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1110B1 - 배수관의 배수 유도장치 - Google Patents

배수관의 배수 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1110B1
KR101001110B1 KR1020070110058A KR20070110058A KR101001110B1 KR 101001110 B1 KR101001110 B1 KR 101001110B1 KR 1020070110058 A KR1020070110058 A KR 1020070110058A KR 20070110058 A KR20070110058 A KR 20070110058A KR 101001110 B1 KR101001110 B1 KR 101001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drainage
ribs
safety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0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4932A (ko
Inventor
민승기
Original Assignee
민승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승기 filed Critical 민승기
Publication of KR20090014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1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1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03F3/046Open sewage cha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택지, 경작지 등의 조성에서 발생되는 비탈면에서 배수관용 배수 유도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비탈면에다 도로, 택지, 경작지 등을 조성하기 위하여서는 폭우 등으로 흘러내려오는 빗물을 배수관으로 매설함으로서 유도로 빗물에 대한 피해를 줄여주는데, 이에 대하여 집중호우 등으로 폭우상태로 내려오는 빗물을 유도하여 주어서, 하류지역에 대하여 피해를 줄여주는 발명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사회에서의 시공기술의 활용 및 택지가격의 고비용 등으로 경사지는 구릉지에 대한 활용과 아울러 집중호우에 대한 피해를 줄여서 친환경적인 제품의 요구가 점점 많아지는 추세에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배수로(52)를 매설하는 경사면(55)에서 매설하려면 더파기한 다음 성토하면서 상기 배수로(52)를 매설작업을 하는데, 이에 대하여 배수로(52)의 양측벽면(61)(62)에 대하여 균형이 유지하도록 안정적인 매설을 제공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상기 원호형 유도대(70)를 상시 배수로(52)를 형성하는 양측벽면(61)(62)의 안전리브(71)(72)에다 각각의 결합리브(78)(78')을 고정하면서 이에 연결되도록 단면이
Figure 112007508794611-pat00012
형의 볼록벽(77)을 볼록하게 형성하고, 상기 볼록벽(77)의 일측에 유입구(82)을 구성하여서 제공하되, 상기 유입구(82)의 위치는 경사면(55)의 상측 방향으로 위치하여서, 밀려오는 폭우가 배수로(52)의 내측구간으로 유입되도록 제공하여 준 다.
이는 상기 배수로(52)의 양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안전리브(71)(72)에다 소정의 간격으로 조립구(73)를 천공하여 주되, 상기 단면이
Figure 112007508794611-pat00013
형의 볼록벽(77)의 결합리브(78)(78')에다 조립봉(84)를 상기 조립구(73)에 조립되도록 형성으로 하여서, 일체로 조립하여서 일체로 제공하여 주는 발명이며, 이에 대한 실시예에 대한 발명이다.
경사면, 배수로, 볼록벽, 유입구

Description

배수관의 배수 유도장치{DRAINING GUIDING APPARATUS FOR A DRAINPIPE}
본 발명은 도로, 택지, 경작지 등을 조성하면서 형성되는 경사면에 매설되어 빗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관의 배수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경사면을 타고 내려오는 빗물을 배수관으로 유도함으로써 하류지역의 피해를 줄여주는 배수 유도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일반적으로 산업사회에서의 시공기술의 활용 및 택지가격의 고비용 등으로 투지의 사용이 세분화됨에 따른 경사지는 구릉지에 대한 활용과 아울러 지구의 환경 변화 등으로 잦은 국지적인 집중호우의 발생에 대한 피해를 줄여주는 친환경적인 배수의 구조에 대한 요구가 점점 높아지는 추세에 있는 것이다.
경지정리 또는 택지 또는 도로용으로 지표면을 절개하여 형성되는 경사면에는 배수관을 연속 반복 연결하여 매설함으로써, 경사면을 타고 흘러 내리는 빗물을 용이하게 배수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경사면 주변의 도로, 주거지 등의 안전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배수관은 집중호우 또는 태풍 등으로 인하여 폭우가 발생하여 한꺼번에 많은 빗물이 흐르는 경우 작은 크기의 토사와 자갈은 물론, 바윗덩어리와 나뭇가지 등이 내려오기도 한다.
이는 배수관으로 유입되어 배수관의 배수로를 막고 배수기능을 차단하거나, 바윗덩어리와 나뭇가지 등이 배수관을 넘어 배수관 주변의 경작물이나 시설물을 훼손하기도 한다.
삭제
본 발명은 빗물과 함께 경사면을 타고 굴러오는 바윗덩어리와 나뭇가지가 배수관으로 유입되어 빗물의 흐름을 막거나 배수관을 넘은 바윗덩어리가 주변 토지나 시설물을 훼손하지 않도록 보호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경사면(55)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배수관(52)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52)은 바닥면(63)의 양측에 각각 측벽면(61)이 형성되고, 상기 양측의 측벽면(61)에는 각각 안전리브(71)가 절곡 형성되며, 상기 일측 측벽면(61)의 안전리브(71)에는 유도대(70)의 결합리브(78)가 결합되며, 상기 유도대(70)의 결합리브(78)에는 걸름구(81)가 형성된 걸름판(89)이 돌출되어 배수관(52)의 타측 안전리브(71)에 결합되면서 배수관(52)의 상측부를 덮어 주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수관(52)의 바닥면(63)의 양측에는 지지리브(65)을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경사면(55)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배수관(52)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52)은 바닥면(63)의 양측에 각각 측벽면(61)이 형성되고, 상기 양측의 측벽면(61)에는 각각 안전리브(71)가 절곡 형성되며, 상기 양측 안전리브(71)에는 조립리브(74)가 상측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일측 안전리브(71)에는 조립리브(74)에 걸리도록 유도대(70)의 일측 끝단이 결합되며, 상기 타측 안전리브(71)에는 조립리브(74)에 걸리도록 받침대(72)가 결합되되, 상기 받침대(72)의 타측 끝단은 상기 유도대(70)의 타측 끝단에 결합되며, 상기 받침대(72)에는 유입구(8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도대(70)의 타측 끝단에는 지지리브(87)가 돌출되고 지지요홈(86)이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72)의 타측 끝단이 상기 유도대(70)의 지지요홈(86)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리브(87)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경사면(55)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배수관(52)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52)은 바닥면(63)의 양측에 각각 측벽면(61)이 형성되고, 상기 양측의 측벽면(61)에는 각각 안전리브(71)가 절곡 형성되며, 상기 일측 측벽면(61)의 안전리브(71)에는 끝단에 힌지(90)가 구비되는 받침대(85)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받침대(85)의 힌지(90)에는 유도대(70)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유도대(70)의 타측 끝단에는 배수관(52)의 안전리브(71)와 접하는 결합리브(78)가 구비되며, 상기 유도대(70)의 일측에는 유입구(82)가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수관(52)과 힌지(90)에 의해 결합된 상기 유도대(70) 측에는 받침바(91)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유도대(70)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로나 택지를 조성하면서 형성되는 경사면에 빗물과 함께 내려오는 바윗덩어리와 나뭇가지 등이 배수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배수관이 막히는 것을 예방하고, 배수관 주변의 도로 및 시설물을 보호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에 유도대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에 유도대가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로, 주거지 등의 안전을 제공하기 위하여 경사면(55)의 지표면에 배수관(52)을 매설한다.
배수관(52)은 바닥면(63)이 구비되고, 바닥면(63)의 양측에는 각각 측벽면(61)이 세워지며, 양측의 측벽면(61)에는 각각 안전리브(71)가 절곡되어 수평으로 형성된다. 배수관(52)의 길이방향 끝단에는 다수의 배수관(52)을 연결 조립하기 위한 연결용 리브(54)가 형성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에 결합되는 유도대 및 걸름블록의 예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에 유도대와 걸름블록이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 예시도이다.
배수관(52) 일측의 안전리브(71)에는 반원형으로 만곡된 유도대(70)의 결합리브(78)가 결합된다. 그리고, 유도대(70)의 결합리브(78)에는 걸름판(89)이 돌출되어 배수관(52) 상부를 덮으며 배수관(52) 타측 안전리브(71)에 결합된다. 걸름판(89)에는 걸름구(81)가 관통 형성되어 경사면(55)에 굴러내리는 바윗덩어리와 나뭇가지 등이 배수관(52)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빗물이 경사면(55)의 지반으로 유입되어 지반이 약해지는 경우에도 배수관(52)이 이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배수관(52)의 바닥면(63) 양측면에는 지지리브(65)를 돌출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따라서, 장기적인 장마 등으로 빗물이 경사면(55)을 따라서 흐르는 경우, 빗물과 함께 흘러내리는 바윗덩어리와 나뭇가지 등은 걸름판(89)에 걸려 배수관(52)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빗물과 미세한 토사 등은 걸름판(89)의 걸름구(81)를 통과하여 배수관(52)으로 배수된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52)은 도 4 내지 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배수관(52)은 바닥면(63)이 구비되고, 바닥면(63)의 양측에는 각각 측벽면(61)이 세워지며, 양측의 측벽면(61)에는 각각 안전리브(71)가 절곡되어 수평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양측의 안전리브(71)에는 조립리브(74)가 상측으로 절곡 형성된다.
배수관(52)의 일측 안전리브(71)와 조립리브(74) 사이 모서리에는 유도대(70)를 경사지도록 세워 결합하며, 배수관(52)의 타측 안전리브(71)와 조립리브(74) 사이 모서리에는 받침대(72)가 경사지도록 세워져 결합된다.
받침대(72)의 상측부는 유도대(70)의 상측부에 돌출 형성된 지지리브(87)와 지지요홈(86) 사이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받침대(72)에는 다수개의 유입구(82)가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장기적인 장마 등으로 빗물이 경사면(55)을 따라서 흐르는 경우, 빗물과 함께 흘러내리는 바윗덩어리와 나뭇가지 등은 받침대(72)의 유입구(82)를 통과하지 못하고 걸리게 되고, 빗물과 미세한 토사 등은 유입구(82)를 통과하여 배수관(52)으로 배수된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52)은 도 7 내지 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배수관(52)은 바닥면(63)이 구비되고, 바닥면(63)의 양측에는 각각 측벽면(61)이 세워지며, 양측의 측벽면(61)에는 각각 안전리브(71)가 절곡되어 수평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배수관(52)의 상측에는 상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유도대(70)가 덮히도록 결합되되, 유도대(70)의 일측은 배수관(52) 일측 안전리브(71)와 힌지(90)에 의해 결합된다.
이를 위해 배수관(52)에는 받침대(85)가 돌출 형성되고, 유도대(70)에는 받침바(91)가 돌출되어 배수관(52)의 받침대(85)와 유도대(70)의 받침바(91)가 힌지(90) 결합된다.
힌지(90)가 형성된 반대측의 유도대(70)에는 결합리브(78)가 배수관(52)의 안전리브(71)와 접하도록 돌출 형성된다. 빗물이 흘러내리는 측 방향의 유도대(70)에는 빗물이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82)가 관통 형성된다. 또한, 유도대(70)의 중도부에는 돌출벽(76)을 돌출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따라서, 장기적인 장마 등으로 빗물이 경사면(55)을 따라서 흐르는 경우, 빗물의 양이 많아 유도대(70)의 유입구(82)에 의해 빗물을 수용하기 어렵게 된다. 이때, 빗물의 압력에 의해 유도대(70)가 상측으로 들리면서 힌지(90)를 축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회전하면서 들려진 유도대(70)에 의해 배수관(52)과 유도대(70) 사이에 빗물이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간(100)이 형성되고, 회전하는 유도대(70)는 받침바(91)가 배수관(52)의 안전리브(71)에 걸리면서 회전이 제어 된다.
그리고, 빗물의 양이 작아짐에 따라 유도대(70)에 가해지는 빗물의 압력이 약해지게 되면, 유도대(70)의 자체중량에 의해 힌지(90)를 축으로 회전하여 하강하면서 원래의 위치로 위치하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의 배수 유도장치의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의 배수 유도장치의 측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의 배수 유도장치의 예시도
도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대와 받침대의 분해 예시도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대와 받침대가 배수관과 결합된 상태의 단면예시도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대가 배수관에 힌지 결합된 상태의 예시도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대가 배수관에서 힌지를 축으로 회전하여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 도면중 주요 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2. 배수로 55. 경사면 65. 지지리브
67. 걸림요홈 70. 유도대 71. 안전리브
78. 결합리브 81. 걸름구 82.유입구
85. 받침대 86. 지지요홈 87. 지지리브
89. 걸름판 90. 힌지 91. 받침바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경사면(55)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배수관(52)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52)은 바닥면(63)의 양측에 각각 측벽면(61)이 형성되고,
    상기 양측의 측벽면(61)에는 각각 안전리브(71)가 절곡 형성되며,
    상기 양측 안전리브(71)에는 조립리브(74)가 상측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일측 안전리브(71)에는 조립리브(74)에 걸리도록 유도대(70)의 일측 끝단이 결합되며,
    상기 타측 안전리브(71)에는 조립리브(74)에 걸리도록 받침대(72)가 결합되되, 상기 받침대(72)의 타측 끝단은 상기 유도대(70)의 타측 끝단에 결합되며, 상기 받침대(72)에는 유입구(8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의 배수 유도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대(70)의 타측 끝단에는 지지리브(87)가 돌출되고 지지요홈(86)이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72)의 타측 끝단이 상기 유도대(70)의 지지요홈(86)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리브(87)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의 배수 유도장치.
  5. 경사면(55)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배수관(52)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52)은 바닥면(63)의 양측에 각각 측벽면(61)이 형성되고,
    상기 양측의 측벽면(61)에는 각각 안전리브(71)가 절곡 형성되며,
    상기 일측 측벽면(61)의 안전리브(71)에는 끝단에 힌지(90)가 구비되는 받침대(85)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받침대(85)의 힌지(90)에는 유도대(70)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유도대(70)의 타측 끝단에는 배수관(52)의 안전리브(71)와 접하는 결합리브(78)가 구비되며, 상기 유도대(70)의 일측에는 유입구(82)가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의 배수 유도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52)과 힌지(90)에 의해 결합된 상기 유도대(70)에는 받침바(91)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유도대(70)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의 배수 유도장치.
KR1020070110058A 2007-08-06 2007-10-31 배수관의 배수 유도장치 KR1010011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78558 2007-08-06
KR1020070078558 2007-08-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932A KR20090014932A (ko) 2009-02-11
KR101001110B1 true KR101001110B1 (ko) 2010-12-15

Family

ID=40684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0058A KR101001110B1 (ko) 2007-08-06 2007-10-31 배수관의 배수 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11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06094B2 (ja) * 2016-06-22 2018-04-04 ケイコン株式会社 斜面を横断する水路に適した溝蓋
KR102364315B1 (ko) * 2020-08-24 2022-02-18 주식회사 청학 넘침 방지용 수로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504Y1 (ko) 2006-04-10 2006-06-20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자갈흐름 방지 측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504Y1 (ko) 2006-04-10 2006-06-20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자갈흐름 방지 측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932A (ko) 200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1110B1 (ko) 배수관의 배수 유도장치
KR100681708B1 (ko) 식생용 옹벽블럭
CN102726141A (zh) 盐碱地改良设施及其改良方法
KR101024843B1 (ko) 주택지 또는 도로의 법면에서 조경용 급,배수 장치
KR20090012490A (ko) 비탈면의 친환경적인 블럭
KR100568120B1 (ko) 식재박스를 이용한 옹벽 구조
KR100523965B1 (ko) 건축용 조경블럭
CN106149736B (zh) 基于截排水保持坡地软粘土基坑边坡稳定的施工方法
KR100352143B1 (ko) 가로수의 생육여건개선용 식수대(植樹帶) 시공방법
KR100970494B1 (ko) 비탈면의 배수용 보호 블록
KR100758231B1 (ko) 환경 친화적인 조경용 비탈면의 블럭 구조물
KR100594399B1 (ko) 건축물 비탈면 보호 구조
JP2010183845A (ja) 樹木の設置方法
KR100562225B1 (ko) 비탈면 토사유실 방지 구조물
KR200418550Y1 (ko) 친환경 식생 파이프
KR100519910B1 (ko) 건축단지의 비탈면 방호시설
Singh et al. Management of ravines through anicuts and afforestation
JPH08205691A (ja) 植樹帯
KR100763874B1 (ko) 식생용 옹벽블록
KR100882186B1 (ko) 건축 또는 도로용 경사면의 토사 붕괴방지 시설
KR100545663B1 (ko) 건축물 경사면 보호구조
KR100490959B1 (ko) 건축용 2중 옹벽 시설물
Thomas et al. Addressing drainage issues in the urban landscape
Singh et al. Soil erosion-status, causes and preventive measures in Trans-Himalayan region of Leh-Ladakh in J&K
Nichols Preliminary observations on managing and reclaiming frontal dunes within the Durban municipal are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9