ru) Водопропускное сооружение под насыпью в условиях многолетнемерзлых грунтов на периодически действующем водотоке
KR20120017958A (ko) 법면 보강용 블록의 고정구
KR101060991B1 (ko) 우수 범람 방지를 위한 배수로
CN209538332U (zh) 市政雨水渗透装置
KR100379624B1 (ko) 부력방지와 안정적 담수위를 유지하는 수자원 지하비축시설의 시공방법
KR101001110B1 (ko) 배수관의 배수 유도장치
KR20090055149A (ko) 배수관용 비탈면의 보호 블록
KR101297151B1 (ko) 결속대가 형성된 옹벽용 블럭
KR101741014B1 (ko) 배수로에서 배수 촉진장치
KR101790939B1 (ko) 저수공간이 형성된 옹벽용 블럭
CN216640610U (zh) 明挖沟槽的边坡稳定结构
JP2019132095A (ja) 箱型擁壁
CN213296562U (zh) 一种屋面雨水进入周边生物滞留池的排水装置
KR101064916B1 (ko) 우수 범람 방지 및 지하수 고갈 방지를 위한 배수로
KR101124944B1 (ko) 하천의 제방용 배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608

Effective date: 2011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